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한아름 기자] 덴마크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의 비만치료제 ‘위고비’(Wegovy)가 오는 10월 국내 출시를 공식화한 가운데 자살 충동 부작용 논란이 불거지면서 관련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위고비를 투여하는 환자들이 잠재적으로 자살 충동을 겪을 위험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미국 학술지에 게재된 것. 위고비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체중 감량을 위해 출시된 주사형 치료제로 주성분은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다. 세마글루타이드는 본래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됐으나 뛰어난 체중 감량 효과로 인해 비만 치료 용도로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주 1회 투약으로 약 15%의 체중(68주 임상 대상자 평균)을 줄이는 효능이 있다. 당뇨병 치료제로는 ‘오젬픽’(Ozempic)이라는 제품명을 쓰고 있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진원생명과학의 미국 자회사 VGXI가 미국 보건부 산하 질병예방대응본부의 생물의학첨단연구개발국(BARDA)이 지원하는 바이오맵 컨소시엄(Biopharmaceutical Manufacturing Preparedness·BioMap Consortium)에 합류한다. VGXI가 지난달 신속대응협력기구(RRPV) 회원사로 선정된 데 이어 BARDA와 협력 관계를 확대하면서 미국 사업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VGXI는 유전자치료제, DNA백신, RNA의약품 등 핵산 바이오의약품 분야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이다. 21일 BARDA에 따르면 VGXI가 바이오맵 컨소시엄 회원사로 선정됐다. 바이오맵 컨소시엄은 미국 바이오의약품 기술 개발 역량과 바이오의약품 공급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자금 지원, 기술 지도, 공정 개선 등 현장 밀착형 기술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백신·치료제 개발로 유명세를 떨친 대형 제약사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 △화이자(Pfizer) △모더나(Moderna) 등을 포함해 200여개 제약·바이오 기업이 회원사로 활동
[더구루=한아름 기자] 미국 수제버거 프랜차이즈 브랜드 쉐이크쉑(ShakeShack)이 자율 주행 배달에 나선다. 로봇 기업인 서브 로보틱스(Serve Robotics)와 맞손을 잡았다. 국내 쉐이크쉑을 운영하는 SPC그룹의 로봇 배달 도입에도 이목이 쏠린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글로벌 주류 기업 디아지오(Diageo)가 내년 프랑스에서 모엣헤네시(Moët Hennessy)와 설립한 합작법인을 청산한다. 합작법인을 설립한 지 24년 만에 각자도생의 길을 걷게 됐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미국 명품 브랜드 마이클코어스(Michael Kors)가 브랜드 앰배서더인 트와이스 멤버 다현을 내세워 일본 시장을 본격 공략한다. 트와이스의 인지도를 토대로 현지 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한정판 제품을 출시해 소장 욕구를 자극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제너시스BBQ그룹이 필리핀에 신규 매장을 오픈하며 동남아 시장 진출 확대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BBQ는 지난 2022년 필리핀에 첫 발을 내딛었다. 필리핀을 거점 삼아 K치킨을 대표하는 글로벌 프랜차이즈 브랜드로 자리매김한다는 계획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BBQ가 필리핀 수도 마닐라 알라방(Alabang, Manila) 인근 쇼핑몰 '페스티벌 슈퍼몰'(Festival Supermall)에 12번째 매장을 열었다. 알라방은 필리핀의 베벌리힐스라고 불리는 최고급 주거지역으로, 구매력이 높은 소비자들이 많이 거주한다. 특히 매장이 오픈한 페스티벌 슈퍼몰은 백화점, 슈퍼마켓, 호텔, 오피스 등이 들어선 번화가에 위치해 있어 신규 고객 유입과 잠재 고객을 확보하기 유리하다는 평가다. BBQ 페스티벌 슈퍼몰점은 치킨과 함께 떡볶이·김치볶음밥 등 K푸드를 즐길 수 있는 프리미엄 카페 타입이다. 동남아에서 접하기 힘든 빙수 등 특별 메뉴를 선보여 현지 소비자의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BBQ는 필리핀에서 매장 100개까지 오픈하는 등 동남아 사업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BBQ 관계자는 "필리핀을 초석으로 삼아 동남아 시장 입지를 강화하고 향후
[더구루=한아름 기자] 롯데호텔이 베트남에서 식음료(F&B) 경쟁력을 제고하고 현지 시장 공략 채비를 마쳤다. 호텔 베이커리 대표 델리카한스 매장을 확장 이전했다. 베트남 진출 5년 만이다. 현지에서 K베이커리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델리카한스가 사업을 본격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델리카한스가 롯데백화점 하노이센터점 지상 1층으로 확장 이전했다. 베이커리 주문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고객 수요에 더욱 빠르게 대응하겠다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새로 오픈한 델리카한스는 롯데백화점 하노이센터점 1층에서 △케이크 △마카롱 ·휘낭시에 등 구움과자 △소금빵·단팥빵 등 베이커리뿐 아니라 와인 등 주류도 판매한다. 기존 매장보다 규모가 커 판매 물량과 브랜드 인지도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델리카한스가 베트남 시장 공략에 힘을 주는 이유는 매출 성장성이 높기 때문이다. 베트남은 프랑스 식문화 영향을 받아 베이커리와 커피, 와인 문화가 발달돼 있다. 게다가 젊은 층 인구 비중이 높아 외국산 식품에 대해 호의적이다. 델리카한스는 신규 매장을 통해 단순히 베이커리를 판매하는 것을 넘어 현지 고객이 차별화된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특화
[더구루=한아름 기자] 에이블씨엔씨의 뷰티 브랜드 어퓨가 일본 공략에 강(强)드라이브를 건다. 다현 굿즈를 선보여 여름 전략형 제품을 베스트셀러 반열에 올려놓겠다는 계획이다. 어퓨는 지난해 일본에서 탄탄한 팬덤을 보유한 다현을 글로벌 앰배서더로 발탁하며 현지 뷰티 시장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어퓨가 일본에서 트와이스 다현 스티커 2종 증정 이벤트를 열고 고객 접점 확대에 나선다. 이벤트는 어퓨 공식 온라인몰에서 굿즈 소진 시까지 진행된다. 어퓨는 워터락 피니셔를 구매한 고객에게 스티커를 제공한다. 워터락 피니셔는 어퓨가 여름철을 겨냥해 지난 5월 일본에 새롭게 선보인 전략형 제품이다. 여름철 덥고 뜨거운 날씨와 강한 자외선 등으로 피지와 땀, 노폐물이 과도하게 생성된 피부를 보송하고 매끈하게 만들어준다는 평가다. 수분감이 있는 제형에 3중 히알루론산이 함유돼 있으며, 1회 사용 직후 피부 온도가 4.12℃가 감소하는 효과도 임상 테스트로 입증해 냈다. 어퓨가 워터락 피니셔 마케팅을 강화하는 이유는 일본에 출시하자 마자 품절대란을 일으키며 뜨거운 호응을 끌어냈기 때문이다. 일본 뷰티 플랫폼 조조코스메(ZOZOCOSME) 베스트 화장품
[더구루=한아름 기자] 광동제약 자회사가 인수한 국내 화장품 브랜드 데이지크가 일본 공략에 나선다. 팝업스토어를 열고 '스윗 하트 컬렉션'(Sweet Heart Collection)을 론칭하고 늘어나는 K뷰티 수요에 적극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지난해 11월 광동제약 자회사 KD인베스트먼트는 데이지크의 지분 75%를 300억원에 인수했다. 19일 일본 도쿄 쇼핑센터 오모테산도 힐즈(Omotesando Hills)에 따르면 오는 24일부터 한달간 데이지크 '스윗 하트 컬렉션' 팝업스토어가 열린다. 오모테산도 힐즈는 세계적인 건축가 안도 타다오(Ando Tadao)의 설계로 만들어진 데다 국내외 디자이너 브랜드 숍들이 입점해 있어 현지인이나 외국인 여행객에게 인기가 높은 쇼핑 성지다. 데이지크는 이 기간 스윗 하트 컬렉션을 포함한 제품 180여종을 선보일 예정이다. 스윗 하트 컬렉션은 지난달 국내 헬스앤뷰티(H&B) 스토어 올리브영에 입점된 메이크업 라인업이다. 섀도우 팔레트 2종과 블렌딩 무드 치크 2종, 워터 듀이 젤 쿠션 3종으로 구성돼 있으며 하트 쉐입의 패키지로 러블리함을 극대화했다. 멀티 컬러팟인 '수플레 컬러 팟' 15가지 또한 출시한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에이에스씨씨의 뷰티 브랜드 얼터너티브스테레오가 포트폴리오 다각화 전략을 통해 열도 공략에 고삐를 죈다. 다양한 라인업을 갖춰 현지 시장 지배력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아모레퍼시픽은 지난해 얼터너티브스테레오에 10억원을 투자를 단행했다. 19일 일본 오픈마켓 플랫폼 라쿠텐(Rakuten에 따르면 얼터너티브스테레오가 오는 31일 일본에 슈가 글레이즈·펄 글레이즈를 새롭게 선보인다. 얼터너티브스테레오는 라쿠텐에 이어 아마존 재팬(Amazon Japan), 큐텐(Qoo10) 등 온라인몰뿐 아니라 현지 버라이어티숍 로프트(Loft) 등에서 제품을 판매할 예정이다. 회사는 앞서 출시한 립 포션 아쿠아 글로우가 현지에서 뜨거운 반응을 보이자 신제품을 출시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슈가 글레이즈는 유리구슬처럼 반짝이는 광택감이 특징으로, 색상은 총 6가지다. 펄 글레이즈는 반짝이는 밤하늘을 재현했으며 차분한 립 메이크업을 표현하는데 도움을 준다. 얼터너티브스테레오는 일본에 슈가 글레이즈·펄 글레이즈를 소개하고 특장점을 강조해 고객 접점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국내에서 일본 등 아시아로 사업 영토를 확장하고 매출 성장 기반을 마련한다는 전략적 판단의
[더구루=한아름 기자] CJ푸드빌 뚜레쥬르가 북미 최대 아시안 푸드·외식 콘퍼런스 '테이스트 오브 아시아 어워즈'(Taste of Asia Awards)에서 최고의 브랜드상을 수상했다. 국내 외식 브랜드 가운데 이번 콘퍼런스에서 수상하는 것은 뚜레쥬르가 유일하다. 뚜레쥬르는 K베이커리의 독창성과 뛰어난 맛으로 북미 소비자 입맛을 잡았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테이스트 오브 아시아 어워즈는 뚜레쥬르가 17일(현지시간)부터 이틀간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열린 행사에서 올해 최고의 브랜드 상(Winners of The Brand of 2024)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최고의 브랜드상은 북미아시아식품산업협회(NAAFIA)에서 북미 시장에서 아시안 푸드 업계를 대표할 만한 기업에 시상하는 상이다. 뚜레쥬르는 북미아시아식품산업회로부터 K베이커리를 북미 시장에 전파한 점에서 호평받았다. 카페테리아 형식의 매장 스타일로 현지 소비자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K베이커리의 제품성과 독창성, 혁신성을 널리 알린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뚜레쥬르는 이번 시상식에서 태국 음식 전문점 피시 칙스(Fish Cheeks)와 몽골 샤브샤브 전문점 해피 램 핫 팟(Happy Lamb H
[더구루=한아름 기자] 영국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의 면역항암제 임핀지(성분명 더발루맙)가 미국 항암제 시장에서 영향력을 넓힌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수술 전·후 보조요법으로 적응증을 추가 획득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모바일 게임 시장이 다운로드 수 정체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을 기반으로 아시아 2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충성도 높은 이용자 기반과 효과적인 수익화 전략이 일본 시장의 강점이자 한계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