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발전설비 전문회사 두산스코다파워가 미국 재생발전소 폐기물 처리를 위해 증기 터빈을 공급한다. 폐자원 에너지화(WtE) 플랜트에 증기터빈을 공급해 북미 폐기물 처리 능력을 확대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스코다파워는 미국 폐기물 시설 운영업체인 코반타(Covanta)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양사의 파트너십은 플로리다주 스프링힐에 위치한 WtE 플랜트 확장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두산스코다는 폐기물을 전기로 변환하는 발전소의 용량 강화를 위해 출력 15MW를 자랑하는 표준화된 단일 케이스 터빈 DST-G10을 공급한다. 미국 시장의 엄격한 기준에 맞춰 제작된 터빈은 연간 3만1500톤(t)의 폐기물을 추가로 처리할 수 있는 공장의 능력을 강화한다. 두산스코다의 터빈은 전기 생산뿐만 아니라 생산 내 다른 기술 공급에 필요한 산업 응용 분야에도 쓰인다. 지속 생산에 의해 발생되는 일정한 온도와 압력의 증기를 제공한다. 또 효율성에 초점을 맞춰 폐기물에서 생성된 연료로 화석 연료에서 바이오매스로 전환하며 탄소 배출량을 줄인다. 두산스코다는 코반타와의 협력을 계기로 북미 에너지 부문에 진출한다. 두산스코다는 폴란드와 호주, 영국 유럽 WtE 플랜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에너빌리티 체코 자회사 두산스코다파워(이하 두산스코다)가 핀란드 펄프공장에 공급한 증기 터빈이 시운전에 나섰다. 핀란드의 바이오펄프 공장은 터빈 시운전을 거쳐 순차적으로 가동할 예정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핀란드 멧챠그룹(Metsä Group)은 두산스코다가 케미바이오펄프 공장에 공급한 270MW 증기 터빈 가동에 나섰다. 케미바이오펄프 공장은 두산스코다의 증기터빈을 통해 펄프 생산 능력을 90만 톤(t)에서 150만t으로 늘린다. 이 공장은 연간 생산량 62만t인 기존 케미 펄프 공장을 대신하게 된다. 케미 공장은 완공 후 연간 약 2.0TWh(테라와트시)의 재생 가능 전력이 생산될 예정이다. 이는 핀란드 총 전력 생산량의 약 2.5%에 해당한다. 두산스코다는 2022년에 멧챠그룹의 펄프 공장에 270MW 증기 터빈을 납품했다. 멧챠는 바이오 공장 건설로 핀란드 재생 에너지 비율을 2% 이상 증가시킨다는 전략이다. <본보 2022년 8월 9일 참고 두산스코다파워, 핀란드 바이오펄프 플랜트에 터빈 공급> 두산스코다의 증기 터빈은 보다 효율적인 발전과 자원 활용을 가능하게 해 궁극적으로 시설의 설치 공간을 줄이도록 설계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스코다파워(이하 두산스코다)가 폴란드 중북부 플록에 있는 올렌의 열병합발전소에 터빈을 공급한다. 올렌은 두산스코다의 터빈으로 발전소를 현대화해 전력 생산의 효율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스코다는 폴란드 최대 석유 화학 기업인 올렌(Orlen)과 열병합발전소에 30억 코루나(약 1770억원) 규모의 터빈 2기를 일괄수주(EPC, 설치·조달·시공) 방식으로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터빈은 55MW의 규모의 TG-4와 TG-5 2기다. 두산스코다는 터빈 EPC외 10년간 장기 후속 서비스를 제공한다. 터빈 공급과 설치는 오는 2029년에 완료된다. 토마스 빈클러(Tomáš Winkler) 두산스코다파워 프로젝트 매니저는 "터빈 공급은 설계부터 생산, 설치, 시운전 및 후속 유지보수까지 턴키 기술 공급인 EPC 계약의 형태로 이행될 것"이라며 "새로 제공되는 터빈은 기존 터빈보다 9% 더 높은 에너지 효율을 가진다"고 말했다. 올렌의 열병합발전소는 두산스코다가 2017년에 생산해 가동한 70MW 용량의 TG-7 장치도 운영하고 있다. 두산스코다는 폴란드에서 다양한 수주 기회가 엿보인다. 올렌은 향후 10년 안에 재생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스코다파워가 인재 양성을 위한 직업훈련센터를 개설했다. 지역 학생을 훈련센터의 맞춤형 교육훈련을 통해 자격을 갖춘 전문 인재로 양성한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스코다파워는 최근 플젠에서 직업훈련센터를 개소했다. 현재 센터에는 플젠 기계공학 중등산업학교의 학생 14명이 기계작동법을 배우고 있다. 센터의 학생 수는 최대 36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센터는 중등산업학교 외 지역 내 다른 학교와의 협력도 준비하고 있다. 센터에서 학업을 마친 학생들은 최소 1년 동안 두산스코다파워의 공장에 머물러야 한다. 자밀라 코노포바(Jarmila Konopová) 플젠 기계공학 중등산업학교 교장은 "두산스코다파워는 기계 기술자 또는 기계 조정자 등 모든 엔지니어링 분야의 졸업생에게 관심이 있다"며 "과거 부모들은 자녀가 졸업하면 공학 분야 종사를 우려하고 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두산스코다파워가 플젠에 훈련센터를 개소한 건 전문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직업훈련 과정을 통해 인재를 체계적으로 육성해 기술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두산스코다파워는 두산에너빌리티가 2009년 스코다그룹의 발전설비 전문업체 스코다파워를 인수하며 출범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에너빌리티의 자회사 두산스코다파워가 도미니카공화국에 증기 터빈을 공급한다. 도미니카공화국 최초의 터빈을 공급함으로써 향후 카리브해와 라틴아메리카 지역에서 입지 강화가 기대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스코다파워는 도미니카공화국에서 진행되는 에너가스(Energas) IV 프로젝트를 위해 45MW DST-G20 단일체 터빈을 공급한다. 스페인 히혼(Gijon)에 본사를 둔 스페인 EPC 회사인 TSK그룹(Grupo TSK)이 도미니카공화국에서 125MW급 '산 페드로 데 마코리스 복합화력 발전소'를 건설하는데 두산스코다파워가 터빈을 공급한다. 두산이 공급하는 터빈은 단일체 터빈 모델을 설계, 제조한 것이다. 산스코다파워가 전송장치와 발전기를 포함한 배송은 물론 설비 조립과 후속 시운전 등 기술 지원을 책임진다. 산 페드로(San Pedro)에는 이미 가스로 총 300MW의 전기를 생성하는 3개의 기존 블록이 있다. 여기에 TSK그룹이 네 번째 블록을 추가해 125MW의 전력을 생성한다. 이번 터빈 공급 계약은 두산스코다파워가 도미니카공화국에서 수주한 최초의 프로젝트가 된다. 두산스코다파워는 향후 카리브해와 라틴아메리카 지역으로 진출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에너빌리티의 자회사 두산스코다파워가 카자흐스탄의 복합가스터빈(CCGT) 발전에 증기터빈을 공급한다. 카자흐스탄뿐만 아니라 주변 중앙아시아권 수주를 적극 늘려 매출 증대를 꾀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스코다파워는 카자흐스탄 국부펀드 삼룩카즈나의 자회사인 투르키스탄LLP(Turkistan LLP)과 복합화력발전소 증기터빈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두산스코다파워는 카자흐스탄 남부의 쉼켄트 지역에 건설되는 1000MW 규모 CCGT 발전 프로젝트에 발전기와 부속품을 포함해 용량이 175MW인 두 개의 증기 터빈을 납품한다. 두산스코다파워의 증기터빈은 높은 작동 유연성과 빠른 부하 변경을 수행한다. 증기 재가열을 통한 다중 압력 사이클, 산업 또는 화력 발전소뿐만 아니라 가스 터빈이 있는 단일 샤프트 배열에도 적용할 수 있다. 발전소는 두산에너빌리티가 현지 건설사인 바지스와 컨소시엄을 꾸려 건설한다. 두산에너빌리티가 설계부터 기자재 공급, 설치, 시운전까지 전체 공정을 일괄 수행한다. 오는 2026년 8월에 준공 예정이다. 두산스코다파워가 카자흐스탄에서 증기터빈을 수주한 건 과거 터빈 공급 이력이 있어서다. 고객의 신뢰를 얻은 것이 증기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에너빌리티 체코 자회사인 두산스코다파워가 스페인 건설사 악시오나와 회동했다. 영국 런던의 폐기물 처리 기관이 추진하는 에드먼턴 에코파크 재개발 프로젝트 실행을 본격화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스코다파워는 지난 20일(현지시간) 체코 본사서 스페인 건설사 악시오나(Acciona)와 만나 런던 북부 폐기물 관리국(North London Waste Authority, 이하 NLWA)이 영국 런던 북부 엔필드(Enfield)구의 에드먼턴(Edmonton) 내 진행하는 '에코파크(EcoParK) 프로젝트'를 논의했다. NLWA가 런던의 에드먼턴 에코파크를 재개발하는데 악사오나와 두산스코다파워가 함께 한다. 악사오나는 시설 건설을, 두산스코다파워는 WtE 플랜트 시설에 증기터빈을 공급한다. NLWA는 런던 북부 바넷(Barnet) 자치구의 폐기물 처리를 담당하는 폐기물 처리 기관이다. 런던 북부 7개 자치구를 대신해 폐기물 운송과 처리 관리하고, 7개 자치구에서 수거한 재활용품 관리, 자원 보존을 위한 폐기물 최소화와 재활용을 촉진한다. NLWA가 추진하는 에코파크의 주요 공사는 광범위한 첨단 재활용 시설과 지역 사회를 위해 건축가가 설
[더구루=오소영 기자] 그렉 핸즈 영국 국제통상부 장관이 두산에너빌리티의 체코 자회사 두산스코다파워를 방문했다. 영국 롤스로이스가 체코에서 추진하는 SMR 사업에 힘을 실어주며 공급망 후보군도 둘러본 것으로 보인다. 지난 27일(현지시간) 원전 전문지 세계원자력뉴스(WNN)에 따르면 핸즈 장관 일행은 최근 체코 서부 플젠에 위치한 두산스코다파워를 방문했다. 증기터빈 기술을 확인하고 원전 사업의 협력을 모색했다. 핸즈 장관은 영국 SMR 업체 롤스로이스 경영진과 대표단을 꾸리고 체코를 방문했었다. 페트르 피알라 총리와 요젭 시켈라 산업통상부 장관, 토마쉬 에흘레르 산업통상부 차관 등 주요 정부 인사를 만났다. 스코다JS 경영진과도 회동하고 SMR 수주 의지를 내비쳤다. 롤스로이스는 잠수함용 원자로를 개발한 경험을 토대로 영국의 SMR 건설을 주도하고 있다. 발전량의 대형 발전소의 7분의 1 수준인 SMR을 개발해 2029년 1호기를 상용화한다는 목표다. 2035년까지 10기, 2050년까지 16기를 배치하고 체코에도 수출을 추진하고 있다. 2020년 11월 체코전력공사(CEZ), 2022년 9월 스코다JS와 작년 9월 SMR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발전설비 전문회사 두산스코다파워가 영국 재생발전소 폐기물 처리를 위한 증기 터빈을 공급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스코다파워는 영국 글래스고(Glasgow)에 있는 사우스 클라우드(South Clyde) 폐기물 에너지(WtE) 시설에 들어서는 증기 터빈과 공랭식 응축기를 생산한다. 두산스코다파워의 터빈은 전기 생산뿐만 아니라 생산 내 다른 기술 공급에 필요한 산업 응용 분야에 쓰인다. 지속 생산에 의해 결정되는 일정한 온도와 압력의 증기를 제공한다. 또 효율성에 초점을 맞춰 폐기물에서 생성된 연료로 화석 연료에서 바이오매스로 전환하면 탄소 배출량을 줄인다. 공랭식 응축기(ACC)는 냉매가스를 공기로 냉각해 응축시키는 기기이다. 발전용 냉각설비로 새로 짓는 발전소에 많이 적용된다. 두산스코다파워가 터빈을 공급할 사우스 클라우드 EfW 발전소는 투자 펀드인 맥쿼리자산운용(Macquarie Asset Management)의 글로벌 선도 녹색에너지 개발과 투자 전문기업인 그린인베스트먼트그룹(GIG)과 핀란드 국영 에너지 회사인 포르툼(Fortum Oyj)이 50/50으로 합작 투자해 개발하고 있다. 발전소가 가동되면 연간 최대 35만t의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에너빌리티 체코 자회사 두산스코다파워가 태국에 증기터빈을 수주했다. 태국 시장을 넘어 아시아 시장 공략을 확대한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스코다파워는 태국 라용성에 새로 건설되는 증기발전소에 20MW 증기터빈 발전기를 공급한다. 계약서에 따르면 두산스코다파워는 기어박스와 발전기가 있는 단일 케이스 증기 터빈을 인도한다. 증기 터빈은 74MW의 증기 가스 사이클 시설의 일부이며, 새로운 산업 구역에 증기와 약간의 전기를 공급할 것이다. 초과 전력은 태국 발전청(EGAT)이 운영하는 송전망에 공급될 것이다. 발전소는 오는 2024년 1월 가동을 시작해 송전망에 연결할 예정이다. 이번 수주는 두산스코다파워의 태국 첫 계약으로 EPC 시공사인 태국 기업 TTCL, EGCO와 2년간의 집중적인 협상 끝에 체결됐다. 두산스코다파워 아시아 지역 영업팀은 "태국은 조직, 역사, 사고방식 면에서 다른 나라와 매우 다르다"며 "태국 고객이 요구한 터빈의 품질과 설치된 장비의 전체 수명 동안 고품질 서비스의 가용성을 포함해 프로젝트를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을 확신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태국 발전소의 터빈 수출은 두산스코다파워의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이 세계 최대 바이오공장 건설에 참여한다. 펄프공장에 증기 터빈을 설치해 핀란드 목재 가공 산업을 돕는다. 핀란드는 바이오 공장 건설로 핀란드 재생 에너지 비율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에너빌리티(옛 두산중공업) 체코 자회사 두산스코다파워는 핀란드 회사 멧챠그룹(Metsä Group)의 펄프 공장 중 하나인 셀룰로스에 270MW 증기 터빈을 납품했다. 18억5000만 유로(약 2조4500원) 규모의 새 공장 건설은 핀란드 목재 가공 산업에 대한 가장 큰 투자이기도 하다. 공장은 내년 하반기에 가동을 시작할 계획이다. 완공 후 핀란드 케미(Kemi) 시에서 150만t의 펄프와 바이오 제품을 생산한다. 연간 생산량 62만t인 기존 케미 펄프 공장을 대신하게 된다. 두산스코다파워는 지난 2020년 핀란드 멧챠그룹 계열사 멧챠 피브레(Metsä Fibre)와 270MW 터빈 공급 위해 예비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예비 계약 2년 만에 납품이다. <본보 2020년 12월 27일 참고 두산스코다, 핀란드 바이오 플랜트 터빈 납품> 페카 요한슨(Pekka Johansson) 멧챠 피브레(Metsä Fibre) 바이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레드우드 머티리얼즈(이하 레드우드)가 처음으로 전기 상용차 부문에서 첫 고객사를 확보했다. 일본 이스즈와 북미에서 전기 상용차 배터리 재활용에 협력한다. 고객사 저변을 넓히고 북미 배터리 재활용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운다. 4일 레드우드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 이스즈 북미 법인(Isuzu Commercial Truck of Americ)과 전기 상용차 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레드우드가 중대형 상용차 회사와 협력하는 첫 사례다. 레드우드는 이스즈의 배터리 셀과 모듈, 팩, 소재 등을 받아 미국과 캐나다에서 재활용을 추진한다. 레드우드와 이스즈는 사우스캐롤라이나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어 지리적 인접성을 토대로 시너지를 낼 전망이다. 레드우드는 지난 2022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 인근에 약 35억 달러(약 5조300억원)를 투자해 240만 ㎡ 규모의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을 짓는다고 발표했다. 오는 3분기 운영을 시작한다. 이스즈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피에몬테에 약 2억8000만 달러(약 4200억원)를 쏟아 전기 상용차 공장을 건설 중이다. 2027년부터 운영을 시작하고 이듬해 확장
[더구루=정등용 기자] 전고체배터리 제조사 퀀텀스케이프(QuantumScape)가 상장 과정에서 제기된 신탁의무 위반소송에서 최종 합의에 도달했다. [유료기사코드] 4일 미국 델라웨어주 고등법원에 따르면 퀀텀스케이프와 경영진은 주주인 셰드릭 리차드가 제기한 신탁의무 위반소송에서 875만 달러(약 120억원)를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리차드는 퀀텀스케이프가 상장을 위해 켄싱턴 캐피탈 에퀴지션(Kensington Capital Acquisition)과 역합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신탁의무를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역합병은 인수회사가 없어지고 피인수회사가 존속하는 합병 방식이다. 리차드는 회사 경영진이 충분한 실사 없이 합병을 서둘러 주주보다 자신들의 재정적 이익을 앞세웠다고 지적했다. 켄싱턴 캐피탈 에퀴지션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로 지난 2020년 6월 상장했다. 이후 같은해 9월 퀀텀스케이프 인수 계획을 발표했으며, 11월25일 최종 거래가 성사됐다. 퀀텀스케이프는 지난 2010년 설립된 전고체배터리 제조사다. 퀀텀스케이프의 전고체 배터리는 음극재 역할을 고체 상태의 분리막 위에 형성된 리튬메탈층이 대신하는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