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녹십자홀딩스가 계열사 지씨셀(GC셀)과 함께 미국 관계사 아티바 바이오테라퓨틱스(Artiva Biotherapeutics)의 기업공개(IPO) 공모에 참여, 약 350억원어치 주식을 매수했다. 24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녹십자홀딩스·지씨셀은 지난 22일(현지시간) 아티바 주식 208만3332주를 매수했다. 녹십자홀딩스가 166만6666주, 계열사 지씨셀이 41만6666주를 각각 샀다. 매매 가격은 주당 12달러로, 총 매수액은 약 2500만 달러(약 350억원)다. 두 회사는 아티바의 기업공개(IPO)를 통해 해당 주식을 매입했다. 녹십자홀딩스·지씨셀는 또 공모가 대비 15% 할인된 주당 10.2달러 전환가격으로 보통주 55만433주를 전환했다. 아티바는 앞서 지난 19일 나스닥에 상장했다. 아티바는 총 1392만주의 신주를 발행해 1억6700만 달러(약 2300억원)를 조달했다. <본보 2024년 7월 19일자 참고 : 지씨셀 美 관계사 아티바, 공모가 확정…'2300억' 조달> 아티바 바이오테라퓨틱스는 녹십자홀딩스와 지씨셀이 NK(자연살해)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해 미국에 설립한 회사다. 앞서 지난 202
[더구루=홍성환 기자] 지씨셀(GC셀)의 미국 관계사 아티바 바이오테라퓨틱스(Artiva Biotherapeutics)가 공모가를 확정했다. 이에 약 2300억원의 자금을 조달할 예정이다. 신약 개발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티바는 18일(현지시간) 공모가를 주당 12달러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다만 이는 애초 증권신고서에서 제시한 주식 공모가 희망 범위 14~16달러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아티바는 총 1392만주의 신주를 발행할 예정으로, 최대 1억6700만 달러(약 2300억원)를 조달할 전망이다. 아티바는 오는 19일 나스닥에서 거래를 시작하게 된다. 티커명은 'ARTV'다. 아티바 바이오테라퓨틱스는 녹십자홀딩스와 지씨셀이 NK(자연살해)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해 미국에 설립했던 회사다. 앞서 지난 2021년 4월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며 미국 증시 상장에 도전했지만 인플레이션, 고물가·고환율·고금리, 우크라이나 전쟁 등에 따른 경제 상황 악화로 이듬해 11월 자진 철회한 바 있다. 이 회사는 루푸스 신염 치료제 'AlloNK(AB-101)' 등을 개발 중이다. AB-101은 동결보존한 제대혈에서 유래한 NK세포 치료제로, 지난 2월 루푸스 신
[더구루=윤진웅 기자] 정밀냉간인발튜브(인발강관) 제조사 율촌이 한국과 멕시코에 이어 폴란드에 세 번째 생산 거점을 마련한다. 생산 능력 확대를 토대로 유럽 시장을 공략하는 것은 물론 글로벌 주문량 증가 수요 대응에 나선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율촌은 폴란드 돌니실롱스크주 스로다 실롱스카 카운티 코모르니키(Komorniki) 지역에 1억 즈워티(한화 약 330억 원) 규모 자동차 부품 공장을 마련한다. 주도이자 폴란드 남부 최대 산업 및 물류 중심지인 브로츠와프(Wrocław)와의 거리 등을 고려한 전략적인 위치 선택이라는 설명이다. 생산량 확대에 따른 수요 대응은 물론 신규 고객 유치와 대규모 글로벌 수주 확보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했다. 특히 폴란드 국립 종합대학 등 20여개 대학이 모여 있다는 점에서 향후 현지 인력 확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공장 설립 관련 율촌은 폴란드 레그니차 경제특별구역(Legnica Special Economic Zone, LSEZ)으로부터 지원도 약속받았다. LSEZ는 폴란드 레그니차市에 1997년 설립된 1400 헥타르(약 424만평) 규모 경제특별구역이다. 폭스바겐, 바스프(BASF) 등 77여개의 글로벌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파트너사 현대공업(Hyundai Industrial)이 미국 전기차 허브로 부상하는 조지아주에 자동차 부품 공장을 설립한다. 현대차 전기차 전용 공장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2일 조지아주 주정부와 조지아주 경제개발부(GDEcD)에 따르면 현대공업은 조지아주 코웨타카운티 뉴넌 지역에 2400만 달러(한화 약 330억 원) 규모 자동차 부품 공장을 설립한다. 브라이언 켐프(Brian Kemp) 조지아주 주지사는 "현대차·기아 파트너사인 현대공업의 조지아주 진출로 현지 일자리 100여개가 창출될 것"이라며 "현대차 메타플랜트 유치 이후 지역 경제가 빠르게 활성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미 현대공업 공장은 부품 공장을 마련하기 위해 83 Amlajack Way에 있는 기존 건물을 매입했다. 현대차 메타플렌트와 연결되는 I-85 도로를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고려한 선택이다. 이곳에서 현대차 메타플랜트와 기아 조지아 공장 등 협력사에 공급할 OEM 차량용 팔걸이와 머리 받침대를 생산할 계획이다. 내년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며 연간 부품 생산 능력은 30만 대가 될 전망이다. 공장 설립 추진과 함께 현지 직원 채용에도 나섰
[더구루=홍성환 기자] 데이터베이스(DB) 전문기업 비트나인의 북미 계열사인 AGEDB(Advanced Graph Enterprise Database)가 캐나다 증시 상장을 추진한다. 북미 시장 공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AGEDB는 지난 5일 캐나다 토론토 증권거래소(TSXV)에 상장한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인 아다지오 캐피탈(Adagio Capital)과 합병 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합병이 완료되면 사명을 AGEDB테크롤로지로 변경하고 토론토 거래소에서 거래를 시작하게 된다. 강철순 비트나인 대표가 AGEDB테크롤로지의 회장에 오르며, 고영승 AGEDB 최고경영자(CEO)가 계속 CEO를 맡는다. AGEDB 측은 "아다지오와 협력함으로써 우리의 역량과 성장 전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혜택을 기대한다"면서 "이를 통해 재정적 자원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연구·개발을 가속화하고 제품 제공을 확장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AGEDB는 비트나인의 미국법인 비트나인 글로벌이 전액 출자한 자회사다. 지난해 설립했고, 벤쿠버에 본사를 두고 있다. 2013년 설립한 비트나인은
[더구루=홍성환 기자] 압타머 원천기술을 보유한 미국 프로테오믹스 기술기업 소마로직(SomaLogic)이 국내 유전체 검사 전문기업 디엔에이링크와 맞손을 잡았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단백질체학 시장 공략에 협력할 방침이다. 소마로직은 20일 디엔에이링크와 자사 단백질 진단 플랫폼 '7000-플렉스 소마스캔 플랫폼(7000-plex SomaScan® platform)'을 제공하는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밝혔다. 소마로직이 한국에 자사 플랫폼을 선보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양사는 소마로직의 소마스캔 플랫폼이 디엔에이링크의 단백질체학 역량을 크게 확장할 것으로 기대했다. 단백질체학은 생체 내 존재하는 모든 단백질의 존재와 기능을 통합적인 시각에서 분석해 파악하는 학문이다. 소마로직는 차세대 바이오 물질인 압타머를 세계 최초로 발명한 래리 골드 박사가 1999년 설립한 회사다. 약 7000여종의 단백질을 검출할 수 있는 압타머 원천기술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 압타머는 특정 물질과 높은 친화도를 갖고 있어 표적 분자에 쉽게 결합해 질병 진단이나 환경오염 물질 검출에 주로 이용되는 차세대 바이오 물질이다. 디엔에이링크는 2000년 설립돼 2011년 유전체 분석 관련 특
[더구루=홍성환 기자] 바이오 기업 엔케이맥스가 미국 증시 기업공개(IPO)를 추진 중인 자회사 엔케이젠바이오텍(NKGen Biotech)의 전환사채(CB)를 인수한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한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인 그라프 애퀴지션(Graf Acquisition Corp. IV)은 지난 15일(현지시간) 엔케이맥스와 엔케이젠 증권매입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공시했다. 엔케이맥스는 그라프 애퀴지션과 엔케이젠의 기업결합 종료 후 1000만 달러(약 130억원)를 투자해 무담보 전환사채를 인수할 예정이다. 만기는 2027년이다. 이자율은 현금은 연 5%, 주식은 연 8%다. 엔케이젠은 그라프 애퀴지션과 합병을 통해 미국 증시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상장 후 나스닥으로 이전한다. 그라프 애퀴지션은 오는 20일 임시 주총을 열고 합병안을 처리할 계획이다. 양사는 이번 IPO를 통해 최소 5000만 달러(약 660억원)를 조달할 계획이다. <본보 2023년 9월 1일자 참고 : [단독] 엔케이젠, 美 스팩 합병 주총 연기…"자금조달 시간 추가 확보"> 엔케이젠은 지난달 말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동종
[더구루=홍성환 기자] ㈜대원이 베트남 부동산 개발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한다. 오너 2세인 전응식 대표이사 주도로 베트남 건설 시장에서 디벨로퍼 입지를 강화하는 모습이다. 11일 베트남 껀터시에 따르면 대원 베트남법인 대원칸타빌은 지난 9일(현지시간) 껀터시 인민위원회와 투자 협력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이번 협약에 따라 대원은 껀터시에서 부동산 개발 사업 기회를 모색할 방침이다. 껀터는 베트남 남부 메콩강 삼각주 최대 도시이자 중앙직할시다. 인구 1800만명 풍부한 노동력과 도로·항만 등 인프라 개발로 우리 기업의 투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대원은 다낭 다프억 신도시 도시개발 프로젝트와 빈투언성 골프앤리조트 프로젝트를 높은 수익을 올리며 성공적으로 마친데 이어 현재 △하노이시 대규모 산업단지 △호찌민시 인근 미니신도시 개발 △후에시 미니신도시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프로젝트는 현재 인허가 단계가 진행 중인데 일부 사업은 올 하반기에 착수할 예정이다. 전응식 대원 대표는 매월 베트남을 찾아 현지 지방정부 지도부와 실무 간부들을 면담, 회의를 갖는 등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대원은 지난해부터 베트남 내 여러 법인을 통합한 대원칸타빌을 경쟁력있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한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인 그라프 애퀴지션(Graf Acquisition Corp. IV)이 엔케이맥스의 미국 자회사 엔케이젠바이오텍과의 합병을 위한 주주총회를 연기했다. 자금 조달을 위한 시간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서다. 그라프 애퀴지션은 엔케이젠과 합병안을 다룰 특별 주총을 오는 8일(현지시간)로 연기한다고 1일 밝혔다. 그라프 애퀴지션은 애초 지난달 30일 주총을 열고 합병안을 처리할 예정이었다. 그라프 애퀴지션 측은 "기업결합 승인에 대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으며 안건 승인을 위한 충분한 찬성표를 확보했다"면서도 "다만 추가 자금 조달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기 위해 시간을 더 확보하고자 주총을 연기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엔케이젠과 그라프 애퀴지션은 이번 기업공개(IPO)를 통해 최소 5000만 달러(약 660억원)를 조달할 계획이다. 앞서 양사는 지난달 16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상장 승인을 받았다. 합병 이후 그라프는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나스닥으로 상장을 이전하고 엔케이젠바이오텍으로 사명을 바꿀 계획이다. 엔케이젠바이오텍은 지난달 말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동종
[더구루=홍성환 기자] 코스닥 상장사 FSN이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윅스(WEEX)의 자금 조달을 지원한다. 두 회사간 파트너십이 본격화하고 있다. 윅스는 FSN의 지원을 받아 자금조달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9일 밝혔다. 윅스는 신규 자금을 글로벌 암호화폐 사업 확장과 사용자 보안 강화 등에 투입할 방침이다. FSN와 웍스는 앞서 이달 초 글로벌 사업을 위한 전략적 협력을 진행하기로 파트너십을 맺은 바 있다. 윅스는 지난 2018년 출시된 가상자산 플랫폼으로 보안성과 사용자 친화적 기능을 강점으로 현재 100만명 이상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루 평균 거래액은 15억 달러(약 1조9800억원) 수준으로, 코인마켓캡이 발표한 평균 유동성 순위에서 상위 5위권이다. FSN은 가장 먼저 웹 3.0 시장에 뛰어든 코스닥 상장사 가운데 하나다. 자회사 핑거랩스를 통해 NFT 프로젝트의 기획부터 발행·유통·플랫폼·컨설팅에 이르기까지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선미야클럽·벨리곰·해피어타운·스마일 미야 클럽·애니팡 서포터 클럽 등을 국내 대표 NFT 프로젝트로 발전시켰고, 페이버렛·엑스클루시브 등의 플랫폼을 개발해 웹 3.0 영역을 다양한 기성산업과 연결하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인콘의 미국 자회사인 자이버사테라퓨틱스(ZyVerSa Therapeutics)가 신규 자금 조달에 지속해서 나서고 있다. 자금을 확보해 신약 개발에 속도를 높일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자이버사는 210만 달러(약 30억원) 규모로 신주 공모를 실시한다고 25일 밝혔다. 자이버사는 주당 0.165달러의 발행가로 1272만7273주를 발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투자자에 신수인수권(워런트)도 제공한다. 자이버사는 앞서 지난 5월에도 1100만 달러(약 140억원) 규모로 유상증자를 실시하는 등 지속해서 자금 조달에 나서고 있다. 작년 말 기준 이 회사의 현금성 자산은 590만 달러(약 80억원) 수준이다. <본보 2023년 5월 3일자 참고 : '인콘 美 자회사' 자이버사, 신약 개발 자금 150억 충전> 자이버사는 지난 2014년 설립한 바이오 기업이다. 만성 신장 희귀질환인 국소불절성 사구체경화증(FSGS)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세계 최초의 의약품 VAR200을 개발하고 있다. 염증조절복합체 신약 파이프라인 IC100은 루푸스신염과 당뇨병성 신장 질환과 같은 염증성 신장 질환으로 확장이 가능하다. 인콘은 지난 2018
[더구루=홍성환 기자] 코스닥 상장사 인콘의 미국 자회사인 자이버사테라퓨틱스(ZyVerSa Therapeutics)가 당뇨병성 신장질환 신약에 대한 유럽 특허를 획득했다. 유럽 시장에 진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자이버사는 유럽특허청(EPO)이 자사 콜레스테롤 에플럭스 메디에이터(Cholesterol Efflux Mediator™) VAR 200에 대한 특허를 승인했다고 10일 밝혔다. VAR 200은 만성 신장 질환 관련 희귀질환인 국소분절성사구체경화증(FSGS) 치료 신약이다. 이는 콩팥을 구성하는 단위인 사구체가 단단하게 굳어져 콩팥의 기능을 못하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신장에서 몇개의 사구체만이 영향을 받고 영향을 받은 몇개의 사구체 내에서도 일부만 영향을 받는다. 스테판 글로버 자이버사 회장은 "VAR 200에 대한 지적재산권을 강화하고 특허 보호와 독점권을 추가 지역으로 확장함으로써 주주 가치를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자이버사는 지난 2014년 설립한 바이오 기업이다. 만성 신장 희귀질환인 FSGS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세계 최초의 의약품 VAR200을 개발하고 있다. 염증조절복합체 신약 파이프라인 IC100은 루푸스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연방군이 LIG넥스원이 인수한 미국 고스트로보틱스의 사족보행 로봇 '비전60'을 정찰용으로만 운용하겠다는 계획을 공식화했다. 최근 미군을 중심으로 로봇의 무기화가 잇따라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독일군의 결정이 향후 세계 각국의 '로봇개' 도입 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31일 독일 경제지 하이제(Heise)에 따르면 연방군은 이 매체가 비전60의 무기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보낸 질의서에 "비전60에 대한 무장 계획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고 공식 답변했다. 이어 "비전60은 시각 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장애물을 탐지하고 필요시 라이다(LIDAR) 센서를 활용해 지도를 작성할 수도 있다"며 "무장 기능이 아닌 정찰 및 감시 역할을 수행할 것이며, 기존의 바퀴나 궤도를 사용하는 무인 차량과 달리 사족 보행 로봇은 산악지형이나 다층 건물에서도 기동성을 확보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고 덧붙였다. 독일 연방 군비, 정보 기술 및 지원청(BAAINBw)은 작년 9월 튀링겐에 위치한 보안전문 회사 ATC SiPro를 통해 고스트로보틱스에 비전60 4대를 발주했다. 공급가는 공개되지 않았다. 연방군은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공군이 기존 '군용 위성 조달 계획'을 철회하고 스페이스X의 군사용 군집위성 시스템인 '스타실드(Starshield)'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스타실드는 스페이스X 스타링크 위성을 기반으로 보안을 강화하고 정찰, 미사일 경보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공화당 소속 케빈 크라이머(Kevin Cramer) 상원의원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진행된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공군이 국방부 산하 우주개발청(SDA)의 T2TL(Tranche 2 Transport Layer)·T3TL(Tranche 3 Transport Layer) 위성 조달을 취소하고 스페이스X 위성(스타실드)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을 들었다"고 밝혔다. 케빈 크라이머 의원의 이같은 발언에 미국 공군은 즉각 성명을 발표하고 "T2TL와 T3TL에 대해 결정된 것은 (아무것도)없다"며 "2026년도 예산 심의 과정에서 모든 획득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미국 공군이 기존 T2TL와 T3TL 위성 조달 계획을 철회하고 스타실드 도입을 검토하기로 알려진 것은 예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미국 공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