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아이슬란드 바이오시밀러 전문회사 알보텍(Alvotech)이 일본 시장의 문을 두드린다.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 공략에 속도를 높이는 모습이다. 알보텍은 19일 일본 파트너사 후지제약과 함께 일본 후생노동성에 바이오시밀러 후보 판매 승인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알보텍이 일본 시장에 제품을 출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로버트 웨스먼 알보텍 최고경영자(CEO)는 "제품 출시 신청은 회사의 중요한 이정표로 일본에서 증가하는 바이오시밀러 수요를 충족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앞서 양사는 지난 2019년 후지제약이 알보텍에 지분투자를 하면서 일본 내 바이오시밀러 개발과 상용화를 위한 독점적 제휴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알보텍은 2013년 설립된 바이오시밀러 전문 기업이다. 지난 6월 미국 나스닥에 이어 7월 아이슬란드 퍼스트노스그로스마켓에 상장했다. 미국과 아이슬란드 증시에 동시에 상장된 기업은 알보텍이 처음이다. <본보 2022년 6월 24일자 참고 : 알보텍, 최초 미·아이슬란드 증시 동시 상장…신한금투 '선구안' 주목> 알보텍은 총 8개 바이오시밀러 후보물질(파이프라인)을 개발 중이다. 협력사는 미국의 테바, 유럽의 스
[더구루=김형수 기자] 아이슬란드 바이오시밀러 업체 알보텍(Alvotech)이 개발 중인 스텔라라(Stelera) 바이오시밀러 AVT04(우스테키누맙)이 오는 2027년 매출 6억달러(약 8360억원)를 넘본다. 에보텍은 올 연말까지 글로벌 주요 규제기관으로부터 AVT04에 대한 승인을 획득하기 위한 움직임에도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에보텍이 AVT04 임상시험에서 나온 긍정적 결과를 확인하고 시장 출시를 본격적으로 노린다. 에보텍과 독점적 전략 파트너 관계를 맺고 있는 테바 파마슈티컬스(Teva Pharmaceuticals)와 스타다(STADA)가 각각 미국과 유럽에서 AVT04를 상업화에 박차를 가한다. 알보텍으로서는 강력한 수익 모델을 손에 쥐게 되는 셈이다. 건선,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등의 치료제로 쓰이는 스텔라라의 매출은 지난 2017년 40억달러(약 5조5720억원)에서 지난해 94억달러(약 13조950억원)로 135% 늘어났다. 해당 기간 연평균 매출 성장률은 24%에 달한다. 지난 5월말 발표한 확증 임상시험에서 AVT04는 스텔라라와 치료학적 동등성을 나타냈다. 중등도에서 중증의 만성 건선을 앓는 환자를 대상으로 A
[더구루=홍성환 기자] 아이슬란드 바이오시밀러 전문회사 알보텍(Alvotech)이 미국과 아이슬란드 증시에 동시에 상장된 최초의 기업이 됐다. 신한금융투자의 투자 선구안이 주목받는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알보텍은 지난 16일 미국 나스닥에 상장한 데 이어 23일 아이슬란드 나스닥 퍼스트 노스 그로스 마켓(Nasdaq First North Growth Market)에서도 거래를 시작했다. 미국과 아이슬란드 증시에 이중 상장된 기업은 알보텍이 처음이다. 로버트 웨스먼 알보텍 회장은 "뉴욕 증시에 성공적으로 상장한 지 일주일 만에 두 개 시장에 동시 상장하는 이정표를 달성했다"며 "지난 10년간 대규모 바이오시밀러를 개발·제조하기 위해 플랫폼을 통합하는 데 10억 달러(약 1조3000억원) 이상을 투자했고 이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저비용 대체 의약품의 수요를 충족했다"고 전했다. 알보텍은 고품질 바이오시밀러 의약품의 개발·제조에 중점을 둔 제약사다. 알보젠 최고경영자(CEO)인 로버트 웨스만이 설립했다. 암, 자가면역질환, 염증, 기타 질병 치료에 목적을 둔 8개 파이프라인을 보유 중이다. 지난 16일 미국 나스닥에 상장한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더구루=김명은 기자] 글로벌 무연담배 시장이 오는 2033년 177억 달러(약 24조4000억원)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흡연보다 덜 해롭다는 인식과 제품 혁신 등이 성장에 한몫하고 있다. 다만 성장 전망이 밝지만 청소년에 대한 노출 위험성과 규제 강화 요구에 대한 대응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유료기사코드] 18일 글로벌 시장 조사 전문 기관인 리서치앤마켓츠(ResearchAndMarkets)의 '2025-2033년 무연담배 시장 전망 및 경쟁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무연담배 시장은 지난해 133억 달러(약 18조3600억원)에서 오는 177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기간 동안 연평균 성장률(CAGR)은 3.2%를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무연 담배 시장의 성장 요인으로는 △향이 첨가된 무연 담배에 대한 수요 증가 △흡연이 건강에 해롭다는 인식의 확산 △니코틴 파우치, 용해형 담배 등 신제품에 대한 개발과 투자 확대 △일부 지역에서의 문화적 수용과 생활 방식의 변화 등이 거론된다. 선진국과 신흥 시장 모두 전통적인 무연 담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니코틴 파우치를 사용하고 있다. 과거에는 담배 잎을 태우지 않고 니코틴을 섭취하는
[더구루=오소영 기자] 체코 연구소가 고순도의 네오디뮴을 분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상용화에 성공하면, 재활용을 통해 보다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네오디뮴을 추출할 수 있다. 네오디뮴 자석 공급망을 쥐고 있는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대안으로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체코 유기화학·생화학 연구소(ICOB)에 따르면 밀로슬라프 폴라셰크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희토류 원소 분리방법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금속 이온과 결합해 고리 형태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킬레이트제(Chelator)'를 활용했다. 킬레이트제를 용해된 자석에 넣으면 네오디뮴과 선택적으로 뭉치는 반면, 디스프로슘은 그대로 용액에 남는다. 네오디뮴과 다른 금속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독한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기존 방법과 동일하거나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오면서도 유해 페기물이 발생하지 않는다.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기술을 통해 전기차에서 회수한 네오디뮴 자석으로부터 순도 99.7%의 네오디뮴을 얻었다. 연구 결과는 미국 화학회지(JACS)에 실렸다. 연구팀은 특허 출원을 진행 중이다. 실증도 추진하고 여러 기업·투자자와 협력해 상용화를 검토할 계획이다. 폴라셰크 박사는 "증가하는 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