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등의 투자를 받은 미국 양자컴퓨터 선도 기업인 '아이온큐'가 '이온-광자 얽힘' 시연에 성공했다. 양자 네트워크 개발에 있어 중요한 단계를 통과했다. [유료기사코드] 아이온큐는 22일(현지시간) 이온-광자 얽힘을 시연했다고 밝혔다. 얽힘은 두 개의 입자가 거리와 상관없이 연결되는 물리적 현상을 뜻한다. 가령 0과 1이 중첩된 두 개의 양자가 있다고 가정할 때 하나의 값이 1이면 나머지 하나의 값도 자동으로 1이 된다. 아무리 거리가 떨어져도 양자와 양자가 얽힘으로써 정보를 순식간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얽힘의 특성을 제대로 구현할수록 양자컴퓨터의 핵심 기술인 양자 네트워크의 완성도도 높아진다. 아이온큐는 업계 최초로 얽힘 시연에 성공하면서 양자 네트워크 구축에 한발 다가가게 됐다. 아이온큐는 지난해 캐나다 양자컴퓨팅 솔루션 스타트업 인탱글드 네트웍스(Entangled Networks)를 인수했다. 양자 네트워킹 연구와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미국 공군연구소(AFRL)와 2550만 달러(약 340억원) 규모의 계약도 맺었다. 선제적으로 기술을 확보하려는 다양한 노력들이 합쳐져 시연을 완료할 수 있었다는 게 회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빅테크 구글이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쇼핑 검색 기능을 도입했다. 구글은 새로운 기능으로 생성형AI 검색시장에서 마이크로소프트(MS), 오픈AI 연합군에 대응한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업계에 따르면 구글 디지털마케팅책임자 샤밈 아디카라트(Shameem Adhikarath)는 최근 자신의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생성형AI를 기반으로 한 쇼핑 과정을 보여주는 시연 영상을 공개했다. 해당기능은 현재 일부 테스터들만 이용하고 있는 '검색 생성 경험(SGE)'에서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글의 AI검색기능은 '샵 위드 구글AI(Shop with GoogleAI)'라고 명명됐다. 샵 위드 구글AI는 이미지 생성형AI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기존의 AI검색기능은 촬영된 사진을 입력하고 이를 인식해 유사한 제품을 찾아주는 방식으로 이용된다. 반면 구글의 새로운 AI쇼핑은 대형언어모델(LLM) 프롬프트에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의 의상을 입력해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용자는 지속적으로 프롬프트를 입력해 자신이 원하는 의상이 나온다면 이를 기반으로 AI이미지 검색을 수행, 비슷한 스타일의 옷을 찾을 수 있다. 업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Azure)의 오픈AI 서비스를 확대한다. MS는 신규 서비스를 통해 기업용 인공지능(AI) 시장까지 범위를 넓혀 점유율을 확대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MS는 20일(현지시간) 공식블로그를 통해 온 애저 오픈AI 서비스 온 유어 데이터(Azure OpenAI Service On Your Data)의 정식 서비스가 시작됐다고 밝혔다. 애저 오픈AI 서비스 온 유어 데이터는 각 기업이 보유한 데이터를 애저, 오픈AI의 서비스를 결합해 맞춤형 AI 서비스를 구축해주는 기능이다. MS는 온 유어 데이터 기능을 활용하면 기업이 GPT-4와 같은 오픈AI의 AI모델을 활용해 자체 애플리케이션이나 코파일럿(Copilot), 챗봇을 구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애저의 강력한 보안 기능도 함께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MS는 온 유어 데이터에서 GPT-4외에도 GPT-3.5터보, GPT-3.5 터보 16k, GPT-4 32k 등도 다양한 오픈AI의 대형언어모델(LLM)을 선택해 활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MS는 애저 오픈AI 서비스 온 유어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B2C(기업-소비자가 거래), B2B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보안 소프트웨어 기업 360보안테크놀로지(三六零安全科技, 이하 치후360)의 창립자가 오픈AI의 영상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소라(SORA)'의 등장으로 일반인공지능(AGI·인간 수준의 사고가 가능해 다양한 상황을 학습할 수 있는 AI)의 등장 시기까지 빨라졌다고 주장했다. [유료기사코드] 저우훙이(周鸿祎) 치후360 창립자 겸 회장은 16일(현지시간) 자신의 웨이보를 통해 "소라의 탄생을 통해 AGI 구현이 10년에서 1~2년으로 단축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우훙이 회장은 소라에 대해 "소라는 단순히 동영상 제작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다"며 "대형언어모델(LLM)을 통해 실제 세계를 이해하고 시뮬레이션 할 수 있게 된 것"이라고 의미를 설명했다. 그러면서 "AI가 카메라에 연결되고 영화와 유튜브 등 모든 영상을 시청하며 텍스트 학습보다 더 빠르게 세상을 이해하게 될 것"이라며 "AGI는 10년, 20년의 문제가 아니게됐다"고 덧붙였다. 저우홍이 회장은 소라의 등장으로 영상 산업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 "AI가 좋은 비디오를 만들 수 있지만 주제, 대본, 서브 플롯, 대사 조정 등은 아직 인간 창
[더구루=홍성일 기자] 양자컴퓨터 기업 아이온큐(IONQ)가 미국 최초의 양자컴퓨터 제조시설을 개장했다. 아이온큐는 당초 계획보다 생산시설의 규모를 확장하는 등 양자컴퓨터 양산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아이온큐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주 보셀에 위치한 생산공장에서 지난 15일(현지시간) 리본 커팅 행사를 진행했다. 행사에는 마리아 캔트웰(Maria Cantwell) 워싱턴주 상원의원을 비롯해 피터 채프먼(Peter Chapman) 최고경영자(CEO), 김정상 최고기술책임자(CTO) 등이 참석했다. 워싱턴주 시애틀 인근 보셀에 위치한 아이온큐 공장은 약 9754㎡(제곱미터) 규모로 건설됐다. 당초 계획이었던 6000㎡에서 50% 이상 늘어난 규모다. 아이온큐에 따르면 보셀공장은 데이터센터용 양자컴퓨터를 제조할 수 있는 미국 최초의 공장이다. 아이온큐 보셀공장은 두 번째 양자 데이터 센터 역할을 하며 미국 내 주요 생산 시설로 역할하게 된다. 아이온큐는 보셀공장에서는 차세대 이온큐 포르테 엔터프라이즈(IonQ Forte Enterprise), 아이온큐 템포(IonQ Tempo) 시스템 개발팀을 포함, 회사의 주요 R&D 및 제조팀이 근무하게 된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AI기반 심박수·심전도 측정 기기 제조업체 '얼라이브코어(AliveCor)'의 재판에서 승리했다. 법원은 약식판결로 애플의 손을 들어주며 얼라이브코어가 패배했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캘리포니아 북부지방법원에 따르면 제프리 화이트(Jeffrey White) 판사는 지난 6일(현지시간) 약식판결을 통해 얼라이브코어가 애플을 상대로 제기한 반독점법 소송에 애플에 손을 들어줬다. 얼라이브코어는 즉각 항소한다는 방침이다. 재판은 지난 2021년 5월 얼라이브코어가 애플을 반독점법 위반 협의로 고소하면서 시작됐다. 얼라이브코어는 애플이 특정 애플워치 심박수 데이터에 대한 제3자 액세스(접근)를 제한했으며 이는 반경쟁적인 조치라고 주장했다. 얼라이브코어가 제기한 문제의 시작은 2018년 9월 워치OS 5가 출시부터다. 애플은 워치OS 5를 출시하면서 심박수 데이터를 활용하는 알고리즘은 심박수 경로 최적화 기술(Heart Rate Path Optimizer, HRPO)에서 심박수 신경망 기술(Heart Rate Neural Network, HRNN)로 업그레이드했다. 얼라이브코어는 애플의 업그레이드로 자신들의 스마트리듬 기능의 사용자 경험
[더구루=홍성일 기자] 챗GPT를 개발한 인공지능(AI) 기업 오픈AI가 텍스트를 영상으로 변환해주는 새로운 AI 모델 '소라(SORA)'를 공개했다. 오픈AI는 라이브 서비스에 앞서 테스트에 돌입했다. 오픈AI는 15일(현지시간) 텍스트 투 비디오(Text To Video) 모델 '소라'를 공개하고 테스트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오픈AI는 "레드팀 구성원들이 해당 모델에 대한 평가를 시작했다"며 "피드백을 얻기위해 다수의 시각 예술가, 디자이너, 영화제작자에게도 접근권을 부여했다"고 덧붙였다. 소라는 프로프트에 입력된 텍스트를 영상으로 만들어주는 생성형 AI 모델로 최대 1분 길이의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고 한다. 이는 기존 비디오 생성 AI가 4초 단위의 영상만이 제작했던 것에 비해 월등히 향상된 수치다. 오픈AI는 "소라가 여러 캐릭터, 특정 유형의 동작, 피사체와 배경의 정확한 디테일 포함된 복잡한 장면을 생성할 수 있다"며 "소라는 사용자가 프롬프트에서 요청한 내용뿐 아니라 실제 세계에서 이런 사물이 어떻게 존재하는지도 이해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소라가 아직 복잡한 장면의 물리현상을 정확하게 시뮬레이션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원인과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의 연구진이 대형언어모델(LLM)을 활용한 애니메이션 제작 툴과 관련된 연구 내용을 공개했다. 인공지능(AI)부문에서 경쟁사들에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애플이 추격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애플의 연구진들은 8일(현지시간) 논문 공유플랫폼 아카이브를 통해 '키프레이머:대형 언어 모델을 사용한 애니메이션 디자인 강화하기(Keyframer: Empowering Animation Design using Large Language Models)'라는 논문을 공개했다. 해당 논문은 LLM을 사용해 정적 SVG(Scalable Vector Graphics) 이미지에 애니메이션을 적용하는 디자인 툴 '키프레이머'를 소개하고 있다. SVG이미지는 벡터 그래픽을 표현하기 위한 XML 기반의 포맷이다. SVG의 특징은 기존 JPG, PNG 등은 픽셀 기반이지만 SVG는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정보 접근성이 좋다. 키프레이머 이용자는 보름달이 그려진 SVG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프롬프트에 자연어로 '달이 이동하다가 사라지게 만들어줘'라는 명령어를 입력한다. 그러면 키프레이머는 이미지 속 보름달이 이동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 혼합현실(MR) 헤드셋 '비전프로'를 글로벌 게임 플랫폼 '스팀(Steam)'에서 사용하기 위한 드라이버 개발이 본격화 됐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iVRy는 비전프로용 스팀VR(SteamVR)를 개발하고 있다. 공식 소셜미디어서비스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알린데 이어 지난 9일에는 밸브(VALVE)의 승인을 받아 비전프로용 드라이버 상세페이지도 개설했다. iVRy외에 버추얼 데스크탑(Virtual Desktop)도 비전프로용 스팀VR 드라이버를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iVRy과 버추얼 데스크탑은 다양한 VR 디바이스를 스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다. iVRy를 활용하면 퀘스트, 피코, 오큘러스 고, 삼성기어 VR, 구글 드림데이, PSVR1 등을 스팀VR에서 사용할 수 있다. 버추얼 데스크탑은 퀘스트, 피코, 바이브 XR 엘리트 등을 지원한다. iVRy과 버추얼 데스크탑이 비전프로용 스팀VR 드라이버 출시를 예고했지만 출시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버추얼 데스크탑의 경우 비전프로를 확보해 개발 작업을 진행 중이지만 안드로이드 기반 헤드셋과 다른 기술 기반으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양자컴퓨터, 양자암호 등 양자 기술 개발 경쟁이 전세계적으로 벌어지고 있다. 특히 지구의 패권을 두고 경쟁하는 미국과 중국의 경쟁이 점점 더 치열해지면 기술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의회는 양당의 지지를 바탕으로 국가 양자 이니셔티브(National Quantum Initiative, 이하 NQI)를 재승인할 전망이다. NQI가 재승인되면 향후 5년간 30억 달러에 달하는 예산이 양자 연구에 투입된다. NQI는 2018년 12월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법안으로 양자 정보 과학(QIS) 분야 미국 리더십 확보와 경제, 안보 강화에 목적을 두고 실행됐다. NQI는 지난해 말 5년간의 첫번째 회차가 마무리되면서 미국 의회는 재승인에 나섰다. 그리고 지난해 11월 29일(현지시간) 하원 과학 우주 및 기술 위원회는 NQI 재승인법과 상업우주법을 통과시켰다. NQI는 올 상반기 중으로 상원까지 통과하면 다시 발효될 예정으로 기존보다 규모가 커지고 국제 협력도 확대될 예정이다. 미국이 양자기술 개발에 국가차원에 지원을 하는 것은 양자 기술이 AI 군비경쟁과 같이 현재 패권을 두고 경쟁하듯 개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프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코파일럿(Copilot)에 새로운 이미지 생성 기능을 추가했다. [유료기사코드] MS는 7일(현지시간) 코파일럿에 이미지 제작 기능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코파일럿 이미지 제작 기능은 기존 생성형 AI 이미지 생성과 같이 프롬프트에 출력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글로 설명하면 AI가 이미지를 만들어 제공한다. MS가 추가한 이미지 생성 기능에서 눈에 띄는 점은 생성된 이미지를 바로 편집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코파일럿이 이미지를 생성하면 이용자는 생성된 이미지 중 마음에 드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이미지 속 개체를 강조하기 위해 배경을 흑백이나 블러 처리를 할 수도 있으며 픽셀 아트와 같은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다. 유료서비스인 코파일럿 프로 이용자의 경우에는 생성된 사진의 크기를 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재생성 할 수도 있다. MS는 코파일럿의 이미지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몰입형 전용 캔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디자이너 GPT 인사이드 코파일럿도 출시할 예정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이데자와 다케시(いでざわたけし, Idezawa Takeshi) 라인야후 최고경영자(CEO)가 44만건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서 재차 사과하고 나섰다. 다케시 사장은 해킹 사고 원인으로 협력업체 컴퓨터를 지목했다. [유료기사코드] 이데자와 다케시는 6일 열린 라인야후의 결산설명회에서 개인정보 44만 건 유출에 대해 "걱정과 심려를 끼쳐드린 점에 대해 깊이 사과드린다"며 "재발 방지책 수립과 실행에 최선을 다하고 다시 한 번 더 공표하겠다"고 밝혔다. 라인야후는 지난해 11월27일 자사 서버가 사이버 공격을 받아 라인 이용자 정보 등 약 44만 건이 유출됐다고 전했다. Z홀딩스에서 라인야후로 사명을 변경하고 출범한지 2개월여만의 사고였다. 라인야후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회사 시스템에 부정 접속이 발생해 직원 정보 등이 유출됐다. 해당 부당 접속은 업무를 위탁한 한국기업의 PC가 악성코드에 감염된 것이 원인이었다. 이후 네이버의 자회사와 공통으로 사용하던 인증 기반이 악용되면서 라인 이용자 정보 등이 유출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라인야후는 일본 최대 빅테크 기업 중 하나인 만큼 지속적으로 개인정보와 관련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지난 2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중국 시장 전용 6인승 전기 SUV '모델 Y L'을 출시했다. 테슬라는 모델Y L을 앞세워 중국 로컬 브랜드에 맞서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는 19일(현지시간) 모델Y L을 출시하고 판매에 돌입했다. 모델YL의 배송은 다음달 시작될 예정이다. 모델Y L은 중국 시장 최고 인기 모델인 모델Y의 롱바디 모델이다. 이를 통해 좌석을 3열까지 배치해, 탑승인원을 6명으로 늘린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테슬라 중국법인 측은 "휠베이스를 늘려 각 좌석마다 넉넉한 레그룸을 갖추고 있다"며 "좌석마다 전동 조절 시트와 열선 기능이 장착됐고, 2열 시트에는 전동 암레스트도 탑재됐다"고 소개했다. 또한 2열과 3열은 평평하게 접혀, 필요에 따라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테슬라 모델Y L의 1회 충전시 751km(CLTC 기준) 주행할 수 있으며,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데는 4.5초가 소요된다. 최고 속도는 시속 210km에 달한다. 중국 전기차 전문매체 CNEV포스트는 모델YL에 LG에너지솔루션에서 개발한 82kWh 삼원계 배터리(NMC)가 장착됐다고 전했다. 테슬라는 모델YL을 33만90
[더구루=정예린 기자] 엔비디아가 오는 2027년부터 고대역폭메모리(HBM) 핵심 부품인 '베이스 다이'의 자체 생산을 추진한다. 기존 공급망 의존도가 줄어들면서 HBM 시장과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에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대만 공상시보(CTEE)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7세대 HBM인 HBM4E부터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탑재할 계획이다. 초기에는 TSMC 3나노미터(nm) 공정을 적용해 소량 시험 생산을 진행하고, 점차 생산 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는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HBM 생산 기업들이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든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2027년 하반기부터는 엔비디아가 자체 맞춤형으로 설계한 베이스다이를 적용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2027년 하반기부터 어느 메모리 업체의 HBM 제품과 결합하더라도 엔비디아가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HBM 생산 기업 등 공급망 내 기업들의 일부 역할이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이번 전략 변화가 GPU와 HBM 시스템 통합 성능을 높이기 위한 결정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HBM4E부터는 단순 메모리 적층을 넘어, 최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