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우리은행이 해외 사업에서도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 국내 실적이 크게 뒷걸음질 친 가운데 해외 사업도 역성장함에 따라 임기 2년차를 맞은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의 어깨가 더욱 무거워진 모양새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우리은행 인도네시아법인 우리소다라은행은 지난해 6980억 루피아(약 60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8610억 루피아(약 740억원) 대비 18.9% 급감한 수치다. 은행의 핵심 수익원이 이자이익 감소한 영향이다. 지난해 우리소다라은행의 순이자이익은 1조6600억 루피아(약 1420억원)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9.6% 줄었다. 이에 순이자마진(NIM)도 전년 대비 80bp(1bp=0.01%p) 낮아진 3.51%를 기록했다. 수수료 수익은 전년보다 27.63% 감소한 2310억 루피아(약 200억원)로 집계됐다. 작년 말 기준 총자산은 54조8200억 루피아(약 4조6870억원)로 1년 전보다 6.45% 증가했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국내 금융지주 가운데 나홀로 두자릿대 역성장을 하면서 아쉬운 성적을 거뒀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2조516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 전년 대비 19.9% 감소했다. 핵심 자회사인
[더구루=홍성환 기자] 우리금융그룹이 영국 금융전문지 더뱅커(The Banker)가 선정한 우리나라 최고의 금융사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수익성과 건전성이 크게 개선된 데 따른 것이다. 5일 더뱅커가 공개한 '2023년 세계 1000대 은행' 보고서를 보면 우리금융은 총점 5.03점으로 국내 금융사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우리금융은 위험 수익률과 유동성 부분에서 각각 4.19점, 5.81점으로 1위였다. △레버리지(4.21점) △자산건전성(6.41점) △수익성(4.75점) 등 부문에서는 2위였다. 티어1자본은 220억7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34% 증가했다. 더뱅커는 "우리금융은 세계 1000대 은행 순위의 기준이 되는 지난해 실적이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순이익이 3조1693억원으로 전년 대비 22.4% 성장했다. 신한금융그룹은 총점 4.89점으로 뒤를 이었다. 신한금융은 수익성(4.81점)과 건전성(4.79점), 레버리지(4.27점) 등 부문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전년 대비 1.5% 증가한 4조6423억원의 순이익을 거두며 3년 만에 업계 1위에 올랐다. 이어 △하나금융그룹(4.83점) △KB금융
[더구루=홍성환 기자] 올해 들어 국내 금융그룹의 비용 효율성이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중국과 일본 금융사들은 악화했다. 16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1분기 말 기준 국내 주요 금융그룹의 평균 비용수익비율(cost-to-income ratios)은 52.97%로 전년 동기 56.37% 대비 3.40%p 하락했다. 비용수익비율은 영업비용을 영업이익으로 나눈 수치로, 비율이 낮을수록 효율성이 높다는 의미다. 금융그룹별로 보면 KB금융그룹의 비용수익비율은 45.95%로 작년 같은 기간 57.25% 대비 11.30%p 하락했다. 하나금융그룹은 48.67%로 1년 전 56.77%에 비해 8.10%p 개선했다. 우리금융그룹은 전년 51.00%에서 올해 48.85%로 2.16%p 낮아졌다. 이에 반해 신한금융그룹은 43.95%로 국내 금융그룹 가운데 가장 낮았으나 지난해 38.18%와 비교해선 5.77%p 상승했다. 이외에 IBK기업은행은 40.40%, NH금융그룹은 38.95%로 각각 5.85%p·14.92%p씩 하락했다. 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는 "한국 금융사의 경우 경기 반등과 높은 수익성으로
[더구루=홍성환 기자] 벤처캐피털(VC) 다올벤처스가 인도네시아 프롭테크(부동산 기술) 스타트업 트라벨리오(Travelio)에 투자했다. 동남아 지역 부동산 시장이 빠른 경제 성장으로 확대됨에 따라 투자 가치가 충분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트라벨리오는 10일 미공개 금액으로 시리즈C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에는 다올벤처스와 태국 오존벤처스, 대만 앱웍스 등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기존 투자자 가운데서는 테마섹 산하 파빌리온캐피탈이 추가 투자했다. 트라벨리오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본사를 둔 온라인 부동산 중개 플랫폼이다. 아파트·주택·빌라 등 집 소유주와 단기 세입자를 연결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인도네시아 상장기업인 수르야 세메스타 인테르누사(Surya Semesta Internusa) 요하네스 수리아드자자 회장의 딸 크리스티나 수리아드자자가 창업한 것으로 유명하다. 수리아드자자 최고전략책임자(CSO)는 "중산층 밀레니얼 세대의 주택 소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이니셔티브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장기적으로 주택난을 해결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우리은행 인도네시아 자회사 우리소다라은행은 주당 22.5 루피아의 현금 배당을 결정했다고 5일 밝혔다. 현금 배당 규모는 총 1927억 루피아(약 170억 원)에 이르며 이는 지난해 총 순이익 8606억 루피아(약 760억 원) 중 22.4%에 해당하는 수치다. 나머지 77.6%에 해당하는 6677억 루피아(약 590억 원)의 경우 이익잉여금으로 지정됐다. 현금 배당금은 오는 5월3일 지급될 계획이다. 최근 연례주주총회에선 모차마드 트리 부디오노를 대신해 압두라흐만 하디를 신임 이사로 선임하는 안건도 승인됐다. 또한 지난 2021년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을 통한 유상증자(PMHMETD III) 안건도 보고됐다. 이를 통해 우리소다라은행은 1조4200억 루피아(약 1254억 원)의 자금을 확보했다. PMHMETD III 투자설명서에 따르면 발행 비용을 공제한 공모 수익금은 대출금 지급 계획에 따라 1년 이내에 제3자에게 신용을 제공하는 운전 자본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한편, 우리은행은 지난 2014년 우리은행 인도네시아 법인과 현지 은행인 소다라은행을 합병해 우리소다라은행을 출범시켰다. 이후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계 은행 가운데 가장 많
[더구루=홍성환 기자] 우리은행이 인도네시아 부동산 투자회사 시나르마스랜드와 손잡고 주택대출을 확대한다. 빠른 경제 성장으로 주거용 주택 수요가 확대하고 있어 자금 수요도 함께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시나르마스랜드는 지난 17일(현지시간) 우리은행 인도네시아법인 우리소다라은행과 주택대출 프로그램인 '스마트 무브' 관련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주택을 구매하는 고객에게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로 주택 자금을 지원할 방침이다. 목표 대출액은 200억 루피아(약 17억원)다. 시나르마스랜드는 인도네시아 대기업 시나르마스그룹 계열 부동산 회사다. 시나르마스는 인도네시아 재계 서열 4~5위로 꼽히는 대기업이다. 제조, 금융, 부동산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주택 건설시장은 도시화와 소득 증가, 중산층 확대 등으로 주거용 주택 수요가 늘어나면서 빠르게 활성화하고 있다. 이에 대도시를 중심으로 민간 주택 건설 사업이 늘어나는 추세다. 우리소다라은행 관계자는 "인도네시아 부동산 부문 잠재력은 매우 긍정적이며 올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우리은행이 인도네시아 최대 미니마켓 브랜드 인도마렛(Indomaret)와 손 잡고 현금 인출 서비스를 선보인다. 인도네시아 고객들의 금융 접근성을 높여 브랜드 입지를 강화하겠다는 행보로 해석된다. 우리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인 우리소다라은행은 16일 인도마렛과 업무 제휴를 맺고 전국 2만 개 인도마렛 매장에서 현금 인출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인도마렛은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미니마켓 브랜드로 알려져 있다. 인도네시아 전역에 분포한 매장만 2만 개에 달해 고객 접근성이 가장 우수한 장점으로 꼽힌다. 이번 업무 제휴를 통해 우리소다라은행 고객은 실물 카드 없이 모바일 뱅킹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해 인도마렛 매장에서 현금을 찾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우리소다라은행은 모바일 뱅킹 앱에 관련 기술을 탑재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우리소다라은행은 모바일 뱅킹 앱에 QRIS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도 추가했다. 이를 통해 고객은 인도네시아 2200만 가맹점에서 결제·구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전자화폐 충전, 청구서 결제, 계좌 이체까지도 가능하다. 베니 S. 탄 우리소다라은행 네트워크·운영 담당 이사는 “고객의 일상적인 금융 활동을 지원하고
[더구루=홍성환 기자] 우리금융그룹이 캐나다 핀테크 기업과 손잡고 토큰증권발행(STO) 시장 진출을 추진한다. 정부가 STO 제도화를 공식 선언함에 따라 국내 금융사들이 서비스 준비에 발 빠르게 움직이는 모습이다. 캐나다 핀테크 기업 핀헤이븐 테크놀로지(Finhaven Technology)는 우리금융 계열사 우리에프아이에스(우리FIS)와 토큰증권 플랫폼 라이선스 협약을 맺었다고 9일 밝혔다. 이에 따라 양사는 국내 시장에서 핀헤이븐의 토큰증권 플랫폼 허가·구현 등에 협력할 방침이다. 핀헤이븐은 한국인이 창업한 핀테크 기업이다. 메릴린치 출신 김도형 대표가 지난 2018년 캐나다 벤쿠버에서 설립했다. 지난 2020년 캐나다 금융당국으로부터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증권거래소 허가를 받았다. 가상자산거래소가 아니라 증권거래소를 국가에서 공식 허가한 것은 핀헤이븐이 처음이었다. 기술력과 성장성을 인정 받은 핀헤이븐은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와 벤처캐피털(VC) 메디치인베스트먼트 등에서 600만달러(약 66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토큰증권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자본시장법상 증권을 디지털화한 것을 뜻한다. STO는 토큰증권의
[더구루=정등용 기자] 우리금융그룹이 우리은행 등 자회사 9곳의 수장을 물갈이하며 본격적인 쇄신 작업에 돌입했다.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내정자의 첫 번째 인사로 조직 혁신과 미래 경쟁력 확보 차원으로 해석된다. 우리금융그룹은 지난 7일 대대적인 조직·인사 혁신을 단행했다고 8일 밝혔다. 우리금융 이사회는 이날 자회사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자추위)를 열고 재임 2년 이상 임기만료 자회사 대표를 전원 교체하기로 했다. 우리은행을 비롯한 9개 자회사가 대상이다. 우리카드 대표이사에는 박완식 우리은행 개인·기관그룹장이 임명됐으며 우리금융캐피탈 대표이사에는 조병규 우리은행 기업그룹장이 선임됐다. 우리종금 대표이사에는 김응철 우리은행 외환그룹장이 발탁됐다. 우리자산신탁 대표이사에는 이종근 우리금융지주 경영지원부문 전무가, 우리금융저축은행 대표이사에는 전상욱 우리금융지주 미래성장총괄 사장이 각각 선임됐다. 우리자산운용 대표에는 남기천 전 멀티에셋자산운용 대표를 영입해 그룹 자산운용부문 경쟁력을 강화했다. 우리펀드서비스 대표이사에는 김정록 우리은행 준법감시인이 선임됐으며 공석인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인사는 추후 진행될 예정이다. 이원덕 행장의 갑작스러운 사의 표명으로 공석이 된
[더구루=정등용 기자] 이원덕 우리은행장이 취임 1년 만에 자리에서 물러난다. 임종룡 신임 우리금융지주 회장 내정자의 취임에 앞서 용퇴를 결정했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원덕 행장은 이날 자회사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자추위) 개최에 앞서 갑작스럽게 사의를 표명했다. 당초 금융권에선 이 행장이 유임할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지난해 3월 취임한 이 행장의 임기가 오는 12월말까지인 만큼 조직 안정화 차원에서라도 임기를 채울 것이란 관측이 대체적인 시각이었다. 다만 이날 자추위에선 후임자 인선은 결정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금융은 빠른 시일 내에 후임 은행장 선임 절차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1990년 한일은행으로 입행한 이 행장은 우리은행 미래전략단장과 경영기획그룹장, 우리금융지주 전략부문 부사장, 수석부사장 등을 거쳤으며 지난해 3월 우리은행장에 취임했다.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이 연임 도전을 포기한 후 신임 회장 최종후보군(숏리스트) 4명에 포함되기도 했지만 임추위는 지난달 3일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을 최종 후보자로 확정했다. 한편, 우리금융은 이날 오후 자추위를 열고 △우리카드 △우리금융캐피탈 △우리종합금융 △우리금융저축은행
[더구루=홍성환 기자] 관치금융 우려가 확산하면서 국내 금융지주사를 보는 외국계 투자기관의 시선이 싸늘해진 모습이다. 지난달 초 윤석열 대통령의 '돈 잔치' 발언 이후 은행에 대한 전방위 압박이 거세지고 있기 때문이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신한금융지주와 우리금융지주의 투자 의견을 '매수(Buy)'에서 '중립(Neutral)'으로 나란히 하향 조정했다. 골드만삭스는 "한국 정부는 은행 부문의 경쟁을 유도하기 위한 규제 개선을 추진 중이다"면서 "이로 인해 은행에 역풍이 불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른 미국계 IB인 BofA(뱅크오브아메리카)도 이달 초 신한금융과 우리금융의 투자 의견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낮춰 잡았다. 목표 주가도 각각 '38.46달러→32.31달러', '36.92달러→31.15달러'로 햐향 조정했다. <본보 2023년 3월 3일자 참고 : 美 BofA, '임종룡號' 우리금융 눈높이 낮췄다…왜?> 외국계 기관들은 관치금융을 가장 큰 악재로 꼽고 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달 13일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은행 고금리로 국민 고통이 크다"며 "은행은 공공재적 성격이 있으므로 수익이 국민과 자영
[더구루=홍성환 기자] 관치금융 우려가 커지면서 우리금융지주에 대한 외국계 투자기관의 눈높이가 낮아졌다. 외국인 투자자 이탈로 주가가 부진한 상황에서 악재가 더해진 모습이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투자은행(IB) BofA(뱅크오브아메리카)는 우리금융의 투자의견을 '매수(Buy)'에서 '중립(Neutral)'으로 낮춰잡았다. 또 목표주가를 '36.92달러(약 4만8600원)'에서 '31.15달러(약 4만1000원)'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정부가 은행의 공공재 성격을 강조하며 경영에 개입, 관치금융에 대한 우려가 커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우리금융의 경우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이 차기 회장으로 선임되면서 관치금융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상황이다. 앞서 지난달 임종룡 회장 선임 당시 금융당국 수장을 지냈던 인물이 직접 지휘·감독했던 금융지주의 회장으로 다시 돌아오는 것에 대해 비판이 금융권 안팎에서 나왔다. 최근 우리금융지주 주가도 크게 흔들리고 있다. 지난 1월 말 역대급 실적과 배당 기대감으로 1만3000원대 중반에 달했던 주가는 이후 하락세를 거듭하며 현재 1만1900원대로 떨어졌다. 올해 고점 대비 11% 하락한 것이다. 지난달 초 윤석
[더구루=정등용 기자] 대만 해상풍력 개발기업 SRE(Synera Renewable Energy)가 한국 시장에 진출한다. 대만을 넘어 한국과 일본 등 해외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RE는 최근 한국 남해에서 해상 풍력 프로젝트를 개발하기 위해 문도풍력에너지(MWE)와 협력하기로 했다. 양사는 문도해상풍력에너지라는 합자회사를 설립했으며, 한국 정부로부터 해상풍력 발전 사업 라이선스(EBL)까지 획득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한반도 서남단 전라남도 여수시 거문도 주변 해역에 고정식 해상 풍력 발전 단지를 건설하는 것으로 총 용량은 840MW(메가와트)에 이른다. SRE는 서울에도 별도 사무실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SRE의 이번 행보는 해외 사업 확대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앞서 SRE는 일본 규슈 북부 지역에서 신규 사업 추진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대만 본국 사업도 활기를 띠고 있다. 대만 먀오리현 해안에서 18~2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495MW 규모의 포모사 4는 경제부 에너지국으로부터 설립 허가를 받았으며, 800MW 규모의 포모사 6 풍력발전단지에 대한 관리 계약서도 경제부 에너지국에 제출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이 이집트의 노후 잠수함 교체 사업 파트너로 뽑혔다. 이집트 잠수함 시장을 장악했던 독일·프랑스 기업들의 경쟁 상대로 부상했다. 폴란드와 캐나다에 이어 이집트에도 진출하며 함정 수출 영토를 넓힌다. [유료기사코드] 25일 디펜스아라빅과 셰퍼드미디어 등 외신에 따르면 이집트 해군은 잠수함 4척 구매를 추진하고 있다. 후보 기업으로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 독일 TKMS, 프랑스 나발(옛 DCNS) 등이 거론된다. 이집트는 1960년대 후반 위스키급 잠수함 2척과 로미오급 잠수함 6척을 도입했었다. 1970년대 당시 안와르 사다트 이집트 대통령의 친서방 정책으로 러시아와 관계가 소원해지며 로미오급 잠수함용 부품 수급과 후속 운영에 어려움을 격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1980년대 초반 중국판 로미오급 잠수함인 타입 033 4척을 확보했으며 미국 타코마 보트 빌딩 컴퍼니와 1억1600만 달러(약 1600억원) 상당 잠수함 개조 계약도 체결했다. 2011년 TKMS와 2척 건조 계약을 맺은 데 이어 2015년 2척을 추가했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총 4척을 모두 인도받았다. 이집트 해군은 잠수함 현대화를 지속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