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빅테크 구글이 세계 데이터센터용 프로세서 설계업체 3위에 등극했다. 구글은 텐서처리장치(TPU)를 앞세워 머신러닝 시장 등을 공략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시장조사기관 테크인사이트에 따르면 구글의 2023년 기준 데이터센터 프로세서 시장에서 3번째로 많은 점유율을 달성했다. 구글보다 점유율이 앞선 기업은 엔비디아와 인텔이었으며 AMD가 뒤를 이었다. 구글의 데이터센터 프로세서 판매를 주도하고 있는 것은 TPU다. 2015년 1세대가 출시된 TPU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에 특화시킨 맞춤형 전용 칩(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이다. TPU는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와는 다른 용도로 독자적인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구글의 설명에 따르면 TPU는 행렬 연산이 주를 이르는 모델, 수 주에서 수 개월간 학습시키는 모델, 초대형 AI모델에서 CPU나 GPU보다 적합하다. 구글은 지난해 전 세계 데이터센터에 TPU 200만 개를 출하했다. TPU가 본격적으로 출하되기 시작한 것은 초거대언어모델(LLM)이 등장하기 시작한 2021년이다. 구글은 지난 14일 6세대 TPU인
[더구루=홍성일 기자] 에릭 슈미트(Eric Schmidt) 전 구글 최고경영자(CEO)가 향후 인공지능(AI)의 안전한 개발과 사용을 위해 미국과 중국간 합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해 눈길을 끌고 있다.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AI기술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는 슈미트는 AI판 오픈 스카이(Open Skies) 협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유료기사코드] 에릭 슈미트 전 CEO는 21일(현지시간) 공개된 노에마 매거진(Noema Magazine)과의 인터뷰에서 AI기술 발전 방향성과 현재 속도, 위협 그리고 중국과의 경쟁 등에 대해서 자신의 의견을 밝혔다. 그는 무한한 컨텍스트 창을 갖추고 사고 추론이 가능하며 텍스트를 이미지, 영상, 소프트웨어로 제작해주는 수행능력을 가진 AI모델의 등장이 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슈미트 전 CEO는 "이런 능력을 갖춘 AI에이전트는 합리적인 예상으로 5년 이내에 도달할 것"이라며 "그 이유는 이 길에 엄청나게 많은 자본이 투자되고 있고 방법도 다양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AI기술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우려되는 부분에 대해서도 거론했다. 무엇보다 강력한 성능을 가진 AI를 악용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더구루=홍성일 기자] 구글이 아프리카 국가들과 호주를 연결하는 새로운 광케이블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이번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아프리카와 호주를 연결하는 첫 해저케이블이 생겨난게 된다. [유료기사코드] 구글 클라우드는 23일(현지시간) 아프리카-호주 간 광케이블 연결 사업 '우모자(Umoja)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우모자는 스와힐리어로 화합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구글 클라우드는 우모자 프로젝트를 통해 아프리카 국가들이 전 세계와 더욱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목표다. 우모자 프로젝트는 우간다에서 시작돼 르완다, 콩고민주공화국, 잠비아, 짐바브웨,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지나 인도양을 통과, 호주로 이어진다. 우모자 프로젝트로 아프리카 대륙에 설치될 광케이블에는 다수의 접속 지점을 확보해 케이블이 지나가는 국가들이 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번 우모자 프로젝트는 구글 클라우드가 2019년부터 진행한 에쿠아노(Equiano) 프로젝트를 확대한 것이다. 에쿠아노 프로젝트는 포르투갈과 남아프리카공화국을 해저 광케이블로 연결하는 프로젝트다. 우모자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유럽과 아프리카, 오세아니아를 연결하는 거대한 광케이블 인프라가 완성된다. 구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소셜네트워크 기업 메타(Meta)가 업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인공지능(AI) 자문위원회 만들었다. 메타는 새로운 자문위원회를 통해 AI기술 발전에 대한 방향성을 구축한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는 업계 전문가 4인이 참여하는 AI 자문위원회를 구성했다. 해당 자문위원회는 주기적으로 메타 경영진과 AI 기술과 관련된 회의를 진행한다. 메타 AI 자문위원회 멤버는 △스트라이프의 최고경영자(CEO) 패트릭 콜리슨(Patrick Collison) △깃허브의 전 CEO 냇 프리드먼(Nat Friedman) △쇼피파이 CEO 토비 뤼트케(Tobi Lütke) △마이크로소프트 전 전략책임자(CSO) 찰리 송허스트(Charlie Songhurst)다. 자문위원들은 별도의 보수를 받지 않으며 메타 경영진에 기술 발전, 혁신, 전략적 성장기회에 대한 통찰과 권고 사항 등을 제공한다. 메타가 AI 자문위원회를 구성한 것은 AI기술 개발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메타의 AI기술 분야에는 VR 헤드셋, 스마트 글래스 등 하드웨어와 AI 어시스턴트 등 소프트웨어가 전부 포함된다. 메타는 이번 AI 자문위원회 구성을 통해 오픈AI, 마이크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구글이 인공지능(AI) 검색 기능인 서클 투 서치(Circle to Search)의 기능을 강화한다. 구글은 서클 투 서치의 사용성을 강화해 올 연말까지 설치 기기수를 2억대까지 늘린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2일 IT전문매체 안드로이드 오소리티(Android Authority)에 따르면 구글은 서클 투 서치 베타앱에 △검색한 이미지 저장 △텍스트 듣기 △텍스트 모두 선택 등 3가지 기술을 추가했다. 안드로이드 오소리티는 이를 어셈블디버그(AssembleDebug)라는 팁스터와 확인했다. 서클 투 서치는 구글이 개발한 AI 이미지 검색 기능으로 최근 출시된 삼성전자 갤럭시 S24에서도 적용됐다. 서클 투 서치는 이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원 형태로 표시해주면 이를 인식해 이미지 검색을 실행해주는 형태의 서비스다. 이번에 추가될 예정인 검색 이미지 저장의 경우에는 이용자가 검색하고 싶은 페이지를 선택하면 저장 버튼이 표시되고 이를 선택하면 구글앱에 저장되는 형태다. 안드로이드 오소리티가 공개한 기능 중 관심을 받는 기능은 듣기와 모두 선택 기능이다. 안드로이드 오소리티는 "해당 기능 코드가 앱에 포함된 것은 확인됐지만 실제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라인 기프트(선물하기) 서비스가 일일 최대 거래액 기록을 달성했다. 최근 일본 정부 주도로 벌어진 일련의 사태 속에서도 굳건한 시장 지배력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라인 기프트는 2024년 일본 어머니의 날 최대 거래액과 최다 이용자 수를 기록했다. 올해 일본 어머니날은 5월 12일이었다. 정확한 거래액과 이용자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거래액은 전년 대비 160%가 증가해 2015년 해당 서비스가 출시된 이후 일일 거래액, 이용자 수 기록을 달성하게 됐다. 라인 기프트가 어머니의 날 거래액 기록을 세우게 된데에는 선물에 어머니의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도입했기 때문이다. 해당 서비스는 올해 4월 선보였으면 제품 선택 시 이름과 메시지 등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번 어머니의날에 판매된 상품 중 가장 눈길을 끈 상품은 아베다의 '패드 브러쉬'로, 판매량이 전년 대비 3배 증가했다. 라인 기프트는 뉴스, 게임, 뮤직 등과 함께 라인의 생활 플랫폼 서비스 라인을 이끌고 있다. 최근 벌어진 라인 사태로 일본 내 반한 감정이 자극받아 이용자들의 서비스 이탈이 벌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다. 하지만
[더구루=정등용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기업 아람코가 LG전자 양자컴퓨팅 파트너사인 파스칼과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아람코와 파스칼은 사우디에 첫 양자컴퓨터를 구축하는 데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아람코는 지난 19일(현지시간) 파스칼과 사우디 최초의 양자컴퓨터를 설치·유지·운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고성능 양자 컴퓨팅 기능을 아람코의 운영에 통합해 에너지 분야 과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람코는 상업적 채택을 가속화하고 혁신을 촉진하는 동시에 사우디 기술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번 계약에 따라 파스칼은 내년 하반기 중 200큐비트 양자컴퓨터를 설치할 예정이다. 초기 구축에는 ‘아날로그 모드’ 시스템이 적용되며, 1년 이내에 더 강력한 하이브리드 ‘아날로그-디지털 모드’로 업그레이드 될 방침이다. 이 밖에 아람코와 파스칼은 양자 컴퓨터를 활용해 새로운 사용 사례를 개발하고 사우디 내 선도적인 양자 연구 센터를 설립할 계획이다. 더불어 학술 기관과 함께 양자 알고리즘의 획기적인 발전에 주력한다는 각오다. 아람코는 이번 이니셔티브가 디지털 경제와 지역 내 첨단 기술 성장에 기여하기 위한
[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에 인수된 미국 중고 거래 플랫폼 '포쉬마크'가 네이버의 광고 기능을 이용한 새로운 유료 홍보 서비스를 출시했다. 포쉬마크는 이번 서비스 출시로 수익성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포쉬마크는 16일(현지시간) 미국 내 판매자들을 위한 새로운 기능인 '프로모티드 클로젯(Promoted Closet)'을 정식 출시했다. 프로모티드 클로젯은 지난해 4월 공개됐으며 1년여간 다양한 테스트를 진행해왔다. 프로모티드 클로젯 기능은 일종의 유료 홍보 서비스 기능이다. 포쉬마크를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들은 유료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판매자의 상품이 검색 결과와 브랜드 페이지 내에서 눈에 띄는 위치에 노출된다. 이를 통해 도달범위 등을 넓혀 더욱 많은 소비자들과 접촉할 수 있게된다. 또한 관련된 노출데이터를 확보해 향후 판매 전략을 수립하는데도 활용할 수 있다. 포쉬마크는 1년여간의 테스트를 통해 프로모티드 클로젯의 효과를 확인한 만큼 많은 이용자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포쉬마크가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프로모티드 클로젯을 먼저 사용한 판매자들은 매출과 페이지 조회수가 증가했다. 일부 판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idia)와 컴퓨팅 기업 델(Dell)이 인공지능(AI) 인프라 확장을 위한 협력을 강화했다. 델은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기반으로 AI 인프라 시장 생태계를 넓힌다. [유료기사코드] 델은 20일(현지시간)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된 '델 테크놀로지스 월드(Dell Technologies World)'에서 AI 팩토리(AI Factory) 확장 계획을 밝혔다. 델의 AI 팩토리는 지난 3월 진행된 엔비디아 GTC를 통해 공개됐다. AI 팩토리는 기업용 AI 도입과 구축을 단순화하는 형태로 포괄적인 AI 솔루션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됐다. AI 팩토리의 핵심장비는 델 파워엣지 XE9680L(Dell PowerEdge XE9680L)이다. 해당 서버장치는 4U 폼팩터에서 8개의 엔비디아 블랙웰 GPU를 지원한다. 델은 해당 서버가 업계 표준 x86랙에서 최고 수준의 랙 스케일 집적도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해당 서버가 노드당 33% 더 놓은 GPU 집적도를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델은 파워엣지 XE9680L에 직접 액체 냉각(Direct liquid cooling)을 적용, 열관리 효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반도체 규제로 인공지능(AI)용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에 난항을 겪고있는 중국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등장했다. 중국기업들이 새로운 클러스터 기술을 활용해 미국의 규제를 돌파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바이두는 서로 다른 브랜드의 GPU를 결합해 하나의 단일 컴퓨터 클러스터로 묶는 기술을 개발했다. 해당 내용은 1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공개됐다.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정확한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바이두가 GPU 클러스터 기술을 개발한 것은 미국의 반도체 규제로 엔비디아, AMD 등 미국 기업들의 하이엔드급 GPU 확보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중국 기업들의 다른 시장을 통한 우회 구매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왔다. 하지만 바이두가 서로 다른 브랜드의 GPU를 결합해 하나의 클러스터로 묶는 기술을 개발하면서 성능이 떨어지는 중국산 GPU와 미국산 GPU를 결합해 사용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 것이다. 업계에서는 바이두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놀라운 기술적 돌파구를 마련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여러 개의 GPU를 묶는 것이 간단한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GPU는 제조업
[더구루=홍성일 기자] 오픈AI의 초정렬(superalignment, 슈퍼얼라이먼트) 팀의 공동리더를 맡았던 얀 라이케(Jan Leike)가 사임했다. 얀 라이케와 오픈AI의 초정렬 연구를 주도하던 일리야 수츠케버(Ilya Sutskever) 최고과학자(chief scientist)도 함께 회사를 떠나면서 초지능(superintelligences) 제어 기술 개발에 대한 향후 전망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얀 라이케 오픈AI 초정렬팀 공동리더는 15일(현지시간) 자신의 엑스(옛 트위터)를 통해 "사임했다(I resigned)"라는 짧은 글을 남겼다. 일리야 수츠케버 오픈AI 최고과학자와 공동으로 사임한 것이다. 일리야 수츠케버는 지난해 전세계적인 이슈가 됐던 샘 알트만(Sam Altman)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축출에 대해서 "인류의 안전을 위한 것"이었다며 샘 알트만이 AI의 안전 문제를 무시하고 있다는 듯한 발언을 해 이슈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얀 라이케는 2021년 오픈AI에 합류했다. 얀 라이케는 오픈AI 합류 전 구글 딥마인드에서 근무했었다. 얀 라이케는 일리야 수츠케버와 함께 2023년 7월 구성된 초정렬 연구팀의 공
[더구루=홍성일 기자] 새프라 캐츠(Safra Catz) 오라클 최고경영자(CEO)가 정보유출 우려에 금지법까지 등장한 글로벌 숏폼 플랫폼 '틱톡(TikTok)'에 대해서 입을 열었다. 새프라 캐츠 CEO는 틱톡의 모든 미국 내 데이터는 안전하다고 주장했다. [유료기사코드] 새프라 캐츠 CEO는 11일(현지시간) 공개된 닛케이 아시아와의 인터뷰를 통해 "미국 시민의 모든 데이터는 클라우드에 있다"며 "데이터를 외부로 반출할 수 없도록 모니터링하는 게이트웨이를 구현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틱톡의 코드가 예상대로 작동하는 지 확인하기 위해 수백 명의 직원을 작업에 투입해 검증하고 있다"며 "미국 국가 안보 분야에서 쌓은 경험과 미국 데이터 보안에 대한 헌신으로 틱톡과 계약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새프라 캐츠 CEO가 틱톡 내 개인정보가 반출될 수 없다고 강력하게 얘기한 것은 미국 정치권이 틱톡을 금지하기 위한 명분으로 '미국인 정보 중국 유출'을 앞세우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입장을 방어하는 수단으로 틱톡이 삼고 있는 것이 '모든 정보는 오라클 클라우드에 저장된다'는 것이다. 이 문제가 결정적으로 주요한 이슈가 된 것은 지난달 미국 상원이 틱톡 미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중국 시장 전용 6인승 전기 SUV '모델 Y L'을 출시했다. 테슬라는 모델Y L을 앞세워 중국 로컬 브랜드에 맞서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는 19일(현지시간) 모델Y L을 출시하고 판매에 돌입했다. 모델YL의 배송은 다음달 시작될 예정이다. 모델Y L은 중국 시장 최고 인기 모델인 모델Y의 롱바디 모델이다. 이를 통해 좌석을 3열까지 배치해, 탑승인원을 6명으로 늘린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테슬라 중국법인 측은 "휠베이스를 늘려 각 좌석마다 넉넉한 레그룸을 갖추고 있다"며 "좌석마다 전동 조절 시트와 열선 기능이 장착됐고, 2열 시트에는 전동 암레스트도 탑재됐다"고 소개했다. 또한 2열과 3열은 평평하게 접혀, 필요에 따라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테슬라 모델Y L의 1회 충전시 751km(CLTC 기준) 주행할 수 있으며,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데는 4.5초가 소요된다. 최고 속도는 시속 210km에 달한다. 중국 전기차 전문매체 CNEV포스트는 모델YL에 LG에너지솔루션에서 개발한 82kWh 삼원계 배터리(NMC)가 장착됐다고 전했다. 테슬라는 모델YL을 33만90
[더구루=정예린 기자] 엔비디아가 오는 2027년부터 고대역폭메모리(HBM) 핵심 부품인 '베이스 다이'의 자체 생산을 추진한다. 기존 공급망 의존도가 줄어들면서 HBM 시장과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에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대만 공상시보(CTEE)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7세대 HBM인 HBM4E부터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탑재할 계획이다. 초기에는 TSMC 3나노미터(nm) 공정을 적용해 소량 시험 생산을 진행하고, 점차 생산 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는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HBM 생산 기업들이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든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2027년 하반기부터는 엔비디아가 자체 맞춤형으로 설계한 베이스다이를 적용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2027년 하반기부터 어느 메모리 업체의 HBM 제품과 결합하더라도 엔비디아가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HBM 생산 기업 등 공급망 내 기업들의 일부 역할이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이번 전략 변화가 GPU와 HBM 시스템 통합 성능을 높이기 위한 결정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HBM4E부터는 단순 메모리 적층을 넘어, 최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