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실시간 지리정보 플랫폼 기업 블랙스카이(BlackSky)가 미국 국방부와 수백만 달러 규모 계약을 맺었다. 이동 표적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을 지원하게 된다. [유료기사코드] 블랙스카이는 미국 국방부의 이동 표적 연구를 지원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블랙스카이는 상업용 모션 이미지를 위한 이동 표적 인공지능 모델을 연구하기 위해 수천개의 다중 프레임 버스트 이미지를 수집하고 주석을 달아 국방부를 지원하게 된다. 블랙스카이의 다중 프레임 버스트 이미지는 단일 위성이 관심 영역을 통과하는 동한 빠르게 연속적으로 수입하는 기술이다. 짧은 시간 내에 여러 시야각을 캡쳐할 수 있는 이미지를 사용해 감지·분석할 수 있다. 블랙스카이는 "우리는 분석 정확도와 패턴 인식 능력을 향상해 우지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모니터링하는 업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블랙스카이는 선도적인 실시간 지리정보 제공업체다. 소규모(Smallsats)·저궤도(Low Earth Orbit) 위성을 통해 전 세계를 실시간으로 관찰한다. 이를 통해 이미지 처리와 데이터 수집 등을 실시하고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해 지구 상에 벌어지는 변화를 실시간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반도체 기업 AMD(Advanced Micro Devices)가 업스케일링 기술 FSR(FidelityFX Super Resolution)에 엔비디아 DLSS(Deep Learning Super Sampling), 인텔 XeSS(Xe Super Sampling)와 같이 인공지능(AI) 알고리즘 적용을 모색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마크 페이퍼마스터(Mark Papermaster) AMD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AI전문 유튜브 채널 '노 프라이어스(No Priors)'에서 공개한 인터뷰를 통해 "우리는 수 년동안 AI를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역량을 개발해왔다"며 "이제 막 전체 포트폴리오에 AI를 적용하는 작업을 완료했다. 따라서 클라우드, 엣지, PC, 게임디바이스를 AI로 업스케일링 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마크 페이퍼마스터의 발언에 따라 향후 출시될 FSR에 AI알고리즘이 적용될 가능성이 매우 커지게 됐다. 업스케일링 기술은 프레임과 화질을 동시에 잡기 위한 기술로 사용되고 있다. AMD 외에도 엔비디아, 인텔 등도 각각 DLSS, XeSS를 서비스 하고 있다. 엔비디아 DLSS는 풀네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M3 반도체'가 탑재된 새로운 맥북 에어를 공개했다. 애플은 M3칩을 기반으로 온디바이스AI 시대에 대응한다. [유료기사코드] 애플은 4일(현지시간) 맥북 에어 13과 15를 공개·출시했다. 애플은 미국을 포함한 28개국에서 1차로 새로운 맥북에어의 판매를 시작했으며 오는 8일 공식 스토어에서도 판매를 시작한다. 한국 출시일은 추후 공개된다. 새로운 맥북 에어에는 M3칩이 장착됐다. M3칩은 TSMC의 3나노미터(nm) 공정에서 생산됐다. 8코어 중앙처리장치(CPU), 최대 10코어 그래픽처리장치(GPU), 최대 24기가바이트(GB) 통합 메모리를 지원한다. M3칩은 M1칩 탑재 맥북 에어 대비 최대 60%, 가장 빠른 인텔 기반 맥북 에어 대비 최대 13배 향상된 성능을 제공한다. 더 발전된 미세공정을 적용한 만큼 배터리 사용량도 늘어나 최대 18시간 동안 사용이 가능하다. M3칩에 적용된 GPU도 하드웨어 가속형 메시 셰이딩, 레이 트레이싱을 지원해 정밀하게 구현된 게이밍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AV1 디코딩을 지원, 최고의 동영상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는 설명이다. 눈에 띄는 것은 16코어 뉴럴 엔진(Neural Engin
[더구루=홍성일 기자]애플의 혼합현실(MR) 디바이스 비전 프로(Vision Pro)가 출시 초기 비교적 낮은 반품율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반품 사유 중 30% 가량이 사용법을 잘 모르겠다는 이유여서 비전프로가 기존 제품과 다른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료기사코드] 애플 전문가로 불리는 TF증권 궈밍치 애널리스트는 28일(현지시간) 보고서를 통해 비전프로의 반품율은 1%로, 일반적인 수준이라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비전 프로의 반품 사유 중 약 30%가 '설정 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라고 답변했다. 즉 사용법을 몰라서 반품했다는 것이다. 아이폰과 맥 등을 통해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온 애플에게는 비전프로의 사용법을 모르겠다는 반품 사유는 뼈아픈 상황이다. 또한 시선 추적 기술로 화면 내 커서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지만 여러 창을 띄어놓고 멀티태스킹을 하는 것이 어렵고 마우스와 키보드로 하는 것보다 에너지를 덜 소비하는지도 모르겠다는 반품 의견도 나오고 있다. 애플 비전 프로가 충분한 생산성을 제공하고 있지 못한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궈밍치에 따르면 현재 미국에서 비전프로의 배송시간은 3~5일로 개선됐다. 이는 사전주문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IT기업 화웨이가 텔레콤 이집트(Telecom Egypt)와 아프리카 최초의 1.2Tbps(테라비피에스) 광섬유 네트워크를 구현했다. 텔레콤 이집트는 화웨이와 함께 이집트의 디지털 전환의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3일 텔레콤 이집트에 따르면 이 회사는 최근 화웨이와 아프리카 최초의 고밀도파장분할다중(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DWDM) 1.2Tbps 채널 테스트를 완료했다. 화웨이와 텔레콤 이집트는 이번 테스트를 통해 1.2Tbps 솔루션의 전송범위, 스펙트럼 효율성, 지연시간, 시스템 에너지 소비량 등이 상용화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DWDM 기술은 광통신에서 널리 사용되는 파장분할다중화(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WDM) 방식의 한 종류다. WDM 기술은 다양한 파장의 광 신호를 하나의 광섬유에서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DWDM은 좁은 채널 간격으로 많은 파장을 전송할 수 있는 기술로 먼 거리까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화웨이 관계자는 "텔레콤 이집트과 DWDM 1.2Tbps 솔루션의 성공적인
[더구루=홍성일 기자] 카카오의 인공지능(AI) 전문 자회사 '카카오브레인'이 개발한 생성형AI 기반 흉부 엑스레이 영상 판독 서비스 '카라-CXR'이 주목받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브레인은 지난달 카라-CXR을 탑재한 연구전용(RUO) 웹 솔루션을 공개했다. 해당 솔루션은 연구용도로만 사용 가능하며 실제 환자의 질병 진단을 위해서는 사용할 수 없다. 카라-CXR은 생성형AI로 흉부 엑스레이 사진을 분석, 판독문 작성을 보호해주는 AI모델로, 카카오브레인은 카라-CXR 개발을 위해 국내 11개 대학과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카카오브레인은 이 과정에서 총 1600만 장에 달하는 흉부 엑스레이 사진을 AI모델에 학습시켰다. 카라-CXR에는 판독문 작성 보조 외에도 영상 판독을 지원하기 위한 사진 확대, 명암 조절 기능도 탑재하고 있어 향후 흉부 엑스레이 판독에 필수적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받고 있다. 카라-CXR이 관심받고 있는 것은 오픈AI의 GPT-4와 비교해 더욱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는 논문이 나왔기 때문이다. 인하대학교 연구진이 지난달 국제학술지 '다이그노스틱스'에 게재한 논문에 따르면 카라-CXR의 흉부 엑스레이 사진 분석 정확도는 7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내달 열리는 엔비디아(Nvidia)의 연례행사 GTC(GPU Technology Conference) 2024에서 차세대 인공지능(AI)와 컴퓨팅 기술을 선보인다. 1일 업계에 따르면 MS는 오는 18일부터 21일까지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에서 개최되는 GTC 2024에서 첨단 AI 솔루션과 기술 및 모범 사례를 소개한다. 이번 GTC에는 MS의 리더들이 오프라인 혹은 온라인으로 대거 출동한다. MS는 오프라인 세션에서 실시간 토론과 실습 데모 등을 진행한다. 참가자들은 MS의 부스를 찾아 MS의 클라우드 애저(Azure) 기반 AI 서비스 및 기술을 관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생성형 AI, 대형언어모델(LLM) 등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AI로봇 아틀리(Artly)가 내린 신선한 커피를 즐길 수 있는 공간도 마련했다.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가상세션에서도 애저 AI 솔루션, 엔비디아와 협력한 기업형 생성형 AI 활용, 차세대 생성형AI 등 다양한 최신 기술에 대한 인사이트가 제공될 예정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제트가 운영하고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에 신규 아이템 판매 콘텐츠 '콜렉템(COLLECTEM)'이 출시됐다. 29일 네이버제트에 따르면 아이템 판매 콘텐츠 콜렉템을 통해 1차로 인기 캐릭터 리락쿠마와 컬래버레이션(이하 컬래버)한 한정 아이템 38종을 출시했다. 리락쿠마 한정 아이템 컬래버는 내달 31일까지 진행된다. 콜렉템은 제페토 아바타용 아이템 판매 콘텐츠다. 뽑기를 통해 새로운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콜렉템을 얻기 위해서는 제페토 내 재화인 '젬'을 통해 뽑기권을 구매해야한다. 또한 마일리지 코인을 통해서도 해당 뽑기권을 얻을 수 있다. 네이버제트는 리락쿠마 컬래버 아이템을 착용한 아바타를 촬영해 공유하면 상품을 증정하는 이벤트도 진행한다. 상품으로는 리락쿠마 봉제인형, 제페토 코인 등이다. 네이버제트는 향후 다양한 IP, 브랜드와 협업을 진행해 이용자들의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NVIDIA)가 허깅페이스(Hugging Face), 서비스나우(ServiceNow)와 함께 개방형 액세스 코드 생성 대형언어모델(LLM) 스타코더2(StarCoder2)를 출시했다. [유료기사코드] 엔비디아는 28일(현지시간) 서비스나우, 허깅페이스와 스타코더2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스타코더2는 619개 프로그래밍 언어를 학습했으며 추가 학습을 통해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탑재된다. 스타코더2는 텍스트 투 코드 기능 등을 제공, 프롬프트에 텍스트를 입력하면 코드를 출력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업은 스타코더2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소스 코드 생성, 워크플로 생성, 텍스트 요약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개발자들도 코드 완성, 고급 코드 요약, 코드 스니펫 검색 등 기능을 제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타코더2는 엔비디아의 인프라에서 학습된 150억개 파라미터 모델, 허깅페이스의 70억개 파라미터 모델, 서비스나우의 30억개 파라미터 모델이 제공된다. 엔비디아는 작은 파라미터 모델을 통해 컴퓨팅 비용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엔비디아 관계자는 "모든 소프트웨어 생태계에는 고유한 프로그래밍 언어가 있으므로 코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의 혼합현실(MR) 디바이스 비전 프로(Vision Pro)의 올해 생산량이 당초 예상보다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현재 미국에서만 판매되고 있는 비전 프로의 타지역 출시도 조만간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애플 전문가로 불리는 TF증권 궈밍치 애널리스트는 28일(현지시간) 보고서를 통해 비전프로의 올해 생산량이 최대 80만대로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당초 궈밍치 애널리스트는 비전프로의 2024년 생산량을 최대 50만대로 전망했다. 비전프로의 생산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 것은 비전프로 공급업체의 생산량이 50만대에서 80만대 수준으로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공급업체의 생산량 증가는 애플의 요청으로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궈밍치에 따르면 현재 미국에서 비전프로의 배송시간도 개선됐다. 이는 사전주문 물량이 배송이 거의 완료된 상황에서 수요가 급격히 감소한 것이 원인이다. 궈밍치 애널리스트는 "비전프로의 가격을 인하하거나 더 매력적인 애플리케이션이 나오지 않는 한 미국 시장에서의 출하량 증가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비전프로의 올해 미국 출하량은 최대 25만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시장의 수요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엔비디아, AMD가 공동으로 개발한 범용 업스케일링 기술이 공개된다. 범용 업스케일링 기술 개발로 향후 게임 개발 적용 등 편의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MS는 내달 18일부터 22일까지 샌프란시스코 모스콘센터에서 열리는 게임 개발자 콘퍼런스(GDC) 2024에서 다이렉트SR(DirectSR)로 명명된 범용 업스케이링 기술을 발표한다. 발표행사는 '다이렉트X 스테이트 오브 더 유니온(DirectX State of the Union)'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21일(현지시간) 진행된다. 이날 발표회에는 MS 다이렉트3D 책임 개발자인 숀 하그리브즈(Shawn Hargreaves), 오스틴 킨로스(Austin Kinross) MS PIX 리드 개발자, 웨삼 바흐나시(Wessam Bahnassi) 엔비디아 기술 개발 수석엔지니어, 롭 마틴(Rob Martin) AMD 펠로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등이 참석한다. 행사에선 다이렉트SR의 기능 소개와 함께 MS, 엔비디아, AMD가 업스케일링 표준화를 위해 어떤 방식을 적용했는지도 공개된다. 다이렉트SR은 업스케일링 기술을 표준화 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빅테크 바이트댄스가 글로벌 숏폼 플랫폼 '틱톡'의 유럽 선거 가짜뉴스 대응 정책을 내놨다. 틱톡은 가짜뉴스 대응과 함께 사용자 인식 교육에도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바이트댄스는 유럽 선거기간 중 틱톡 가짜뉴스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유럽연합(EU) 27개국에서 인앱 선거 센터를 출시한다. 틱톡은 인앱 선거 센터를 오는 6월 열리는 유럽의회 선거에서 가동한다. 바이트댄스는 틱톡 인앱선거 센터 운영을 위해 현지 선거관리위원회, 시민사회단체와 협력한다. 바이트댄스는 생성형AI가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현실을 반영해 AI를 통해 생성된 가짜뉴스를 삭제한다. 또한 AI생성 콘텐츠에 라벨을 추가해 이용자들이 구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바이트댄스가 가짜뉴스 대응에 나선 것은 틱톡의 영향이 유럽 내에서 상당한 상황에서 EU의 압력이 거세졌기 때문이다. EU는 지난해 8월 강화된 온라인 거버넌스 규정을 24개 대형 플랫폼에 강제할 수 있는 법적 장치를 만들었다. EU는 플랫폼 기업들이 가짜뉴스에 제대로 대응하고 있지 못하다는 불만을 내비쳐왔다. 틱톡은 유럽에서만 매월 1억 3400만명이 사용하고 있다. 바이트댄스는 가짜뉴스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중국 시장 전용 6인승 전기 SUV '모델 Y L'을 출시했다. 테슬라는 모델Y L을 앞세워 중국 로컬 브랜드에 맞서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는 19일(현지시간) 모델Y L을 출시하고 판매에 돌입했다. 모델YL의 배송은 다음달 시작될 예정이다. 모델Y L은 중국 시장 최고 인기 모델인 모델Y의 롱바디 모델이다. 이를 통해 좌석을 3열까지 배치해, 탑승인원을 6명으로 늘린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테슬라 중국법인 측은 "휠베이스를 늘려 각 좌석마다 넉넉한 레그룸을 갖추고 있다"며 "좌석마다 전동 조절 시트와 열선 기능이 장착됐고, 2열 시트에는 전동 암레스트도 탑재됐다"고 소개했다. 또한 2열과 3열은 평평하게 접혀, 필요에 따라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테슬라 모델Y L의 1회 충전시 751km(CLTC 기준) 주행할 수 있으며,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데는 4.5초가 소요된다. 최고 속도는 시속 210km에 달한다. 중국 전기차 전문매체 CNEV포스트는 모델YL에 LG에너지솔루션에서 개발한 82kWh 삼원계 배터리(NMC)가 장착됐다고 전했다. 테슬라는 모델YL을 33만90
[더구루=정예린 기자] 엔비디아가 오는 2027년부터 고대역폭메모리(HBM) 핵심 부품인 '베이스 다이'의 자체 생산을 추진한다. 기존 공급망 의존도가 줄어들면서 HBM 시장과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에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대만 공상시보(CTEE)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7세대 HBM인 HBM4E부터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탑재할 계획이다. 초기에는 TSMC 3나노미터(nm) 공정을 적용해 소량 시험 생산을 진행하고, 점차 생산 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는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HBM 생산 기업들이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든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2027년 하반기부터는 엔비디아가 자체 맞춤형으로 설계한 베이스다이를 적용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2027년 하반기부터 어느 메모리 업체의 HBM 제품과 결합하더라도 엔비디아가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HBM 생산 기업 등 공급망 내 기업들의 일부 역할이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이번 전략 변화가 GPU와 HBM 시스템 통합 성능을 높이기 위한 결정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HBM4E부터는 단순 메모리 적층을 넘어, 최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