[더구루=홍성일 기자] 소니가 '블루투스 트랜시버'와 '와이파이 트랜시버'를 동시에 장착한 무선 컨트롤러 특허를 출원했다. 미국특허청(USPTO)은 4일(현지시간)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가 지난 2019년 7월 20일 출원한 '다중 경로 무선 컨트롤러'라는 제목의 특허를 공개했다. 해당 특허는 무선…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테슬라가 차기 전기차에 '디지털 키'를 적용할 전망이다.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에 관련 문서를 내놓고 신기술 도입을 예고하며 현대자동차를 비롯해 완성차 업체들과 협업하고 있는 애플과 삼성전자에 이목이 쏠린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미 FCC에 열쇠고리 2개와…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AMD와 협업해 이르면 올 2분기 애플 A14 바이오닉 성능을 뛰어넘을 차세대 엑시노스 제품을 선보인다. 24일(현지시간) 유명 트위터리안 아이스유니버스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내 AMD의 그래픽처리장치(GPU) 기술을 적용한 차세대 엑시노스 제품을 발표한…
[더구루=정예린 기자] 구글 출신 경영자가 만든 IT 스타트업 '니바(Neeva)'가 광고 없는 검색엔진을 선보이며 거대 빅테크(대형 기술기업)의 아성에 도전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니바는 올 여름께 검색엔진 서비스를 미국, 서유럽, 호주 및 인도와 같은 영어권 지역에서 우선 출시할 예정이다. 니바가…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스마트폰에 이어 PC에도 엑시노스를 탑재한다. 18일 IT팁스터(정보유출자) 더 갈록스(The Galox)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조만간 엑시노스 칩을 탑재한 노트북을 출시한다. 엑시노스가 탑재된 첫 PC 제품에는 지난 12일 공개한 '엑시노스2100'가 적용될 것으로 보…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증기 챔버 냉각 솔루션을 테스트하며 5G 고사양 칩셋 적용을 통한 아이폰 성능 업그레이드를 계획하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 정보 전문가인 밍치궈 홍콩 톈펑국제증권 애널리스트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애플이 차세대 아이폰에 적용하기 위해 증기 챔버 냉각 솔루션…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의 보급형 스마트폰 갤럭시 M시리즈 최고사양 모델인 'M62'의 출시가 임박했다. 중저가 모델에 플래그십 수준의 사양을 지원, 급증하고 있는 수요를 사로잡아 화웨이의 빈자리를 차지하겠다는 전략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연방통신…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 '갤럭시S21' 시리즈 출시가 임박한 가운데 제품 사양에 대한 윤곽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S시리즈 최초로 S펜을 지원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오는 15일 자정(미국 동부 시간 14일 오전 10시) 온라인으로 '갤럭시 언팩 2021'을 열고 갤럭…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의 차기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Z 폴드3의 렌더링 이미지가 등장했다. 안으로 접는 인폴딩 방식으로 S펜을 지원한다. 신모델부터 적용이 점쳐진 언더디스플레이카메라(UDC) 기술 대신 전작과 동일한 펀치홀 디자인을 이어갈 전망이다. 네덜란드 IT 매체 렛츠고디지털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의 VR 장갑 특허가 공개됐다. 향후 VR 장비를 강화하며 메타버스 시대를 준비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특허청(USPTO)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애플이 지난 2018년 8월 28일 출원한 'IMU(관성측정장비) 기반 장갑' 특허를 공개했다. 해당 특허에는 가속도계와 회전 속도계, 자…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화웨이가 3나노미터(nm) 공정으로 양산하는 기린 9020을 개발하고 있다는 추측이 나왔다. 이르면 차기 플래그십 스마트폰 메이트 50에 탑재할 것으로 보여 미국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화웨이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사업을 지속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4일 업계…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오사카대학 연구팀이 차세대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에 활용 가능한 투명 전자 센서 시트 연구에 진전을 이뤘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오사카대학 연구팀은 투명 전자 센서 시트 개발에 성공했다. 이 시트는 나노선(silver nanowire)을 소재로 사용해 만든 제품으로 전기 전…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연방군이 LIG넥스원이 인수한 미국 고스트로보틱스의 사족보행 로봇 '비전60'을 정찰용으로만 운용하겠다는 계획을 공식화했다. 최근 미군을 중심으로 로봇의 무기화가 잇따라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독일군의 결정이 향후 세계 각국의 '로봇개' 도입 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31일 독일 경제지 하이제(Heise)에 따르면 연방군은 이 매체가 비전60의 무기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보낸 질의서에 "비전60에 대한 무장 계획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고 공식 답변했다. 이어 "비전60은 시각 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장애물을 탐지하고 필요시 라이다(LIDAR) 센서를 활용해 지도를 작성할 수도 있다"며 "무장 기능이 아닌 정찰 및 감시 역할을 수행할 것이며, 기존의 바퀴나 궤도를 사용하는 무인 차량과 달리 사족 보행 로봇은 산악지형이나 다층 건물에서도 기동성을 확보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고 덧붙였다. 독일 연방 군비, 정보 기술 및 지원청(BAAINBw)은 작년 9월 튀링겐에 위치한 보안전문 회사 ATC SiPro를 통해 고스트로보틱스에 비전60 4대를 발주했다. 공급가는 공개되지 않았다. 연방군은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공군이 기존 '군용 위성 조달 계획'을 철회하고 스페이스X의 군사용 군집위성 시스템인 '스타실드(Starshield)'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스타실드는 스페이스X 스타링크 위성을 기반으로 보안을 강화하고 정찰, 미사일 경보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공화당 소속 케빈 크라이머(Kevin Cramer) 상원의원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진행된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공군이 국방부 산하 우주개발청(SDA)의 T2TL(Tranche 2 Transport Layer)·T3TL(Tranche 3 Transport Layer) 위성 조달을 취소하고 스페이스X 위성(스타실드)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을 들었다"고 밝혔다. 케빈 크라이머 의원의 이같은 발언에 미국 공군은 즉각 성명을 발표하고 "T2TL와 T3TL에 대해 결정된 것은 (아무것도)없다"며 "2026년도 예산 심의 과정에서 모든 획득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미국 공군이 기존 T2TL와 T3TL 위성 조달 계획을 철회하고 스타실드 도입을 검토하기로 알려진 것은 예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미국 공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