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키르기스탄이 소형모듈원자로(SMR) 협력사로 러시아 로사톰을 낙점했다. RITM-200N 건설을 추진해 수력발전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해소한다. 키르기스탄 에너지부는 로사톰의 자회사 로사톰 에너지 프로젝트(Rosatom Energy Projects)와 소형 원전 건설을 위한 예비 연구에 협력한다고 23일(현지시간) 밝혔다. 최소 1기 이상의 RITM-200N의 설치를 모색한다. 시기와 비용, 기술, 사회·경제적 가치 등을 포괄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RITM-200N은 로사톰의 원전 엔지니어링 자회사 OKBM 아프리칸토프(Afrikantov)가 개발한 소형 원전이다. 가압경수로형으로 설비 용량이 55㎿에 불과하다. 규모가 작은 만큼 대형 원전보다 저렴하고 건설 기간이 짧은 장점이 있다. 로사톰은 2030년까지 추코츠키 아브토놈니 자치구 지역에 RITM-200N를 설치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키르기스탄은 러시아의 원전 기술을 활용해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방침이다. 키르기스탄은 전체 전력 생산의 90% 이상을 수력발전에 의존하고 있다. 수력발전소는 대부분 소련 시절에 지어져 노후화되고 발전 효율이 낮아 전력난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겨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홀텍 인터내셔널(Holtec International, 이하 홀텍)이 브라질 원자력산업(Industrias Nucleares do Brasil, 이하 INB)과 소형모듈원자로(SMR)용 연료 생산에 협업한다. 궁극적으로 SMR 구축에 나서면서 파트너사인 현대건설과 동반 진출이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홀텍은 지난 17일(현지시간) INB와 SMR-160용 원료 제조를 위한 기본계약(Framework Contract)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INB는 1972년 설립된 브라질 과학기술혁신통신부 산하 공기업으로 현지 원전에 필요한 핵연료를 전량 생산·공급하는 회사다. 가압경수로형 원전용 핵연료를 생산하고 우라늄 광산도 보유하고 있다. 홀텍은 INB와 협력해 핵연료 생산을 모색하고 현지에 SMR-160을 수출할 계획이다. 브라질은 전력 생산의 60% 이상을 수력발전에 의존해왔다. 풍부한 강수량을 활용해 값싼 전력을 얻어왔지만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상황이 달라졌다. 최악의 가뭄을 겪으며 전력난 우려는 커지고 있다. 브라질은 에너지원의 다각화를 꾀하며 원전을 주목하고 있다. 현재 남동부 리우데자네이루주 앙그라 두스헤이스 지역에 세 번째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홀텍 인터내셔널(Holtec International, 이하 홀텍)의 팰리세이즈 원전 재개 시도가 수포로 돌아갔다. 현지 정부로부터 지원금을 받지 못해서다. [유료기사코드] 18일(현지시간) 미국 미시간주 지역 매체 헤럴드-팔라디움 등에 따르면 미국 에너지부(DOE)는 홀텍의 민간 원자력 크레딧 프로그램(Civil Nuclear Credit Program, 이하 CNC) 신청을 거부했다. CNC는 노후화된 원전의 수명 연장과 운전을 지원하는 60억 달러(약 8조940억원) 규모의 프로그램이다. 미국 정부는 경제적 요인으로 2026년 9월 30일 이전에 가동을 멈출 수밖에 없었던 원전의 운영자로부터 신청으로 받았었다. 홀텍은 팰리세이즈 원전의 재가동을 추진하며 지원을 요청했다. 팰리세이즈 원전은 미시간주 사우스헤븐에 위치한 811㎿급 발전소다. 미국 전력회사 엔터지가 1971년 12월부터 가동했다. 50년이 지나 지난 5월 20일 폐쇄하고 6월 28일 부지와 함께 홀텍에 팔았다. 홀텍은 원전 해체를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재가동으로 선회했다. 미시간 주정부는 홀텍의 결정을 환영했다. 그레천 휘트머 주지사는 9월 홀텍의 CNC 신청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뉴스케일파워의 소형모듈원자로(SMR)가 대형 원전보다 핵폐기물이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사용후핵연료(SNF)의 질량과 부피 모두 가압경수로형보다 소폭 높았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에너지부 산하 아르곤 국립 연구소와 아이다호국립연구소(INL)는 지난 18일(현지시간) 기존 가압경수로형과 △뉴스케일파워 VOYGR™ △테라파워 나트륨(Natrium™) △엑스-에너지 Xe-100의 핵폐기물을 비교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양 기관은 천연 우라늄에서 원전 연료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열화우라늄(DU)과 연료를 사용한 후 배출되는 폐기물인 SNF로 나눠 살폈다. DU는 VOYGR™가 220t으로 가장 많고 이어 나트륨(209t), Xe-100(174t) 순이었다. VOYGR™와 나트륨은 가압경수로형(179t)보다 많았다. 이는 VOYGR™의 연소도(핵연료가 중성자와 반응하며 만든 열에너지의 양)·열효율과 연관이 있다. VOYGR™는 가압경수로형보다 연소도와 열효율 모두 낮다. 연소도가 낮을수록 연료가 에너지로 효율적으로 변환되지 못한다는 뜻이므로 핵폐기물 발생량도 많다. 연소도가 낮은 원자로는 열효율도 떨어진다. SNF를 보면 질량과
[더구루=오소영 기자] 마크 고든 미국 와이오밍 주지사가 미국 테라파워의 협력사로부터 후원금을 받고 소형모듈원자로(SMR) 도입을 추진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고든 주지사와 테라파워의 유착 관계에 대한 조사가 시작되며 테라파워의 SMR 시장 진출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와이오밍주 공화당 중앙위원회는 최근 고든 주지사와 테라파워를 겨냥한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위원 66명 중 대다수가 결의안을 지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의안은 고든 주지사가 테라파워의 편의를 봐줬는지 조사해야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고든 주지사는 테라파워의 협력사인 퍼시피코프(PacifiCorp)와 퍼시피코프 산하 록마운틴파워로부터 후원금을 받았다. 퍼시픽코프는 테라파워와 소듐냉각고속로(SFR) 나트륨(Natrium™) 건설을 검토하기 위한 타당성 조사에 협력하고 있다. 퍼시픽코프가 고든 주지사의 후원사였던 사실이 드러나며 고든 주지사와 테라파워의 유착에 대한 의구심은 확산되고 있다. 고든 주지사는 SMR 사업의 열렬한 지지자다. 그는 와이오밍주 캐머러에서 화력발전소를 폐쇄한 후 남은 부지를 활용해 나트륨을 지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다고 홍보해왔다. 지역 경제의
[더구루=오소영 기자] 오스트리아 정부가 체코 원전 사업에 대한 반대 의사를 내비쳤다. 특히 테멜린 원전과 소형모듈원자로 사업에 우려를 내비치며 한국수력원자력·현대건설의 체코 진출에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오스트리아 국영 ORF 라디오 방송에 따르면 레오노레 게베슬러 기후환경에너지부 장관은 지난 8일(현지시간) "체코 인접 국가들의 반핵 입장은 계속 발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스트리아는 원전을 단 1기도 보유하지 않은 유럽 내 대표적인 반핵 국가다. 지난 7월 유럽연합(EU)이 원전을 녹색분류체계(Taxonomy·택소노미)에 포함하려 하자 강력히 반발했었다. 독일, 포르투갈, 룩셈부르크 등과 협력해 반대 의견을 피력했지만 수용되지 않았다. 결국 10월 유럽사법재판소(ECJ)에 EU의 택소노미 분류체계를 무효로 해달라는 내용의 소송까지 냈다. 오스트리아는 체코와 국경을 맞대고 있어 현지 원전 사업에도 목소리를 내고 있다. 특히 테멜린 원전 설립을 우려하고 있다. 체코는 두코바니·테멜린 지역에 1200㎿ 이하급 원전 최대 4기를 건설할 계획이다. 두코바니부터 입찰을 시작해 2024년까지 사업자를 선정한 후 테멜린 원전 사업을 추진한다. 테멜린에는 대형 원전과
[더구루=오소영 기자] 루마니아가 미국 수출입은행(EXIM)으로부터 체르나보다 신규 원전 건설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한다. 미국과 협력을 공고히하며 신규 원전 사업에 도전장을 내민 한국수력원자력의 운명에 이목이 쏠린다. 미 수출입은행은 이집트에서 열린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에서 체르나보다 신규 원전 사업에 대한 여신의향서(Letter of Interest, 이하 LoI)를 발급했다고 지난 9일(현지시간) 밝혔다. 발급 행사에는 존 케리 미국 기후 특사와 레타 조 루이스 미국 수출입은행장, 제프리 파이트 미국 국무부 차관보, 클라우스 베르네르 요하니스 루마니아 대통령, 비르길 포페스쿠 루마니아 에너지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수출입은행은 초기 5000만 달러(약 670억원)의 대출을 제공하고 추가로 약 30억 달러(약 4조원)를 지원한다. 5000만 달러는 원전 구축을 위한 기초 작업에, 30억 달러는 원전 건설에 쓰인다. 총 90억 달러(약 12조원)의 체르나보다 원전 사업비 중 약 3분의 1을 미국에서 지원받는 셈이다. 루마니아는 수출입은행의 지원에 힘입어 체르나보다 원전 건설에 나선다. 루마니아는 체르나보다 지역에 원전 1·2호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이 폴란드 원전 사업의 지분 49%를 보유하고 이에 상응하는 대출을 지원하는 자금 조달안을 제시했다. 현지 기업들과 추가 파트너십도 맺으며 협력의향서(LOI) 체결 후 폴란드 원전 사업에 속도를 내는 분위기다. WNP 등 폴란드 언론에 따르면 한수원은 10일(현지시간) 폴란드에서 열린 'APR1400 공급자 심포지엄'에서 신규 원전 사업의 자금 조달 방법을 제안했다. 한수원이 제시한 모델은 파트너사들의 지분 참여를 통해 20%, 부채 80%를 조달하는 방안이다. 한수원이 49%, 폴란드 업체들이 51% 지분을 갖는다. 부채의 49%도 한국수출입은행과 한국무역보험공사로부터 금융 지원을 받아 마련한다. 한수원은 후보 시절에도 지분 49%를 보유하고 대출을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수차례 내비쳤었다. 폴란드 원전 사업비는 이집트 엘다바 1200㎿급 원전 4기 건설 사업(300억 달러·약 40조원)과 비슷한 규모로 추산되된다. 한수원은 이날 폴란드 회사들과 협력도 확대했다. △엔지니어링 회사 에네르고프로제크트-카토위체(Energoprojekt-Katowice) △산업용 펌프 제조사 포웬-와파폼프(Powen-Wafapomp) △철구조물
[더구루=오소영 기자] 폴란드 정부가 원전 사업자 결정을 유럽연합(EU)과 협상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한국수력원자력과 미국 웨스팅하우스를 원전 파트너사로 선정하며 유럽이 딴지를 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자 현지 정부가 직접 해명에 나섰다. 카롤 라벤다(Karol Rabenda) 폴란드 국가자산부 차관은 지난 7일(현지시간) 폴란드 국영 라디오 '폴란드라디오24'에서 "웨스팅하우스·한국 기업과의 협력 결정은 유럽과 협상해야 할 내용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는 폴란드의 사업자 선정에 유럽연합(EU)이 제동을 걸 수 있다는 야당계 대표 인사인 레셱 밀레르(Leszek Miller) 유럽의회 의원의 우려를 전면 뒤집은 것이다. 폴란드 최대 민간발전사 제팍(ZEPAK)과 폴란드전력공사(PGE)는 지난달 31일 한수원과 사업의향서(LOI)에 서명했다. APR1400에 기반한 원전 2~4기를 폴란드 퐁트누프 지역에 짓기로 했다. 이어 폴란드는 400억 달러(약 54조원) 규모의 6~8GW 규모의 원전 6기 건설 사업을 웨스팅하우스에 맡기기로 확정했다. 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 폴란드 총리는 지난달 29일 트위터에서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 제니퍼 그랜홈 에너지부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웨스팅하우스가 한국수력원자력과 한국전력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승소해 향후 원전 수주전에서 우위를 가져가겠다는 의지를 노골적으로 내비쳤다.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에 이어 웨스팅하우스의 방한으로 물이 올랐던 한미 원전 동맹이 시작부터 삐걱거리며 한수원의 원전 수출에 제동이 걸렸다. 데이비드 더함(David Durham) 웨스팅하우스 에너지시스템 사장은 지난 5일(현지시간) 체코 매체 세즈남 즈프라비(Seznam Zprávy)와의 인터뷰에서 한수원과의 소송에 대해 "미국에서 제기했지만 전 세계에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가 이기고 모든 국가가 이 결정을 수용하리라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웨스팅하우스는 지난달 21일(현지시간) 미국 컬럼비아 특구 연방지방법원에 한수원과 한전을 피소했다. 한국형 원자로인 APR 1400의 설계에 웨스팅하우스의 지적재산권이 포함돼 있다며 미국 수출입통제법에 따라 수출을 제한해 달라고 주장했다. APR 1400 도입을 고려 중인 체코, 사우디아라비아 등과 한수원의 기술 공유도 금지해달라고 요청했다. 웨스팅하우스는 지난 6월 방한해 한전·한수원과 원전 동맹에 뜻을 모았었다. 하지만 한수원이 폴란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2026년부터 소형화된 원전 설비를 바다에 띄우는 작업에 돌입한다. 미국 유력 경영 월간지 '패스트 컴퍼니'(Fast Company)는 삼성중공업이 덴마크 소형 용융염원자로(CMSR) 개발업체인 시보그(Seaborg)와 함께 2026년부터 바지선을 건설하면서 원자로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지난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원자로 조립은 전력 바지선과 비슷한 시기에 시작할 예정이다. 트로엘스 쇤펠트(Troels Schönfeldt) 시보그 창업자 겸 CEO는 "청정 에너지가 필요한 열대 지방에서는 현장 건설보다 저렴하고 빠르게 접근한다"며 "대량 생산 친화적 설계가 처음에 태양열 및 풍력 비용보다 약간 높지만 가스와 석탄 비용보다 훨씬 낮은 메가와트시당 50달러로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고 추정한다"고 말했다. 그는 베트남을 매력적인 사례로 언급하면서 "동남아시아와 개발 도상국에서 개발하고 있다"며 "이들은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로써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바지선 원자력 발전 설비는 건조 비용을 크게 줄여준다. 쇤펠트 CEO는 "비용과 복잡성을 크게 줄여준다"며 "원자로에서 나오는 폐기물은 표준 원자력 발전소에서 남은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이 동북부 지역에서 최초로 원전을 활용한 지역난방 사업을 추진한다. 원전의 활용처를 늘려 탄소 중립에 대응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은 랴오닝성 홍옌허 원전으로 난방을 공급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홍옌허 원전에서 비방사성 증기를 추출한 후 열교환 스테이션의 열교환기를 통해 열을 생성하고 이를 지역난방회사의 열교환소로 전달해 다시 각 가정에 보내는 방식이다. 10㎞·5.7㎞에 달하는 파이프라인과 열교환 스테이션 4개가 쓰인다. 홍옌허 원전의 운영사인 랴오닝 홍옌허는 지난 3월 중국 국가전력투자그룹(SPIC)의 자회사 SPINEPC와 의기투합하고 지역난방 사업에 뛰어들었다. 24만2400㎡ 범위의 시범 사업을 우선 실시해 약 2만명에게 혜택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석탄·천연가스를 쓰는 열 공급 보일러 12기를 대체하고 석탄 5726t을 절약하며 탄소 배출량 1만4100t을 감축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중국은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선언하며 주요 에너지원으로 원전에 주목하고 있다. 석탄 의존도를 낮추면서 겨울철 난방 수요에 대응할 수 있다고 판단해 원전을 활용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해왔다. 하이양시는 원자력으로 난방하는 중국
[더구루=홍성환 기자] 아마존의 인터넷 위성 서비스 '프로젝트 카이퍼'가 한국 시장 진출을 위한 인력 채용에 나섰다. 역시 한국 서비스를 준비 중인 일론 머스크의 인터넷 위성 스타링크와 경쟁을 하게 된다. [유료기사코드] 3일 아마존 채용 사이트(amazon.jobs)를 보면 이 회사는 지난달 23일 프로젝트 카이퍼와 관련해 대관 업무를 담당할 한국 지사장 채용 공고를 냈다. 이외 일본과 대만 등 동아시아 쪽 대관 담당자도 모집 중이다. 주요 업무는 △지역 목표에 맞춘 국가별 사업 개발 전략 실행 △장관 등 주요 정부 이해 관계자 관계 구축·유지 △정부 부문 판매 파이프라인 개발·관리 △정부 전략적 파트너십 기회 식별·구축 △정부 고객 소통 △정부 기관과 협상 주도 등이다. 프로젝트 카이퍼는 아마존의 인터넷 위성 서비스다. 아마존은 3000개 이상의 위성으로 구성된 위성망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내년 7월까지 전체 약 절반인 1618개의 위성을 발사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4월 처음 27기의 인터넷 위성 발사에 성공했고, 이어 지난달 추가로 27기 위성을 쏘아올려 궤도에 있는 카이퍼 위성은 총 54기로 늘어났다. 이들 위성은 지구 표면에서 약 1200마일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의 차세대 스마트 안경이 담긴 렌더링 이미지가 처음으로 공개됐다. 메타는 스마트 안경과 연동되는 손목밴드도 함께 출시해 사용성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IT팁스터 루나(@Lunayian)는 1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메타 하이퍼노바와 세레스 손목밴드(Meta Hypernova and Ceres Wristband)"라는 멘트와 함께 이미지를 게재했다. 해당 사진에는 스마트 안경과 리모컨 기능을 할 것으로 알려진 손목밴드가 담겨있다. 하이퍼노바는 올해 말 출시를 목표로 메타가 개발하고 있는 스마트 안경의 프로젝트 코드명이다. 하이퍼노바는 기존 메타-레이벤 스마트 안경과 같이 일상 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디자인되며 카메라와 마이크, 스피커 등이 탑재된다. 공개된 정보에 따르면 하이퍼노바의 가장 큰 특징은 안경 렌즈에 디스플레이가 내장된다는 점이다. 블룸버그는 지난 4월 보도를 통해 하이퍼노바 오른쪽 렌즈 하단에 디스플레이가 탑재되며, 이를 통해 내비게이션, 카메라, 스마트폰 수신 알림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외에도 안경 다리에는 터치 센서가 장착돼,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