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영국 담배기업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가 전자담배와 경구용 담배를 중심으로 한 투트랙 전략에 나선다. 전자담배와 경구용 담배가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한 만큼 올해도 비연소 제품 사업 확대에 힘을 싣는 모습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BAT는 미국에서는 액상형 전자 담배 뷰즈(Vuse) 마케팅 인가를 획득했고, 일본에서는 궐련형 전자담배 글로(glo) 신제품을 내놨다. 앞서 지난해 12월 이탈리아 북동부 트리에스테(Trieste)에 위치한 공장에서 파우치 담배 벨로(Velo) 생산을 시작했다. BAT는 이들 제품의 선전에 힘입어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최대 4%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지난 2021년 매출이 256억8400만유로(약 34조8120억원)인 것을 감안하면 작년 매출은 약 35조5080억원~36조2044억원 수준으로 추산된다. BAT는 비연소 제품으로 구성된 신규 카테고리 제품이 선전하며 전체 실적을 끌어올렸다고 분석했다. 뷰즈의 지난 9윌 기준 주요시장(미국·캐나다·영국·프랑스·독일) 점유율은 전년 대비 2.2%p 상승한 35.7%를 기록했다. 미국에서는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프랑스와 영국에서는 2위를 차지하고 있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영국 담배기업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가 전자담배 신제품을 줄줄이 론칭하며 실적 끌어올리기에 사활을 건다. 올해 전 세계 담배 판매량은 2%가량 감소할 것이라는 분석에 돌파구 마련에 나섰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BAT가 전자담배 카테고리에 대한 의존도를 높였다. 가향 담배 시장이 뒷걸음질 치자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북미와 유럽에선 가향 담배 판매 제한에 칼을 빼들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멘솔·가향담배 판매를 제한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현재 최종 검토 단계만 남겨 놓은 상태다. 캐나다는 2019년, EU는 2016년 가향 담배 판매를 금지했다. BAT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액상형 전자 담배 뷰즈 바이브(Vuse Vibe)와 뷰즈 시로(Vuse Ciro) 오리지널 맛에 대한 마케팅 인가(Authorization)를 획득했다. 일본에서 궐련형 전자담배 신제품 글로 하이퍼X2(glo hyper X2)를 출시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고삐를 죄고 있다. 국내에서는 글로 전용 스틱 네오 퍼플 부스트를 업그레이드해 새롭게 출시했다. 회사는 뷰즈와 글로 등의 신규 카테고리 사업이 지속적으로 강력한 판매량, 매출, 시장점
[더구루=김형수 기자] 영국 담배기업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가 가향 가열담배(THP) 판매를 제한한 유럽연합(EU) 조치에 전면전을 예고했다. EU 회원국인 아일랜드에서 법정공방을 시작하며 강경 대응에 돌입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BAT 아일랜드 자회사 PJ 캐롤(PJ Carroll)은 아일랜드 보건부 장관과 법무부 장관을 상대로 소송에 나섰다. PJ캐롤은 EU 집행위원회의 결정에 대한 사법적 검토를 요구했다. EU 집행위원회가 지난 6월 제안한 가향 가열담배 판매 제한 조치가 지난달 발효되자 즉각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EU 집행위원회는 EU 소속 27개국에서 판매되는 가향 가열담배 판매량이 늘어나는 양상을 보이자 암 퇴치 계획의 일환으로 판매 제한 조치를 제안했다. 스텔라 키라아키데스(Stella Kyriakides) EU집행위원회 보건·식품안전위원은 "시장에서 가향 가열담배 퇴출로 유럽의 암 퇴치 계획은 또 다른 한걸음을 내딛을 수 있을 것"이라며 "오는 2040년까지 인구의 5% 미만이 담배를 이용하는 '담배없는 세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BAT는 일반 연초 담배에 비해 유해성이 저감된 제품의 특징을 고려한 결정을 내려야 한
[더구루=김형수 기자] 영국 담배기업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가 이탈리아에 생산라인을 설치하고 유럽 파우치 담배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국내에서는 높은 세금 탓으로 파우치 담배의 시장 진출은 쉽지 않아 보인다. BAT는 15일 이탈리아 북동부 트리에스테(Trieste)에 위치한 공장에서 파우치 담배 벨로(Velo) 생산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 5억유로(약 6940억원)를 투자했다. 파우치 담배는 니코틴이 함유된 작은 파우치를 입에 머금는 방식이다. 이같은 사용법 때문에 ‘머금는 담배’라고도 불린다. 불을 붙이는 일반 연초 담배, 가열해서 나오는 증기를 흡입하는 방식의 궐련형 전자담배와의 차이다. 일반 연초 담배, 궐련형 전자담배와 달리 주변 사람들이 간접흡연 위험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파우치 담배의 장점으로 꼽힌다. BAT는 이탈리에 트리에스테 공장에서 현재 하루 28만개 가량의 벨로를 시험 생산하고 있다. 품질 테스트 기간이 끝나면 하루 56만개로 생산량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르면 내년 1월에는 추가 생산라인도 설치될 전망이다. BAT는 향후 트리에스테 공장에서 전자담배 제품도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BAT는 이곳에서 만들어
[더구루=김형수 기자] 영국 담배기업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가 미국 대마업체에 투자했다. 미래 먹거리를 확보를 위한 기회 모색하겠다는 행보로 풀이된다. BAT는 3일 미국 대마초 추출물 생산업체 샬롯스웹(Charlotte’s Web)에 4820만 파운드(약 760억원)을 투자했다고 밝혔다. 미국 콜롤라도주에 기반을 두고 있는 샬롯스웹은 대마 추출물을 활용해 틴크제(Tinctures), 캡슐, 씹는 제품(Chews), 국소용졔(Topicals) 등을 생산한다. 미국 내 대마추출물 시장에서 선두를 다투는 업체로 평가받는다. 이번 투자가 4820만 파운드 규모의 전환사채를 통해 이뤄졌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샬롯스웹은 BAT 투자 유치를 통해 확보한 자금을 글로벌 사업 확장 및 지적재산권(IP) 포트폴리오 확대에 필수적인 연구·개발에 쓴다는 방침이다. 킹슬리 위튼(Kingsley Wheaton) BAT 최고성장책임자(CGO)는 "샬롯스웹은 고품질 제품 포트폴리오, 강력한 브랜드 자산, 미국 내 충성고객에게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광범위한 소매 채널과 B2C 이커머스 플랫폼을 갖췄다"며 "이번 투자는 '더 좋은 내일'을 위한 강력한 기반 구축의 또 다른 한걸
[더구루=김형수 기자] 글로벌 담배기업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가 탄소 배출량 감축에 박차를 가한다. BAT는 오는 2030년까지 가치사슬 전반에서 배출되는 탄소의 양을 지난 2020년의 절반으로 줄이고, 오는 2050년에는 탄소 배출량 '0'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15일 BAT에 따르면 오는 2050년 가치 사슬 전반에서의 탄소배출량 ‘0’를 목표로 하는 저탄소 전환 계획(Low-Carbon Transition Plan)한다. BAT는 담배 농장에서도 탄소 배출량 저감을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 재조림(Reforestation), 보존 경작 등의 요소로 이뤄진 탄소 스마트 농업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중이다. 미국, 브라질, 방글라데시, 멕시코, 파키스탄 등에서 우선 실시하며 얻은 지식을 토대로 프로그램을 추가 개발해 다른 지역으로 확대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국제연합(UN)이 지원하는 레이스 투 제로(Race to Zero) 이니셔티브에 참가했다. 해당 이니셔티브는 탄소 배출량을 오는 2030년에는 절반, 2050년에는 '0'으로 감축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전 세계 1000개 도시, 5000개 업체, 1000곳의 고등교육 기관 등이
[더구루=김형수 기자]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 주가가 앞으로 34%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궐련형 전자담배를 비롯한 BAT의 뉴 카테고리 제품 매출이 상승세를 이끌 것이라는 전망이다. 영국의 투자전문 매체 디렉터스토크 인터뷰스(DirectorsTalk Interviews)는 5일 BAT의 컨센서스 등급이 강력 매수(Strong Buy) 종목으로 꼽았다. 목표 가격 범위는 54.4달러(약 7만4100원)~55달러(약 7만5000원)로 평균 목표 가격이 54.7달러(약 7만4600원)로 나타났다고 했다. 지난달 26일 BAT 주식이 40.73달러(약 5만5500원)에 거래를 마감한 것을 고려하면 앞으로 34.30%가량 주가가 오를 여력이 있다는 분석이다. BAT 실적이 뉴 카테고리 제품군을 중심으로 오름세를 보이자 긍정적인 BAT 주가 전망이 제시된 것으로 해석된다. 올해 상반기 BAT는 뉴 카테고리 포트폴리오에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5.0% 늘어난 12억8000만 파운드(약 2조41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베이퍼(Vapour) 제품군 매출이 48.2% 늘어나며 가장 큰 증가세를 나타낸 가운데 궐련형 전자담배 글로(glo)가 포함된 THP
[더구루=김형수 기자] 러시아 시장에서의 철수를 선언한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가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됐다. ‘러시아 보이콧’을 선언한 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PMI)도 타격이 불가피해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28일 BAT에 따르면 올 상반기 영업이익(Profit from Operations)이 36억7800만 파운드(약 5조837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5% 줄어들었다. 러시아 철수에 따른 9억5700만 파운드(약 1조5220억원) 규모의 손상차손이 반영됐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시장에서 나오는 매출은 BAT 전체 매출의 3%에 달한다. BAT는 지난 3월 국제법과 해당 지역 법규를 준수하며 러시아에서의 사업을 다른 곳으로 이전하겠다고 했다. 우크라이나 침공을 이유로 러시아 시장에서 발을 빼기로 한 것이다. 이전 작업이 마무리된 이후에는 러시아에서 사업에 나서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BAT는 러시아에 BAT러시아, JSC 국제담배마케팅서비스(ITMS) 등 두 개의 자회사를 두고 있다. BAT는 궐련형 전자담배 글로(glo) 등을 앞세워 위기를 극복해나가겠다는 계획이다. 비연소 담배 제품을 이용하는 사람의 숫자는 210만명에서 2040만명으로
[더구루=김형수 기자]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 이탈리아산 담배 구매를 위한 투자를 확대한다. 이번 투자 확대는 이탈리아가 BAT 글로벌 전략 수행에 있어 차지하는 중요성을 보여주는 행보로 풀이된다. 4일 BAT에 따르면 지난해에 비해 10% 늘어난 3000만 유로(약 407억원)를 이탈리아에서 생산된 고급 담배 구매에 쓴다. BAT는 올해 나폴리가 있는 이탈리아 남부 캄파니아(Campania), 베네치아를 주도로 두고 있는 이탈리아 북동부 베네토(Veneto), 페루자를 품고 있는 이탈리아 중부 움브리아(Umbria) 등에서 생산된 담배 7000톤을 구매할 예정이다. 이번 투자 금액 확대로 인해 10년 동안 BAT가 아틸라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투자 규모는 총 2억5000만 유로(약 3388억원)에 달하게 됐다. 이번 투자금 인상은 특히 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생산 비용 증대에 따라 이뤄진 오랜 기간의 협상의 결과다. 여기에 이탈리아 북동부 끝자락 트리에스테(Trieste)에 들어설 새 혁신 허브 조성을 위한 5억 유로(약 6776억원)가 더해진다. 이번 계약은 BAT 이탈리아와 생산자 그룹이 모인 기관 Italtab에 의해 이탈리아 농업정책부에 재출됐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전자담배 쥴(JUUL)이 미국 시장에서 퇴출될 위기에 처한 가운데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 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PMI) 등이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28일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 스탠리(Morgan Stanley)는 투자자들에게 보낸 서한을 통해 미국 시장에서 쥴이 사라질 경우 BAT, PMI 등의 기업이 수혜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미국 담배 매장에서 쥴이 사라지면 이미 담배제품 시판 신청서(PMTA)에 대한 승인을 승인을 획득한 PMI의 궐련형 전자담배기기 아이코스(IQOS) 등으로 수요가 이동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PMTA를 받은 BAT의 뷰즈(VUSE)를 찾는 소비자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뷰즈는 이미 쥴을 제치고 시장 점유을 33%를 차지하고 있는데 쥴이 시장에서 퇴출되면 뷰즈의 존재감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쥴의 미국 시장에서 완전 퇴출의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다. 지난 23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쥴에 대해 내린 판매금지명령(MDO)의 효력을 미국 법원이 일시적으로 정지시켰기 때문이다. FDA는 쥴 판매가 공중 보건 보호에 적절하다는 점을 입증할 쥴의 독성학적 프로파일에 대한
[더구루=김형수 기자] 글로벌 담배회사인 브리티시아메리카토바코(BAT), 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PMI)의 담배 마케팅에 대한 경고가 나왔다. 세계 곳곳에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담배 마케팅은 지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3일 국제학술지 '토바코 컨트롤(Tobacco Control)'에 실린 '전 세계망 구축: 거대 담배업체들이 담배 매장에서 쓰는 어린이 유혹 전략(Spinning a global web: tactics used by Big Tobacco to attract children at tobacco points-of-sale)'에 따르면 BAT, PMI 등은 40개국 이상에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담배 광고를 전개하고 있다. 해당 논문은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공중보건대학 건강·행동·사회학과 글로벌 담배 통제 연구소(Institute for Global Tobacco Control, Department of Health, Behavior and Society, Johns Hopkins Bloomberg School of Public Health)와 비영리단체 '담배 없는 아이들을 위한 캠페인(Campaign for Tobacco-Fr
[더구루=김형수 기자] BAT(British American Tobacco)가 크로아티아 공장을 대상으로 하는 대규모 투자에 나선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BAT는 크로아티아 칸파나르(Kanfanar)에 위치한 담배 공장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8000만 유로(약 1071억원)를 투자한다. 칸파나르 공장에서 새로운 카테고리의 담배 제품을 생산할 목적으로 단행하는 투자로 해석된다. BAT 측은 이번 투자가 새로운 가열식 담배제품(HTP) 생산라인을 구축하기 위해서 작년에 이뤄진 2700만 유로(약 362억원) 규모의 투자를 기반으로 이뤄진 것이라고 전했다. BAT 크로아티아 칸파나르 공장은 지난 2015년 담배 제조업체 TRD을 인수하면서 품에 안았다. BAT 경영진은 최근 안드레이 플렌코비치(Andrej Plenkovic) 크로아티아 총리를 비롯한 크로아티아 정부 인사와 만난 자리에서 투자 계획을 알렸다. 이 자리에서 소비세 인상 이슈와 관련해 소비세는 정부가 소관하는 것이지만 사업의 예측가능성과 지속가능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소비세 관련 계획을 선호한다는 의견을 전달하기도 했다. 크로아티아 정부는 지난해 2월 담배 제품에 대한 소비세를 인상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네덜란드 주류업체 하이네켄이 영국 RTD(Ready to Drink·즉석음용) 주류 브랜드 서브드(SERVED) 지분을 인수했다.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영국 RTD 주류 수요 선점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하이네켄은 영국 자회사 하이네켄UK를 통해 서브드 소수 지분을 확보했다. 하이네켄이 서브드 지분 인수를 위해 투입한 자금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하이네켄이 서브드에 대한 투자를 통해 비(非) 맥주 사업 경쟁력 강화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2019년 설립된 서브드는 보드카를 기반으로 한 하드셀처(탄산수에 알콜과 과일향을 더한 술) 서브드 브랜드를 전개하고 있다. 서브드 하드셀처는 △복숭아 △라임 △라즈베리 등의 라인업을 갖췄다. 서브드는 △모히토 △피나콜라다 △패션프룻 마티니 등 RTD 칵테일 제품군도 보유하고 있다. 비교적 건강하면서도 지속가능한 주류라는 점이 서브드 차별화 포인트로 꼽힌다. 서브드는 설탕, 인공 향료, 감미료, 색소 등을 배제하고 천연 재료로 제품을 생산한다. 모양이 구부러졌거나 멍들어 상품성이 떨어지는 과일을 원료로 활용하며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 감축에도 일조하고 있
[더구루=오소영 기자] 대만 TSMC가 내년 설비투자액이 250억 달러(약 34조원)대로 올해 대비 20%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파운드리 한파가 장기화되면서 당분간 보수적인 투자 기조를 이어간다. [유료기사코드] 29일 대만 공상시보(工商時報) 등 외신에 따르면 TSMC는 올해 설비투자액이 320~360억 달러(약 43조~49조원)로 예상된다. 내년에도 보수적인 투자 기조를 이어가 250억 달러대까지 주저앉을 전망이다. TSMC는 설비투자에 공격적인 행보를 보여왔다. 2020년 172억4000만 달러(약 23조원)에서 2021년 300억 달러(약 40조원)로 급증했고 2022년 363억 달러(약 49조원)로 최고치를 찍었다. 하지만 작년 하반기부터 파운드리 업계에 한파가 닥치며 분위기가 달라졌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스마트폰과 PC 소비가 줄며 반도체 수요도 축소됐다. 주문이 급감하며 TSMC의 평균 가동률은 60~70%로 하락했다. 6·7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 공정 가동률은 50%까지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적도 주춤했다. TSCM는 올해 2분기 매출액 157억 달러(약 21조원), 순이익 66억 달러(약 9조원)로 전년 동기 대비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