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전자 투자 전문 자회사 삼성넥스트가 인공지능(AI) 기반 자율 메디컬 코딩 스타트업 님(Nym)에 투자했다. 님은 2일 4700만 달러(약 620억원) 규모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PSG가 주도한 이번 자금조달에는 삼성넥스트와 구글벤처스, 다이내믹루프캐피탈, 에디션 등이 참여했다. 님은 AI 기반 메디컬 코딩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이다. 메디털 코팅은 임상시험 결과나 환자 의료 차트 등을 암호화하는 것을 말한다. 의료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의료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보통 구어체로 기록한 증상과 의학적 관찰 내용은 의료 코딩을 통해 수작업으로 의료 사전 항목에 매핑해야 하는데, 이는 시간과 오류 발생 위험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님은 자사 소프트웨어를 통해 의료 시스템을 단순화하고 국가의 막대한 행정 부담을 줄여 의료 서비스 제공하자 환자 치료에 집중하고 증가하는 치료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NYM의 메디컬 코딩 기술은 인간의 개입 없이 프로세스를 자동화해 기존 수작업으로 진행하던 코딩 대비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더구루=홍성환 기자]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가 올해 두 번째 사무라이본드 발행에 착수했다. 일본 시장에 대한 투자를 더욱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2일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버크셔해서웨이는 엔화 표시 채권 발행을 위해 BofA증권과 미즈호증권을 주간사로 선임했다. 사무라이본드는 외국 정부나 기업이 일본 내 투자자를 대상으로 일본에서 발행하는 엔화 표시 채권이다. 원리금 상환과 지급은 엔화로 계산하며, 이율은 일본 국채금리를 기준으로 한다. 초저금리와 역대급 엔저가 장기화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사무라이본드 발행 수요가 늘었다. 버크셔해서웨이는 지난 2019년 이후 꾸준히 옌화 표시 채권 발행에 나서고 있다. 작년 6월 11억 달러 규모로 엔화 채권을 발행했고, 11월에도 8억300만 달러 규모로 사무라이본드를 찍었다. 올해 4월에는 17억 달러 규모로 발행했다. 이는 버크셔해서웨이가 발행한 엔화 표시 채권 가운데 2019년 이후 두 번째로 큰 액수다. <본보 2024년 4월 9일자 참고 :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 올해 첫 사무라이본드 찍는다> 버크셔해서웨이는 일본 기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서 확대하고 있다. 특히 미
[더구루=정등용 기자] 포스코와 IBK기업은행, 한국투자증권이 인도네시아에서 금융 교육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젊은층의 금융 이해력을 제고하기 위한 차원에서다.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인도네시아 합작법인인 크라카타우 포스코(Krakatau POSCO)와 기업은행 인도네시아 법인, 한국투자증권 인도네시아 법인은 지난달과 이달 두 차례에 걸쳐 찔레곤시 YPWKS 직업고등학교(SMK)와 반텐 석유화학산업 폴리테크닉에서 금융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인도네시아 젊은층의 금융 이해력을 높이기 위한 차원에서 진행됐다. 인도네시아 금융감독청(OJK) 조사에 따르면 젊은층의 금융 이해력 비율은 48%로 전체 평균인 50%에 못미치는 수준이다. YPWKS 직업고등학교 세미나에서는 기업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이 은행의 정의와 기능 외에 금융 상품 및 서비스의 세부 사항, 은행 저축의 장점, 은행 계좌 개설 방법 등을 설명했다. 크라카타우 포스코는 수입 관리 방법과 계획 및 예산 책정 방법에 대한 자료를 공유하는 한편 정보 보안의 중요성과 정보 보안 위협의 예방 및 완화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했다. 반텐 석유화학산업 폴리테크닉에서 진행된 두 번째 세미나에
[더구루=정등용 기자] LG에너지솔루션 리튬 파트너사인 칠레 SQM(Sociedad Quimica y Minera de Chile)이 지분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칠레 외에 다른 나라에서의 글로벌 사업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차원에서다.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QM은 최근 지분 15% 매각을 위해 JP모건을 주관사로 선정하고 관련 작업에 착수했다. 이번 작업은 지분 매각의 초기 단계이며 지분 인수 기업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지분 인수 대상 기업은 다른 채굴 업체보다 투자 펀드와 전략적 투자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SQM은 주로 호주에서 투자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으로 최근 설립한 국제 리튬 사업부의 소수 지분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지분 매각은 리튬 최대 생산국인 호주에서의 사업을 확장하고 아프리카 같은 새로운 개척지를 마련하겠다는 포석이 깔려 있다. SQM은 전략적 투자자와 함께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 시장을 직접 공략하는 것보다 나은 방법이라고 판단했다. 현재 글로벌 리튬 시장은 공급 과잉으로 인한 가격 하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SQM은 지분 매각을 통해 확보한 자금을 마운트 홀랜드 광산 확장과 서호주 앤도버 프로젝트 개발에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국투자증권과 KDB산업은행이 영국 투자업체 하그리브스랜스다운(Hargreaves Lansdown) 인수금융을 지원한다. 룩셈부르크 소재 사모펀드(PEF) 운용사 CVC캐피탈파트너스는 한국투자증권, 산업은행 홍콩법인, 소나자산운용, PSP인베스트먼츠 등 네 곳과 하그리브스랜스다운 인수 자금 대출 약정을 맺었다고 30일 밝혔다. CVC캐피탈파트너스는 노르딕캐피탈, 아부다비투자청(ADIA) 자회사 플래티넘아이비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하그리브스랜스다운을 54억 파운드(약 9조4800억원)에 인수할 예정이다. 연내 인수 작업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1981년 설립된 하그리브스랜스다운은 영국 브리스톨에 본사를 둔 영국 최대 규모의 금융투자 플랫폼이다.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주식·펀드 투자, 연금 관리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개인의 소비 및 투자 패턴에 맞는 저축·투자 전략을 제시하며 약 190만명의 고객을 두고 있다. 6월 말 현재 하그리브스랜스다운의 운용자산(AUM)은 1553억 파운드(약 273조원)에 이른다. CVC캐피탈파트너스 컨소시엄은 현재 HPS인베스트먼트파트너스, KKR, 아폴로글로벌매니지먼트, 블랙스톤, 오크트리캐피탈매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전자 투자 전문 자회사 삼성넥스트가 디핀(DePIN·탈중앙화 물리적 인프라 네트워크) 스타트업 마와리네트워크(Mawari Network)에 투자했다. 인공지능(AI) 열풍으로 블록체인 업계에서 현실 기반 컴퓨팅 파워를 분산하는 디핀 기술이 주목받는다. 마와리네트워크는 27일 1080만 달러(약 140억원) 규모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는 안필드·보더리스캐피탈·1kx 등이 공동으로 주선했다. 주요 투자자로는 삼성넥스트와 △애니모카브랜즈 △어코드벤처스 △블록체인지벤처스 △아이엔젤스 등이 있다. 2017년 설립한 마와리네트워크는 디핀 플랫폼으로, 글로벌 분산형 GPU를 통해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를 운영한다. 이와 함께 XR(확장현실) 기반 3D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티모바일, KDDI, 넷플릭스, BMW 등 글로벌 기업을 비롯해 40여개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루이스 오스카 라미레즈 마와리네트워크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우리의 비전은 모든 사람에게 몰입형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라며 "이번 투자를 통해 3D 인터넷을 구축할 수 있는 플랫폼을 열어줄 것"이라고 전했다. 디핀은 블록체인 기술을
[더구루=정등용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기업 아람코(Aramco)가 사우디 기업 최초로 달러화 이슬람채권 수쿠크를 발행했다. 아람코는 수쿠크 발행에 따른 수익금을 일반 기업 용도로 사용할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사우디 증권거래소(타다울)에 따르면 아람코는 지난 24일(현지시간) 수쿠크 발행을 시작했다. 이번 수쿠크 발행은 내달 2일까지 진행된다. 아람코는 타다울에 제출한 서류를 통해 공모 가격은 공모 시점의 시장 상황과 투자자 수요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최소 청약 금액은 20만 달러(약 2억6500만원)이며, 시장 상황에 따라 그 이상의 금액에 대해서는 1000달러의 통합 배수가 적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수쿠크 발행 담당 기관에는 △알 라지 캐피탈 △HSBC △퍼스트 아부다비 은행 △두바이 이슬라믹 뱅크 PJSC △스탠다드 차타드 은행 △KFH 캐피탈 △골드만삭스 인터내셔널 △JP 모건 △씨티 등이 포함됐다. 아람코는 이들 기관에 일련의 채권 투자자 회의를 개최하도록 위임했다. 이들 기관 외에 △SMBC닛코 △알린마 인베스트먼트 △알빌라드 캐피탈 △MUFG △아부다비 상업은행 △POCI 아시아 리미티드 △에미레이트 NBD 캐피
[더구루=진유진 기자] 삼성전자 투자 전문 자회사 삼성넥스트가 엔비디아 출신 엔지니어들이 설립한 로봇 시뮬레이션 기술 스타트업 브이심(Vsim)에 투자했다. 브이심은 새로운 로봇 공학용 물리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브이심은 최근 2400만 달러(약 320억원) 규모의 시드 펀딩 라운드 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라운드에서 2150만 달러를 모금했으며, 앞서 비공개로 250만 달러의 초기 자금을 유치한 바 있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EQT 벤처스가 주도했으며, 삼성 넥스트를 비롯해 △팩토리얼 펀드 △트루 애로우 △소라 △IQ 캐피탈 △코로 캐피탈 △컨셉 벤처스 △레이크스타 스카우트 펀드 △카를레스 레이나 등이 참여했다. 이번 투자를 통해 브이심의 기업 가치는 약 1억 달러(약 1340억 원)로 평가되고 있다. 브이심은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자인 엔비디아에서 10년 넘게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에 주력해 온 미셸 루(Michelle Lu)와 키어 스토리(Kier Storey)가 공동 설립한 기업이다. 현재 로봇 공학 분야의 물리 시뮬레이션을 혁신할 수 있는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개발 중이며, 초기에는 로봇 교
[더구루=진유진 기자] 글로벌 사모 시장 투자사 노스리프 캐피털 파트너스(Northleaf Capital Partners·이하 노스리프)가 아시아에 진출한 지 2년 만에 한국에 첫 번째 사무소를 개설했다. 호주 멜버른과 일본 도쿄를 포함한 아시아 태평양(APAC) 지역에서의 입지를 확장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노스리프는 25일 자사의 미드마켓(mid-market) 사모 시장 플랫폼에 대한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지원하기 위해 서울에 새로운 사무소를 설립했다고 밝혔다. 한국 시장 입지를 확대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당장 사무소를 추가로 개설할 계획은 없다고 덧붙였다. 서울 사무소는 노스리프의 10번째 글로벌 사무소로 멜버른과 도쿄에 있는 기존 APAC 지사를 보완하는 역할을 할 예정이다. 올해 초 노스리프에 합류한 이충현(알렉스) 상무가 서울 사무소를 지휘하며, 도쿄 지사를 이끄는 제프 펜틀랜드 아시아 태평양 지역 대표 겸 매니징 디렉터에게 보고하게 된다. 이충현 지사장은 노스리프 합류 전, 아시아 인프라에 투자하는 독립 사모펀드 운용사 세라야 파트너스에서 매니징 디렉터로 근무했다. 이전에는 서울과 뉴욕에 위치한 한국투자공사(KIC)에서 8년간 고위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화그룹이 싱가포르 부유식 해양 설비 전문 제조업체 다이나맥 홀딩스(Dyna-Mac Holdings)에 지분 공개 매수를 제안한 가운데 다이나맥 홀딩스 창업자 측이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냈다. 한화그룹이 제안한 지분 인수 가격이 다이나맥 홀딩스의 성장 잠재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이유에서다. 다이나맥 홀딩스 창업자 측은 23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한화그룹이 제시한 주당 0.6싱가포르달러의 인수 가격은 다이나맥 홀딩스의 가치와 성장 잠재력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다각화된 사업을 통해 그룹을 현재와 같은 글로벌 종합 건설업체로 성장시킨 창업자의 열망과도 맞지 않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높은 순현금 포지션과 잠재적 배당금, 향후 몇 년 간 예상되는 높은 잠재 수익성,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설비(FPSO)에 대한 견고한 전망을 감안한다면 다이나맥 홀딩스 주식은 0.6싱가포르달러보다 높은 가치가 있다”며 “다이나맥 홀딩스에 대한 모든 제안을 반대하진 않지만 우리의 진정한 가치가 충분히 반영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현지 증권사인 메이뱅크 증권도 한화그룹의 제안이 공정 가치 범위의 하단에 있다고 지적했다. 메이뱅크 증
[더구루=홍성환 기자] 세계 최대 국부펀드 중 하나인 카타르투자청(QIA)이 한국에 대한 투자를 확대한다. 23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압둘라 알리 알쿠와리 QIA 아시아태평양 지역 책임자는 지난 19일(현지시간) 싱가포르에서 얼린 밀켄인스튜티트아시아서밋 행사에서 "한국과 호주, 동남아시아로 확장을 진행 중"이라며 "한국과 호주에서 인력 채용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알쿠와리 책임자는 또 "우리는 3년 전 일본 팀을 구성했고 현재 두 배로 확대했다"면서 "향후 인력을 더욱 확충할 예정으로 일본은 우리가 집중해야 할 시장"이라고 전했다. QIA는 운용자산(AUM) 5260억 달러(약 700조원)에 이르는 세계 최대 8위 국부펀드다. 카타르 정부가 100% 소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배터리 업체인 SK온에 투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작년 10월 카타르를 국빈 방문해 두 나라 간 관계를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면서 양국 간 투자 확대가 기대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전 세계적인 억만장자로 유명한 켄 그리핀이 이끄는 헤지펀드사 시타델(Citadel) 엔비디아 주식을 대거 매각했다. 대신 이달 초 S&P500 지수에 편입된 인공지능(AI) 데이터 업체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의 지분을 늘렸다. 23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13F 보고서에 따르면 시타델은 지난 분기 엔비디아 주식 928만2018주를 매각하며 지분율을 79% 줄였다. 반면 팔란티어 주식은 522만2682주를 매입하며 지분율을 1140% 늘렸다. 시타델은 엔비디아의 그래픽 처리장치(GPU)가 AI를 지원하는 많은 빌딩 블록 중 하나에 불과하다고 판단했다. 또한 AMD와 인텔이 개발한 제품이 엔비디아의 가장 확실한 대안으로 평가 받는 등 업계 경쟁 심화도 엔비디아 주식 매각의 요인이 됐다. 테슬라와 메타 플랫폼,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 엔비디아의 주요 고객사들이 자체 하드웨어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는 점도 불안 요소다. 엔비디아의 성장 궤도가 장기적으로 지금처럼 지속 가능할지 의문이라는 게 시타델 분석이다. 이와 함께 시타델은 더 많은 GPU가 시장에 출시되면 이 기술이 어느 정도 범용화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엔비디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측정 장비·소프트웨어 기업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스(Keysight Technologies, Inc, 이하 키사이트)가 일본에 세계 최대 규모 상용 양자 제어 시스템(quantum control system, QCS)을 설치했다. 키사이트는 QCS 기술력을 앞세워 양자컴퓨팅 시장에서 영역을 확대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키사이트는 일본 산업기술총합연구소(AIST)에 1000큐비트 규모 양자컴퓨터를 지원하는 QCS를 납품했다. QCS는 AIST 산하 양자·AI 전담조직인 '지쿼트(G-QuAT)'의 글로벌 비즈니스 연구개발센터에 통합됐다. 키사이트는 QCS가 지쿼트에서 양자컴퓨터의 규모와 성능을 시험하는 '테스트베드'의 핵심 구성요소 역할을 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키사이트와 AIST는 지난해 6월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지쿼트 글로벌 비즈니스 연구개발센터에 양자 제어 시스템을 통합하기로 했었다. 키사이트가 납품한 QCS는 전용 양자 제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결합해 양자컴퓨터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양자컴퓨터의 핵심 구성 요소다. 키사이트에 따르면 QCS는 이용자의 명령을 양자컴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로봇 기업 피규어 AI(Figure AI)가 빨래하는 휴머노이드의 모습이 담긴 영상을 선보였다. 피규어AI는 자체 인공지능(AI) 모델인 '헬릭스(Helix)'를 앞세워 가정용 휴머노이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브렛 애드콕(Brett Adcock) 피규어AI 최고경영자(CEO)는 31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휴머노이드 피규어 02가 빨래 바구니에 든 옷을 세탁기에 넣는 모습을 담은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 속 피규어 02는 옷이 가득 찬 빨래 바구니를 들어 세탁기 안에 빨랫감을 하나씩 집어넣는다. 이어 중간에 아이들이 추가로 집어넣은 옷도 문제없이 세탁기에 넣는 모습을 보여준다. 브렛 애드콕 CEO는 해당 영상의 댓글을 통해 피규어 AI 회사 내에서 똑같이 작동하는 모습을 담은 영상도 게재해 눈길을 끌고 있다. 브렛 애드콕 CEO는 "공개된 영상 속 휴머노이드는 원격으로 조종한 것이 아니다"라며 "자체 AI 모델인 헬릭스를 기반으로 움직인 것"이라고 강조했다. 헬릭스는 피규어AI가 독자개발한 비전언어행동(Vision Language Action, VLA) 모델이다. VLA는 로봇이 시각적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