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수출 규제가 한국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해온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을 저격하고 있다.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 제외로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와 소재 등이 통제 대상 품목에 올라서다. 비용과 시간 문제로 대체재 개발이 쉽지 않은 가운데 일각에선 내년까지 규제가 장기화 될 수 있는 전망이 나…
2일 일본정부가 결국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하며 한일간의 경제전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국내에서도 "한국은 일본에게 어떤 피해를 줄 수 없다"며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얘기한다. 1592년, 1910년이 그랬던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과연 우리가 그렇게 쫄아야(?)하…
일본 정부가 한국을 화이트리스트 국가에서 배제하면서 경제 후폭풍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본 경제보복에 항의하는 소비자들의 불매운동은 더욱 거세질 예정이며, 대규모 피해가 우려되는 산업계는 피해를 축소하기 위해 대책 마련을 서두를 것으로 보인다. 여객 감소로 직접적인 타격을 입은 항공업…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갤럭시 폴드'가 일부 국가에서 출시가 지연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를 일본 경제보복의 영향일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일부 국가에서 펌웨어 테스트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는 루머가 돌고 있다. 이 루머가 사실이라면 삼성전자가 이…
대한항공이 일본 악재를 뚫고 훗카이도 노선에 전세기를 운항한다. 여행사의 관광 상품에 연계해 띄우는 것인데 한일 관계 악화 속에서 전세기 운항을 강행해 우려의 시선이 나온다. 23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이달과 다음달 일본 훗카이도 노선에 총 6회 전세기 운항을 진행한다. 롯데관광과 한진…
일본 항공업계가 한국 수출 규제 역풍을 우려하고있다. 일본 수출 규제로 한일 관계가 악화됨에 따라 한일 항공 노선이 줄어들거나 중단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티웨이항공이부산/무안~오이타 노선 운항 중단을 결정한 데 이어 추가노선 운휴를 검토해 역풍 우려는현실화되고 있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
일본정부는 지난4일 포토레지스트, 고순도 불화수소,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등 반도체 제조에 쓰이는 세 개 품목에 대해 수출 규제를 단행했다. 한국 경제의 큰 축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산업을 정조준한 일본정부의 경제 보복에 연일 산업계 전반에는 경고음이 울리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이번 일본의 규제…
애플이 삼성디스플레이로부터 1억 달러 규모의 플렉시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주문량을 취소하고 중국 BOE와 손을 잡았다. 일본의 디스플레이 소재 수출 규제로 생산 차질이 우려돼서다. 핵심 고객사인 애플을BOE에 빼앗기며 삼성디스플레이의 '스마트폰 패널 시장 1위' 타이틀이 위협받고 있다…
반도체 업계가 일본의 수출 규제에 대응해 대체재 찾기에 나섰다. 삼성전자가 한국·중국·대만산 고순도 불화수소(에칭가스) 품질 검증에 착수한 데 이어 중국 빈후아(Binhua) 그룹과공급을 논의했다. SK하이닉스도 미국·중국산 불화수소 공급을 모색했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빈후아 그룹은…
티웨이항공이 8월부터 부산/무안~오이타 노선 운항을 중단한다. 탑승률이 저조해 운휴에 나선 것인데 일본의 수출 규제 여파 이후 한일 관계가 악화되면서 이를 의식한 조치라는 해석도 나온다. 17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티웨이항공은 오는 8월 12일부터 부산~오이타, 무안~오이타 등 2개 노선 운항을 중단…
일본 토요타가 부품 계열사인 덴소와 차량용 반도체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내년에 합작사를 출범해 반도체 기술을 확보한다. 미래형 자동차의 등장으로 차량용 반도체 시장의 성장이예상되는 가운데 글로벌 정보통신(IT) 업체 간 불붙는 경쟁을 펼치고 있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토요타와 덴소는 내…
일본의 수출 규제로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전략에도 비상이 걸렸다. 일본산 포토레지스트(PR) 공급이 원활하지 않고 대체재를 찾기 어려워 삼성전자가 야심차게 내세운 7나노 극자외선(EUV) 공정 청사진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7나노 EUV 공정을 이용한 반도체…
[더구루=홍성일 기자] PCI 익스프레스(PCIe) 기능이 없는 USB3 표준으로 AMD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작동할 수 있는 기술이 공개됐다. 새로운 GPU 연결 기술은 윈도우와 리눅스 뿐 아니라 애플 실리콘 컴퓨터에서도 사용이 가능해, AMD GPU의 활용성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AMD 그래픽처리장치(GPU) 소프트웨어 개발기업 타이니 코프(Tiny Corp)는 USB3 표준으로 AMD 외장 GPU를 작동시키는데 성공했다. 타이니 코프는 17세에 아이폰을 해킹한 천재 해커 조지 호츠(George Hotz)가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조지 호츠는 AMD가 좋은 칩을 생산하고 있지만 소프트웨어 지원이 부실해 시장의 선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타이니 코프를 설립했다. 타이니 호프는 현재 AMD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타이니 코프가 USB3 표준을 기반으로 한 GPU 연결 기술을 개발한 이유는 애플 실리콘 기반 맥(Mac) PC에 AMD GPU를 연결시키기 위해서다. 기본적으로 외장 GPU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PCle 슬롯이나 PCle 터널링을 지원하는 썬더볼트/USB4 인터페이스를 이용
[더구루=홍성일 기자] 말레이시아의 월간 그래픽처리장치(GPU) 수입 규모가 역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국 정부가 대중국 반도체 제재를 강화한 가운데 말레이시아가 'GPU 밀수 우회로'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말레이시아 정부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4월 말레이시아 GPU 수입규모가 27억4000만 달러(약 3조8680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급 기록을 세운 3월(19억6000만 달러, 약 2조7650억원) 결과를 뛰어넘은 것이다. 말레이시아의 GPU 수입 규모는 올해 들어 급증하기 시작했다. 1월 11억2000만 달러(약 1조5825억원)를 수입하며 전년동기 대비 700% 가량 증가한 것. 올해 수입량이 급증하면서 연간 누적 수입 규모도 단 4개월만에 지난해 수치를 뛰어넘었다. 말레이시아의 지난해 GPU 수입액은 48억7700만 달러(약 6조8940억원)이었으며,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누적 수입액은 64억5000만 달러(약 9조1164억원)를 기록했다. 기업별로는 엔비디아 GPU가 가장 많이 수입됐다. 말레이시아는 올해 2월부터 4월까지 엔비디아 GPU를 53억3000만 달러(약 7조5371억원)어치 수입했다. 이 기간 엔비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