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의 폴더블 스마트폰에 스타일러스 펜을 적용하는 새로운 특허가 공개돼 눈길을 끌고 있다. 2일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출원한 폴더블 디바이스 특허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공개됐다. 해당 특허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터치 패널의 내구도를 높이…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가 미국에서 차기 가상현실(VR) 헤드셋 브랜드로 추정되는 '갤럭시 스페이스(Galaxy Space)' 상표를 내놓았다. 기존 '기어' 대신 갤럭시를 활용해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하며 VR헤드셋 시장에 재진입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가 유럽에서 3차원(3D) 비행시간거리측정(Time of Flight·ToF) 센서 상표권을 냈다. 이르면 내년에 출시하는 스마트폰에 자체 개발한 센서를 탑재하고 일본 소니가 장악한 3D ToF 센서 시장에 균열을 낸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18일 유럽연합 지…
[더구루=오소영 기자] LG전자의 신작 'LG 윙(Wing)'이 두 가지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과 독특한 디자인으로 해외 매체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낯설지만 지루하지 않은 스마트폰'이라는 평가를 얻으며 'LG 윙'이 LG전자 모바일 사업의 구원투수가 될지 주목된…
[더구루=김도담 기자] 애플이 미국에서 마이크로(Micro) LED 디스플레이 특허를 냈다. 이번 특허가 피트니스 밴드 같은 소형 웨어러블 기기 개발에 필수 요소라는 점에서 애플의 피트니스 밴드 시장 본격 진출이 임박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특허청은 15일(현지시간) 애플이 이 같은 마이크로 LED…
[더구루=오소영 기자] 애플이 오는 15일 애플워치 6세대 출시를 앞두면서 스펙 정보가 속속 유출되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오는 15일 온라인으로 '애플 이벤트'를 열고 애플워치 6세대를 공개한다. 애플워치 6세대는 전작인 5세대와 유사한 디자인을 갖췄다. 앞서 웨어러블 기기에 마이크로 발…
[더구루=길소연 기자] '하늘을 나는 자동차' 전기식 수직이착륙(eVTOL) 항공기가 미래 도심형 항공기로 주목받고 있다. 무공해 전기로 구동되는 데다 교통체증 없이 도시간 이동이 자유로워 수요가 점차 늘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주요 항공사와 완성차 업체에서 소형 에어 모빌리티 개발에…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오포가 클램셸(조개껍질) 디자인의 폴더블 스마트폰 특허를 냈다. 삼성 갤럭시 Z 플립과 동일한 디자인을 채용하며 폴더블 시장을 리드하는 삼성전자를 따라했다는 '카피 논란'이 제기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오포는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로부터 폴더블 스마트폰에 대한…
[더구루=홍성일 기자] 모토로라가 레이저 폴더블폰의 5G버전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연일 SNS를 통해 실물 사진들이 유출되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의 SNS인 '웨이보'에 모토로라 레이저 5G모델로 추정되는 폴더블폰의 실물사진이 공개됐다. 특히 지난달 28일 유명 IT 팁스터인…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테슬라가 독일 기가팩토리에서 차세대 크로스오버차량 '모델Y'의 제조 공정을 개선하고 비용을 절감한다. 내연기관차 수준의 가격 경쟁력을 갖추겠다는 목표에 한발 다가서며 유럽 전기차 시장을 정조준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더구루=오소영 기자] 인텔이 차세대 중앙처리장치(CPU) 엘더 레이크-S에 LGA 1700을 적용한다는 사실이 공식 문서를 통해 재확인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IT 전문 유명 트위터리안 모모모유에스(@momomo_us)는 지난 27일 CPU 엘더 레이크-S와 관련 인텔 내부 기술 문서를 공개했다. 유출…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가 그동안 약점으로 지적받아온 후방 사각지대 감시 기능 개선에 나선다. 22일(현지시간)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트위터에 '후진시 경고 시스템이 추가되냐?'는 질문에 "그렇다"라고 답하며 후방 사각지대 감시 기능 업그레이드…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연방군이 LIG넥스원이 인수한 미국 고스트로보틱스의 사족보행 로봇 '비전60'을 정찰용으로만 운용하겠다는 계획을 공식화했다. 최근 미군을 중심으로 로봇의 무기화가 잇따라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독일군의 결정이 향후 세계 각국의 '로봇개' 도입 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31일 독일 경제지 하이제(Heise)에 따르면 연방군은 이 매체가 비전60의 무기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보낸 질의서에 "비전60에 대한 무장 계획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고 공식 답변했다. 이어 "비전60은 시각 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장애물을 탐지하고 필요시 라이다(LIDAR) 센서를 활용해 지도를 작성할 수도 있다"며 "무장 기능이 아닌 정찰 및 감시 역할을 수행할 것이며, 기존의 바퀴나 궤도를 사용하는 무인 차량과 달리 사족 보행 로봇은 산악지형이나 다층 건물에서도 기동성을 확보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고 덧붙였다. 독일 연방 군비, 정보 기술 및 지원청(BAAINBw)은 작년 9월 튀링겐에 위치한 보안전문 회사 ATC SiPro를 통해 고스트로보틱스에 비전60 4대를 발주했다. 공급가는 공개되지 않았다. 연방군은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공군이 기존 '군용 위성 조달 계획'을 철회하고 스페이스X의 군사용 군집위성 시스템인 '스타실드(Starshield)'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스타실드는 스페이스X 스타링크 위성을 기반으로 보안을 강화하고 정찰, 미사일 경보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공화당 소속 케빈 크라이머(Kevin Cramer) 상원의원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진행된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공군이 국방부 산하 우주개발청(SDA)의 T2TL(Tranche 2 Transport Layer)·T3TL(Tranche 3 Transport Layer) 위성 조달을 취소하고 스페이스X 위성(스타실드)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을 들었다"고 밝혔다. 케빈 크라이머 의원의 이같은 발언에 미국 공군은 즉각 성명을 발표하고 "T2TL와 T3TL에 대해 결정된 것은 (아무것도)없다"며 "2026년도 예산 심의 과정에서 모든 획득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미국 공군이 기존 T2TL와 T3TL 위성 조달 계획을 철회하고 스타실드 도입을 검토하기로 알려진 것은 예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미국 공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