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물산은 21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를 통해 뉴스케일파워 클래스A·B 보통주 518만5804주를 보유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클래스A 보통주 260만7102주, 클래스B 보통주 257만8702주 등이다. 보유 주식 수는 앞서 지난 2월 공시 때와 변동이 없지만, 지분율은 5.0%에서 3.8%로 낮아졌다. 이는 스톡옵션 등으로 뉴스케일파워의 유통 주식수가 늘어난 영향이다. 뉴스케일파워 유통 주식은 이 기간 1억110만여주에서 1억3300만여주로 늘었다. 삼성물산은 2021년부터 뉴스케일 파워에 2차례에 걸쳐 총 7000만 달러(약 970억원)를 투자했다. 뉴스케일파워는 미국 에너지부의 지원을 받아 소형모듈원전(SMR)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국내 기업 가운데 삼성물산과 두산에너빌리티, GS에너지가 이 회사에 지분을 투자해 협력을 추진 중이다. 뉴스케일파워의 SMR은 1기당 77㎿(메가와트)의 원자로 모듈을 최대 12대 설치해 총 924㎿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불가리아가 기존에 짓다가 중단된 원전에 대해 건설 재개를 고려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 현지에 진출한 현대건설 등 한국 기업에 호재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0일 불가리아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불가리아는 현재 벨레네 원전 재개를 논의하고 있다. 앞서 불가리아는 지난 2006년 러시아 국영 원전기업 '로사톰'과 계약을 맺고 벨레네 원전에 VVER-1000 2기를 건설을 시작했다. 그러다 2009년 프로젝트가 중단되면서 미완성 된 원자로 2기를 우크라이나에 팔기로 했지만, 최근 전력 수요 급증이 예상되면서 매각 계획을 철회했다.<본보 2025년 4월 16일 참고 [단독] 불가리아 '우크라이나에 원자로 못 팔아' 주장 ..현대건설 ‘코즐로두이 원전’에 어떤 영향?> 이번 결정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요청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불가리아에서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미국 기업들이 벨레네 원전을 전력 공급원으로 활용하는 데 관심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불가리아는 벨레네 원전 재개를 위해 전문 인력 확충에도 돌입했다. 지난 4월초 열린 관계장관 회의에서 "해외 거주 중인 불가리아 국적 전문가를 다시 불러야 한다"는 주장
[더구루=정등용 기자] 체코 두코바니 원전 사업의 근로 조건을 두고 현지에서 차별 대우 논란이 불거졌다. 한국 근로자와 체코 근로자의 근무 환경이 확연하게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체코 유력 일간지 블레스크(Blesk)는 이달 초 두코바니 원전 사업 근로자의 숙소 계획안을 입수해 분석·보도했다. 블레스크는 “이 숙소는 대우건설이 계획한 것"이라며 "한국 근로자와 체코 근로자의 숙소가 서로 다른 조건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어 “한국 근로자들은 식당과 주차 공간, 샤워실 등이 제공되지만 체코 근로자들은 훨씬 더 열악한 환경에 처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 매체는 “체코 근로자 식당에는 음식을 준비할 수 있는 공간이 없고 냉동식품을 담을 수 있는 용기만 있을 것”이라며 “근로자들은 화장실이나 샤워 시설이 없는 80명(방당 침대 4개) 규모의 숙소 블록에서 생활하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특히 블레스크는 “한국 근로자 숙소는 1인당 42제곱미터의 규모이지만, 체코는 1인당 25제곱미터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두코바니 원전 사업 주체인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한수원은 블레스크 측에 “모든
[더구루=길소연 기자] 지난 40년간 원자력 발전(원전) 금지 정책을 고수해 온 덴마크가 원자력 금지령을 해제한다. 스페인과 포르투갈 전역에서 대규모 정전 사태를 겪은 뒤 탈원전 정책에서 벗어나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등 차세대 원자력 기술로 새로운 에너지 정책 방향을 모색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현대건설이 수주한 불가리아 코즐로두이 원전과 관련해 현지 기업 7곳과 계약을 체결했다. 현지 기업의 사업 참여를 늘려야 한다는 불가리아 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결과다. 웨스팅하우스는 16일(현지시간) 코즐로두이 원전에 건설되는 AP1000 가압 경수로 2기와 관련해 현지 기업 7곳과 MOU를 체결했다. 7개 기업은 △발칸스코 에코 EOOD △본 마린 △콘트라젠트 35 △엘 콘트롤 EOOD △엘프롬 중공업 △코즐로두이 △제칼랩스 등이다. 이들 기업은 이번 사업에서 크레인, 물류·운송, 전기·산업 장비, 계측·제어 장비, 배관 등을 담당한다. 이들 회사까지 모두 30개 현지 기업이 웨스팅하우스와 계약을 맺었다. 웨스팅하우스는 이번 MOU에 대해 “현지 건설, 전기, 물류 업체의 전문성을 활용해 프로젝트를 적시에 마무리 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불가리아 정부는 그동안 이번 사업과 관련해 자국 기업의 참여를 늘려야 한다는 요구를 꾸준히 밝힌 바 있다. 제초 스탄코프 불가리아 에너지부 장관은 지난달 29일 불가리아 수도 소피아에서 열린 웨스팅하우스 심포지엄에서 “최대한 많은 불가리아 기업이 이번 프로젝트에 참여해야 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세계 최대 전력 유틸리티 기업 이탈리아 에넬(ENEL)이 소형모듈원자로(SMR)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이탈리아의 원전 산업 확대 정책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경제매체 블룸버그가 한국의 원전 산업을 집중 조명했다. "전세계적으로 원전 산업이 다시 주목 받는 가운데 한국이 수혜를 입고 있다"는 분석이다. 블룸버그는 14일 ‘원자력의 재부상, 한국이 승자로 부상하다’란 제하의 기사를 통해 “한국이 세계 최고의 대규모 원전 산업을 구축하며 경제적, 외교적 보상을 얻을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자국의 에너지 소비 증가와 화석 연료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전 세계적인 절박함에 주목해 수십 년 동안 자체 원자력 기술을 개발해 왔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는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컴퓨팅 등 첨단 기술의 발달로 전력 수요가 높아지자 원전 산업에 대한 글로벌 기업들의 관심이 많아졌고, 이는 한국 원전 산업의 부흥으로 이어졌다”고 진단했다. 구체적인 데이터도 제시했다. 블룸버그는 “전세계 400여 개의 원전 사업 계획 및 제안을 분석한 결과, 한국은 이 중 43%에 달하는 원자로 사업을 수주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며 “향후 10년간 원자력 기술의 최대 수출국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강조했다. 블룸버그는 한국 원전 산업의 강점 중 하나로 산업 간 연계성을 언급했다. 엔지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가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다우케미컬이의 텍사스 SMR 인허가 심사에 착수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뉴스케일파워가 올해 SMR(소형모듈원자로) 고객사 수주에 강한 확신을 내비쳤다. 더불어 두산에너빌리티와의 협력을 확대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존 홉킨스 뉴스케일파워 사장은 13일(현지시간) 진행된 1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현재 10개 고객사와 협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수 차례 현장 방문 등을 통해 진전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안에 확실한 수주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두산에너빌리티와의 협력 계획도 언급했다. 홉킨스 사장은 “두산에너빌리티는 연간 20개의 모듈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면서 “여러 프로젝트에서 협력을 확대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뉴스케일파워는 두산에너빌리티와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5월에는 홉킨스 사장이 두산에너빌리티 창원 본사를 직접 방문해 SMR 소재 생산과 시험 현황을 살펴보고 프로젝트 일정을 점검하기도 했다.<본보 2024년 5월 3일 참고 [단독] 뉴스케일파워 수장, 두산에너빌리티 창원공장 전격 방문>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 2019년 뉴스케일파워에 4400만 달러(약 600억원)를 투자해 SMR 기자재 공급권을 따냈다. 이어 지난 2021년
[더구루=정등용 기자] 현대건설이 세계원자력협회(WNA) 주최로 열리는 ‘세계 원자력 공급망 컨퍼런스(WNSC)’에 참가한다. 14일 세계원자력협회에 따르면 세계 원자력 공급망 컨퍼런스는 오는 20일부터 21일까지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다. 올해 행사에는 전세계 주요 정부 관계자와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하는 가운데 현대건설도 참가 기업으로 이름을 올렸다. 특히 이진영 현대건설 뉴에너지사업부 책임이 연사로 나선다. 이 밖에 △인도 최대 재벌 그룹 아다니 △핀란드 국영 에너지 기업 포르툼 △프랑스전력공사(EDF) △GE 히타치 △국제원자력기구 △웨스팅하우스 등이 참가한다. 세계 원자력 공급망 컨퍼런스는 전 세계적으로 원자력 사용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적 모멘텀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 행사는 원자력 구조물과 시스템, 부품, 서비스부터 개발, 건설, 운영, 폐기에 이르기까지 원자력 산업의 전체 수명 주기를 다룰 예정이다. 원자력 산업은 최근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전세계 31개 국가와 140개 이상의 기업이 오는 2050년까지 전세계 원자력 에너지 용량을 3배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지난해 뉴욕 기후 주간(New York Climate Week)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정부가 신규 원전 10기 건설을 승인했다. 10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및 중국 관영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은 지난달 27일 상무회의를 열고 신규 원전 10기 건설 프로젝트를 승인했다. 새로 승인된 원전은 △광시 팡청강(防城港) 원전 3단계(5·6호기) △광둥 타이산(台山) 원전 2단계(3·4호기) △저장 싼먼(三門) 원전 3단계(5·6호기) △산둥 하이양(海陽) 원전 3단계(5·6호기) △푸젠 샤푸(霞浦) 원전 1단계(1·2호기) 등 총 5개 프로젝트의 10기다. 10기 모두 중국이 자체 개발한 3세대 원전으로 건설된다. 이 가운데 8대는 '화룽(華龍) 1호'가 채택될 예정이다. 투자 규모는 2000억 위안(약 38조6000억원)에 이른다. 리창 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원전 확대는 만에 하나라도 실수가 없도록 안전을 확보해야 하며 세계 최고의 안전 기준에 따라 원전을 건설·운영해야 한다"고 밝혔다. 중국 핵에너지산업협회(CNEA)가 지난달 27일 발표한 '2025 중국핵에너지발전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중국에서 상업운전 중인 원전은 총 57기다. 설비용량은 5976만㎾(킬로와트)로 세계 3위다. 중국은 설비용량 총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뉴스케일파워와 테라파워, 영국 롤스로이스 등 주요 소형 원전 기업들이 영국 안보·넷제로부 고위 인사와 만났다. 영국 보수당 주최의 원탁회의에서 소형모듈원자로(SMR) 구축을 위한 협력을 모색했다. 탄소중립 실현의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SMR을 활용하려는 영국에서 기회를 발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