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다정 기자] 국민 MC 유재석을 앞세운 tvN 예능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럭'(이하 유퀴즈)이 다시 한 번 일본 방영을 결정하며 한류 확산을 주도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CJ ENM 재팬은 오는 11월 일본 'Mnet' 채널과 일본 최초의 한국 엔터테인먼트 영상서비스(OTT)인 'Mnet Smart'를 통해 유퀴즈를 방영한다. tvN 대표 장수 예능으로 자리 잡은 유퀴즈는 게스트로 출연하는 일명 ‘자기님’들이 자신의 삶을 솔직하게 공유하고, 그 속에 담긴 의미 있는 메시지와 긍정적인 에너지를 시청자들에게 전달하는 길거리 토크&퀴즈 프로그램이다. CJ ENM 재팬은 앞서 지난 7월에도 매주 수요일마다 6회 이상 일본에 방영한 바 있다. <본보 2021년 5월 22일자 참고 '유퀴즈' 日 최초 방송…CJ ENM, 퀴즈 예능으로 한류 확산 주도> 오는 11월에는 국내 인기스타들이 출연한 유퀴즈 편이 방영된다. 먼저 11월 2일 ‘연반인’ 재재가 출연한 51화를 시작으로 △슬기로운 의사생활 특집(56회) △개그맨 특집(62회) △영화배우 진기주 씨가 출연한 ‘이직의 기술’ 특집(97회) 등이 방영된다. CJ ENM은 국내의 다양
[더구루=김다정 기자] 코웨이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어려움을 겪는 말레이시아 지역사회를 위해 식량지원에 나섰다. 예년보다 기부활동을 강화하면서 기업의 사회적책임(CSR)에 앞장서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코웨이 말레이시아는 현지 자선단체 '멀시 말레이시아'(Mercy Malaysia)에 총 40만 링깃(약 1억1250만원)을 기부했다. 기부금은 소득 하위 40% 이하를 의미하는 'B40' 소외계층 가족, 장애인, 난민과 쉼터 등에 배포될 3600개의 식품 팩을 지원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코웨이 말레이시아는 지난 8월부터 멀시 말레이시아와 제휴해 쿠알라룸푸르, 셀랑고르, 파항, 조호르, 멜라카, 사바, 페락, 페낭 지역에 3133개의 식푸맥을 전달했다. 나머지 식품 팩은 이달 내 배포될 계획이다. 이번 CSR 이니셔티브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말레이시아 국민들과 함께하겠다는 코웨이의 약속의 일환이다. 현재 코웨이 말레이시아는 '베스트 라이프 솔루션'(Best Life Solution) 기업으로서, 지역사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올해 코웨이 말레이시
[더구루=김다정 기자] 'K-라면' 열풍을 주도하는 농심이 싱가포르 라면 전시관에 입성, 현지 소비자들에게 눈도장을 찍는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농심 '신라면'은 싱가포르 라면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싱가포르 라면 테마 놀이터에 전시된다. 싱가포르 최초의 라면 테마 놀이터 'Slurping Good'은 오는 25일부터 내년 1월 30일까지 로처 지역에서 운영될 예정이다. 방문객들은 2개층에 걸친 13개의 인터랙티브존에서 다양한 체험을 하고, 벽화와 설치물 등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다. 라면 테마 놀이터는 일본 라면회사인 닛신(Nissin)과 협업을 통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대부분의 설치물과 프로그램이 닛신이 생산한 제품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그러나 신라면 컵라면의 거대 모형이 유일하게 설치되면서 현지 인기를 실감케 한다. 또 닛신의 주요 제품과 일본 라면을 전시해 놓은 국수 벽에는 농심의 주요 브랜드도 포함돼 눈길을 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라면 테마 놀이터는 동남아시아 최대 전자 상거래 플랫폼인 라자다(Lazada)와 협력을 토대로 기획됐다"며 "이를 통해 농심은 싱가포르 소비자들에게 눈도장을 찍고 현지 시장 점유율 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더구루=김다정 기자] K-라면이 대만 라면 시장을 장악했다. 특히 농심과 팔도, 오뚜기 등이 현지 판매 순위 '톱10'에 이름을 올리고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4일 대만 인보스 데이터(invos Data)가 발표한 '8월 라면 브랜드별 종합 판매 상위 20위'에서 농심 신라면은 전체 3위를 차지했다. 특히 신라면은 슈퍼마켓에서 판매 1위를 기록했다. 인보스 데이터는 소비자 전자영수증 서비스와 관련 데이터를 분석·제공하는 서비스 업체다. 현재 농심은 코로나 사태를 맞아 온·오프 채널로 신라면 판매량을 확대하며 대만 라면업계 판매 상위 자리를 공고히 하고 있다. 신라면의 경우 지난 4월에도 대만 최고 인기 라면 1위에 등극한 바 있다.<본보 2021년 4월 28일자 참고 농심 신라면 대만 인기 '1위'…삼양식품 불닭볶음면 '3위'> 팔도는 6위에 올랐다. 국내에서는 비교적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팔도는 해외시장에서는 국내에서 내로라하는 제품들 부럽지 않은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이에 힘입어 최근 팔도는 현지 주요 채널 입점 확대를 추진하면서 해외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중화권과 동남아를 중심으로 선전하고 있는 오뚜기 라면도 9위에 이름을 올렸
[더구루=김다정 기자] 미국 바이오텍 인사이트(Incyte)가 개발한 '옵젤루라'(Opzelura)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로 승인받았다. 동시에 심장 및 심각한 감염 위험과 관련된 부작용 문제에 대해 경고했다. FDA는 21일(현지시간) 옵젤루라 크림을 국소 처방약으로 적절히 조절되지 않거나, 면역이 약화되지 않은 12세 이상 경·중등도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 대한 단기 및 비연속 만성치료제로 승인했다. 옵젤루라는 미국에서 승인된 JAK억제제 중 최초이자 유일한 국소 제제다. JAK1/JAK2 억제 크림으로, 이미 골수섬유증 등에 경구형 치료제로 나온 자카비와 동일성분이다. 이번 FDA 승인은 경증에서 중등도 아토피 피부염을 앓는 청소년과 성인 1200명을 대상으로 한 옵젤루라의 임상 3상시험 결과를 기반으로 한다. 임상시험 결과, 옵젤루라의 치료 성공 비율은 51.3~54.8%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려움 완화 비율은 50.7%에서 52.2%였다. 흔하게 나타난 치료 관련 부작용은 비인두염, 설사, 기관지염, 귀 감염, 호산구 증가, 두드러기, 모낭염, 편도염, 콧물 등이 있다. 에르페 호페노트 인사이트 최고경영자(CEO)는 "
[더구루=김다정 기자] LG생활건강이 자회사 '에버라이프'를 통해 일본 건강기능식품·이너뷰티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에버라이프는 크릴오일 건식 제품인 '레드 오메가100'을 일본에서 판매한다. 이 제품은 글로벌 크릴오일 원료사인 '에이커 바이오 마린 안타크틱'과 공동 개발한 제품으로 고품질의 크릴오일인 '수퍼바 부스트'(SUPERBA BOOST)를 함유하고 있다. 에버라이프는 '레드 오메가100'를 오는 26일 11시 부터 일본 최대의 TV 판매 전문 채널인 '쇼핑 채널'에서 방송될 예정이다. 세계 판매 1위 크릴오릴 원료사인 에이커가 생산하는 슈퍼부스트는 크릴오일 원료 중 인지질 최고함량을 자랑한다. 전 세계 크릴오일 원료 중 아케르의 크릴오일만이 유일하게 미국 FDA GRAS 인증을 받았다. 최근 일본 내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계속되면서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가운데 LG생건은 에버라이프를 통해 일본 건강기능식품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이번 에버라이프와 에이커의 협력 역시 건강기능식품 사업 확대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앞서 LG생건은 지난 2013년 일본 에버라이프 지분 100%(3300억원)를 인수하고 현지에서 화
[더구루=김다정 기자] 롯데마트 베트남 붕따우점의 토지 무상 임대 논란에서 벗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토지를 회수당할 위기에 놓였으나 지방정부가 중앙정부에 강력하게 임대 허용을 요청한데 따른 것으로 최종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베트남 바리아 붕따우(Ba Ria-Vung Tau) 성 인민위원회는 자료를 통해 "롯데마트 붕따우점의 토지를 계속 임대할 수 있도록 허용해 달라"는 내용을 골자로 한 의견서를 중앙 정부에 전달했다. 앞서 롯데측는 붕따우 종합무역센터 프로젝트 건립을 위해 붕따우시 티삭 거리에 위치한 1만400㎡ 토지를 임대, 지난 2014년 12월 부터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2018년 5월 중앙정부 감사원이 롯데 종합무역센터 사업과 관련 토지 이전 위반사항을 지적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바리아-붕따우성 인민위원회가 토지사용권 경매를 거치지 않고 이 토지를 현지 회사인 퉁두엉 타이손(Trung Duong-Thai Son Joint Stock Company)에 할당했기 때문이다. 퉁두엉 타이손은 롯데 베트남 무역센터와 프로젝트 이전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 경우 국가 예산의 손실을 피하기 위해 현지 법에 따라 프로젝트
[더구루=김다정 기자] 해양 생태계 문제 등이 점차 수면 위로 떠오르며 대체육에 이어 '대체 해산물' 시장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21일 코트라 미국 로스앤젤레스무역관에 따르면 해양 생태계 파괴나 중금속 및 미세 플라스틱 섭취 문제 등이 대두되면서 해산물을 다른 원료로 대체하려는 ‘대체 해산물 식품’ 분야가 새롭게 주목받기 시작했다. 대체 해산물 시장의 전망 역시 매우 밝다. 굿푸드인스티튜트(Good Food Institute)에 따르면 2020년 미국 내 식물 기반 해산물의 매출은 전년 대비 23% 성장한 약 1200만 달러(약 141억원)를 기록했다. 특히 올해 상반기 미국의 식물 기반 해산물 분야 투자액은 약 7000만 달러(약 820억원)에 달했한다. 이는 해당 분야의 지난 2개년 투자액 규모와 맞먹는 수치다. 이처럼 대체 해산물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관련 식품업계 역시 발 빠르게 대응에 나섰다. 소위 ‘빅 푸드’(Big Food)라고 불리는 글로벌 식품 대기업들도 동참하고 있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육류 가공 및 판매기업인 미국 '타이슨 푸드'(Tyson Foods)는 식물 기반 해산물 전문 기업 '뉴 웨이브 푸드'(New
[더구루=김다정 기자] 오는 2026년 북미 소주시장이 3억6110만 달러(약 4257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소주가 과거 교민 중심의 한인타운에서 현지인 중심으로 펍시장으로 확산하고 있다. 박태영 하이트진로 사장이 북미 시장 공략에 역량을 집중하는 노림수를 엿 볼 수 있는 대목이다. 21일 시장조사 기업인 베리파이드 마켓 리서치(Verified Market Research)가 발표한 '2021 북아메리카 소주 시장 규모'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북미 소주시장은 2억738만 달러(약 2445억원) 규모였다. 이후 2019년부터 매년 7.32%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2026년 3억6110만 달러(약 4257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국내 소주시장이 2015년 이후 지금까지 연간 2조5000억원대에 머물러 있는 것을 감안하면 미국 시장의 성장세는 매우 높은 수준이다. 국내 시장의 정체 상황에서 하이트진로는 지난 2016년 소주의 세계화를 선언한 이후 해외 소주시장에서 꾸준히 성장했다. 과거 소주를 일본과 중국 등 인접국 교포시장에 수출하는 데 집중해왔으나 최근 BTS의 흥행 등 한류 영향을 고려해 이제는 세계로 눈길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특
[더구루=김다정 기자] 중국의 '신(新)중산층'이 새로운 소비 주역으로 떠올랐다. 이들은 안정적인 소득과 자산을 바탕으로 시본적인 삶의 욕구를 충족하면서도 삶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많은 돈과 시간을 투자한다. 20일 코트라 중국 상하이무역관에 따르면 중국은 소비 전환의 가속화 단계에 접어들면 소비도 기존 양적 성장에서 양·질적 성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새로운 소비군을 분류되는 신중산층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신중산층은 안정적인 소득과 자산을 바탕으로 양호한 교육을 받고 기본적인 삶의 욕구를 충족하면서도 삶의 품질, 정신생활에 대한 높은 추구와 높은 소비·투자 여력이 있는 집단을 의미한다. 코트라 상하이무역관은 "중국이 본격적으로 의식주 걱정을 하지 않는 물질적으로 안락한 ‘샤오캉’(小康) 사회로 진입하면서 1인당 소득 수준, 소비지출 규모는 지속적으로 향상하고 있다"며 "중산층이 갈수록 확대돼 중국 소비의 중추적 역할을 맡아 중국 내 소비 업그레이드를 가속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최근 글로벌 컨설팅 기업 맥킨지(McKinsey)가 발표한 '2020년 중국 소비자 조사 보고'에 따르면 현재 중국 중간 소득층의 규모는 3억명을 넘어섰으며, 오
[더구루=김다정 기자] CJ제일제당이 신제품 '갓츄'(Gotchu)를 내세위 '1조7000억원' 규모의 미국 핫소스 시장을 정조준한 가운데 SNS 마케팅으로 초기 고객몰이에 나섰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의 글로벌 한식 브랜드 비비고는 지난달 24일 미국시장에 갓츄라는 새로운 핫소스를 출시하고, 활발한 SNS 마케팅을 전개하고 있다. 갓츄는 한국 전통 고추장을 현지인 입맛에 맞게 재해석한 매운맛 소스다. 클래식과 엑스트라 스파이시 등 두 가지 맛으로 출시됐다. 제품 정식 출시 3일전 공식 비비고USA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 'weGOTCHE'라는 해시태그를 달고 "곧 출시되는 신제품, 뭘까요?"라며 기대를 모은데 이어 출시 디데이까지 매일 갓츄와 관련된 게시글을 올리면서 소비자들의 관심을 유도했다. 이후 인스타그램을 통해 다양한 음식에 갓츄를 활용하는 모습을 담으면서 눈길을 끌고 있다. 비비고는 갓츄를 통해 만두, 볶음밥 등 한식을 기반으로 한 기존 주력 제품과의 시너지를 노리는 만큼 이들 제품과의 다양한 활용법을 소개한다. 특히 인플루언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약 23만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요리 크리에이터 'nom_life'가 갓츄를 활용
[더구루=김다정 기자] 한화가 미래 성장동력으로 '대체육'을 점찍고 싱가포르 비건 수산물 스타트업에 투자했다. 최근 대체식품 분야가 주목받으면서 SK, CJ 등 대기업도 일제히 관심을 보이자 한화 역시 이 시장을 미리 선점하기 위한 행보로 보인다. 싱가포르의 식물 기반 식품 기업인 그로스웰 푸드(Growthwell Foods)는 16일(현지시간) 프랑스 투자사 크레아데브(Creadev)가 주도한 시리즈 A 펀딩 라운드에서 2200만 달러(약 259억원)를 모금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지난해 그로스웰이 식물 단백질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작년에 800만 달러(약 94억원)를 모금한 후 나온 것. 이번 펀딩 라운드에는 GGV캐피탈, 아이리스펀드(아이리스캐피탈, 한화, 펜자나캐피탈 지원)을 비롯해 기존 투자자인 테마섹, DSG컨슈머파트너스도 참여했다. 저스틴 추 그로스웰 전무는 "동남아시아를 넘어 식물 영양사업을 확장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글로벌 투자자가 합류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현재 시리즈 A 기금 모금 라운드가 동남아시아 푸드 테크 분야에서 가장 큰 것 중 하나라고 알고 있다"이라고 말했다. 최근 대체식품 분야가 미래 신사업으로 주목을 받으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챗GPT를 활용한 '지브리 스타일 사진 만들기'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오픈AI 인프라에 심각한 부담이 되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오픈AI는 과부화가 지속될 시 신규 서비스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료기사코드] 샘 알트만 오픈AI CEO는 1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챗GPT 이미지 변환에 컴퓨팅 자원을 집중하면서 신규 기능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며 "일부 기능은 중단되고 서비스가 느려질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달 28일에도 "사람들이 챗GPT로 즐거워하고 있지만 우리의 GPU는 녹아내리고 있다"며 인프라 과부화 문제를 알린 바 있다. 오픈AI 인프라가 과부화된 배경에는 지난달 25일 출시된 챗GPT-4o 이미지 생성 모델이 있다. 해당 모델 출시 직후 전세계 이용자가 자신의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로 변환하기 시작한 것. 이용자들은 지브리 외에도 픽사와 디즈니, 심슨, 명탐정 코난, 짱구는 못말려 스타일로 사진을 변경하고 있다. 문제는 해당 기능이 전세계적인 입소문을 타면서 신규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점이다. 알트만 CEO는 지난달 31일 "
[더구루=김은비 기자] 글로벌 IT기업 HCL테크놀로지스(HCLTech, 이하 HCL테크)가 삼성전자 차세대 반도체 파운드리 생태계 ‘SAFE™(Samsung Advanced Foundry Ecosystem)’ 프로그램에 합류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HCL테크는 삼성전자 SAFE™ 프로그램의 ‘설계 솔루션 파트너(Design Solution Partner, DSP)’로 선정됐다. SAFE™ 프로그램은 반도체 설계 회사가 삼성전자 첨단 반도체 공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파트너십 생태계다. △전자설계자동화(EDA) △설계 솔루션·서비스 △지적재산권(IP) △클라우드 솔루션 등 반도체 설계에 필요한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HCL테크는 삼성전자 고객에게 맞춤형 반도체(ASIC) 설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신규 반도체 기술의 조속한 개발·출시를 돕고, 반도체 설계·생산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다. 삼성전자는 HCL테크 엔지니어에게 최신 반도체 기술과 관련된 전문 교육도 제공할 예정이다. 고객 맞춤형 반도체 설계 프로젝트(턴키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적 지원 또한 병행한다. 이번 협력을 통해 HCL테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