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한아름 기자] 파리바게뜨 미국 가맹 사업에 속도가 붙고 있다. 지난달 테네시주에 매장을 오픈한 데 2주 만에 펜실베니아주에 신규 매장을 열었다. 오는 2030년 북미 1000호점 비전 달성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가 미국 펜실베니아주 피츠버그에 신규 매장을 열었다. 피츠버그 신규 매장은 펜실베니아주 내 아홉 번째 점포다. 피츠버그는 펜실베니아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이 사는 도시다. 피츠버그는 석탄·철강 사업이 강한 지역으로, 알코아·US.스틸 등 초대형 기업이 위치해 있어 고소득 인구가 많은 점이 특징이다. 이번 매장 오픈으로 파리바게뜨가 미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파리바게뜨는 자사의 탄탄한 운영 노하우와 현지 시장에 관한 높은 이해도를 결합해 가맹점을 확 늘리겠다는 전략이다. 연내 가맹점 70개를 오픈하고 내년에는 두 배 이상 늘어난 150개로 설정, 영토 확장에 속도를 낸다는 복안이다. 허진수 파리크라상 사장은 지난달 5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리조트월드에서 개최된 '2024 파리바게뜨 프랜차이즈 컨벤션'을 열고 북미 가맹사업 확
[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가 F&B 경영 전문가 영입을 통한 북미 리더십 강화 카드를 꺼내들었다. 건축, 운영, F&B 등 다양한 분야 전문 인력 확보를 통한 현지 사업 경쟁력 제고에 주력하고 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헨크 드라쿨리치(Henk Drakulich) 식품생산 담당 디렉터를 선임했다. 헨크 드라쿨리치 디렉터는 미국 서부 지역 △식품 품질 △식품 위생 및 안전 등 식품 생산과 관련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헨크 드라쿨리치 디렉터는 "파리바게뜨로 자리를 옮겨 새로운 커리어를 시작하게 됐다"면서 "미국 서부에서 파리바게뜨 식품 생산을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디렉터를 맡았다"고 전했다. 파리바게뜨는 20년이 넘는 경력을 지니고 있어 F&B 경영 분야 베테랑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헨크 드라쿨리치 신임 디렉터가 지닌 역량과 노하우가 품질 경쟁력 제고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헨크 드라쿨리치 신임 디렉터는 지난 2000년 글로벌 호텔 체인 매리어트 인터내셔널(Marriott International)에 입사해 영국에서 셰프로 일했다. 지난 2005년 미국 캘리포니아 소재 베이커리 전문 기업 올리버스 아티장
[더구루=한아름 기자] CJ푸드빌이 운영하는 뚜레쥬르가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현지화 메뉴로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한다. 뚜레쥬르는 혁신적 메뉴와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토대로 K베이커리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뚜레쥬르가 인도네시아에 렌당 브레드(Rendang Bread)를 론칭했다. 렌당 브레드는 부드러운 빵 속에 렌당을 채우고 으깬 감자를 위에 얹어 고소하고 부드러운 깊은 풍미를 더했다. 렌당은 지난 2020년 미국 CNN이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맛있는 음식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앞서 뚜레쥬르는 현지 전략형 제품으로 △나스타르 케이크(Nastar Cake) △판단 코코넛 빵(Pandan Coconut Bread) △라피스 케이크(Lapis Cake) 등을 출시한 바 있다. 나스타르 케이크는 파인애플 잼을 넣어 만든 인도네시아 전통 디저트다. 판단 코코넛 빵은 인도네시아 전통 요리 재료인 판단을 넣어 바닐라 향을 더한 점이 특징이다. 라피스 케이크는 18겹으로 이뤄진 케이크로, 카다멈, 육두구, 정향 같은 인도네시아 전통 향신료가 첨가돼 있다. 뚜레쥬르가 인도네시아 소비자 입맛을 고려한 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는 배경은 지
[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 미국 파트너사 이탈리아 커피업체 라바짜(Lavazza)가 미국에서 개최되는 메이저 테니스대회 US오픈 후원을 통한 스포츠 마케팅을 펼친다. 스포츠를 매개로 한 홍보전을 적극 펼치며 글로벌 소비자들에게 라바짜 커피를 알리는 데 매진하고 있다. 라바짜는 지난 21일(현지 시간) 올해도 US오픈 공식 스폰서로서 대회 현장에서 글로벌 테니스 팬들을 겨냥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있다고 밝혔다. 라바짜는 지난 2015년 이후 9년째 US오픈을 후원하며 동행을 이어오고 있다. 지난 27일 개막한 이번 시즌 마지막 대회인 US오픈은 다음달 9일까지 2주 동안 열릴 예정이다.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카를로스 알카라즈(Carlos Alcaraz), 다닐 메드베데프(Danil Medvedev) 등 스타 테니스 선수들이 출전해 자웅을 겨룰 예정이다. 라바짜는 대회 기간 홍보 부스 '커피테일 코너'(Coffeetail Corner)를 운영하며 자사 커피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아메리카노, 카페라떼 등 에스프레소 기반의 다양한 커피 음료와 특별 개발한 블루 아이스드 카푸치노(Blue Iced Cappuccino
[더구루=한아름 기자] 국내 디저트 기업 봉땅이 일본에 네 번째 정식 매장을 오픈했다. 지난 6월 현지 시장에 진출한 지 2개월 만이다. 일본 내 인지도 제고와 매출 극대화로 하반기 좋은 흐름을 만들어 갈 것으로 기대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봉땅이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아오이구 덴마초에 신규 매장을 연다. 덴마초는 쇼핑몰과 카페, 극장 등이 줄지어 입점해 있어 현지인은 물론 관광객이 즐겨 찾는 대형 상업 지역이다. 봉땅 덴마초점은 오사카 아메리카무라 본점과 도쿄 나카메구로점, 도쿄 시모키타자와점에 이어 네 번째 매장이다. 주력 라인업인 △바질 토마토 △티라미수 크림 △아몬드 초콜릿 등 도넛과 함께 △봉땅 크림 커피 △소금 크림 라떼 △미숫가루 등 음료가 판매된다. 일본은 아시아 식품 소비 시장을 여는 교두보로서 글로벌 식품 브랜드가 밀집된 나라다. 봉땅도 일찌감치 오사카에 첫 번째 매장인 아메리카무라 본점을 개소하고 일본 시장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비즈니스 역량을 쌓는데 주력했다. 아메리카무라 본점은 오픈 당일 50m가 넘는 대기 줄이 만들어졌을 정도로 반응이 뜨거웠다. 이후 각종 TV프로그램과 잡지 등에 소개돼 대표 K디저트 매장으로 자리 잡으면서 매장
[더구루=한아름 기자] 제너시스BBQ그룹이 일본에서 버거 포트폴리오를 확대한다. 한국 고유 전통 음식을 접목한 제품을 눈길을끈다. 이를 토대로 현지 K푸드 트렌드를 선도하고 소비자 접근성을 제고한다는 전략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BBQ가 다음달 5일부터 일본 추석을 맞아 달맞이(츠키미) 버거 라인업을 출시한다. 달맞이 버거 라인업은 대표 K푸드인 나물비빔밥을 모티브로 한 비빔 버거를 비롯해 △양념 치킨 버거 △데리 타르 버거 총 세 종류로 구성돼 있다. 비빔 버거는 고추장 베이스의 특제 소스에 나물비빔밥 단골 재료인 콩나물, 당근, 시금치 등을 토핑으로 추가한 점이 특징이다. 양념 치킨 버거는 매콤달콤한 K 양념치킨을 버거로 재탄생했다. 데리 타르 버거는 지난해 달맞이 프로모션에 이어 재출시된 제품으로, 간장 베이스의 특제 소스가 잘 버무려진 닭가슴살 패티에 타르타르 소스가 더해져 감칠맛을 더했다. BBQ가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5월에는 현지 전략형 제품으로 △새우버거 △새우치킨버거 등을 출시한 바 있다. 최근 일본에서 새로운 맛과 식감을 원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어 인기 해산물로 꼽히는 새우를 사용해 제품을
[더구루=이연춘 기자] bhc치킨이 말레이시아 내 직영 7호 매장인 ‘bhc 엘미나점(Elmina)’을 오픈했다. bhc는 말레이시아 총 7개 매장을 포함해 홍콩, 싱가포르, 태국, 미국 등 5개국에서 총 23개 매장을 운영하며 해외 매장을 넓혀 나가고 있다. 26일 bhc에 따르면 7호점이 위치한 엘미나 지역은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의 대표적인 위성도시로, 주말에 유동인구가 특히 많이 몰리는 배드타운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bhc 치킨 매장이 입점해 있는 ‘엘미나 레이크사이드 몰(Elmina Lakeside Mall)’은 최근 오픈한 쇼핑몰로, 신규 고객 유입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는 중이다. bhc는 대표 메뉴인 ‘뿌링클’, ‘골드킹’, ‘맛초킹’ 등을 비롯해 현지에서만 맛볼 수 있는 특화 메뉴들을 선보인다는 방침이다. 먼저, ‘홀(whole)’ 치킨이 아닌 조각 단위 치킨 메뉴들을 판매해 부담 없이 맛볼 수 있도록 했고, 치킨과 라이스를 곁들인 ‘치밥(치킨+밥)’ 콘셉트 메뉴를 선보이며 치킨을 한 끼 식사로 즐길 수 있게끔 했다. 또한 말레이시아 전통 음식인 ‘나시르막(Nasi Lemak, 코코넛 밥과 전통 양념 삼발 등을 곁들인 요리)’에서 영
[더구루=한아름 기자] 교촌에프앤비가 지난달 캐나다에 1호점을 오픈한데 이어 현지 온라인 음식배달시장에 진출한다. 교촌에프엔비의 북미 시장 공략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25일 음식 배달 플랫폼 우버이츠(Uber Eats) 등에 따르면 교촌에프엔비와 우버이츠와 파트너십을 맺고 캐나다 내 온라인 주문·배달 사업을 전개한다. 또한 교촌은 현지 2위 스킵 더 디쉬즈(Skip the Dishes)와도 협업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교촌은 우버 이츠와 스킵 더 디쉬즈 배달앱을 통해 △교촌(간장)시리즈 △레드시리즈 △허니시리즈를 3대 주력 메뉴를 캐다나 고객에게 선보인다. 우버 이츠와 스킵 더 디쉬즈는 캐나다 음식 배달 시장에서 각각 점유율 1위(49%)와 2위(43%)를 차지하는 등 양분하고 있다. 특히 월간 활성 이용자 수도 각각 600만명과 500만명에 달한다. 앞서 지난달 서부 밴쿠버에 1호점을 연 교촌치킨이 한달새 온라인 배달 시장까지 진출하면서 현지 사업 확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특히 K팝과 K드라마 등 한류 콘텐츠가 현지에서 인기를 끌면서 K치킨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데 다 현지 배달앱 1·2위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만큼 매출 확대로 이어질 것
[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가 북미 영토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유타주, 워싱턴주에 이어 테네시주로 현지 사업을 확대했다. 오는 2030년 북미 1000호점 비전 달성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Nashville)에 테네시주 1호점을 열었다. 해당 매장 오픈에 따라 파리바게뜨가 진출한 미국 내 주는 전체 50개 가운데 절반이 훌쩍 넘는 29개주로 확대됐다. 파리바게뜨는 지난 5월 미국 유타주에 이어 워싱턴주에 깃발을 꽂으며 현지 사업 영토를 28개주로 넓혔다. 워싱턴주의 경우 지역 사업가 에드윈 창(Edwing Chang) 가족과 손잡고 지난 6월 린우드(Lynwood)에 1호점, 지난달 투퀼라(Tukwila)에 22호점을 연달아 조성했다. 향후 워싱턴주 시애틀 인근 벨뷰(Bellevue), 레드먼드(Redmond) 등에 신규 출점한다는 계획이다.<본보 2024년 7월 11일 참고 파리바게뜨, 미국 워싱턴 2호점 출점…"올 100개 목표 순항"> 파리바게뜨의 적극적 북미 사업 확대 행보는 지난 2분기 현지 신규 가맹점 20개 오픈이라는 성과로 이어졌다. 파리바게뜨가 북미
[더구루=한아름 기자] 롯데리아가 베트남에서 유소년 축구대회 ‘베트남 챌린지컵’을 확대 운영한다. 지난 2013년부터 이어온 대회 참여지역을 기존 5개 도시에서 7개로 확대하기로 했다. 브랜드 인지도 제고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리아가 하노이를 포함한 7개 도시에서 축구 토너먼트 대회를 진행한다. 기존 참여 지역(하노이, 호찌민, 빈, 다낭, 깐떠)에 나트랑, 하롱 등 2곳을 추가했다. 이번 대회에는 총 72개팀이 참가하며 결선은 오는 10월 12일부터 이틀간 호찌민에서 치러진다. 롯데리아의 베트남 유소년 축구 발전 지원은 브랜드 인지도 강화로 이어질 전망이다. 특히 롯데리아는 향후 참여 지역을 지속적으로 추가해 챌린지컵을 전국 규모 대회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지난 1998년 베트남 시장에 진출한 롯데리아는 현재 270여개 매장을 운영하며 1위 프랜차이즈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롯데리아는 내년 300호점을 출점하는 한편 매출도 1600억원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이는 2022년 매출 1081억원 보다 50% 상향된 수치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맘스터치가 일본에 특제 마늘소스를 활용해 개발한 사이드메뉴를 론칭하고 현지 시장 공략에 나섰다. 사이드메뉴 포트폴리오 강화를 통해 신규 수요를 창출하고 현지 판매를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맘스터치는 일본에 신규 사이드메뉴 '허니갈릭 하모교'(ハニーガーリックハモギョ)를 론칭했다고 24일 밝혔다. 지난 16일부터 맘스터치 일본 1호 직영점 ‘시부야 맘스터치’를 예약방문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허니갈릭 하모교를 판매하고 있다. 허니갈릭 하모교는 갓 튀겨낸 하루사메마키(春雨巻き·김말이), 모찌(餅·떡), 교자(餃子·만두) 등을 마늘과 꿀 등으로 만든 특제 마늘소스에 버무린 사이드 메뉴다. 하루사메마키, 모찌, 교자 등 각 음식이름 앞글자를 조합해서 메뉴 이름을 지었다. 지난달 일본에 허니갈릭 싸이버거를 론칭한 데 이어 이번에는 꿀과 마늘의 풍미를 살린 사이드 메뉴를 선보이며 허니갈릭 라인 제품군을 확대한 것이다. 허니갈릭 싸이버거는 마늘과 달콤한 간장의 맛이 어우러진 메뉴다.<본보 2024년 7월 15일 참고 日 건너간 맘스터치, 버거 포트폴리오 다변화…열도 공략 고삐> 신메뉴를 꾸준히 선보이며 일본 시장 내 흥행을 이어나가기 위한 맘
[더구루=김형수 기자] 맥도날드가 영국·아일랜드 사업 영토 확장에 속도를 낸다. 향후 4년간 이들 국가에 200개 이상의 매장을 오픈한다는 방침이다. 23일 영국 유력 일간지 가디언(Guradian) 등 외신에 따르면 맥도날드는 앞으로 4년 동안 영국과 아일랜드에 200개 이상의 신규 매장을 열고 2만4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맥도날드는 이번 영국·아일랜드 사업 확대 전략을 펼치기 위해 프랜차이즈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10억파운드(약 1조7570억원) 규모의 자금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20년간 맥도날드가 시행한 사업 확대 프로젝트 가운데 최대 규모다. 지역별 특성에 따라 소규모 매장, 온라인 마케팅과 매장 내 오프라인 경험 통합형 옴니채널 플랫폼 '드라이브 투'(Drive to) 기반 점포 등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계획이 차질없이 추진되면 이들 국가 내 맥도날드 점포 숫자는 1700개를 넘어설 전망이다. 맥도날드는 현재 영국에 1435개, 아일랜드에 95개 등 이들 국가에서 총 1530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이 가운데 80%가량은 가맹점이 차지하고 있다. 맥도날드가 해외 시장 다변화를 통해 실적 반등을 노리는 것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중국 시장 전용 6인승 전기 SUV '모델 Y L'을 출시했다. 테슬라는 모델Y L을 앞세워 중국 로컬 브랜드에 맞서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는 19일(현지시간) 모델Y L을 출시하고 판매에 돌입했다. 모델YL의 배송은 다음달 시작될 예정이다. 모델Y L은 중국 시장 최고 인기 모델인 모델Y의 롱바디 모델이다. 이를 통해 좌석을 3열까지 배치해, 탑승인원을 6명으로 늘린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테슬라 중국법인 측은 "휠베이스를 늘려 각 좌석마다 넉넉한 레그룸을 갖추고 있다"며 "좌석마다 전동 조절 시트와 열선 기능이 장착됐고, 2열 시트에는 전동 암레스트도 탑재됐다"고 소개했다. 또한 2열과 3열은 평평하게 접혀, 필요에 따라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테슬라 모델Y L의 1회 충전시 751km(CLTC 기준) 주행할 수 있으며,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데는 4.5초가 소요된다. 최고 속도는 시속 210km에 달한다. 중국 전기차 전문매체 CNEV포스트는 모델YL에 LG에너지솔루션에서 개발한 82kWh 삼원계 배터리(NMC)가 장착됐다고 전했다. 테슬라는 모델YL을 33만90
[더구루=정예린 기자] 엔비디아가 오는 2027년부터 고대역폭메모리(HBM) 핵심 부품인 '베이스 다이'의 자체 생산을 추진한다. 기존 공급망 의존도가 줄어들면서 HBM 시장과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에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대만 공상시보(CTEE)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7세대 HBM인 HBM4E부터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탑재할 계획이다. 초기에는 TSMC 3나노미터(nm) 공정을 적용해 소량 시험 생산을 진행하고, 점차 생산 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는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HBM 생산 기업들이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든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2027년 하반기부터는 엔비디아가 자체 맞춤형으로 설계한 베이스다이를 적용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2027년 하반기부터 어느 메모리 업체의 HBM 제품과 결합하더라도 엔비디아가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HBM 생산 기업 등 공급망 내 기업들의 일부 역할이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이번 전략 변화가 GPU와 HBM 시스템 통합 성능을 높이기 위한 결정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HBM4E부터는 단순 메모리 적층을 넘어, 최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