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가(家) 3세 정대선 HN그룹 사장이 미국에 설립한 3D 건설기계 기업 블랙버팔로3D(Black Buffalo 3D)가 세계 최초로 미국 시험인증기관으로부터 건설용 3D 프린터에 대한 인증을 획득했다. 글로벌 3D 프린팅 건축 시장 진출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블랙버팔로3D는 11일(현지시간) 자사가 개발한 넥스콘 프린터와 3D 콘크리트 잉크 믹스가 미국 ICC-ES(International Code Council- Evaluation Service)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ICC는 혁신적인 건축 자재·구성 요소·시스템 등을 평가하는 미국 최고 수준의 비영리 공인기관이다. 미국뿐만 아니라 캐나다·인도·동남아 지역에서도 국제적으로 통용된다. 이에 따라 블랙버팔로3D가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보 2022년 5월 6일자 참고 : '정대선 설립' 블랙버팔로3D, 3D 건설용 프린터 원료 표준화 박차…마페이와 맞손> 이 회사의 임시 최고경영자(CEO)를 맡고 있는 정대선 사장은 "블랙버팔로3D의 목표는 3D 프린팅 건축을 기존 건설의 대안으로 활성화하는 것"이라며 "이번 ICC-
[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가(家) 3세 정대선 HN그룹 사장이 미국에 설립한 3D 건설기계 기업 블랙버팔로3D(Black Buffalo 3D)가 중동 3D 프린팅 건설 시장에 진출했다. 블랙버팔로3D는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 본사를 둔 건물 컨설팅 서비스 업체 프레시디오(Presidio Advisors)와 자사 3D 건설용 프린터와 3D 프린터용 콘크리트 잉크를 중동 지역에 유통하는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3일(현지시간) 밝혔다. 양사는 UAE를 비롯해 사우디아라비아, 튀르키예(터키), 이집트, 북아프리카 시장을 중심으로 영업에 나설 방침이다. 마이클 우즈 블랙버팔로3D 최고경영자(CEO)는 "프레시디오는 중동 시장에서 상품 유통, 판매, 홍보 등에 대한 풍부한 전문 지식을 제공할 것"이라며 "이번 계약을 통해 블랙버팔로3D의 글로벌 입지를 확장하고 3D 건설 시장에 진출하는 많은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전했다. 블랙버팔로3D는 정대선 사장이 2020년 글로벌 사업 진출을 위해 미국에 독자적으로 설립한 기업이다. 작년 11월 3D 건설용 프린터 'NC(NEXCON)-1G' 3대를 미국 시장에 공급하는 성과를 거뒀으며, 최근에는 세계 최대
[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가(家) 3세 정대선 HN그룹 사장이 미국에 설립한 3D 건설기계 기업 블랙버팔로3D(Black Buffalo 3D)가 미국 사무기기업체 제록스홀딩스(Xerox Holdings)와 손잡고 3D 건설용 프린터 임대 사업을 확대한다. 블랙버팔로3D는 29일 제록스의 자회사인 설비금융업체 피틀(FITTLE)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에 따라 피틀은 블랙버팔로3D와 3D 건설용 프린터를 구매·임대하혀는 사업자에 금융을 지원할 예정이다. 앞서 블랙버팔로3D는 지난 5월 3D 건설용 프린터 임대 사업을 위해 금융·임대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자회사 블랙버팔로3D파이낸셜을 설립한 바 있다. <본보 2022년 5월 13일자 참고 : '정대선 설립' 美 블랙버팔로3D, 3D 건설용 프린터 임대사업 진출> 피틀은 3D 프린팅 장비를 비롯해 IT 서비스, 소프트웨어, 시청각·보안 하드웨어 등 다양한 제품에 대해 딜러와 공급업체에 파이낸싱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 18개국 15만명 이상의 고객을 두고 있다. 마이클 우즈 블랙버팔로3D 최고경영자(CEO)는 "피틀과 협력을 통해 글로벌 입지를 성장시키면서
[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가(家) 3세 정대선 HN그룹 사장이 미국에 설립한 3D 건설기계 기업 블랙버팔로3D(Black Buffalo 3D)가 금융 자회사를 설립하고 3D 건설용 프린터 임대 사업에 나선다. 블랙버팔로3D는 12일(현지시간) 세계 최초로 대형 3D 건설용 프린터 금융·임대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자회사 '블랙버팔로3D파이낸셜'을 설립한다고 밝혔다. 마이클 우즈 블랙버팔로3D 최고경영자(CEO)는 "많은 건설 분야 전문가와 이야기하면서 작업 현장에 있는 대부분의 중장비와 기계가 개인 소유가 아닌 임대라는 점을 인식했다"며 "블랙버팔로3D파이낸셜은 3D 건설 시장의 진입장벽을 제거하고 좀 더 합리적인 비용으로 3D 프린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 3D 프린팅 건설회사 알퀴스트(Alquist)가 블랙버팔로3D의 장비를 임대하는 첫 고객이 된다. 알퀴스트는 블랙버팔로3D의 3D 건설용 프린터를 공급받아 버지니아주(州) 남서부에서 200가구 규모의 세계 최대 3D 주택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본보 2022년 4월 29일자 참고 : [단독] '정대선 설립' 블랙버팔로3D, 세계 최대 3D 프린팅 주택사업 공
[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가(家) 3세 정대선 HN그룹 사장이 미국에 설립한 3D 건설기계 제조·판매 기업 블랙버팔로3D(Black Buffalo 3D)가 이탈리아계 건축용 화학제품 전문기업 마페이(MAPEI)와 손잡고 3D 프린터 원료 개발을 추진한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블랙버팔로3D와 마페이는 3D 건축 프린팅 산업을 위한 전략적 연구·개발·생산 파트너십을 맺었다. 양사는 협업의 첫 결과물로 3D 건설용 프린터 원료인 '플래니톱3D(Planitop 3D)'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시멘트를 기반으로하는 3D 프린터 원료다. 양사는 이번 공식적인 파트너십을 발표하기 이전 이미 수년간의 연구과 테스트를 함께 진행해 왔다. 마이클 우즈 블랙버팔로3D 최고경영자(CEO)는 "3D 건설 산업의 다음 성장 단계에 진입하기 위해 자재 표준화가 중요하다"며 "제품 개선을 통해 3D 프린팅 주택과 건물, 인프라를 거의 모든 수준에서 재정적으로 실현 가능하게 만든다"고 강조했다. 블랙버팔로3D는 이번에 개발한 원료를 현재 버지니아주(州)에서 미국 3D 프린팅 건설회사 알퀴스트(Alquist)가 추진하는 200가구 규모 주택 건설 프로젝트에 적용할 계획이다. 블랙버팔
[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가(家) 3세 정대선 HN그룹 사장이 미국에 설립한 3D 건설기계 제조·판매 기업 블랙버팔로3D(Black Buffalo 3D)가 세계 최대 규모의 3D 프린팅 주택 사업에 공급사로 참여한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블랙버팔로3D는 미국 3D 프린팅 건설회사 알퀴스트(Alquist)가 버지니아주(州) 남서부에서 추진하는 200채 규모 주택 건설 프로젝트에 3D 건설용 프린터를 공급한다. 알퀴스트는 첫 3D 프린팅 주택을 선보인 풀라스키 카운티에서 설명회를 시작으로 사업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전 세계적인 부동산 시장 과열과 저소득층 주거난 등으로 3D 프린팅 주택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주목을 받는다. 건축비와 공사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줘 값싸게 주택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폐기물 양도 크게 줄어 친환경 공법이라는 장점도 있다. 자카리 만하이머 알퀴스트 최고경영자(CEO)는 "전염병 대유행과 기후변화, 경제적 문제 등으로 이주 패턴이 변화함에 따라 풀라스키와 같은 작은 지역에 새로운 거주자를 위한 저렴한 주택을 개발할 필요성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블랙버팔로3D와 알퀴스트는 현재 3D프린터 원료에 대마를 활용하
[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가(家) 3세 정대선 HN그룹 사장이 미국에서 설립한 빅선홀딩스(Big Sun Holdings)가 대체불가능한토큰(NFT) 사업을 본격화한다. 빅선홀딩스 자회사인 블록체인 솔루션 제공업체 플래시랩스(Flash Labs)는 4일 화이트 라벨 NFT 발행 애플리케이션과 마켓플레이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는 엔터테인먼트 회사를 비롯해 금융기관, 디지털 자산 보유자가 NFT를 신속하게 발행하고 사용자 커뮤니티에 제공하는 원스톱 솔루션이다. 활용도가 낮은 자산을 맞춤형 NFT 시장에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제품으로 전환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마이클 우즈 플래시랩스 최고경영자(CEO)는 "자사 NFT 발행 솔루션은 기존 자산을 손쉽게 비즈니스를 위한 토큰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전했다.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진위를 영구하게 기록하는 고유 비트로 인증된 새로운 종류의 디지털 자산이다. 암호화폐는 현실 화폐처럼 누구나 통용할 수 있어 대체 가능한 반면 NFT는 각각의 디지털 자산이 고유한 인식 값을 갖고 있어 대체 불가능한 특성이 있다. 때문에 문화·예술 시장과 게임, 음악, 스포츠 등의 분야에서
[더구루=홍성환 기자] 정대선 HN그룹 사장이 미국에서 설립한 건설용 3D 프린터 공급업체 블랙버팔로3D가 모듈러 주택 사업을 본격화한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블랙버팔로3D 자회사 빅선모듈러는 최근 에스토니아 건축 엔지니어링 회사 코다세마와 이동식 주택 '코다(KODA)'의 북미 지역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맺었다. 빅선모듈러는 뉴욕 브루클린과 오리건주 포틀랜드, 멕시코 몬테레이, 캐나다 캘거리 등에 있는 기존 시설에서 코다를 생산·공급할 예정이다. 코다는 복층 형태의 초소형 이동식 주택이다. 2016년 에스토니아에서 첫 선을 보인 이후 하루 만에 주택이 완성되는 장점으로 노르웨이, 독일, 스웨덴, 영국 등 유럽 국가로 빠르게 확산했다. 주택 이외에 사무실, 카페, 스튜디오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마이클 우즈 빅선모듈러 최고경영자(CEO)는 "코다세마의 지속가능한 건축 방식은 더 똑똑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려는 블랙버팔로3D와 빅선모듈러의 비전과 잘 맞는다"면서 "코다세마 본사와 미주 전역으로 사업을 확대할 수 있도록 협력할 것"이라고 했다. 비르기트 린나매 코다세마 CEO는 "이번 파트너십으로 지속가능하고 잘 설계된 새로운 주택 솔루션을 미국
[더구루=홍성환 기자] 정대선 HN그룹 사장이 미국에서 설립한 건설용 3D 프린터 공급업체 블랙버팔로3D가 신규 공장 설립을 추진한다. 블랙버팔로3D는 17일(현지시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州) 이스트스트라우즈버그 소재 약 43만㎡ 면적의 건설용 3D 프린터 공장 부지를 매입했다고 밝혔다. 블랙버팔로3D는 자사가 개발한 넥스콘 3D 프린팅 기술을 사용해 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다. 이 공장은 완공 후 모듈식 넥스콘 3D 프린터 상품군의 조립과 생산을 위한 북미 지역 허브 역할을 하게 된다. 블랙버팔로3D 측은 "펜실베이니아 공장은 기존 뉴저지주 엘리자베스 공장과 한국 자매회사인 하이시스의 서울 공장 등 기존 시설의 추가 생산 라인과 확장이 될 것"이라며 "아울러 대마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건축 자재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 센터의 역할을 하게될 것"이라고 했다. <본보 2021년 11월 17일자 참고 : '정대선 설립' 블랙버팔로3D, 대마 활용 3D프린터 원료 개발 착수> 블랙버팔로3D는 정대선 사장이 미국에서 설립한 건설용 3D 프린터 공급업체다. 최근 3D 프린터 원료에 대마를 적용하는 방안을 계속 모색 중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가(家) 3세 정대선 HN그룹 사장이 투자한 빅선홀딩스가 전미대마협회(National Hemp Association)와 손잡고 대마 산업에 투자하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펀드 조성에 나선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빅선홀딩스 최고경영자(CEO) 겸 최고운영책임자(COO)인 마이클 우즈는 최근 제프 웨일링 전미대마협회장이 설립한 대마 산업 전문 운용사 리플랜트 헴프 어드바이저(rePlant Hemp Advisors)의 이사회에 합류했다. 웨일링 회장은 식품·섬유용 대마 산업에 주로 투자하는 ESG 펀드를 조성해 오는 2030년까지 5억 달러(약 5920억원)를 투자할 방침이다. 우선 내년 1월 2500만 달러(약 300억원) 규모로 펀드를 출범할 예정이다. 앞서 웨일링 회장과 우즈 CEO는 지난달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웨일링 회장은 지난달 초 미국 농업 전문지 랜드캐스터파밍(Landcasterfarming)과의 인터뷰에서 "블랙버팔로(빅선홀딩스 자회사)는 3D프린팅 주택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대마와 통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본보 2021년 10월 7일자 참고 : [단독] 'HN그룹
[더구루=선다혜 기자] HN그룹의 미국 계열사 블랙버팔로3D(Black Buffalo 3D)가 3D 프린팅 분야에서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를 연구·개발(R&D) 책임자로 영입했다. 성장 가능성이 큰 글로벌 3D 프린팅 건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신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블랙버팔로는 3D 프린팅 분야 전문가 바박 자레이시안(Babak Zareiyan) 박사를 글로벌 R&D 책임자로 선임했다. 그는 3D 프린팅 건설을 비롯해 로봇 공학과 자동화 등에서 방대한 지식을 갖춘 인물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3D 프린팅 건설은 대형 3D 프린터를 이용, 골조와 벽체를 만드는 것이다. 바닥 기초작업을 제외한 대부분 공정이 자동화 돼 비용과 시간, 재료와 노동력 등 거의 모든 재화를 최대 80% 절감할 수 있다. 미국 시장 조사기관인 그랜드 뷰 리서치(Grand View Research)에 의하면 글로벌 3D 프린팅 건설시장 규모는 지난 2019년 460만 달러로 평가됐으며, 지난 2020년부터 오는 2027년까지 114.8%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마이클 우즈 블랙버팔로 최고경영자(
[더구루=선다혜 기자] HN그룹이 미국에서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는데 성공했다. 이 자금은 3D 건설 프린팅과 블록체인 기반 사물인터넷(IOT) 등 그룹의 미래 먹거리에 쓰일 예정이다.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HN의 미국법인 BSH(Big Sun Holdings Group)는 지난 4일(현지시간) 현지 자산운용사인 에토스와 자금조달 계약을 체결했다. 양사의 합의 하에 계약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BSH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3D 건설 프린팅과 블록체인 기반 IoT 기술을 개발하는 데 투자할 방침이다. 실제로 BSH는 자회사로 △3D 건설 프린팅 업체 '블랙버팔로우'와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업체인 '플래시랩'을 두고있다. 또한 모듈러 주택사업에도 새로 확보한 자금이 투입될 전망이다. 일명 '레고형 건축'으로 불리는 모듈러 주택 사업은 최근 건설업계 신성장동력으로 떠오르면서, 현대엔지니어링, GS건설 등 대형 건설사들도 시장 선점을 위해서 발벗고 나서고 있다. 에토스 측은 "BSH가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3D 건설 프린팅과 loT는 사업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이라며 "이번 계약을 통해서 BSH는 업계를 선도해 나가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레드우드 머티리얼즈(이하 레드우드)가 처음으로 전기 상용차 부문에서 첫 고객사를 확보했다. 일본 이스즈와 북미에서 전기 상용차 배터리 재활용에 협력한다. 고객사 저변을 넓히고 북미 배터리 재활용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운다. 4일 레드우드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 이스즈 북미 법인(Isuzu Commercial Truck of Americ)과 전기 상용차 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레드우드가 중대형 상용차 회사와 협력하는 첫 사례다. 레드우드는 이스즈의 배터리 셀과 모듈, 팩, 소재 등을 받아 미국과 캐나다에서 재활용을 추진한다. 레드우드와 이스즈는 사우스캐롤라이나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어 지리적 인접성을 토대로 시너지를 낼 전망이다. 레드우드는 지난 2022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 인근에 약 35억 달러(약 5조300억원)를 투자해 240만 ㎡ 규모의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을 짓는다고 발표했다. 오는 3분기 운영을 시작한다. 이스즈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피에몬테에 약 2억8000만 달러(약 4200억원)를 쏟아 전기 상용차 공장을 건설 중이다. 2027년부터 운영을 시작하고 이듬해 확장
[더구루=정등용 기자] 전고체배터리 제조사 퀀텀스케이프(QuantumScape)가 상장 과정에서 제기된 신탁의무 위반소송에서 최종 합의에 도달했다. [유료기사코드] 4일 미국 델라웨어주 고등법원에 따르면 퀀텀스케이프와 경영진은 주주인 셰드릭 리차드가 제기한 신탁의무 위반소송에서 875만 달러(약 120억원)를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리차드는 퀀텀스케이프가 상장을 위해 켄싱턴 캐피탈 에퀴지션(Kensington Capital Acquisition)과 역합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신탁의무를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역합병은 인수회사가 없어지고 피인수회사가 존속하는 합병 방식이다. 리차드는 회사 경영진이 충분한 실사 없이 합병을 서둘러 주주보다 자신들의 재정적 이익을 앞세웠다고 지적했다. 켄싱턴 캐피탈 에퀴지션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로 지난 2020년 6월 상장했다. 이후 같은해 9월 퀀텀스케이프 인수 계획을 발표했으며, 11월25일 최종 거래가 성사됐다. 퀀텀스케이프는 지난 2010년 설립된 전고체배터리 제조사다. 퀀텀스케이프의 전고체 배터리는 음극재 역할을 고체 상태의 분리막 위에 형성된 리튬메탈층이 대신하는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