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스위스 중앙은행이 선제적으로 금리 인하에 나섬에 따라 캐리 트레이드 통화로 스위스프랑이 주목받고 있다. 4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금리 인하 이후 스위스프랑이 약세를 보이면서 씨티그룹, 스테이트스트리트글로벌어드바이저 등 다수의 글로벌 금융기관이 스위스프랑 캐리 트레이드를 검토하고 있다. 스위스 중앙은행인 스위스국립은행(SNB)은 앞서 지난달 21일 기준금리를 연 1.75%에서 1.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스위스가 금리를 인하한 건 2015년 이후 처음이다. 이에 스위스프랑·달러 환율은 지난달 20일 달러당 0.89스위스프랑에서 4일 현재 0.90스위스프랑으로 약 1% 상승했다. 연초와 비교하면 약 7% 올랐다. 캐리 트레이드는 금리가 낮은 국가에서 돈을 빌려 수익률이 높은 국가에 투자해 이익을 내는 투자 기법이다. 캐리 트레이드 통화는 변동성이 낮고 상승 범위가 제한적인 것이 이상적이다. 그동안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하던 엔화가 대표적인 캐리 트레이드 통화로 꼽혔다. 그러나 일본이 8년 만에 마이너스 금리를 종료하며 분위기가 달라졌다. 일본은행(BOJ)은 지난달 19일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해제하고 단기 금리
[더구루=정등용 기자] 밥 아이거 월트 디즈니 최고경영자(CEO)가 경영권을 확보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디즈니 최대주주인 뱅가드가 기존 경영진을 지지할 것으로 예측되면서다. 디즈니 2대 주주인 블랙록도 경영진 지지 의사를 밝힌 상황이라 행동주의 투자자 넬슨 펠츠의 이사회 진입도 무산될 공산이 커졌다. [유료기사코드] 블룸버그는 2일(이하 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뱅가드가 3일 예정된 디즈니 이사회 주주총회 투표에서 밥 아이거 최고경영자를 비롯한 기존 경영진에 표를 행사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실제 뱅가드가 이사회 투표에서 기존 경영진에 표를 던질 경우 아이거 CEO는 넬슨 펠츠와의 표 싸움에서 앞서나갈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뱅가드의 디즈니 지분이 7.8%에 이르는데다 디즈니 지분 4.2%를 보유한 2대주주 블랙록도 아이거 CEO 지지를 천명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자산운용사 T로우프라이스도 아이거 CEO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절반 이상의 표를 가진 주주들이 디즈니 경영진 손을 들어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개인주주로 최대 지분을 보유한 조지 루카스도 디즈니 경영진 편에 선 상황이다. 넬슨 펠츠의 트리안 파트너스는 디즈니 지분 1.8%를 보유해
[더구루=정등용 기자] 블록체인 전문 투자사 해시드가 앱토스 기반 거래 플랫폼 머클 트레이드(Merkle Trade)에 투자했다. 머클 트레이드는 이번 투자 유치가 프로토콜의 성장 이니셔티브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했다. 머클 트레이드는 1일(현지시간) 해시드와 아링턴 캐피탈이 주도한 시드 펀딩 라운드를 통해 210만 달러(약 30억원)를 모금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 라운드에는 △모닝스타 벤처스 △앰버 그룹 △앱토스 랩스 △Re7 캐피탈 △도라핵스가 참여했다. 머클 트레이드는 최대 1000배 레버리지로 암호화폐, 외환, 원자재 거래를 제공하는 탈중앙화 거래 플랫폼이다. 간소화 된 거래 UX(사용자 경험)와 게임화 된 거래 기능을 갖추고 있어 숙련된 트레이더와 초보 트레이더 모두를 만족 시키는 플랫폼으로 평가 받는다. 플랫폼 기반은 레이어1 블록체인 앱토스다. 앱토스는 확장성과 안전성, 신뢰성, 업그레이드 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350명 이상의 개발자 팀이 참여했으며 합의 매커니즘, 스마트 컨트랙트 설계, 보안, 성능, 분산화에 대한 아이디어로 개발됐다. 해시드는 머클 트레이드의 거래 기능에 주목해 이번 투자를 결정했다. 암호화폐 자산의 높은 변동성을 고려
[더구루=정등용 기자] 아크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의 최고경영자(CEO)이자 ‘돈나무 언니’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캐시 우드가 빅데이터 분석 기업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alantir Technologies)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 인공지능(AI) 분야에선 마이크로소프트를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했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캐시 우드는 지난달 전 NBA 스타 안드레 이궈달라와 에반 터너가 진행하는 팟캐스트에 출연해 AI 분야에서 떠오르는 기업 중 하나로 팔란티어를 꼽았다. 우드는 팔란티어에 대해 “세계에서 가장 큰 AI 기업 중 하나가 될 수 있다”며 “심지어 마이크로소프트에 위협이 될 수도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 팔란티어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는 동안 네 번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인 팔란티어 인공지능 플랫폼(AIP)을 출시했다. 유명 AI 기업에 많은 자금이 흘러가는 동안 이에 뒤지지 않는 개발 성과를 내놓았다. 팔란티어는 마이크로소프트보다 더 많은 AI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고객은 이를 활용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더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영향력 있는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최근에는 효율적인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사모펀드(PEF) 운용사 베인캐피탈이 초대형 데이터센터 전문기업 친데이터(ChinData)의 신규 투자자 유치에 나섰다. 친데이터 지분 매각 시기를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SK㈜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1일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베인캐피탈은 친데이터 자산 일부를 인수할 파트너를 찾고 있다. 베인캐피탈은 재산권 매각으로 확보한 자금을 친데이터 확장 계획에 사용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베인캐피탈은 지난 2019년 5억7000만 달러(약 7400억원)를 투입해 왕수 과학 기술 유한공사로부터 친데이터 그룹 지분을 사들였다. 이후 이미 보유하고 있던 브릿지 데이터와 합병하며 지분율 42%를 확보해 최대 주주 자리에 올랐다. 하지만 베인캐피탈은 지난해 31억6000만 달러(약 4조2600억원) 규모의 합병 거래를 통해 친데이터를 다시 비공개 전환했다. 친데이터는 베인캐피탈이 전액 출자한 자회사인 BCPE 쉬벌리 비드코 리미티드(BCPE Chivalry Bidco Limited)와 BCPE 쉬벌리 머저 섭 리미티드(BCPE Chivalry Merger Sub Limited)와 합병됐다. 지난해 7월에는 중국 국영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가 미국 연기금의 주식 대량 매각을 전망했다. 연기금 포트폴리오 재조정 차원으로 해석된다. 골드만삭스 FICC(채권·외환·상품)·주식 팀 애널리스트들은 31일(현지시간) 투자 노트를 통해 “연기금이 포트폴리오 재조정 차원에서 320억 달러(약 43조1200억원) 규모의 주식을 매도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6월 이후 가장 큰 조정이며 지난 3년 동안의 추정치 중 89번째 백분위수에 해당한다는 게 골드만삭스 설명이다. 월가에서 연금 흐름에 대한 전망은 다양하다. 하지만 부활절 전후로 거래량이 적을 때 시장에 추가적인 압력을 가할 수 있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실제 지난 10월 말 이후 S&P 500 지수가 약 26% 급등한 이후 트레이더들은 포지션이 늘어나고 주식이 단기 차익 실현에 더 취약하다는 우려를 표명한 바 있다. 골드만삭스는 “기관 투자자와 연기금은 엄격한 자산 배분 한도를 갖고 있으며 월말과 분기말에 시장 노출을 검토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S&P 500 지수는 올초 이후 8.8% 상승했고 글로벌 채권은 약 2% 하락해 펀드가 평소보다 더 많은 주식을 매도해야
[더구루=정등용 기자] 삼성생명이 투자한 프랑스 자산운용사 메리디암(Meridiam)이 배터리 분야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유럽 내 전기차 배터리 가치 사슬 구축에 역할을 확대하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메리디암은 27일(현지시간) 녹색 임팩트 성장 펀드(GIGF)를 통해 배터리 열 관리 시스템 개발기업 '엑소에스'(Exoès)와 3500만 유로(약 510억원) 규모의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엑소에스는 차세대 전기차를 위한 열 관리 시스템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갖춘 기업으로 평가 받는다. 지난 2019년부터는 전담 자회사를 통해 침수 냉각 기술을 기반으로 한 고성능 배터리 팩을 자체 개발하고 있다. 엑소에스는 지난 15년 동안 열, 기계, 유체, 전자 및 전기 공학 전반에 걸쳐 높은 기술력을 쌓아왔다. 설계·시뮬레이션부터 프로토타이핑, 테스트, 차량 통합에 이르기까지 고유한 ‘원스톱 숍’ 포지셔닝을 갖고 있으며 유럽연합(EU), 영국, 미국 전역의 25개 이상의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메리디암은 엑소에스가 더 많은 시장 기회를 포착하고 뛰어난 엔지니어링 전문가 팀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엑소에스는 글로벌 입지를 다지고
[더구루=정등용 기자] LG그룹의 기업형 벤처캐피털(CVC)인 LG테크놀로지벤처스가 인공지능(AI) 기술 스타트업 ‘흄AI(Hume AI)’에 추가 투자를 단행했다. 흄AI의 공감형 음성 인터페이스(EVI)의 기술력에 주목해 이번 투자를 결정한 것으로 해석된다. 흄AI는 27일(현지시간) EQT 벤처스가 주도하는 시리즈B 펀딩 라운드를 통해 5000만 달러(약 675억원)를 모금했다고 밝혔다. LG테크놀로지벤처스는 △유니온 스퀘어 벤처스 △냇 프리드먼 & 다니엘 그로스 △메타플래닛 △노스웰 홀딩스 △컴캐스트 벤처스 등과 함께 이번 펀딩 라운드에 참여했다. 앞서 LG테크놀로지벤처스는 지난해 1월에도 유니언 스퀘어 벤처스가 주도한 1270만 달러(약 157억원) 규모의 시리즈A 펀딩 라운드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 LG테크놀로지벤처스는 흄AI가 가진 기술력을 높게 평가해 두 차례 투자를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흄AI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환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의료 프로그램을 개발한 업체다. 이 프로그램은 환자의 음성과 표정 등 비언어적 표현을 감지해 환자에게 적절한 건강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특히 흄 AI가 최근 출시한 EVI의 경우
[더구루=홍성환 기자] 국내 부동산 전문 자산운용사 칸서스자산운용이 미국 로스엔젤레스(LA) 소재 사무실 건물을 싼값에 매입했다. 금리 인상에 따른 글로벌 부동산 시장 침체로 주요 매물이 헐값에 나오면서 기회를 엿보고 있다. 27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칸서스자산운용은 미국 캘리포니아주(州) 로스엔젤레스에 위치한 오피스 빌딩인 '777타워'를 1억4500만 달러(약 2000억원)에 인수할 예정이다. 이 건물은 로스엔젤레스 다운타운에 위치한 52층 초고층 빌딩이다. 브룩필드가 2억8900만 달러(약 3900억원)의 채무를 갚지 못하면서 매물로 나왔다. 이에 미상환 채무보다 절반 가깝게 싼 가격으로 빌딩을 인수하게 된다. 2004년 출범한 칸서스운용은 2019년 부동산 개발회사 HMG디앤씨(지분 79.3%)가 인수했다. 칸서스자산운용이 해외 부동산 매입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작년 하반기부터 부동산 등 대체투자에 확장하며 비중을 계속해서 늘려가고 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JP모건이 비트코인의 투자 가치를 금보다 높게 평가했다. 비트코인 현물 ETF 시장의 경우 향후 2~3년 안에 2200억 달러(약 295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JP모건은 25일(현지시간) 투자 보고서를 통해 “비트코인이 투자자 포트폴리오에서 금에 비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면서 “비트코인에 대한 선호도는 변동성 요인을 조정했을 때 금을 약 3.7배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JP모건 인사이트에 따르면 11개의 비트코인 현물 ETF의 승인은 암호화폐 시장의 판도를 바꾼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난 1월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이후 약 100억 달러(약 13조원)의 자금이 비트코인 생태계로 유입됐다. 이는 비트코인 반감기를 앞둔 영향도 있다는 게 JP모건 분석이다. 니콜라오스 파니기르조글루 JP모건 전무이사는 금 시장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비트코인 ETF의 시장 규모가 약 620억 달러(약 83조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JP모건의 또 다른 보고서에선 비트코인 현물 ETF 시장 규모가 2~3년 안에 2200억 달러에 도달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코인글래스의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2월 한 달 동안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가 헤지펀드와 조성한 공동 투자펀드를 통해 대규모 자금을 조달했다. 펀드는 유럽과 북미 지역 내 소프트웨어와 음악 저작권 분야에 집중 투자할 예정이다. 골드만삭스는 22일 헤지펀드와 조성한 공동 투자펀드 ‘유니온 브리지 파트너스 I(Union Bridge Partners I)’를 통해 7억 달러(약 9300억원)를 모금했다고 밝혔다. 유니온 브리지 파트너스 I은 골드만삭스의 3400억 달러(약 452조원) 규모 외부 투자 그룹의 일부다. 이 펀드는 폐쇄형 펀드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미 모금된 자본의 40%를 집행했다. 골드만삭스는 패밀리 오피스와 개인 자산 고객을 포함한 투자자들로부터 자본을 조달했다고 설명했다. 펀드는 유럽과 북미 지역 내 소프트웨어와 음악 저작권, 숙박업, 피트니스 센터에 자금을 투입할 계획이다. 유니온 브리지 파트너스 I을 이끄는 필립 팔론은 “외부 운용사와 협력해 상장 및 비상장 시장에 걸쳐 기업에 유연한 자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크게 증가했다”고 강조했다. 헤지펀드와의 공동 투자펀드 조성은 최근 업계 트렌드다. 헤지펀드의 자본 조달 환경이 어려워지면서 공동 투자펀드가
[더구루=정등용 기자] 삼성전자 투자 전문 자회사 삼성넥스트가 웹3 기반 레이어 미스티코 네트워크(Mystiko Network)에 투자했다. 미스티코 네트워크의 미래 성장 가능성과 혁신 기술을 높게 평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미스티코 네트워크는 21일(현지시간) 미국 유명 벤처캐피털인 세쿼이아의 아시아 지사인 피크 XV 파트너스가 주도하는 1900만 달러(약 250억원) 규모의 펀딩 라운드를 마감했다고 발표했다. 삼성넥스트는 이번 펀딩 라운드에 주요 투자자 중 하나로 참여했다. 이 밖에 △해시키 △미라나 △시그넘 △코인리스트 △트라이브 캐피탈 △모닝스타 벤처스 등이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다. 미스티코 네트워크는 미스티코 SDK를 통해 모든 블록체인과 디앱(dApp)에 확장성과 상호 운용성, 개인정보 보호, 인공지능(AI)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미스티코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생태계의 발전을 가속화하고 있다. 지난해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출시된 미스티코 네트워크는 범용 ZK 프로토콜과 ZK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가 포함돼 있어 개발자와 최종 사용자 모두에게 확장성과 상호운용성, 기밀성을 제공한다. 미스티코 네트워크는 앞서 바이낸스 MVB와 체인링크 스타트업, 폴리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Lucid Group)가 약 1조5000억원 규모로 전환사채를 발행한다. 최대 주주인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공공투자기금(PIF)이 이를 지원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루시드는 3일 최대 10억 달러(약 1조4600억원) 규모로 2030년 만기 전환선순위채권Convertible Senior Notes)을 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선순위전환채권은 약정 시점이나 투자자 전환권 행사 시점에 주식으로 전환, 원금을 상환받을 수 있는 채권이다. 다만 일반 전환사채(CB)와 달리 전환 가격이 정해져 있지 않다. 루시드의 선순위전환채권 발행과 관련해 PIF 자회사인 '아야르서드 컴퍼니'가 특정 투자자와 선불 선도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는 미래 보유 주식 매각을 담보로 미리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이다. PIF는 루시드의 지분 60%를 보유한 최대 주주이다. 2022년 12월 15억 달러, 2023년 5월 18억 달러를 지원한 데 이어 작년에도 3월 10억 달러, 8월 15억 달러의 유동성을 공급했다. <본보 2024년 8월 6일자 참고 : 사우디 국부펀드, 루시드에 '2조' 자금 투입> 루시드는 또 작
[더구루=홍성일 기자] 구글이 인공지능(AI) 수요 급증에 따라 엔비디아 AI칩 추가 조달에 나섰다. 구글의 AI칩 추가 조달이 'AI반도체 수요 고점론'을 약화시킬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3일 경제전문매체 디 인포메이션에 따르면 구글은 AI 데이터센터 임대기업 코어위브(CoreWeave)와 엔비디아 블랙웰(Blackwell) AI칩 임대를 위한 사전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상세한 조달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구글이 코어위브와 협상에 나선 배경에는 AI 수요 급증이 있다는 분석이다. AI관련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데 맞춰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설치하기 위해 서버 임대를 선택했다는 것. 코어위브는 미국 전역에 32개 데이터센터를 구축했으며 탑재된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는 25만 장이 넘는다. 특히 이번 계약으로 AI칩 수요 고점론이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 AI칩 수요 고점론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코어위브 기업공개(IPO) 결과가 기대에 못미치면서 고개를 들었다. 당초 코어위브는 주당 공모가를 47~55달러로 목표했지만 시장의 미온적 반응에 공모가격을 40달러 낮췄다. 지난해 매출의 62%를 담당한 마이크로소프트(MS)가 미국 내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