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가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을 거점으로 북미 영토 확장에 나선다. 파리바게뜨가 미국 시장 공략에 고삐를 바짝 죄고 오는 2030년 북미 1000호점 비전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향후 10년 동안 휴스턴을 중심으로 최대 15개 신규점을 순차적으로 오픈한다. 해당 계획이 순조롭게 마무리되면 파리바게뜨가 텍사스에서 운영하는 매장은 26개로 늘어나게 된다. 파리바게뜨는 현재 휴스턴, 오스틴, 댈러스 등에 11개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올해 웨스트하이머 랜치(Westheimer Ranch), 벨레어(Bellaire) 등 휴스턴 인근 지역에 신규점을 출점한 데 이어 내년 3개 매장을 추가로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현대 임대 협상을 펼치는 등 점포 개설을 위한 준비 작업을 펼치고 있다. 이어 향후 5년 내 5개, 10년 내 15개 점포를 연다는 구상이다. 웨스트 유니버시티 플레이스(West University Place), 리치먼드(Richmond), 휴스턴 노스(Houston North), 저지 빌리지(Jersey Village) 등에 출점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휴스턴 시장성이 충분하다는 판단
[더구루=한아름 기자] 교촌치킨이 캐나다에서 현지화 메뉴를 내세워 영토 확장에 나선다.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토대로 현지 고객들의 입맛을 사로 잡을 예정이다. 더불어 이 곳 벤쿠버에 한국 대표 K-치킨의 맛을 전파해 나가며 북미 시장 진출에 더욱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교촌치킨이 캐나다에 △살살 랩 △살살 샐러드를 론칭했다. 살살 랩은 담백한 또띠아에 신선한 채소와 살살 크리스피 순살 치킨, 시그니처 소스를 넣은 랩 샌드위치다. 살살 샐러드는 살살 크리스피 순살 치킨에 양상추, 양배추, 치커리, 방울토마토 등 채소와 망고 큐브, 크랜베리 등 과일을 더해 상큼함과 아삭한 식감을 극대화했다. 교촌치킨이 캐나다에 현지화 메뉴를 선보이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살살 랩·살살 샐러드를 시작으로 현지인 취향을 고려한 전략형 메뉴를 지속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앞서 교촌치킨은 지난 7월 밴쿠버 다운다운 랍슨(Robson)에 첫 매장을 열고 △허니 △레드 시리즈와 사이드 메뉴인 김치볶음밥, 갈릭 버터 라이스, 떡볶이 등을 선보였다. 온라인 음식 배달 업체 우버 이츠(Uber Eats)와 스킵 더 디쉬즈(Skip the Dishes)와 파트너십을 맺고 온
[더구루=한아름 기자] 배스킨라빈스(Basin Robbins)가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프랜차이즈 브랜드로 선정됐다.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전략본부장(부사장)이 직접 라이선스 계약을 주도한 햄버거 브랜드 파이브가이즈(Five Guys)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유료기사코드] 18일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유고브(YouGov)에 따르면 배스킨라빈스가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프랜차이즈 브랜드 1위를 차지했다. 유고브는 1500명 이상의 미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상위 50위 인기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추렸다. 유고브는 배스킨라빈스의 인기 요인을 세 가지로 분석했다. 기존 메뉴뿐 아니라 다양한 시즌 한정 메뉴와 건강 관리 트렌드에 맞춘 비건·저당 메뉴를 선보인 점, 토핑 추가 등 맞춤형 옵션을 제공하고, 유년 시절 향수를 자극한다는 점이 인기 요인으로 꼽혔다. 파이브가이즈는 11위를 기록했다. 햄버거 프랜차이즈 브랜드 중에서는 웬디스(Wendy's)·KFC·맥도날드(Mcdonald)에 이어 네 번째다. 파이브가이즈는 주문 즉시 조리해 신선함을 높인 점을 호평받았다. 15가지 토핑(버섯, 토마토, 할라페뇨 등)을 제공해 다양한 소비자 취향을 충족한다는 것도 장점으로
[더구루=김형수 기자] 맘스터치가 일본에서 '100엔(약 910원) 캠페인'을 전개하며 신메뉴 홍보전에 박차를 가한다. 가격을 내리고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비) 정책으로 현지 입맛을 잡겠다는 계획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맘스터치는 오는 31일까지 2주 동안 일본에서 모닝 신메뉴를 100엔에 판매하는 이벤트를 펼친다.' 가성비'가 뛰어나다는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해 기획한 행사로 풀이된다. 이번 이벤트 대상 제품은 맘스터치가 지난 7일 일본에 론칭한 모닝 신메뉴 3종이다. 스크램블 에그를 베이스로 개발한 제품으로 △소시지 패티가 들어간 스크램블에그 소시지버거 △치즈의 풍미를 강조한 스크램블에그 치즈버거 △한국 불고기 맛을 살린 스크램블에그 불고기버거 등이 있다. 이들 모닝 메뉴 3종을 매일 100개 한정으로 판매한다. 스크램블에그 버거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커피 메뉴도 준비했다. 한국 인스턴트커피 맛을 재현한 한국풍 스위트라테를 비롯해 엄선한 커피 원두로 만든 아메리카노(아이스·핫)와 라테(아이스·핫) 등이다. 이들 커피도 단돈 100엔에 판매한다. 단 이번 캠페인 기간 동안 스크램블 버거와 커피로 이뤄진 세트 메뉴는 팔지 않는다. 맘스터치는 일본에
[더구루=한아름 기자] 교촌에프앤비 교촌치킨이 말레이시아에서 'K치킨' 대표주자로 자리잡았다. 말레이시아 조호르바루 맛집 랭킹에서 상위권에 들었다. 다양한 맛의 K치킨을 접할 수 있는 데다 채식주의자를 위한 옵션도 준비돼 있다는 점이 호평받았다. 교촌은 이번 성과를 토대로 말레이시아에서 신규 매장 출점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17일 싱가포르 음식전문지 세스루이(Sethlui)에 따르면 교촌이 조호르바루 시티스퀘어 베스트 레스토랑 10선에서 9위를 기록했다. 조호르바루 시티스퀘어는 현지인뿐만 아니라 관광객 모두에게 사랑받는 대형 쇼핑몰로, 50여개의 음식점이 입점해 있다. 한달 평균 방문객은 150만명에 달한다. 세스루이는 교촌이 말레이시아에 다양한 한국의 식문화를 알리며 K푸드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레드·소이·허니 등 대표 치킨과 떡볶이, 소떡소떡 등 사이드 메뉴 등 다양한 라인업을 갖춰 소비자 관심을 끌고 있다고 평가받았다. 그 중 레드 시리즈·소이 시리즈·허니 시리즈 등 치킨이 인기 메뉴로 뽑혔다. 레드는 고추의 매운맛을 잘 살렸으며, 소이는 통마늘과 발효간장으로 만든 간장 소스를 입혀 감칠맛을 극대화했다는 설명이다. 허니소스의 단짠(
[더구루=한아름 기자] 스타벅스가 영국 최대 로컬 커피 체인점을 품고 영토 확장을 본격화한다. 현지에 드라이브 스루 등 사업 다각화에 나서고 수익성 강화에 매진한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스타벅스가 영국 로컬 커피 체인점 23.5디그리즈(23.5 Degrees)를 인수했다. 스타벅스는 영국 로컬 커피 기업 가운데 가장 많은 매장을 운영 중인 23.5디그리즈의 경쟁력이 크다고 판단, 인수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인수 금액은 비공개다. 스타벅스는 23.5디그리즈 인수를 통해 현지 드라이브 스루 사업에 드라이브를 건다는 계획이다. 23.5디그리즈가 드라이브 스루 매장으로 영국 커피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어서다. 지난 2013년 햄프셔주 사우샘프턴(Southampton, Hampshire)에서 설립된 23.5디그리즈는 현재 영국 전역에 드라이브 스루 매장 70여개를 운영 중이다. 이는 총매장 수(113개)의 67%에 달한다. 총 임직원 수는 1650명이다. 이는 스타벅스가 올해 3월 발표한 영국 시장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앞서 스타벅스는 영국에 드라이브 스루 사업에 집중하고 신규 매장 100곳을 추가 출점한다는 비전을 제시
[더구루=한아름 기자] SPC그룹 파리바게뜨가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에 신규 매장을 개점했다. 증권거래소 등 공공기관 내 출점은 상징성을 고려할 때 '메가 브랜드'로 자리매김하는 '디딤돌'이 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파리바게뜨는 인도네시아 시장 입지를 강화해 오는 2030년 동남아시아 600호점 비전 달성을 실현한다는 목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증권거래소에 12호점을 열었다. 신규 매장은 '그랩 앤 고'(Grab & Go) 매장 콘셉트로 기획됐다. 그랩 앤 고 매장은 테이크아웃 전문 매장이다. 파리바게뜨는 기존 베이커리 카페 콘셉트와 차별화를 뒀다. 현지 주요 고객층인 금융·증권 업계 직장인이 빠르고 간편하게 제품을 고를 수 있도록 진열대를 입구 전면에 배치했다. 이 매장에서는 △크루아상 △페이스트리 △샌드위치 등 간단한 식사 대용으로 즐길 수 있는 베이커리 품목과 커피 등 음료가 판매된다. 앞선 쇼핑몰 중심에서 벗어나 상권 다각화로 성장을 꾀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매장 출점이 인도네시아 시장 공략의 새로운 터닝 포인트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파리바게뜨는 상권 조사를 확대 적용해 현지 주요
[더구루=한아름 기자] 파리바게뜨가 인도네시아에 K디저트 메뉴를 선보이고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한다. 인도네시아 내 K푸드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는 가운데, 파리바게뜨가 K디저트 트렌드를 내세워 현지 입맛을 꽉 잡는다는 계획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가 인도네시아에 점보 크룽지(크루아상+누룽지)를 론칭한다. 점보 크룽지는 누룽지처럼 구운 크루아상으로, 고소한 버터 향과 바삭한 식감을 즐길 수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제품은 카라멜라이즈(설탕)와 △말차 △티라미수 △초코 아몬드 △딸기 총 다섯 가지 라인업으로 구성돼 있다. 앞서 파리바게뜨는 K디저트 제품으로 △김치 패스츄리 △에그마요 샌드위치 △소세지 김치참치 에그빵 △땅콩 소보루 단팥빵 등을 출시한 바 있다. 파리바게뜨가 인도네시아에 K디저트 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는 배경은 K푸드에 대한 현지 소비자의 관심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현지에서 흥행몰이에 성공한 K드라마·K영화에 K푸드가 속속 등장하며 흥미를 불러 모으고 있다. 특히 K디저트는 한국에서 인기를 끈 만큼 제품력과 사업성을 인정받아 동남아에 출시하기 유리하다는 점도 매력 포인트다. K디저트를 전면에 내세워 현지 '찐팬(충성 고객)'을 확보
[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가 핼로윈데이(10월31일)를 앞두고 미국에 신제품을 줄줄이 론칭하고 관련 수요 공략에 들어갔다. 핼로윈데이에서 모티브를 얻어 개발한 메뉴를 내세운 마케팅을 펼치며 고객몰이에 박차를 가한다는 전략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핼로윈데이를 맞아 미국에 한정판 메뉴 4종을 출시했다. 핼로윈 당일인 오는 31일까지 미국 전역에 자리한 180여개 매장에서 판매한다. 파리바게뜨는 잭오랜턴(Jack-O-Lantern·호박으로 만든 등불), 유령 등 핼로윈데이를 상징하는 요소들을 활용해 이들 메뉴를 개발했다고 전했다. 초콜릿 쉬폰 케이크 가운데 캔디 콘이 듬뿍 들어간 '초콜릿 쉬폰 잭오랜턴 케이크'(Chocolate Chiffon Jack-O-Lantern Cake), 바닐라 스폰지 케이크 위에 커스타드 크림을 올리고 유령 모양의 장식을 얹은 '바닐라 스크림 고스트 케이크'(Vanilla Scream Ghost Cake) 등이다. 도넛 메뉴도 2종 준비했다. 파리바게뜨 시그니처 메뉴인 킹크림도넛 위에 초콜릿 쿠키로 눈 모양을 형상화한 '핼로윈 스크림 도넛'(Halloween Scream Donut), 모찌 도넛에 초콜릿을 이용해
[더구루=한아름 기자] 맘스터치가 일본에서 핼러윈 데이(10월31일) 특수를 잡기 나선다. 일본에 신제품을 론칭하고 현지 MZ세대 눈길을 사로 잡는다는 계획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맘스터치가 핼러윈 데이를 맞아 다음달 3일까지 일본에 스노우 다크볼과 블러드 다크볼 등 한정판 메뉴 2종을 선보인다. 스노우 다크볼과 블러드 다크볼은 치즈볼에 화이트 슈거 파우더와 붉은색 연유 등을 추가해 핼러윈 데이 분위기를 극대화한 점이 특징이다. 맘스터치는 스노우 다크볼과 블러드 다크볼이 핼러윈 데이 파티나 행사에 적합한 최고의 메뉴라고 설명했다. 치즈볼을 한입 베어 물면 붉은색 연유가 흘러나와 마치 핼러윈 대표 캐릭터인 뱀파이어를 연상시킨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따라 맘스터치에 현지 MZ 고객의 관심이 쏠릴 것으로 기대된다. 핼러윈 데이는 괴물, 유령 분장을 하고 이웃집을 방문해 사탕과 초콜릿 등을 얻는 어린이 축제였으나 최근 몇 년 새 일본에서 MZ 사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새로운 파티 문화로 자리 잡았다. 맘스터치는 핼러윈 특별 메뉴를 통해 MZ 고객 유입을 꾀하고 현지 외식 시장 입지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맘스터치는 지난 8월 일본에 신규 사이드메뉴 허니
더구루=한아름 기자] 도미노피자가 미국에서 사이드 메뉴인 마카로니 앤 치즈(맥앤치즈)를 재출시한다. 지난 2012년 단종 이후 12년 만이다. 맥앤치즈의 국내 출시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도미노피자가 미국에 파이브 치즈·스파이시 버팔로 맥앤치즈를 론칭한다. 두 제품 모두 체더치즈, 아메리칸 치즈, 파마산-시아고 치즈, 모차렐라 블렌드 치즈 등 다섯 가지 치즈와 알프레드 소스를 넣어 오븐에 조리한 펜네 파스타다. 제품 가격은 6.99달러(약 9400원)다. 단종 이후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서 재출시해달라는 소비자의 요청이 잇따르자 리뉴얼 출시를 결정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도미노피자는 이번 메뉴에 대해 도미노피자 메인 제품과 함께 페어링해 먹으면 더욱 조화로운 맛을 즐길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해 수익성 개선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도미노피자의 지난해 미국 매출은 전년 대비 6.4% 늘어난 48억달러(약 6조4104억원)를 달성했다. 그러나 원재료 가격이 상승하고 마케팅 비용이 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은 쪼그라들었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4.5% 감소한 7억6000만달러(약 1조290억원)로 집계됐
[더구루=한아름 기자] SPC그룹의 베이커리 브랜드 파리바게뜨가 2024년 미국 ‘프랜차이즈 타임즈(Franchise Times)’에서 선정하는 ‘프랜차이즈 기업 TOP 400’에서 39위에 올랐다. 프랜차이즈의 본고장 미국에서 상위권을 기록하며 대표 K베이커리 브랜드 자리를 굳건히 지켜냈다는 평가다 10일 프랜차이즈 타임즈에 따르면 파리바게뜨가 전년도 순위인 40위보다 1계단 상승했으며,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국내 프랜차이즈 기업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미국 프랜차이즈 분야 유력 매체인 프랜차이즈 타임즈는 1999년부터 미국 내에서 운영되는 프랜차이즈 기업들의 매출 등을 분석해 프랜차이즈 브랜드 순위를 공개하고 있다. 파리바게뜨가 79년간 쌓아온 제빵 기술과 베이커리 운영 노하우, 적극적인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해 경쟁력을 인정받았다는 평가다. 향후 미국에서 가맹 계약 및 케이터링 사업 확대에 적극 나서는 등 글로벌 사업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는 포부다. 파리파게뜨는 북미 사업에 고삐를 죄고 있다. 올해 하반기 약 70건의 가맹계약을 성사시켜 연내 총 가맹계약 체결건수 150건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최근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캘리포니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공군이 기존 '군용 위성 조달 계획'을 철회하고 스페이스X의 군사용 군집위성 시스템인 '스타실드(Starshield)'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스타실드는 스페이스X 스타링크 위성을 기반으로 보안을 강화하고 정찰, 미사일 경보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공화당 소속 케빈 크라이머(Kevin Cramer) 상원의원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진행된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공군이 국방부 산하 우주개발청(SDA)의 T2TL(Tranche 2 Transport Layer)·T3TL(Tranche 3 Transport Layer) 위성 조달을 취소하고 스페이스X 위성(스타실드)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을 들었다"고 밝혔다. 케빈 크라이머 의원의 이같은 발언에 미국 공군은 즉각 성명을 발표하고 "T2TL와 T3TL에 대해 결정된 것은 (아무것도)없다"며 "2026년도 예산 심의 과정에서 모든 획득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미국 공군이 기존 T2TL와 T3TL 위성 조달 계획을 철회하고 스타실드 도입을 검토하기로 알려진 것은 예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미국 공군은
[더구루=김형수 기자] 일본 제약회사 시오노기(Shionogi)가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조코바(Xocova·성분명 엔시트렐비르) 현지 적응증 확대에 나섰다. 기존 치료제에서 코로나19 예방 의약품으로 조코바 사용 범위를 넓히고 '코로나19 의약품 대표 기업'으로 자리매김한다는 계획이다. 조코바는 일동제약이 시오노기와 공동개발한 치료제다. [유료기사코드] 시오노기는 31일 일본 후생노동성에 조코바를 코로나19 바이러스 노출 후 예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적응증 추가 승인을 신청했다. 지난해 3월 승인을 받은 데 이어 적응증 확대를 추진하는 것. 노출 후 예방은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해 감염 가능성이 발생한 경우 치료제를 투여해 발병을 막는 치료 행위를 의미한다. 내년 1분기 내 일본 후생노동성의 추가 승인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일본 후생노동성 심사 기간은 통상 약 12개월이 소요된다. 시오노기는 조코바 글로벌 제3상 노출 후 발병예방시험(SCORPIO-PEP·이하 글로벌 3상) 결과를 토대로 이번 추가 신청을 추진했다고 전했다. 시오노기는 미국과 남미, 아프리카, 일본 등에서 12세 이상 인구 2387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3상을 시행했다. 코로나19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