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체코 정부가 신규 원전 4기에 대한 입찰제안서 마감일을 2주 늦췄다. 한국수력원자력의 경쟁사인 프랑스 EDF의 연장 요청을 수용했다. 제안서 제출일은 미뤘지만 전체 원전 사업 일정에는 변동이 없다는 입장이다. 체코전력공사(CEZ)는 신규 원전 사업의 수정된 입찰제안서 제출 기한을 2주 연장했다고 4일(현지시간) 밝혔다. 마감일은 오는 15일에서 30일로 변경됐다. 이번 연장은 EDF의 요청으로 체코 산업통상부의 승인을 받아 결정됐다. 요제프 시켈라 산업통상부 장관은 공식 성명을 통해 "우리의 목표는 체코에 최상의 조건을 보장할 수 있는 최고 품질을 제안받는 것"이라며 "프로젝트 일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2주 연장 요청을 승인하기로 했다"고 부연했다. EDF는 체코 정부의 연장 결정에 감사를 표하며 구속력 있는 제안서 제출 의사를 재차 내비쳤다. 체코 정부는 30일까지 제안서를 받고 평가를 거쳐 6월 우선협상대상자를 결정할 계획이다. 2029년 착공해 2036년 가동한다. 최종 사업자는 체코에 4기 원전을 건설하게 된다. 체코는 당초 두코바니 5호기 건설만 계획했으나 경제성을 고려해 올해 2월 4기로 늘렸다. 두코바니 2기와 테멜린 2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영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다. 이를 계기로 엑스에너지는 영국 내 Xe-100 원자로 건설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체코전력공사(CEZ)가 올해 말까지 체코 최초의 소형 모듈식 원자로(SMR) 기술 공급업체를 선정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체코전력공사는 체코 보헤미아 남부 테멜린 발전소 건설을 위해 연말까지 기술 공급업체를 선정할 계획이다. 그동안 7개 회사와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으며, 이 중 3개 회사를 최종 사업자로 확정한다. 라디슬라프 크리츠(Ladislav Kříž) 체코전력공사 대변인은 "각 기업의 대표자들과 정기적으로 협상하고 기술 준비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올해 최종 기업을 선택해 체코 최초의 SMR을 예정대로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체코는 기술 공급업체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SMR 개발에 체코 기업을 참여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대 300메가와트(MW)의 전력을 생산해 2030년 상반기 가동을 기대하고 있다. SMR은 원자로와 증기발생기, 냉각재 펌프 등 주요 기기를 일체화한 300메가와트(MW) 이하의 소규모 원전을 의미한다. 잠재 공급사로는 △한국수력원자력 △미국 웨스팅하우스 △미국 뉴스케일파워 △미국 홀텍 인터내셔널 △프랑스 EDF △영국 롤스로이스 △미국 제너럴모터스(GE)와 일본 히타치 제작소의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캐나다 전력 회사 '트랜스알타'와 앨버타에서 소형모듈원자로(SMR) 구축을 모색한다. 현지 비영리 조직으로부터 자금을 받아 타당성 조사를 한다. 2030년대 초까지 'Xe-100'을 건설해 앨버타주의 탄소 중립을 지원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러시아 로사톰이 연해주에 부유식 원전 사업을 검토한다. 타당성 조사를 진행하고 사업 계획을 확정한다. 2030년까지 최소 2기의 부유식 원전을 지어 전력난 우려를 해소한다. 31일 베도모스티(Вдомости)와 월드뉴클리어뉴스(WNN) 등 외신에 따르면 로사톰은 지난 26일(현지시간) 러시아 소치에서 열린 국제 원전 행사 '아톰엑스포(ATOMEXPO)-2024'에서 연해주 투자청과 부유식 원전 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측은 잠재 부지를 살피고 타당성 조사를 수행한다. 기술·법·재정·경제적 측면과 함께 프로젝트 구성 방법을 포괄적으로 살핀다. 연말까지 용량을 정해 구속력 있는 계약을 맺을 예정이다. 안드레이 레온티예프 연해주 에너지·가스 공급부 장관은 "초기 남부 지역의 에너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4개의 부유식 원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며 "소형 원전 외에도 중장기적으로는 600㎿급 2개 원전을 건설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연해주의 에너지 부족량은 240㎿ 수준으로 추정된다. 러시아 극동 지역은 2029~2030년까지 최소 1.35GW의 전력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현지 수요를 고려하면 최소 2기에서
[더구루=홍성환 기자] 아르메니아 정부가 메츠모르 원자력발전소 보수 사업을 추진한다. 지역 안보을 위협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31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아르메니아는 노후화된 메츠모르 원전의 개보수를 추진한다. 메츠모르 원자력 발전소는 1989년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 대부분의 시설이 가동을 중단했으나 현재까지 아르메니아의 에너지 수요의 40%를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아르메니아가 메츠모르 원자력발전소를 유지하고 업그레이드하려는 의지에 에너지 수요 충족보다는 핵 기술에 대한 명성과 지역 내 영향력을 강화하려는 욕구가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메츠모르 발전소에서 생산된 에너지의 상당 부분이 이란으로 수출되고 있으며, 아르메니아가 러시아로부터 천연가스를 수입하여 원자력 발전소 없이도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는 분석을 근거로 한다. 이와 관련해 인접 국가에서 대규모 핵 사고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유럽연합(EU)은 이미 메츠모르 원자력발전소가 국제 안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영구 폐쇄를 요구한 바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원전이 핀란드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부상하고 있다. 핀란드는 오는 2026년까지 원전 에너지법을 개정한다. 대형 원전과 함께 소형모듈원자로(SMR) 상용화를 앞당기고, 원전 폐기물 관리에도 매진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불가리아 의회가 코즐로두이(Kozloduy) 원자력 발전소 확장을 위한 미국과의 파트너십을 승인했다. 현재 코즐로두이 원자력발전소 2기 건설 수주가 유력한 현대건설에도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며 불가리아 의원들은 코즐로두이 원자력 발전소의 7·8호기 확장을 위해 미국과 협력하는 협정 법안 비준을 승인했다. 이번 협정 법안은 유럽발전시민당(GERB)과 변화를 이어가는 민주 불가리아(WCC DB·We Continue the Change Democratic Bulgaria), 권리와 자유를 위한 운동(DPS·Movement for Rights and Freedoms), TISP당(There Is Such a People) 등 다수의 정당으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이번 협력은 불가리아와 미국 간 원자력 에너지 분야에서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상징한다. 업계는 불가리아의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고 향후 증가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역 에너지 환경에서 불가리아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전략적 의미가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특히 이번 결정은 불가리아의 원자력 에너지 역량을 강화하는 중요한 모멘텀이 될 것으로 보인
[더구루=홍성환 기자] 싱가포르가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추진한다. 24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전력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기 위해 원자력 에너지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싱가포르 에너지 시장 당국(EMA)은 미국·영국·독일 등을 방문해 국제기구 및 국가들과 협력하며 선진 핵 및 융합 기술과 인구 밀집 지역에서의 안전성에 대해 연구 중이다. 싱가포르의 원자력 에너지 추진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영국 원자력청(UK Atomic Energy Authority), 독일 맥스 플랑크 연구소(Max Planck Institute) 등과의 협력으로 추진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아세안 파트너들과 함께 지역 원자력 안전 및 비상 대책을 강화하고 있으며, 지열 발전 가능성 검토 및 주변국으로부터의 청정 전력 수입도 검토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에너지 미래 보고서는 원자력 에너지가 2050년까지 에너지 수요의 약 10%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러시아 로사톰이 인도네시아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 수주에 도전한다. 인도네시아에 원전 전문가를 보내고 원전 세미나에 참석해 로사톰의 사업 역량을 홍보했다. 23일 로사톰과 주인도네시아 러시아 대사관에 따르면 로사톰 인도네시아 사업을 총괄하는 안나 벨로코네바는 이달 초 SMR 세미나에서 "2032년까지 최초의 원전을 가동하려는 현지 정부의 계획에 대응해 인도네시아와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이어 "로사톰의 첨단 기술은 인도네시아의 에너지 믹스에 원전을 추가하기 위한 유익한 솔루션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세미나는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과 국가연구혁신청 주최로 열렸다. 인도네시아의 원전 정책을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현지 정부 관계자뿐만 아니라 국제원자력기구(IAEA), 중국, 미국, 유럽, 한국 등 14개국에서 100명 이상이 참석했다. 로사톰은 지난 4~8일 원전 전문가 다수를 인도네시아에 파견하며 신규 사업 수주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인도네시아 방문 기간에 맞춰 세미나도 참석하고 원전 기술력을 알렸다. 로사톰은 북극해와 인접한 야쿠티야(Yakutia)에 세계 최초로 RITM-200N 건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정부가 삼성물산·뉴스케일파워 등이 참여하는 루마니아 소형모듈원전(SMR) 개발 사업에 5조원 넘는 자금을 지원한다. 뉴스케일파워의 글로벌 SMR 시장 선점을 지원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20일 주루마니아 미국대사관 및 루마니아 원자력공사(Nuclearelectrica) 등에 따르면 캐슬린 카발렉 주루마니아 미국대사는 지난 18일(현지시간) 도이세슈티 SMR 프로젝트 현장을 방문해 "미국 수출입은행과 국제개발금융공사는 이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각각 30억 달러(약 4조200억원), 10억 달러(약 1조3400억원)를 조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SMR 모델은 루마니아뿐만 아니라 유럽 전역, 전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면서 "안전하고 확장 가능하기 때문에 국가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뉴스케일파워의 기술은 미국 원전당국의 승인을 받은 유일한 상용 SMR 기술로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보장한다"고 전했다. 이 사업은 도이세슈티 지역에 위치한 화력발전소를 총 462㎿(77㎿급 6기) 규모 SMR로 교체하는 사업이다. 오는 2029년부터 상업운영하는 것이 목표다. 앞서 삼성물산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원자력발전 공동 프로젝트 추진을 통해 '원전 동맹'을 공고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