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의 자회사 하만이 미국 퀄컴의 통신 모뎀을 탑재한 5세대(5G) 이동통신 TCU(Telematics Control Unit·차량용 통신 장비)를 선보인다. 퀄컴과 시너지를 강화하고 TCU 시장을 공략한다. 27일 하만에 따르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4'에서 하만 레디 커넥트 5G TCU를 공개했다. 이 제품은 퀄컴의 차량용 솔루션 브랜드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의 하위 제품인 '스냅드래곤 오토 5G 모뎀-RF 2세대'를 장착했다. 저지연과 한층 강화된 연결성으로 승객에게 풍부한 차량 경험을 제공한다. 파스칼 페구렛 하만 오토모티브 커넥티드 담당은 "하만은 퀄컴과 오토모티브 연결성을 재정의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며 "하만 레디 커넥트 5G TCU는 자동차 제조사의 요구 사항을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충족하는 동시에 출시 기간을 단축하고 개발 비용을 크게 절감토록 설계됐다"고 부연했다. TCU는 커넥티드카를 구현하는 '자동차의 두뇌'다. 차량 위치를 추적하거나 주변 차량의 센서와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고 안전한 주행 환경을 구현한다. 주행 중에 고화질 콘텐츠와 지도
[더구루=오소영 기자] 퀄컴의 5세대(5G) 칩이 보안 위협에 취약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글로벌 시장에서 5G 스마트폰 채택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인지라 삼성과 애플 등 퀄컴 칩을 사용하고 있는 제조업체 브랜드에서도 영향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대만 TSMC가 퀄컴의 차세대 애플리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전량 생산한다는 소문이 제기됐다. 강력한 고객 기반을 토대로 TSMC가 3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시장에서도 선두를 지킬지 주목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마이크로프로세서(MPU) 시장이 지난해 약 70조원에 달했다. 올해 스마트폰용 수요 둔화로 성장세가 한풀 꺾였으나 장기적으로 응용처별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19일 코트라 하얼빈무역관과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MPU 시장은 전년 대비 27.3% 증가한 527억 달러(약 70조원)를 기록했다. 5G 스마트폰용 수요와 신에너지차 보급의 영향이다. 하지만 올해는 다르다. 올해 상반기 MPU 시장은 189억 달러(약 25조원)로 추산된다. 전년 동기(268억 달러·약 36조원) 대비 65%에 불과했다. 특히 스마트폰용 MPU 수요가 가장 크게 둔화됐다. 2021년 높은 성장률(31%)을 거둬 이에 대한 기저 효과로 올해 성장률은 10%에 그칠 전망이다. 글로벌 MPU 시장도 좋지 않다. 지난해 상반기 높은 수요를 보였으나 하반기 스마트폰 시장 둔화로 MPU 수요도 줄었다. 화경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작년 글로벌 MPU 시장은 1148억 달러(약 150조원)로 집계됐다. MPU는 중앙처리장치(CPU)의 한 종류다.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고 출력해 여러 연산을 실행한다. MPU 시장은 인텔이 장악하고 있다. 이어 애플과 퀄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퀄컴이 세계 최대 파운드리 회사 TSMC와 3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공정에 손잡는다. 내년 3나노 기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의 생산을 TSMC에 맡길 것으로 예상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퀄컴이 인도 티웍스의 인쇄회로기판(PCB) 시제품 생산시설 설립을 지원한다. 생산 시간을 단축하고 내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도록 돕는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와 미국 퀄컴이 2025년 갤럭시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선보인다는 추측이 나왔다. 모두 삼성전자의 3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공정에서 만들어질 전망이다. 삼성 갤럭시 소식을 주로 다루는 IT 트위터리안 레베그너스(Revegnus)는 지난 8일 "2025년부터 삼성과 퀄컴이 개발한 갤럭시 스마트폰 전용 칩이 출시된다"고 밝혔다. 이어 "두 칩 모두 삼성 파운드리의 3나노 1세대 공정에서 생산된다"고 부연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AP 중 퀄컴 비중을 높여왔다. 과거 미국과 중국 등 일부 시장에서 퀄컴의 스냅드래곤을 장착했으나 올해 출시한 갤럭시 S23 시리즈는 전량 스냅드래곤을 썼다. 갤럭시 맞춤형 스냅드래곤8 2세대를 활용해 성능과 발열을 개선했다. 이로 인해 딥러닝 알고리즘을 담당하는 신경망처리장치(N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는 처리 속도가 전작 대비 40% 이상 향상됐다. 삼성전자는 퀄컴과의 협력을 이어간다.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 사장은 지난달 갤럭시 언팩 행사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스냅드래곤 전량 탑재가 "이례적인 상황이 아니다"라고 평가하며 "하반기 폴더블이나 S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퀄컴이 차기 반도체인 '스냅드래곤8 3세대'(가칭) 생산을 삼성전자에 맡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대만 TSMC의 3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공정 양산이 늦어지며 삼성전자가 반사이익을 얻는 양상이다. 23일 IT 전문 트위터리안 'OreXda'과 업계에 따르면 TSMC의 3나노 공정이 지연되며 퀄컴이 차세대 스냅드래곤8 칩을 삼성 파운드리에서 생산한다. 퀄컴은 스냅드래곤8 1세대 반도체를 전량 삼성전자에서 양산했으나 스냅드래곤8+ 1세대를 TSMC에 몰아줬다. 최근 출시한 스냅드래곤8 2세대도 TSMC의 4나노 공정에서 생산했다. 퀄컴은 스냅드래곤8 3세대부터 다시 삼성과 손잡을 전망이다. 퀄컴은 삼성과의 협력 의사를 밝혔었다. 크리스 패트릭(Chris Patrick) 퀄컴 모바일 핸드셋 부문 총괄은 17일(현지시각) 미국 하와이에서 개최된 '2022 스냅드래곤 서밋' 행사장에서 한국 기자단과 만나 "삼성 파운드리는 큰 파트너사"라며 협력 가능성을 열어뒀다. 퀄컴은 이중 소싱 전략이 유리하다고 보고 있다. 안정적으로 반도체를 양산하고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어서다. 퀄컴이 삼성을 택한 배경도 가격과 무관하지 않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퀄컴이 중저가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인 '스냅드래곤 7+ 1세대'를 개발하고 있다. '트라이 클러스터‘(Tri-Cluster) 구조를 적용하고 TSMC의 4나노미터(㎚·10억분의 1m)에서 생산한다. 발열과 성능을 개선해 대만 미디어텍과의 경쟁에서 승부수를 본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영국 반도체 설계 기업 ARM이 상장으로 확보한 자금을 활용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 스마트폰 중심의 사업 구조에서 벗어나 자동차와 메타버스, 데이터센터 시장에 진출한다. 르네 하스(Rene Haas) ARM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8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휴대폰을 넘어 자동차, 데이터센터, 메타버스용 하드웨어까지 더 깊이 파고들겠다"라며 "기업공개(IPO)로 조달한 현금은 인수·합병(M&A)이나 신속한 고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두 가지 모두 살펴볼 계획이다"라고 덧붙였다. 1990년 설립된 ARM은 스마트폰의 두뇌인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칩 설계의 핵심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다. 2016년 일본 소프트뱅크그룹에 인수된 후 2020년 매물로 나오며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미국 엔비디아가 인수하려 했으나 규제 당국의 반대로 무산됐고 상장이 대안으로 떠올랐다. ARM은 미국 나스닥 또는 영국 런던 증시에 상장될 것으로 보인다. 이중 상장 가능성도 제기된다. ARM은 500억 달러(약 64조원)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아 자금을 조달하고 신사업을 육성할 방침이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퀄컴이 내년 3분기 출시 예정인 PC용 프로세서의 정보가 유출됐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퀄컴이 TSMC의 4나노미터(nm·1nm는 10억분의 1m) 공정에서 생산한 '스냅드래곤8 젠(Gen) 1+'를 오는 5월 출시한다. 삼성에서 TSMC로 파운드리 파트너를 바꾸며 대만 미디어텍 추격에 박차를 가한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차 인도법인의 성공적 증시 데뷔 이후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 ‘인도 IPO 바람’이 불고 있다. 이번에는 세계 최대 자동차 메이커 토요타가 인도 자회사 기업공개를 추진, 최대 8억 달러 자금 확보에 나설 전망이다. 현대차에 이어 토요타까지 가세하면서 인도가 새로운 글로벌 완성차 'IPO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너지부(DOE)가 오클로와 엑스에너지, 테레스트리얼 에너지 등 소형모듈원전(SMR) 기업을 첨단 핵연료 시범 사업자로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