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중국 공장 연간 수출 목표 5만대를 달성했다. 새롭게 정립한 '인 차이나, 포 더 월드'(in China, for the world·在中国, 为全球) 전략을 토대로 현지 공장을 글로벌 수출기지로 육성한 데 따른 성과이다. 이에 힘입어 현대차는 내년 중국 공장 수출 목표를 2배 확대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중국 합작사 베이징현대는 올해 연간 수출 목표인 5만 대를 돌파했다. 이는 전년 대비 400% 수직성장한 수치이다. 필리핀과 카자흐스탄 등 신흥 시장 공략을 토대로 7~11월 동안 3만5000여 대를 추가로 수출했다. 베이징현대의 올해 상반기(1~6월) 수출량은 1만3182대에 불과했었다.
이는 현지 맞춤형 전략인 '인 차이나, 포 더 월드'의 성과이다. 이 전략은 지난 4월 베이징 오토쇼에서 발표한 '글로벌 인 차이나'(Global in China) 전략의 개념을 확장한 것이다. '글로벌 인 차이나'는 중국 안에서 글로벌화를 이루겠다는 목표 아래 세워진 전략이다. 당초에는 현지 R&D 역량 강화를 토대로 한 제품 성능 개발이 중점이었다.
베이징현대는 내년 수출 목표로 '10만 대'를 제시했다. 기존 수출국과 더불어 아프리카와 중동, 중앙아시아 지역까지 수출 영토를 확장할 계획이며, 현지 전략형 SUV 모델 쿠스토 외 다른 모델도 수출 물량에 포함할 방침이다.
수출 목표 달성을 위해 '인 차이나, 포 더 월드' 전략도 강화했다. 베이징현대는 △현지화 △해외 시장 개척 2가지를 핵심 가치로, 중국 공장을 글로벌 수출기지로 육성하고 내수와 수출 비중을 '50 : 50'으로 나눴다. 베이징현대는 해당 전략에 힘 입어 지난달 내수 시장에서 전월 대비 40% 두 자릿수 급증한 1만4000여 대 판매를 기록한 바 있다.
수출 포함 내년 중국 자동차 시장 연간 판매 목표는 '50만 대'로 설정했다. 베이징현대는 순수전기차 신형 모델을 출시, 현지 운전자 선호도에 맞는 신에너지차(NEV) 모델 매트릭스를 구축할 방침이다. 이미 지난달부터 '中 독자 EV 플랫폼+기술 현지화' 융합 전략을 토대로 NEV 시장 공략 채비에 나섰으며, 중국 전략형 EV 플랫폼 개발에도 착수했다.
한편 베이징현대는 지난 2016년 연간 판매량이 100만 대를 넘어서는 등 한때 중국에서 가장 성공적인 합작 브랜드로 꼽혔으나,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사태 이후로 판매량이 줄곧 급감하고 있다. 지난해 판매량이 소폭 증가하며 반등 기대감을 키웠지만 올해 상반기 판매가 9만4300대에 그치며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올해 1~10월 누적 판매는 13만8200여대로 전년 보다 10% 가량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