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CJ ENM이 프랑스에서 개최된 콘텐츠 축제에 참가해 대표 범죄·스릴러 시리즈를 내세운 마케팅에 나섰다. CJ ENM은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홍보전을 지속적으로 펼치며 K-콘텐츠를 알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CJ ENM은 오는 22일까지 프랑스 북부에 위치한 도시 릴(Lille)에서 개최되는 TV 시리즈 페스티벌 '시리즈 마니아 2024'(SERIES MANIA 2024)에 참가해 콘텐츠 판매를 위한 홍보에 나섰다. 시리즈 마니아는 지난 2010년 시작됐다. 전세계의 감독, 작가, 드라마 팬들이 한자리에 모여 다양한 드라마 시리즈를 관람하고 최고의 작품을 선정하는 이벤트 등이 진행된다. 유럽 최대 규모의 TV 시리즈 관련 행사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CJ ENM은 페스티벌 현장에서 △악의 꽃 △마우스 △괴이 등 간판 범죄·스릴러 콘텐츠를 집중 홍보하고 있다. 악의 꽃은 남편을 연쇄살인범으로 의심하는 강력계 형사 아내의 이야기를 그린 서스펜스 추적극이다. 마우스는 사이코패스 연쇄살인마 추적에 나선 동네 순경과 형사의 이야기를 담아낸 심리 스릴러다. 괴이는 고고학자, 문양 해독가 등이 저주받은 불상이 나타
[더구루=홍성일 기자] 러시아의 방송사, 배급사 등이 한국 콘텐츠를 대거 구매한 것으로 확인됐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서방 대형 콘텐츠 제작사들이 철수한 자리를 한국 콘텐츠가 메우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러시아의 OTT, 방송사, 배급사 등 콘텐츠 기업들은 지난 5일부터 양일간 카자흐스탄 알마티에서 진행된 월드 콘텐츠 마켓 2024(World Content Market 2024, 이하 WCM2024)에서 총 26개의 한국 콘텐츠를 구매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은 이번 WCM2024에서 코리아 파빌리온을 주도했다. 참가기업은 KBS, MBC, SBS를 비롯한 지상파 3사와 스튜디오 지니, 캐리소프트, 그래피직스, 영앤콘텐츠, SLL, 리안컨텐츠, 38C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등이었다. 러시아 기업들은 이번 한국 콘텐츠를 구매하기 위해 1억1000만 루블(약 16억원)을 투입했다. 러시아 콘텐츠 기업들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소니, 디즈니 등 서방 대형 콘텐츠 기업들이 철수하자 빈자리를 한국 콘텐츠로 채우고 있다. 러시아에서 한국 콘텐츠가 큰 인기가 없음에도 구매하는 것은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번
[더구루=김형수 기자] CJ ENM 미국 자회사 피프스시즌(FIFTH SEASON)이 영국에서 개최된 글로벌 방송영상 콘텐츠 마켓에서 홍보전을 펼쳤다. 글로벌 시장 공략에 집중하며 연간 실적 턴어라운드를 도모하겠다는 전략이다. 14일 미국 연예매체 데드라인 등 외신에 따르면 피프스시즌은 지난달 26일부터 닷새 동안 영국 런던에서 열린 글로벌 방송영상 콘텐츠 마켓 '런던 TV 스크리닝'(London TV Screening)에 참가해 콘텐츠 판매를 위한 홍보에 나섰다. 런던 TV 스크리닝은 런던을 기반으로 사업을 펼치는 올3미디어 인터내셔널(all3media International), 바니제이 라이트(Banijay Rights), e원(eOne), 프리맨틀(Fremantle), ITV 스튜디오(ITV Studios) 등의 배급사가 지난 2021년 시작했다. 지난해의 경우 28개의 배급사·제작사, 500명 이상의 글로벌 바이어가 참석하는 등 국제 콘텐츠 거래 시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피프스시즌은 올해 런던 TV 스크리닝 현장에서 △제이슨 모모아 주연의 '어둠의 나날'(SEE) △니콜 키드먼이 출연하는 '세상을 향한 함성 로어'(ROAR)
[더구루=한아름 기자] CJ ENM이 베트남에 댄스 서바이벌 프로그램 '스트릿 우먼 파이터'의 리메이크 판권을 수출했다. 이번 리메이크 판권 수출을 계기로 CJ ENM의 'K-콘텐츠' 저변이 확대될 것으로 풀이된다. 아시아를 넘어 북미·유럽 등 입지를 강화해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목표다. 13일 베트남 1위 국영방송사 'HTV7'에 따르면 올 여름 '스트릿 우먼 파이터'(이하 스우파)의 베트남 버전인 '응호앙 부 다오 즈엉 포'(Nữ hoàng vũ đạo đường phố)가 방영된다. 앞서 HTV7은 현지 프로그램 제작사 '스튜디오 글라이드'(Studio Glide), '니즈랩 G&C'(Needslab G&C)와 스우파의 독창성·창의성을 높이 평가하며 CJ ENM에 리메이크 제작을 제안했다. 이들은 스우파의 유튜브 누적 조회수 4억회를 훌쩍 넘기며 큰 인기를 끌었던 만큼 흥행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스튜디오 글라이드 관계자는 "CJ ENM의 스우파 기획·제작 노하우를 전수받아 한국과 베트남 등 시청자들의 일상에 파고들 수 있는 고품질 콘텐츠를 만들겠다"며 "베트남판 스우파 스타를 만드는 게 목표"라고 전했다. 스우
[더구루=김형수 기자] CJ ENM이 자회사 밀리언볼트와 함께 제작한 애니메이션 '히어로 인사이드'가 시즌1에 이어 시즌2도 스페인 OTT 시장 공략에 나선다. 스페인을 시작으로 글로벌 애니메이션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13일 CJ ENM 유럽 파트너사인 디아플라네타 엔터테인먼트(DeAPlaneta Entertainment·이하 디아플라네타)와 협력해 올해 연말 히어로 인사이드 시즌2를 선보인다. 스페인 어린이 TV채널 보잉(Boeing), 보잉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히어로 인사이드가 현지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앞서 시즌1이 워너브라더스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HBO맥스를 통해 첫선을 보인 데 이어 현지 시청자들과의 접점이 확대된 것이다. CJ ENM이 지난해 11월 디아플라네타, 워너브라더스 디스커버리(Warner Bros. Discovery) 등 글로벌 배급사와 손잡고 히어로 인사이드를 내세워 유럽, 남미 등의 지역 공략을 본격화한 지 4개월 만이다.<본보 2023년 11월 14일 참고 CJ ENM 애니메이션 '히어로 인사이드', 북미·아프리카·유럽·동남아 공략> 스페인에 이어 이달 초 영국에서 공개되면서 유럽 내 히어로 인사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인기 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을 제작한 레드아이스 스튜디오의 자회사인 레드아이스 엔터테인먼트(이하 레드아이스 엔터)가 태국 공포영화 제작에 투자한다. 레드아이스 엔터는 동남아 장르영화 투자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으로 영역을 확대한다. 11일 업계에 다르면 레드아이스 엔터는 태국의 영화제작사 네라밋눙 필름(Neramitnung Film)과 지난 7일(현지시간) 투자계약을 체결했다. 그동안 자체 자금으로 영화를 제작했던 네라밋눙 필름 역사상 첫 대규모 외부 투자 유치다. 이번 투자계약식에는 한상욱 레드아이스 엔터테인먼트 대표와 카녹완 왓차라(Kanogwan Watchara) 네라밋눙 필름 대표 등이 참석했다. 레드아이스 엔터테인먼트가 투자한 영화는 네라밋눙 필름에서 제작한 공포영화 '더 커스드 랜드(The Cursed Land)'다. 해당 영화는 아내가 사망한 후 방콕 교외의 버려진 저택으로 이사한 부녀가 마을 사람들의 경고를 무시하고 집에 있는 부적 등을 제거해 저주가 풀려나면서 펼쳐지는 내용을 담고 있다. 더 커스드 랜드는 지난 1월 열린 로테르담 국제영화제에서 초연했다. 한상욱 레드아이스엔터테인먼트 대표는 "태국 영화, 특히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조회수 143억회를 기록한 인기 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의 애니메이션이 일본 애니메이션 생태계를 변화시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7일 대만 온라인 매체인 입보보전(立報傳媒)은 "나 혼자만 레벨업이 아직 첫 번째 시즌이 끝나지 않았지만 일본 애니메이션 산업의 일본 만화 독점 생태계를 크게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나 혼자만 레벨업은 한국에서 제작된 웹툰이지만 애니메이션은 일본의 유명 제작사인 A-1픽쳐스가 참여했다. A-1픽쳐스는 소드 아트 온라인, 페어리 테일, 청의 엑소시스트, 일곱 개의 대죄 등 유명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경력이 있는 스튜디오다. 이에 나 혼자만 레벨업의 애니메이션의 감독, 각본, 캐릭터 디자인, 음악 등 대부분의 요소가 일본 제작자의 손에서 탄생했다. 입보보전은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와 협력하는 외국 만화 작품도 있지만 대중성있는 작품은 극소수에 불과하다"며 "한국 만화는 물론 타 국가의 만화도 일본 제작사에 높은 평가를 받고 있어 일본 애니메이션 생태계의 다양성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나 혼자만 레벨업은 E급 헌터였던 성진우가 성장형 헌터로 각성해 악의 무리
[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 라인이 운영하는 웹툰 플랫폼 '라인망가'가 누적 결제액 20억 달러(약 2조6500억원)를 돌파했다. 일본 웹툰 시장은 카카오 픽코마가 점유율 1위, 라인망가가 2위를 기록하고 있다. 라인망가는 지난해 4분기부터 월간활성이용자수(MAU) 1위를 유지하며 카카오픽코마를 빠르게 추격하고 있다. 5일 데이터닷에이아이(data.ai, 구 앱애니)에 따르면 라인망가는 누적 결제액 20억 달러를 넘어섰다. 라인망가의 누적 결제액 10억 달러 돌파는 2021년으로, 20억 달러를 넘어서기까지는 3년여가 걸렸다. 웹툰 플랫폼 중 가장 먼저 20억 달러 고지는 지난해 1월 카카오 픽코마가 달성했다. 데이터닷에이아이는 이번 기록이 전 세계 비게임앱 중 15번째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라인이 비게임앱 중 20억 달러 매출을 돌파한 앱을 2개 이상 보유하고 있는 퍼블리셔(배급사)가 됐다고 덧붙였다. 이는 유튜브, 구글 원 등을 보유한 구글에 이은 2번째 기록이다. 라인망가의 20억 달러 돌파로 일본 만화 앱 시장의 압도적인 규모가 다시 한 번 확인됐다. 실제로 20억 달러를 돌파한 만화 앱인 픽코마와 라인망가 모두 일본에서 매출의 99% 이
[더구루=김형수 기자] CJ CGV 자회사 CJ포디플렉스(CJ 4DPLEX)가 특별 상영관을 내세워 북미 영화관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미국 멀티플렉스 극장 사업자 리갈(Regal)과의 파트너십을 토대로 뉴욕 맨해튼에 세계 최대 규모의 4DX 상영관을 오픈하고 차별화된 영화 감상 경험을 선사하며 북미 4DX 상영관 영토 확장한다는 전략이다. 4일 리갈 타임스퀘어(Regal Time Square)에 따르면 세계 최대 규모의 CJ포디플레스 4DX 상영관을 오픈했다. 해당 4DX 상영관에는 표준 4DX 상영관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296개 좌석이 설치됐다. 약 18.3m 너비의 대형 스크린, 4개의 안개 머신, 8개의 쉐이커(Shaker) 증폭기 등을 설치해 관람객들이 보다 극적인 영화 감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했다. 해당 4DX 상영관은 안개, 진동을 비롯해 바람, 향기, 번개 등 21개에 달하는 환경 효과를 제공한다. 양사는 리갈 타임스퀘어에 296석 규모 4DX 상영관에 더해 128석 규모 4DX 상영관도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북미 지역에 있는 영화관 한 곳에 4DX 상영관 두 개가 설치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CJ포디플렉스는 리갈과의 파트너십을
[더구루=한아름 기자] CJ ENM이 결혼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 '커플팰리스'를 내세워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 공략에 나선다. 기존 OTT 채널에서 찾아보기 힘든 차별화된 콘셉트와 구성으로 새로운 성공방정식을 쓰겠다는 계획이다. 28일 CJ ENM는 글로벌에 커플팰리스 콘텐츠 판매에 나선다. 커플팰리스 프로그램 내용을 소개하고 포맷·판권 수출 등 다양한 사업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커플팰리스는 CJ ENM 케이블 채널 엠넷이 선보이는 대규모 웨딩 프로젝트다. 남녀 100명이 결혼하기 위해 한 자리에 모여 각자의 외모와 경제력, 라이프스타일, 결혼 조건을 가감 없이 드러내고 평생의 동반자를 찾는 과정을 담았다. 실제 결혼정보회사와 같은 극사실 매칭 시스템을 프로그램 포맷화해 만들었다는 점에서 차별화를 뒀다. 연애 예능의 한 단계를 뛰어넘은 '결혼 예능'이라는 점에서 글로벌 OTT 업계로부터 큰 관심을 끌 것으로 예상된다. 연출진도 역대급이다. '너의 목소리가 보여'를 탄생시킨 이선영 CP와 '러브캐처'의 정민석 PD가 의기투합했다. CJ ENM이 커플팰리스로 글로벌 OTT 시장 지배력을 확대하고 수익성 강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기존 OTT
[더구루=한아름 기자] CJ ENM이 아이돌 콘텐츠를 내세워 일본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 공략에 나선다. 일본에서 K-팝이 강력한 팬덤을 형성한 만큼 인기를 이어가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27일 CJ ENM 케이블 음악채널 엠넷에 따르면 일본에 아이돌 예능 프로그램 10개를 스트리밍한다. 앰넷 OTT서비스 엠넷스마트+(Mnet Smart+)에 공개되는 콘텐츠 수는 총 76편이다. 26일 아이돌라이브 트래블 에이전트: 하이라이트의 제주도 여행(IDOLLIVE Travel AGENT: HIGHLIGHT's Jeju Island Trip )을 시작으로 △케플러 존(Kep1er Zone) △치팅 트립2: 은비 해원 유리의 우정여행(Cheating Trip 2: Unbi, Haewon, and Yuri's Friendship Trip ) △본 투 비투비(Born TO BTOB) △스캔 비비즈(SCAN VIVIZ) △아이돌과 아이들(Idols and Children) 등 상영이 예정돼 있다. CJ ENM이 아이돌 콘텐츠로 일본 OTT 시장 지배력을 확대하고 수익성 강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실제 일본에서 K-팝이 뜨거운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해 음악시장
[더구루=김형수 기자] 이재현 CJ그룹 회장의 장녀 이경후씨와 사위 정종환씨가 10개국으로 확대되는 K-컬처 페스티벌 '케이콘'(KCON) 등 CJ ENM 글로벌 사업을 직접 챙긴다. CJ에서 근무하며 쌓은 글로벌 역량을 토대로 CJ ENM 해외 사업 지휘봉을 잡았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CJ ENM은 다음달 30일부터 이틀간 홍콩 소재 컨벤션센터 아시아월드엑스포에서 '케이콘 홍콩 2024'(KCON HONG KONG 2024·이하 케이콘 홍콩)를 연다. CJ ENM은 K-팝 음반 수출액 6위이자 핵심 K-팝 공연 시장으로 급부상한 홍콩 시장 내 기반을 닦는다는 방침이다. 홍콩은 케이콘이 개최되는 10번째 국가로 이름을 올리게 됐다. CJ ENM은 지난 2012년 미국에서 케이콘을 시작했다. 이후 △일본 △아랍에미리트 △프랑스 △멕시코 △호주 △태국 △사우디아라비아 등에서 개최했다. 지난 12년 동안 총 9개국에서 열린 케이콘 오프라인 누적 관객 숫자는 약 165만명에 달한다. 글로벌 K-컬처 랜드마크 행사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다. CJ ENM은 올해 홍콩에 이어 일본, 미국, 유럽, 사우디아라비아 등에서 순차적으로 케이콘을 개최한다. 또 올해부터 케이콘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챗GPT를 활용한 '지브리 스타일 사진 만들기'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오픈AI 인프라에 심각한 부담이 되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오픈AI는 과부화가 지속될 시 신규 서비스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료기사코드] 샘 알트만 오픈AI CEO는 1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챗GPT 이미지 변환에 컴퓨팅 자원을 집중하면서 신규 기능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며 "일부 기능은 중단되고 서비스가 느려질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달 28일에도 "사람들이 챗GPT로 즐거워하고 있지만 우리의 GPU는 녹아내리고 있다"며 인프라 과부화 문제를 알린 바 있다. 오픈AI 인프라가 과부화된 배경에는 지난달 25일 출시된 챗GPT-4o 이미지 생성 모델이 있다. 해당 모델 출시 직후 전세계 이용자가 자신의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로 변환하기 시작한 것. 이용자들은 지브리 외에도 픽사와 디즈니, 심슨, 명탐정 코난, 짱구는 못말려 스타일로 사진을 변경하고 있다. 문제는 해당 기능이 전세계적인 입소문을 타면서 신규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점이다. 알트만 CEO는 지난달 31일 "
[더구루=김은비 기자] 글로벌 IT기업 HCL테크놀로지스(HCLTech, 이하 HCL테크)가 삼성전자 차세대 반도체 파운드리 생태계 ‘SAFE™(Samsung Advanced Foundry Ecosystem)’ 프로그램에 합류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HCL테크는 삼성전자 SAFE™ 프로그램의 ‘설계 솔루션 파트너(Design Solution Partner, DSP)’로 선정됐다. SAFE™ 프로그램은 반도체 설계 회사가 삼성전자 첨단 반도체 공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파트너십 생태계다. △전자설계자동화(EDA) △설계 솔루션·서비스 △지적재산권(IP) △클라우드 솔루션 등 반도체 설계에 필요한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HCL테크는 삼성전자 고객에게 맞춤형 반도체(ASIC) 설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신규 반도체 기술의 조속한 개발·출시를 돕고, 반도체 설계·생산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다. 삼성전자는 HCL테크 엔지니어에게 최신 반도체 기술과 관련된 전문 교육도 제공할 예정이다. 고객 맞춤형 반도체 설계 프로젝트(턴키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적 지원 또한 병행한다. 이번 협력을 통해 HCL테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