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암모니아 구동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설계 승인을 받았다. 이번 설계 승인으로 암모니아 추진선 상용화가 빨라진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지난 5일부터 오는 8일까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최된 '가스텍(GASTECH) 2022'에서 영국 선급 협회 로이드선급(LR)으로부터 암모니아 이중 연료 30만DWT VLCC에 대한 설계 승인을 받았다. 지난 2019년부터 시작된 대우조선과 만 에너지 솔루션(MAN Energy Solutions)의 공동 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설계된 VLCC는 저탄소 암모니아 이중 연료 추진 시스템을 사용하고 국제해사기구(IMO) 타입 C(Type C) 탱크가 장착된다. 대우조선은 암모니아 추진 시스템의 설계를 개척했으며 만 에너지 솔루션은 암모니아 이중 연료 추진 엔진을 개발했다. 디자인은 이전에 LR로부터 원칙적 승인(AiP)을 받았다. 김형석 대우조선해양 선박기본설계본부 상무는 "LR이 승인한 암모니아 추진 시스템은 선주들에게 유연성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업계가 급변하는 환경 규제에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전 세계 해사업계는 강화되는 온실가스 규제를 충족
[더구루=길소연 기자] 싱가포르계 글로벌 조선기업인 케펠이 싱가포르 최초 수소 지원 발전소를 개발한다. 저탄소 연료 수소를 통해 전력 부문의 탈탄소화를 지원한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케펠의 자회사 케펠 에너지는 600MW급 첨단 복합 사이클 가스터빈(CCGT) 발전소를 개발하기 위한 최종 투자 결정(FID)에 임박했다. 이를 위해 케펠 에너지는 플랜트 건설을 위해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미쓰비시 파워 아시아 태평양(Mitsubishi Power Asia Pacific)과 싱가포르의 건설회사 주롱엔지니어링(Jurong Engineering)와 컨소시엄을 맺고 엔지니어링, 조달, 건설(EPC) 계약을 체결했다. 주룽섬의 사크라(Sakra) 부문에 건설될 케펠 사크라 코젠 플랜트(Keppel Sakra Cogen Plant, 이하 KSC)는 싱가포르 최초 수소 지원 발전소가 된다. 발전소 건설 투자액 약 7억5000만 싱가포르 달러(7344억원). KSC의 지분은 케펠 아시아 인프라스트럭쳐 펀드(KAIF)와 케펠 에너지(Keppel Energy)가 각각 70%와 30%를 보유한다. KSC와 케펠에너지는 케펠 사크라 코젠 공장 개발을 위한 턴키 계약
[더구루=길소연 기자] 선복량 기준 세계 2위 덴마크 선사 머스크(Maersk)가 탄소중립을 위해 최대 10척의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을 주문한다. 7일 업계에 따르면 머스크는 메탄올 연료 추진 네오 파나막스 컨테이너선 10척에 대한 주문이 임박했다. 머스크는 조만간 발주할 계획이다. 계약에는 5척의 확정 물량과 5척의 옵션 슬롯이 포함됐다. 머스크는 1차 발주를 통해 1만6000TEU 보다 약간 큰 1만7000TEU 규모의 컨테이너선 5척을 주문한다. 신조선은 2025년 인도 예정이다. 신조선가는 척당 1억9000만 달러로 총 19억 달러(약 2조6000억원)로 추정된다. 인건비와 재료비 상승이 포함된다. 머스크는 국내 조선소와 1만6000TEU급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시리즈 건조 프로젝트를 논의해왔다. 발주 규모는 22억 달러(약 2조8000억원). <본보 2022년 6월 24일 참고 [단독] 조선 3사, 해운 공룡 머스크와 '2.8조 규모' 컨테이너선 건조협상 진행> 머스크의 신조선은 한국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 2곳과 일본과 중국 조선소 각각 1곳 등 총 4곳의 조선소가 수주 경쟁하고 있다. 건조사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한국조선해양이 유력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가 세계 3위 석탄공급사인 호주 얀콜과 석탄 구매 한도를 변경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포스코석탄판매협정에 따라 올해 포스코와 계열사의 석탄 구매 한도를 3억 달러(약 4000억원)에서 4억5000만 달러(약 5400억원)로 수정했다. 최근 석탄 가격 상승을 고려해 연간 상한선을 늘린 것이다. 이는 석탄의 예상 판매 가격을 참조해 결정했으며, 에너지 가격 상승까지 고려했다. 얀콜은 지난해 포스코에 오는 2024년 12월31일까지 3년간 매년 3억 달러 규모의 석탄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얀콜은 포스코가 1981년 호주에 최초로 투자한 마운트 쏠리 광산의 합작 파트너로 2006년부터 포스코에 안정적으로 석탄을 공급하고 있다. 포스코는 마운트 쏠리톨리JV의 지분 20%를 보유하고 있다. 포스코는 또 얀콜과 공생펀드를 조성해 지역사회 발전과 인재육성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포스코와 얀콜은 1 대 1 매칭그랜트 방식으로 매년 5만달러씩 출연해 10만달러를 조성한 후 양국에 1년씩 번갈아 지원할 계획이다. 조성된 기금은 지역 장학사업, 안전 및 환경 개선활동, 협력사 교육지원 등 지역사회 발전 등에 사용된다. 얀콜은 호주 최대 석탄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가 아르헨티나 정부와 회동해 리튬 생산 투자 약속을 재확인했다. 포스코는 1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외교부 청사에서 산티아고 카페에로 외무장관과 만나 2차전지 소재 사업 협력을 논의했다. 이번 회동은 지난 3월 포스코의 아르헨티나 현지 리튬 공장 착공식 후 이뤄졌다. 이 자리에는 산티아고 카피에로(Santiago Cafiero) 아르헨티나 국무장관과 세실리아 토데스카 보코(Cecilia Todesca Bocco) 국제경제협력국장 대표이사 겸 사장, 김광복 포스코아르헨티나 법인장, 정탁 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포스코는 회의에서 2026년까지 리튬 생산을 연간 10만t까지 확대하기 위해 국가 북부의 매장지에서 생산을 늘릴 계획이라고 전했다. 산티아고 카피에로 장관은 "포스코와 리튬 투자의 다음 단계로 아르헨티나를 포함한 새로운 부가가치 개발 기회에 대해 논의했다"며 " 아르헨티나가 리튬 등 자원이 많아 리튬 산업에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아르헨티나는 리튬 매장량 기준으로 세계 4위, 생산량은 세계 3위다. 올해 상반기 아르헨티나 리튬 수출은 작년 상반기와 비교해 171% 증가했다. 아르헨티나 정부가 장기적 관점에서 외환 부
[더구루=길소연 기자] 독일 BMW가 무 탄소강의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 스웨덴 H2그린스틸(이하 H2GS)로부터 이산화탄소(CO2) 없는 강철을 도입한다. 탄소중립 이행을 추진하는 동시에 친환경 공급망 구축에 나선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BMW는 CO2 없는 강철 도입을 위해 스웨덴의 스타트업 H2GS과 납품 공급 계약을 맺었다. H2GS은 2025년부터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에서 수소와 녹색 전력을 사용해 철강 제품을 생산,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양사는 BMW 그룹의 목표를 달성하고 CO2 감축 일정을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기술 협력도 합의했다. BMW는 철강 생산의 CO2 배출량을 약 95% 줄여 약 40만t의 에너지를 절약한다는 목표다. 이는 BMW의 유럽 제조 공장에서 필요한 철강의 약 40%에 달한다. 헨릭 헨릭슨(Henrik Henriksson) H2GS 사장은 "철강 산업을 탈탄소화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며 "BMW 그룹과 같은 진보적인 회사와 협력함으로써 우리는 자체 운영과 가치 사슬 모두에서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철강 산업은 철광석을 녹여 쇳물을 만드는 과정에서 석탄 같은 화석 연료를
[더구루=길소연 기자] 호주 광물자원공사 미네랄 리소스(Mineral Resources)는 포스코가 투자한 철광석 프로젝트에 추가 투자를 단행했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미네랄 리소스는 30억 달러 규모의 온슬로우(Onslow) 철광석 프로젝트의 첫 번째 단계를 개발하기 위해 레드힐 아이언(Red Hill Iron) 파트너와 계약을 체결했다. 레드힐 파트너는 50% 지분을 가진 온슬로우 철광석과 25%를 선택할 수 있는 중국의 바오스틸(Baosteel), 미국 기반 AMCI, 한국 포스코 등이 포함된다. 이번 거래로 미네랄 리소스는 레드 힐(Red Hill) 합작 법인의 지분율 40%를 60.3%로 끌어 올리게 된다. 거래 조건에는 미네랄 리소스가 파트너에게 프로젝트 건설 자금 13억 달러를 대출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미네랄 리소스는 철광석 가격 폭락으로 연간 수익이 72% 감소한 3억51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주당 1달러의 배당을 선언하면서 합작 투자 계약을 결정했다. 애쉬버튼의 1단계는 연간 3500만t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르면 내년 12월에 첫 번째 광석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네랄 리소스는 철광석 수출을 위해 온슬로우의 환적항까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이 눈독을 들여온 노르웨이 에퀴노르의 캐나다 해양플랜트가 기본설계(Front-End Engineering Design, FEED)를 시작한다. FEED에 따라 한국 조선소의 선체 작업 여부가 결정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영 석유사 에퀴노르(Equinor)는 영국 파트너인 BP와 캐나다 동부 연안에서 94억 달러(약 12조원)에 달하는 베이 두 노드(Bay du Nord)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의 석유 개발에 대한 기본설계(FEED) 입찰을 시작했다. FEED는 사전 작업을 수행한 노르웨이 에이커 솔루션(Aker Solutions)과 미국 최대 엔지니어링 기업 KBR이 유일한 경쟁자가 된다. FEED에는 세부 설계와 조달을 수행할 수 있는 옵션도 포함된다. 다만 이전에 사전 FEED 연구를 위해 경쟁했던 우드(Wood)와 키위트(Kiewit)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참여를 요청할 가능성이 있다. FEED에 대한 입찰 제안서는 지난 26일까지 에퀴노르에 제출해야 하며, 이후 정식 입찰이 요청된다. 운영자는 2023년 1분기에 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FEED 연구는 약 12개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그리스 해운사 가스로그(GasLog)를 위해 수주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건조를 위해 TMC 콤프레서(TMC)를 택했다. 선박의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 시킨다는 방침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노르웨이 TMC콤프레서에 공기윤활시스템(ALS)용 선박용 압축 공기 시스템을 주문했다. TMC는 17만4000㎡급 LNG 운반선 4척에 각각 3개의 제어·및 서비스 공기 압축기를 공급한다. 또 선박의 N2(질소) 시스템에 공기 압축기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들은 높은 주변 온도에서 지속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제조됐다. 압축기는 선박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필수 장비다. 기포를 사용해 선체와 해수 사이의 저항을 줄이는 데 사용된다. 선체 표면 전체에 기포가 분포됨으로써 선체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이 감소해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다. 연료 소비와 관련된 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공기 소비량이 적으면 컴프레서에 필요한 속도가 줄어들어 전력 소비가 준다. 대우조선이 선택한 TMC 압축기는 작년 하반기 가스로그와 LNG 운반선 4척을 놓고 건조 협의를 해오다 최종 수주한선박에 탑재한다. <본보 2021년 11월 2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미포조선이 1500억원에 달하는 액화석유가스(LPG) 운반선 2척을 수주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중소형 LPG 운반선 소유주인 스텔스가스는 4만CBM 크기의 LPG 운반선 신조선 2척을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수주 총 비용이 약 1억1700만 달러(약 1567억원)로 척당 750억원 정도이다. 선박은 오는 2023년 하반기에 인도될 예정이다. LPG 운반선은 강한 휘발성과 인화성을 가진 화물의 특성상 화재나 폭발사고를 막을 수 있는 안전성을 확보하고, 영하 최대 50℃에서도 견딜 수 있는 저온용 강철로 제작된 카고탱크를 탑재하고 있다. 마이클 졸리프(Michael Jolliff) 스텔스가스 이사회 회장은 "우리 함대의 모든 선박 크기는 개선된 결과를 보여주었다"며 "특히 핸디사이즈 선박은 우리의 수익을 향상시켰다"고 말했다. 스텔스가스는 지난해 같은 기간 순이익 160만 달러에서 올 2분기 1220만 달러로 8배 증가했다. 상반기 전체를 살펴보면 이익은 240만 달러에서 1980만 달러로 늘어났다. LPG 운반선을 주문하는 건 LPG의 주요 시장인 유럽에서 또 다른 성장이 일어나고 있어서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조선해양이 수주한 12척의 대형 컨테이너선에 중국산 메탄올을 연료로 공급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덴마크 해운사 AP묄러-머스크(AP Møller-Maersk)는 중국의 데보 에너지(Debo Energy)와 1만6000TEU 메탄올 동력 컨테이너선에 안전한 연료 공급을 제공하기 위해 그린 메탄올 구매 의향서를 체결했다. 데도는 연간 약 20만t의 그린 메탄올을 생산할 예정이다. 오는 2024년 9월 상업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장쇼준(Zhang Shoujun) 데보 에너지 총책임자는 "그린 메탄올을 연료로 사용하는 건 해운업계에 엄청난 진전"이라며 "그린 메탄올 산업 체인의 상업 운영을 공동으로 촉진하기 위해 머스크와 협력한다"고 말했다. 머스크가 확보한 메탄올은 한국조선해양에서 건조되고 있는 컨테이너선에 공급된다. 첫 선박은 2024년 출시된다. 메탄올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온실가스 등 환경오염 물질 배출을 대폭 저감 할 수 있어 액화천연가스(LNG), 액화석유가스(LPG)에 이어 친환경 선박 연료로 각광 받고 있다. 한국조선해양은 지난해 머스크로부터 2조3000억원 규모의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건조 일감을 확보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정부가 원자력 추진 선박을 도입하기 위한 절차에 착수했다. 이미 국내에 연구기관과 해상 원자력 발전설비를 개발하고 있는 삼성중공업의 행보도 주목된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에너지부(DOE)는 최근 미국선급협회(ABS)와 컨테이너선에 첨단 핵 추진 장치를 채택하는 데 필요한 연구 용역 계약을 체결했다. ABS가 핵 추진 연구를 시작한 것으로 프로젝트 규모만 80만 달러에 달한다. 연구는 전 세계 기업이 원자력 추진 상용화를 모색하고 있는 상황에서 상업용 해양 응용 분야에서 원자로 기술을 채택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ABS는 해양 응용을 위한 다양한 첨단 원자로 기술의 모델을 개발하고 현대 원자력 발전의 상업적 사용에 대한 산업 자문을 한다. 연구 지원은 아이다호 국립 연구소(Idaho National Laboratory)에 기반을 둔 에너지부 국립원자로혁신센터(NRIC)가 한다. NRIC는 해상 핵실험이 어떻게 진행될 수 있는지 제안하는 데 도움이 되는 고급 원자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에너지부는 또 별도로 텍사스 대학이 수행하고 있는 용융염원자로(MSR)에 대한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ABS와 계약을 맺었다. 패트릭 라이언(P
[더구루=홍성일 기자] 바나듐 구리 정제 기술을 개발한 미국 스타트업 스틸 브라이트(Still Bright)가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스틸 브라이트는 시범 생산 시설을 건설해, 상업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스틸 브라이트는 30일(현지시간)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1870만 달러(약 260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에는 브레이크스루 에너지 머터리얼, 임팩트 포르테에스큐, 아졸라 벤처스, SOSV, 임팩트 사이언스 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2022년 설립된 스틸 브라이트는 정제 과정에서 손실을 최소화하고 최대한 효율적으로 구리 금속을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정제는 구리 광석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순수한 구리를 얻는 과정으로, 스틸 브라이트는 이 과정에서 최대 20%에 달하는 구리 금속이 손실된다고 설명했다. 스틸 브라이트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황산구리(Cu2S)를 바나듐 용액에 담가 구리 금속을 추출했다. 스틸 브라이트 측은 바나듐 흐름전지(Vanadium flow battery)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전했다. 바나듐 흐름전지는 활물질(바나듐이온)이 전해액 내부에 녹여진 상태로 작동하는 배터리로, 에너지저장장치(E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가 중국에서 1000번째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ESS) '메가팩'을 생산하며 조기 양산 체계 안착이라는 이정표를 세웠다. 빠르게 안정화된 생산 역량은 아시아를 넘어 유럽으로의 공급 확대는 물론, 글로벌 ESS 시장에서 테슬라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31일 테슬라 중국법인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29일(현지시간) 공식 웨이보 계정을 통해 상하이에 위치한 '메가팩토리'에서 1000번째 메가팩 생산을 완료하고 유럽 수출을 위한 출하 준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첫 양산을 시작한 이후 불과 6개월여 만에 이룬 성과다. 1000번째 메가팩 생산은 단순한 누적 생산 수치를 넘어 상하이 공장의 양산 체계가 빠르게 안정화됐음을 방증한다. 전체 기간을 기준으로 환산하면 월평균 생산량은 약 188대 수준이지만, 생산 초기 안정화 기간을 감안하면 최근에는 월 300대에 근접하는 생산 속도를 기록했을 가능성이 높다. 상하이 메가팩토리는 테슬라가 미국 외 지역에 처음으로 구축한 ESS 전용 생산기지다. 작년 5월 약 20만㎡ 부지에 착공, 9개월 만인 올해 2월 본격 가동에 돌입했다. 총 투자비는 약 14억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