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휠라가 마카오에서 열린 테니스 대회에 공식 후원사로 참여하며 스포츠 마케팅을 강화했다. 국내를 넘어 해외에서 '테니스 명가(名家)' 브랜드 이미지를 공고히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휠라는 지난달 24일부터 이틀 동안 마카오 소재 체육·이벤트 시설 마카오 포럼(Macau Forum)에서 개최된 '2024 MGM 마카오 테니스 마스터즈'(2024 MGM Macau Tennis Masters·이하 마카오 테니스)에 독점 의류 후원사로 참여했다. 대회 운영을 맡은 심판, 볼보이, 스태프 등에 휠라 의류를 제공했다. 마카오 테니스 대회에 중국 테니스 스타 리 나(Li Na), 타이완계 미국인 테니스 레전드 마이클 창(Michael Chang) 등이 참가하며 중화권 테니스팬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았다. 노르웨이 출신 캐스퍼 루드(Casper Ruud), 러시아 출신 안드레이 루블레프(Andrey Rublev) 등 여러 유명 테니스 선수들도 출전했다.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휠라의 테니스 마케팅에 팬들의 관심이 뜨거웠다. 지난 1973년 테니스 웨어를 공식 론칭한 휠라는 반세기가 넘는 테니스 역사를 지니고 있다. 테니스 신발
[더구루=김형수 기자] CJ ENM이 일본 도쿄에서 개최한 K푸드 페스티벌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CJ ENM은 K컬처와 K푸드를 연계한 마케팅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전개하며 열도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CJ가 한류전파의 첨병역할을 하며 문화로 '사업보국(事業報國)'을 이뤄내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CJ ENM이 도쿄 남부 토요스(豊洲)에 위치한 대형 쇼핑몰 라라포트에서 지난달 27일부터 사흘간 개최한 K푸드 축제 '홋또 한국 페스'(ホッと ハングク フェス)에는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CJ ENM은 농심, CJ제일제당 등 국내 식품 기업들과 협력해 이번 페스티벌을 기획했다. K드라마가 일본에서 흥행하며 K푸드에 대한 일본 수요가 늘어나는 것을 감안해 현지 소비자들에게 K드라마에 등장하는 여러 한식 체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한 행사다. 지난해 3월 글로벌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넷플릭스를 통해 일본에 공개된 CJ ENM 드라마 '눈물의 여왕'은 드라마 순위 1위를 차지하는 등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다. 5차 한류를 견인하고 있다는 평가다. '도깨비'(1위), '사랑의 불시착'(2위), '슬기로운 의사생활'(3위) 등 CJ ENM 드
[더구루=김형수 기자] CJ제일제당 비비고가 북미 소비자들의 입맛을 꽉 잡았다. 비비고 소불고기 만두가 미국 대형마트 코스트코 '베스트 K가공식품' 순위 정상을 꿰찼다. 비비고 치킨&실란트로 미니 완탕도 최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며 CJ제일제당이 현지에서 품질 경쟁력을 인정받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3일 미국 라이프스타일 매체 퍼레이드(Parade)에 따르면 CJ제일제당 비비고 소불고기 만두는 미국 코스트코 '베스트 K가공식품' 1위를 차지했다. 퍼레이드는 △맛 △편의성 등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해당 순위를 매겼다. CJ제일제당 비비고 소불고기 만두는 소고기와 야채 등으로 만들어진 만두소가 듬뿍 들어가 있어 풍성한 맛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간장 양념으로 맛을 낸 만두로 차별화된 미식 경험을 할 수 있다는 평가다. 비비고 소불고기 만두에 이어 비비고 치킨&실란트로 미니 완탕이 2위에 올랐다. 비비고 만두가 이번 순위 '톱5' 가운데 두 자리를 차지한 것이다. 비비고 치킨&실란트로 미니 완탕은 후라이팬을 이용해 5분만 조리하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다는 점이 호평을 받았다. 재빠르게 준비할 수 있어 파티 음식으로 제격이라는
[더구루=김형수 기자] 우즈베키스탄 위생 당국 관계자들이 KT&G 대전 연구소를 방문해 협력을 모색하는 자리를 가졌다. 소이비욘 고지예프(Soyibjon Goziev) 우즈베키스탄 위생청(Uzbek Department of Sanitary and Epidemiological Surveillance) 청장이 이끄는 대표단은 지난달 10일 KT&G R&D본부를 찾아 K담배의 초격차 기술을 직접 확인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교류했다. 대전 연구소는 담배 신제품·기존 제품 연구, 제조담배 특성 분석, 담배 필터 및 향료 기술 연구 등을 담당하는 KT&G R&D 산실이다. 과학적 규제에 대응한 위험요소 저감 제품 개발, 신사업 모델 발굴 등을 주도하는 핵심 조직이라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이날 조성문 KT&G R&D 본부장은 소이비욘 고지예프 청장과 회동했다. 향후 공동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협력 방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전문가를 위한 기술 훈련 방안 관련 논의도 이뤄졌다. 지난해 8월 체결한 상호 기술 교류 관련 업무협약(MOU)의 연장선으로 풀이된다. 우즈베키스탄 정부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유라시아 시
[더구루=김형수 기자] 하림 미국 자회사 앨런 하림(Allen Harim)이 수천억원 규모의 반독점법 위반 소송 합의금에 합의했다. 15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법정 공방으로 인한 비용 부담 등 불확실성을 해소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2일 미국 메릴랜드 연방지방법원(U.S. District Court the District of Maryland)에 따르면 앨런 하림을 비롯한 현지 가금류 가공기업 9개사는 해당 법원에 제출된 합의안에 동의했다. 임금 상승 억제 등을 위해 공모, 반독점법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노동자들과 소송을 근로자들에게 1억8000만달러(약 2640억원) 규모의 합의금을 지불하는 것이 합의안의 골자다. 노동자 측 변호인단이 지난달 23일(현지 시간) 스테파니 갤러거(Stephanie Gallagher) 미국 메릴랜드 연방지방법원 판사에게 해당 합의안에 대한 예비 승인을 요청했다. 앨런 하림 500만달러(약 70억원)를 비롯해 △아믹 팜즈(Amick Farms) 625만달러(약 90억원) △버터볼(Butterball) 850만달러(약 120억원) △필데일(Fieldale) 550만달러 △포스터팜스(Foster Farms) 1330만달러 △JOTS 3
[더구루=김형수 기자] 아모레퍼시픽이 올해 중국 시장에서 자존심 회복에 본격 나선다. 옛 영광을 되찾고 K뷰티 대표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한다는 목표다. 시장의 우려보다는 중국 소비자의 화장품 구매 수요가 회복되면서 분위기도 좋다. K뷰티 대표기업으로의 성장을 위해 해외 진출과 투자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아모레퍼시픽 입장에선 중국 시장은 포기할 수 없는 국가로 꼽힌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은 세계 2위 수준인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전략의 핵심은 △소비자 중심 제품 혁신 △지속적 디지털 고도화 △미래지향적 지속가능 경영 등 3대 축으로 본격 체질 개선에 나선다는 게 주요 골자다. 지난해 5월 아모레퍼시픽 중국 사업의 지휘봉을 잡은 박태호 중국법인장이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실적 반등 조짐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활로 모색에 대한 박 법인장의 의지가 강조된 것으로 풀이된다. 아모레퍼시픽이 지난해 3분기 중국을 비롯한 중화권에서 올린 매출은 97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 감소했다. 우선 중국 상하이 소재 R&D센터를 제품 혁신의 거점으로 삼는다. 품질 경쟁력 향상에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
[더구루=김형수 기자] LX판토스가 미국 항공운송(Airfreight Forwarders) 기업 순위 33위를 거머쥐었다. 국내 기업 가운데 가장 높은 자리를 차지했다. CJ대한통운은 48위에 이름을 올렸다. 2일 북미 물류전문매체 트랜스포트토픽스(Transport Topics)에 따르면 LX판토스는 지난해 미국 항공운송 부문 33위를 꿰찼다. 국내 기업 중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 트랜스포트토픽스는 각 기업별 지난해 항공운송 물동량 등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해당 순위를 매겼다. LX판토스는 북미 지역에 확보한 7개 물류 거점을 토대로 지난해 11만 메트릭톤(Metric Tons) 규모의 항공 화물을 처리했다는 점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LX판토스는 미국 뉴저지주에 항공운송, 보관 및 창고·운송(W&D) 기지를 보유하고 있다. 특수 화물 물류 전문성 강화에도 주력하고 있다. 지난 2023년 5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로부터 '리튬 배터리 항공운송 품질 인증'(CEIV Li-Batt)을 획득했다. 당시 LX판토스가 글로벌 전기차·배터리 물류 시장 공략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앞서 지난 2022년 11월 IATA로부터 '신선
[더구루=김형수 기자] 동아에스티가 독자적인 기술로 비만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자회사이자 동아쏘시오그룹의 R&D 전진기지인 메타비아(Metavia)를 통해 비만치료제 ‘DA-1726'의 글로벌 임상 1상 파트3을 진행중이다. DA-1726 개발이 순항하면서 시장에서는 메타비아를 향한 장밋빛 전망이 쏟아지고 있다. 2일 미국 투자은행 HC웨인라이트(H.C. Wainwright)는 메타비아에 대한 첫 투자 등급 평가에서 '매수'(Buy) 등급을 부여했다. 또 목표 주가 12.00달러(약 1만7720원)를 제시했다. 동아에스티 미국 자회사 메타비아 주가가 수직상승했다. 메타비아가 개발 중인 비만치료제 후보물질 'DA-1726' 임상시험에서 긍정적 결과가 나오자 시장이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메타비아는 지난 1일(현지 시간) 2.03달러(약 3000원)로 장을 마쳤다. 1.60달러(약 2360원)를 기록했던 지난달 20일에 비해 26.88% 올랐다. 메타비아 주가는 △지난달 24일 1.62달러(약 2390원) △지난달 26일 1.81달러(약 2670원) △지난달 30일 1.98달러(약 2920원) 등 상승세다. DA-1726 임상 1상 파트1에서 안전성
[더구루=김형수 기자] KT&G가 인도네시아 정부로부터 감사장을 받았다. 인도네시아에서 7년 동안 장학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미래 인재 육성에 앞장선 공로를 인정받았다. KT&G가 국내를 넘어 해외에서 교육기회 불평등을 해소하고 과학기술 발전을 이뤄내는 글로벌 기업시민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는 평가다. 2일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오랜 기간 현지에서 장학사업을 전개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한 KT&G에 감사장을 수여했다. KT&G는 지난 2018년 인도네시아 장학 프로그램을 시작해 지난해 1월까지 1000명에 육박하는 장학생을 선발했다. 지난해 1월 말 인도네시아 산업부 산업인력개발청(BPSDMI)과 '폴리테크닉커뮤니티아카데미'(AKOM) 장학사업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는 등 현지 인재 발굴·육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해당 업무협약을 토대로 AKOM 학생 130여명에게 4억5000만루피아(약 3800만원) 규모의 장학금을 지원했다.<본보 2024년 1월 31일 참고 KT&G, 글로벌 인재육성 팔 걷어…印尼서 6년째 장학금 지급> 이밖에도 인도네시아 대학생들에게 문화·예술·취업·창업 관련 무료 수업을 제공
[더구루=김형수 기자] CJ대한통운이 북미 콜드체인 물류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 통합 법인 CJ로지스틱스 아메리카를 통해 현지에 최첨단 솔루션을 도입한 콜드체인 시설을 연달아 건설하고 현지 물류시장 내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미국 통합법인이 사업 성과와 경쟁력을 토대로 글로벌 종합물류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오는 3분기 미국 중부 캔자스주 뉴센추리(New Century) 소재 CJ로지스틱스 아메리카 콜드체인 물류센터가 본격 운동에 돌입한다. 축구장 4개와 맞먹는 2만7000㎡ 규모의 조성된 물류센터는 제품별 보관온도에 맞춰 다양하게 온도관리를 할 수 있는 복합물류센터다. 약 90% 공간은 냉장, 냉동 제품을 대상으로 한 콜드체인 물류를, 나머지는 상온 물류를 수행한다. '알타 익스퍼트 냉장 시스템'(Alta EXPERT Refrigeration System·이하 알타),'QFM 블라스트 프리징'(QFM Blast Freezing·이하 QFM) 솔루션 등 최첨단 콜드체인 기술이 도입된다. 보관상품에 대한 철저한 품질관리를 위해 미국 농무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더구루=김형수 기자] 아모레퍼시픽이 중국에서 우수 다국적기업 ESG 보고서상을 수상했다. 아모레퍼시픽이 중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현에 앞장서고 있다는 공로를 인정받았다는 평가다. 중국 시장 내 재도약을 노리고 있는 아모레퍼시픽이 브랜드 친밀도 제고, 소비자층 확대 등의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은 지난 창립 78주년을 맞아 "여전히 우리에게 중요한 중국 시장에서의 재도약을 반드시 이뤄내자"고 강조한 바 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은 지난달 중국 상하이시 외국인투자협회(上海市外商投资协会)로부터 '상하이 다국적기업 지역 본부 우수 ESG 보고서상'을 받았다. 상하이시 외국인투자협회는 해외기업의 ESG 경영을 촉진하고, 상하이시를 ESG 선도 도시로 발돋움시킬 목적으로 해당 상을 제정, 우수 기업을 선정해 상을 수여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환경 보호 △동반 성장 등 다방면에 걸친 ESG경영 전개에 집중했다는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상하이 사업장의 연간 폐수·빗물 재활용량을 늘려 탄소배출량을 감축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해양 자원 보전을 위해 활동하는 연구 기관·단체를 지원하는 WWF-CH
[더구루=김형수 기자] CJ CGV가 인도네시아 계열사 PT 그라하 레이어 프리마(PT Graha Layar Prima Tbk·이하 그라하)의 재무구조 개선에 고삐를 죄고 있다. 신용대출로 부채 상환을 통한 기업 가치를 높이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그라하는 지난 16일(현지 시간) 현지 신한은행으로부터 400억루피아(약 36억2800만원) 규모의 신용대출을 조달했다. CJ CGV의 담보를 토대로 이번 대출이 이뤄졌다. 대출 만기는 5년이다. 그라하는 확보한 자금을 채무 상환에 나설 계획이다. 그라하가 공개한 재무제표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그라하 단기 부채 규모는 6779억루피아(약 614억8600만원)에 달한다. CJ CGV의 중국·베트남·인도네시아 통합법인 CGI홀딩스로부터 3237억3600만루피아(약 293억6300만원), KB부코핀 은행으로부터 2500억루피아(약 226억7500만원), KDB산업은행으로부터 616억6400만루피아(약 55억3400만원), 신한은행 인도네시아로부터 425억루피아(약 38억550만원) 등이다. 채무 상환은 그라하의 최우선 선결 과제로 꼽힌다. 대규모 단기 부채로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우며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지지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최대 D램 제조사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스(CXMT, 중국명 长鑫存储技术)가 D램 가격 표준이 되는 DDR4형 메모리 가격을 인상할 것으로 보인다. CXMT는 지난해 DDR4 생산량을 대폭 늘리는 한편 가격 인하까지 동반하며 D램 시장에서 빠르게 존재감을 키웠지만 불과 1년이 안된 사이 가격 인상을 고민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몇 년간 메모리 가격이 하향 안정화된 가운데 CXMT의 가격 상승이 반도체 업계에 어떤 영향을 또 불러올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일 대만 최대 IT전문매체 디지타임스(DIGITIMES)에 따르면 CXMT는 범용 메모리인 DDR4의 수요와 공급 안정화 추세가 지나면 가격 인상에 나설 전망이다. CXMT은 그동안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해 DDR4 가격 덤핑을 해왔다. 자국산 D램을 우대하는 보조금 정책을 유지하면서 저렴한 가격에 중국 디바이스 제조자들에게 D램 공급을 늘려왔다. <본보 2025년 2월 19일 참고 D램 국제가격 하락세 가속...中 자국산 생산·사용 확대가 주요인> CXMT 외 중국 대표 메모리 제조업체인 푸젠진화(福建晉華·JHICC)도 DDR4을 50% 할인된 가격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챗GPT를 활용한 '지브리 스타일 사진 만들기'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오픈AI 인프라에 심각한 부담이 되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오픈AI는 과부화가 지속될 시 신규 서비스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료기사코드] 샘 알트만 오픈AI CEO는 1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챗GPT 이미지 변환에 컴퓨팅 자원을 집중하면서 신규 기능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며 "일부 기능은 중단되고 서비스가 느려질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달 28일에도 "사람들이 챗GPT로 즐거워하고 있지만 우리의 GPU는 녹아내리고 있다"며 인프라 과부화 문제를 알린 바 있다. 오픈AI 인프라가 과부화된 배경에는 지난달 25일 출시된 챗GPT-4o 이미지 생성 모델이 있다. 해당 모델 출시 직후 전세계 이용자가 자신의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로 변환하기 시작한 것. 이용자들은 지브리 외에도 픽사와 디즈니, 심슨, 명탐정 코난, 짱구는 못말려 스타일로 사진을 변경하고 있다. 문제는 해당 기능이 전세계적인 입소문을 타면서 신규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점이다. 알트만 CEO는 지난달 31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