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의 폴더블 스마트폰에 스타일러스 펜을 적용하는 새로운 특허가 공개돼 눈길을 끌고 있다. 2일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출원한 폴더블 디바이스 특허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공개됐다. 해당 특허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터치 패널의 내구도를 높이…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가 미국에서 차기 가상현실(VR) 헤드셋 브랜드로 추정되는 '갤럭시 스페이스(Galaxy Space)' 상표를 내놓았다. 기존 '기어' 대신 갤럭시를 활용해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하며 VR헤드셋 시장에 재진입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가 유럽에서 3차원(3D) 비행시간거리측정(Time of Flight·ToF) 센서 상표권을 냈다. 이르면 내년에 출시하는 스마트폰에 자체 개발한 센서를 탑재하고 일본 소니가 장악한 3D ToF 센서 시장에 균열을 낸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18일 유럽연합 지…
[더구루=오소영 기자] LG전자의 신작 'LG 윙(Wing)'이 두 가지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과 독특한 디자인으로 해외 매체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낯설지만 지루하지 않은 스마트폰'이라는 평가를 얻으며 'LG 윙'이 LG전자 모바일 사업의 구원투수가 될지 주목된…
[더구루=김도담 기자] 애플이 미국에서 마이크로(Micro) LED 디스플레이 특허를 냈다. 이번 특허가 피트니스 밴드 같은 소형 웨어러블 기기 개발에 필수 요소라는 점에서 애플의 피트니스 밴드 시장 본격 진출이 임박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특허청은 15일(현지시간) 애플이 이 같은 마이크로 LED…
[더구루=오소영 기자] 애플이 오는 15일 애플워치 6세대 출시를 앞두면서 스펙 정보가 속속 유출되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오는 15일 온라인으로 '애플 이벤트'를 열고 애플워치 6세대를 공개한다. 애플워치 6세대는 전작인 5세대와 유사한 디자인을 갖췄다. 앞서 웨어러블 기기에 마이크로 발…
[더구루=길소연 기자] '하늘을 나는 자동차' 전기식 수직이착륙(eVTOL) 항공기가 미래 도심형 항공기로 주목받고 있다. 무공해 전기로 구동되는 데다 교통체증 없이 도시간 이동이 자유로워 수요가 점차 늘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주요 항공사와 완성차 업체에서 소형 에어 모빌리티 개발에…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오포가 클램셸(조개껍질) 디자인의 폴더블 스마트폰 특허를 냈다. 삼성 갤럭시 Z 플립과 동일한 디자인을 채용하며 폴더블 시장을 리드하는 삼성전자를 따라했다는 '카피 논란'이 제기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오포는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로부터 폴더블 스마트폰에 대한…
[더구루=홍성일 기자] 모토로라가 레이저 폴더블폰의 5G버전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연일 SNS를 통해 실물 사진들이 유출되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의 SNS인 '웨이보'에 모토로라 레이저 5G모델로 추정되는 폴더블폰의 실물사진이 공개됐다. 특히 지난달 28일 유명 IT 팁스터인…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테슬라가 독일 기가팩토리에서 차세대 크로스오버차량 '모델Y'의 제조 공정을 개선하고 비용을 절감한다. 내연기관차 수준의 가격 경쟁력을 갖추겠다는 목표에 한발 다가서며 유럽 전기차 시장을 정조준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더구루=오소영 기자] 인텔이 차세대 중앙처리장치(CPU) 엘더 레이크-S에 LGA 1700을 적용한다는 사실이 공식 문서를 통해 재확인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IT 전문 유명 트위터리안 모모모유에스(@momomo_us)는 지난 27일 CPU 엘더 레이크-S와 관련 인텔 내부 기술 문서를 공개했다. 유출…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가 그동안 약점으로 지적받아온 후방 사각지대 감시 기능 개선에 나선다. 22일(현지시간)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트위터에 '후진시 경고 시스템이 추가되냐?'는 질문에 "그렇다"라고 답하며 후방 사각지대 감시 기능 업그레이드…
[더구루=김은비 기자] 자동차 가격 급등으로 인해 ‘초장기 대출’이 자동차 금융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차량 평균 가격이 5만 달러에 육박하면서, 소비자들이 월 납입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장기 대출을 택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국 신규 자동차 대출 가운데 21.6%가 84개월로 집계됐다. 이는 60개월 대출(36.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이다. 일부 금융사에서는 8년(96개월)짜리 초장기 상품까지 부활시키기도 했다. 이처럼 장기 대출이 등장한 이유는 고가의 자동차 가격 때문이다. 콕스 오토모티브(Cox Automotive)에 따르면 미국 내 자동차 평균 거래가격은 5년 전과 비교해 급등했다. 지난 6월 기준 신차는 5만 달러, 전기차는 5만6910달러까지 치솟았다. 높아진 자동차 가격에 장기 대출일 수록 이자와 상환액은 더 늘어나지만 소비자들은 월 납입금 인하에 더 높은 가치를 두고 있는 모습이다. 이처럼 가격이 높아진 데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글로벌 상호 관세가 자리잡았다. 미국은 지난 4월 수입 자동차·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했으며 한국과는 최근 미국산 에너지 구매 등을 조건으로
[더구루=진유진 기자] 중국이 니코틴 파우치 제품의 자국 내 출시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국내 기업들이 관심을 보여온 차세대 담배 시장이 국가 주도로 열리는 셈으로, 중국 내 새로운 성장 기회를 노린 전략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담배독점관리국(STMA)이 관련 기관에 니코틴 파우치 제품 개발과 국내 시장 출시 준비를 지시했다. 니코틴 파우치는 가열식 담배보다 기술적·지적 재산권 위험이 낮아 승인 과정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내부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제품 출시 시점도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중국 국영 기업들은 이미 해외 시장에서 가열식 담배를 판매하고 있으나, 주요 특허가 국제 담배 기업에 집중돼 있어 국내 판매 승인은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니코틴 파우치는 국가 체계 내에서 공식 개발되는 첫 차세대 담배 제품이 될 전망이다. STMA 산하 일부 계열사는 니코틴 파우치에 대한 소비자 관심과 유통 준비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담배 소매업체를 대상으로 시장 조사에 착수했다. 이 데이터는 향후 출시 전략과 가격 정책 등 세부 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