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인도 구자라트주(州)와 사업 협력을 강화한다. 구자라트와 일관제철소 건설, K9 자주포 생산으로 협력하고 있는 것에 더해 현지 네트워크를 강화해 장기적 협력관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0일부터 12일까지(현지시간) 인도 간디나가르에서 개최되는 '바이브런트 구자라트 서밋(Vibrant Gujarat Summit) 2024'에 참석해 한국과 구자라트간 경제협력을 도모했다. 바이브런트 구자라트 글로벌 서밋은 나렌드라 모디(Shri Narendra Modi) 인도 총리가 구자라트 주 총리로 있던 2003년 만들어져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인도 구자라트주는 지난해 서울에서 글로벌 서밋 홍보를 위한 로드쇼를 개최하고 한국 반도체, 배터리 기업들에 러브콜을 보낸바 있다. <본보 2023년 11월 9일 참고 LG엔솔·한화·롯데·성일하이텍, 인도 구자라트 '반도체·배터리 투자 로드쇼' 참석> 올해 행사에는 김병관 한국수입협회 회장, 담무 라비(Dammu Ravi) 인도 외교부 장관, 장재복 주인도대한민국 대사 등 민관 주요 인사와 포스코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인도
[더구루 라스베이거스(미국)=오소영 기자] 올해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4'에서 모빌리티는 인공지능(AI) 못지 않은 핵심 주제였다. 한종희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부회장)과 조주완 LG전자 사장,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연이어 현대자동차 부스를 찾았다. 수소·소프트웨어 기술을 살피며 모빌리티 산업의 트렌드를 확인했다. 10일(현지시간) 'CES 2024'가 한창인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웨스트홀 내 현대차 전시관. 한 부회장은 오후 2시30분께 모습을 드러냈다. 생활가전 사업을 담당하는 박찬우 부사장과 문종승 생산기술연구소장(부사장)도 함께였다. 한 부회장은 송창현 현대차·기아 SDV본부장(사장)·권해영 현대차·기아 인포테인먼트개발센터장(상무)을 만나 SDV(Software Defined Vehicle·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에 대한 설명을 직접 들었다. SDV 핵심 하드웨어 구조를 구현한 전기·전자 아키텍처, 소프트웨어 제어 고성능 컴퓨터(HPVC) 모델 등을 살폈다. 송 사장의 설명에 연신 고객을 끄덕이던 한 부회장은 "여기 들어가는 칩셋은 현대차가 자체적으로 만든 거냐"고 묻기도 했다. "삼성이랑 하고 있다"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알리바바그룹(Alibaba Group Holding Limited)의 물류 계열사인 차이냐오 네트워크(Cainiao Network)의 기업공개(IPO)가 올해 정상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차이냐오 네트워크는 미국 배송을 시작하며 빠르게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차이냐오 네트워크의 상장 작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챠이나오 네트워크는 지난해 9월 26일 홍콩 증권 거래소에 IPO 신청서를 제출했으며 10월 10일에는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가 차이냐오 네트워크의 IPO 서류를 접수했다고 발표했다. 챠이냐오 네트워크는 IPO를 위해 모건스탠리, 시티그룹, CITIC, JP모건 등 글로벌 금융사들과도 손잡았다. 챠이나오 네트워크는 알리바바그룹 계열 스마트 물류 플랫폼으로 2013년 설립됐다. 차이냐오는 중국어로 신참, 햇병아리, 풋내기라는 뜻으로 새롭게 겸손하게 시작하겠다는 뜻을 담은 이름으로 알려졌다. 차이냐오는 중국 내에서는 24시간, 전세계에는 72시간 내 배송 시스템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2020년 한국에도 진출했다. 알리바바는 차이냐오 네트워크의 지분 69.54%를 소유
[더구루=정예린 기자] SK E&S가 호주 에너지기업 '우드사이드(Woodside)'와 수소 사업에 손을 잡았다.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공급망을 구축,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아시아·태평양 지역 탈탄소화에 기여한다는 목표다. 8일 SK E&S와 우드사이드에 따르면 양사는 수소, 암모니아 등 저탄소 수소 밸류체인 개발을 위한 구속력 없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장기적인 암모니아·수소 배출 계획 △프로젝트 지분 참여 △엔지니어링 공급 기회 등을 살필 예정이다. 협력 방안을 이제 막 논의하기 시작한 단계인 만큼 아직까지 구체화된 것은 없다. SK E&S와 우드사이드는 우선 한국과 호주에서 진행되는 사업 기회를 다각도로 살펴볼 계획이다. 이를 위해 양국 정부에서 제안한 정책 등을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우드사이드는 1954년 설립된 호주 석유가스 개발 회사다. 글로벌 탄소중립 트렌드에 발맞춰 사업 포트폴리오를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양사는 지난 2022년 호주 이산화탄소(CO₂) 저장소 탐사권 입찰을 계기로 인연을 맺었다. 당시 SK E&S와 우드사이드는 셰브론, BP, 토탈, 산토스 등과 컨소시엄을 꾸려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 기업 700여 곳이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를 찾는다. 역대 최대 규모로 참가해 인공지능(AI)과 모빌리티, 반도체 등 첨단 기술을 뽐낸다. 최신 트렌드를 볼 수 있는 행사니 만큼 재계의 관심도 높다.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정기선 HD현대 부회장 등 대기업 총수들이 현장을 찾는다. 6일 업계에 따르면 CES는 오는 9일(현지 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다. 4일 기준 CES에 참여 기업으로 홈페이지에 등장한 한국 회사는 779개다. ◇삼성·LG, AI로 구현할 초연결 시대 엿본다 삼성전자는 '연결'을 핵심 테마로 삼았다. 한종희 부회장은 개막 전날인 8일 '모두를 위한 AI : AI 시대의 연결성'을 주제로 프레스 콘퍼런스를 연다. 삼성은 최근 생성형 AI 모델 '삼성 가우스'를 공개한 바 있다. 스마트폰, 노트북, 가전 등 다양한 제품에 AI를 단계적으로 탑재할 계획인 가운데 이번 행사에서 장기 비전을 공유한다. 부스도 '맞춤형 경험으로 여는 초(超)연결 시대'를 주제로 꾸몄다. 최대 규모인 3368㎡ 규모의 전시관에 비스포크 냉장고 패밀리허브 플러스와 애니플레이스 인덕션, '삼성
[더구루=홍성일 기자] GS그룹이 생성형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 투자에 나섰다. 생성형AI 기업에 대한 글로벌 투자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인텔이 설립한 AI 기업에 투자하며 허태수 회장이 주도하는 GS의 미래성장 동력 확보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 특히나 그룹 차원에서 생성형 AI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일선 현장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혁신을 빠르게 주문하고 있어 새로운 먹거리 영토 확장에 고삐를 죄고 있는 모습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인텔은 글로벌 투자회사 디지털브릿지그룹과 풀스택, 수직적 최적화, 보안 성능이 강화된 생성형AI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제공하는 독립회사인 아티컬8(Articul8)을 설립했다. 아티컬8 설립에는 디지털브릿지 벤처스가 리드투자자로 참여했다. 여기에 GS퓨처스가 인텔, 핀 캐피탈, 마인드셋 벤처스, 커뮤니타스 캐피탈, 자이언트립 캐피탈, 자인 그룹 등으로 구성된 신디케이트와 함께 회사의 지분을 인수했다. 아티컬8의 대표에는 인텔 데이터센터, AI 그룹을 이끌던 아룬 수브라마니얀(Arun Subramaniyan) 부사장이 선임됐다. 아룬 수브라마니얀 대표는 2022년 인텔에 합류했으며 이전에는 아마존 웹 서비스(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해상물류 차질로 인해 무역 의존도가 높은 베트남의 수출입 물량뿐 아니라 수요 감소가 예상된다. 베트남의 수출입 운송 수단 중 해상물류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글로벌 물류 차질 장기화 시 베트남 물류체계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1일 글로벌 시장조사기업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베트남의 수출입 운송 수단 중 해상물류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61%로 가장 높았다. 이에 글로벌 물류 차질이 장기화되면 베트남의 경제와 무역 활동에 타격을 입을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세계 해운물류의 중요한 통로들인 수에즈, 파나마 운하 통과에 차질이 생김에 따라 글로벌 해운업계의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수에즈, 파나마 운하는 베트남의 주요 수출 시장인 미국, 유로존으로 통하는 주요 해상 경로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글로벌 물류 차질은 베트남 물류 차질로 이어질 수 있다. 베트남 물류업계에도 영향을 끼친다. 파나마, 수에즈운하 대신 대체항로 이용시 물류비용, 리드타임이 증가할 수 있고 원자재 수급이 불안해진다. 코트라 관계자는 "베트남 내 우리 기업의 납기, 물류비용 상승과 원부자재 수급에 영향을 미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동 주요 국가들이 수소 산업 선점에 나섰다. '오일 머니'를 앞세워 대규모 생산능력을 확보, 석유에서 수소 중심으로 청정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아랍석유수출국기구(OAPEC)에 따르면 올 9월까지 중동에서 진행중인 수소 프로젝트는 수출용 47개를 포함해 82개에 달한다. 오만,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등이 사업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는 주요 국가로 꼽힌다. 오만은 2040년까지 약 30GW 규모의 그린·블루 수소를 생산하고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실현한다는 목표다. 저탄소 에너지 사업에 약 14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집행할 계획이다. 올 3월 영국, 네덜란드, 독일, 인도, 일본 등 9개국 개발자들과 6건의 협약을 체결, 향후 7년간 녹색 수소 생산을 위한 약 200억 달러 규모 투자 유치에도 성공했다. 대표적으로 두쿰(Duqm)과 도파르(Dhofar) 지역 등에서 그린수소 생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오는 2030년 연간 100만t의 수소 생산능력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기업들도 오만 수소 사업에 적극 참여해 수주 성과를 올리고 있다. 실제 한국 기업은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과 중국 기업이 경쟁 구도를 형성하면서도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업장 운영 리스크가 적고 대규모 주문을 소화할 수 있어 중국의 투자 매력도가 높다는 평가도 제기됐다. 30일 징지관차왕(经济观察网)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김주철 코트라 광저우대표처 관장은 지난 19일(현지시간) 중국 광저우에서 열린 '한중산업포럼 : 디지털 경제 시대의 혁신과 한중 공급망 협력' 포럼에서 "중국에 있는 한국 기업들이 현지 회사와 동반성장을 모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포럼은 한국산업연구원과 중국사회과학원 공업경제연구소의 공동 주최로 열렸다. 김 관장은 휴대폰 정밀 가공을 하는 익명의 한국 회사를 예로 들었다. 이 회사는 올해 화웨이의 협력사가 되며 중국 사업 비중이 10%에서 30%로 확대됐다. 토요타와 혼다, 닛산 등 일본 고객들과 주로 거래하던 철강사의 경우 올해 최대 고객사가 BYD였다. 김 관장은 중국에서 사업하기 어렵다는 시각은 '편견'이라고 봤다. 오히려 안정적으로 사업장을 운영해 대규모 주문도 수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동남아 지역은 생산능력에 관계없이 많은 주문을 감당하기 어렵다"며 "근로자들이 초과 근무를
[더구루=정등용 기자] LX인터내셔널의 인도네시아 니켈 광산기업 ‘아디 카르티코 프라타마(Adhi Kartiko Pratama)’ 인수에 속도가 붙고 있다. 아디 카르티코 프라타마의 구체적인 기업공개(IPO) 계획이 공개되면서다. 21일 아디 카르티코 프라타마가 공개한 IPO 계획에 따르면 지분 51%를 보유한 숭가이 마스 미네랄(SMM)과 지분 48.18%를 보유한 인티 메가 벤투라(IMEV)는 보유 주식 12억1640만4000주(20%)를 매각할 예정이다. IPO 후 숭가이 마스 미네랄은 41%, 인티 메가 벤투라는 38.18%의 지분을 각각 보유할 것으로 예상된다. 초기 공모가 범위는 주당 430~530루피아이며, 기업공개 가치는 5230억5000만~6469억 루피아(약 440억~544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 상장 예정일은 내년 1월9일이다. IPO 이후에는 지난달 2일 체결된 주식매매계약(CSPA)에 따라 LX인터내셔널이 숭가이 마스 미네랄과 인티 메가 벤투라 등이 보유한 주식 36억4921만2000주를 인수할 예정이다. 지분 비율은 60%에 이르며 거래 규모는 1329억2640만원에 달한다. 지분 취득 예정일은 내년 2
[더구루=정등용 기자] SK그룹이 베트남 제약사 이멕스팜(Imexpharm) 지분을 확대한다. 예상 지분율은 65%를 넘을 전망이다. 이에 따른 배당금 규모도 늘어날 것으로 점쳐진다. 이멕스팜은 20일(현지시간) 주주총회 결의안을 발표하고 최대주주인 SK투자비나Ⅲ(SK Investment Vina III)에 대한 주식 양도 공모 면제를 승인했다. 예상 시행 시기는 주주총회 승인 후이며 당사자 간 협상과 시장 상황에 따라 거래 내용은 다소 달라질 수 있다. 주주총회 결의안에 따라 거래가 최종 확정된다면 현재 64.83%인 SK투자비나Ⅲ의 지분율은 최소 0.2%p 증가할 전망이다. SK는 지난 2020년부터 이멕스팜 주식을 지속적으로 매입해왔다. SK그룹의 동남아투자전담법인 SK투자비나Ⅲ는 지난 2020년 6월 이멕스팜 지분 24.9%(1232만주)를 인수했으며 11월 45%, 이듬해 53%로 지분을 늘렸다. 지난해에도 투자는 이어졌다. SK투자비나Ⅲ는 지난해 10월 베트남 호찌민 증권거래소(HOSE)에서 공개매수를 통해 이멕스팜 주식 73만3759주를 매수했다. 매입액은 주당 6만6000동(약 3600원)으로 매수 후 지분율은 53.94%(3598만1916주)
[더구루=오소영 기자] 현대코퍼레이션이 인도 무인 택시 사업에 참여를 꾀한다. 발주처인 인도 야무나 고속도로산업개발청(YEIDA) 주재 회의에 참석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인도에 친환경 교통수단을 구현하고 신성장동력인 모빌리티 사업을 키운다. 19일(현지시간) 타임스오브인디아 등 인도 매체에 따르면 현대코퍼레이션은 지난 5일 YEIDA의 아룬 비르 싱(Arun Vir Singh) 청장 주재로 열린 포드 택시 프로젝트 회의에 참석했다. 독일 지멘스와 영국 울트라 PRT, 프랑스 시스트라도 배석했다. 포드 택시 프로젝트는 인도 제와르 공항부터 노이다 필름 시티까지 총 14.6㎞의 구간을 운행하는 모노레일형 무인 택시를 설치하는 사업이다. 포드 한 대에 4~6명이 탑승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교통 체증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예상 투자비는 64억1500만 루피(약 1000억원)다. YEIDA는 사업자를 모집하고자 지난 7월 1일 입찰을 개시했다. 8월 10일을 마감기한으로 잡았다 세 차례나 연장했다. 유럽 기업들이 서류 준비가 덜 됐다며 마감일을 미뤄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종 마감일은 지난달 28일이었으나 YE
[더구루=홍성일 기자] 캐나다 드론 산업이 정부의 '규제 완화' 흐름과 맞물려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캐나다 정부는 올해 안에 드론 산업 진흥 전략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6일 코트라 토론토무역관이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교통부(Transport Canada)는 올해 1월 드론의 비가시권 (BVLOS) 비행과 적재 가능 화물량 증가 등을 허용할 전망이다. 캐나다 교통부는 드론 비행때마다 개별적 허가를 받아야 했던 절차를 없애고 저위험 지역에서는 가시거리 밖 비행을 전면 허용하는 방향을 검토하고 있다. 캐나다 교통부는 2015년 드론을 이용한 교도소 물품 밀수 사건과 2017년 발생한 상업용 항공기와 드론의 충돌 사고 등으로 강력한 드론 규제를 유지해왔다. 또한 캐나다 교통부는 올해 안에 캐나다 최초의 '드론 전략(Drone Strategy to 2025)'을 수립, 드론 산업을 본격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시장조사기관 그랜드 뷰 리서치는 캐나다 정부가 드론 산업 진흥에 나서면서, 캐나다 드론 사업이 2030년까지 연평균 16%씩 성장해 99억 달러(약 14조4170억원)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랜드 뷰 리서치는 현재는 드론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 모터스(Lucid Motors, 이하 루시드)가 첫 번째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그래비티(Gravity)’ 고객 인도를 실시한다. 지난해 12월 생산을 시작한 지 약 4개월 만이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루시드는 이달 말 그래비티 고객 인도를 시작한다. 이는 마크 윈터호프(Marc Winterhoff) 루시드 임시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밝힌 내용이다. 그는 개인 SNS 계정을 통해 "전시 차량과 시승 차량 제작 마무리 단계를 거치고 있다"며 "4월부터 미국 내 주요 매장에 배치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닉 트워크(Nick Twork) 루시드 대변인 역시 "초기 그래비티 생산은 내부 테스트 등을 목적으로 일부 제한된 고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이제 일반 고객 인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루시드는 지난해 12월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그래비티 생산을 개시했으며, 같은 달 직원 및 가족, 일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첫 차량을 인도한 바 있다. 그래비티는 루시드가 지난해 LA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한 전기 SUV 모델이다. 전기 세단 ‘에어(Air)’에 이어 SU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