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연구진이 유기태양전지(Organic Solar Cell, OSC)의 효율을 끌어올리면서도 생산 비용은 획기적으로 낮춘 신소재를 개발했다. 저효율·고비용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신소재가 등장하면서 OSC의 상업화가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저우대학교 연구팀은 OSC용 저비용 고효율 폴리머 소재인 'PTQ15'를 개발했다. PTQ15 연구내용은 중국 화학분야 학술지인 차이나 사이언스 케미스트리에 게재됐다. OSC는 태양빛을 받아 전하를 생성하는 광활성층에 친환경 유기물질을 사용하는 차세대 태양전지로, 유연한 필름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기존 실리콘 기반 태양전지를 대체할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PTQ15는 전력변환효율(Power Conversion Efficiency, PCE) 19.96%를 달성했다. PTQ15의 PCE는 유기태양전지 소재 중 가장 높은 효율을 보여주는 고성능 폴리머 소재인 PM6와 D18과 필적한다. PTQ15의 가장 큰 특징은 생산비용이 매우 저렴하다는 점이다. PM6와 D18의 킬로그램당 생산비용은 20만 달러(약 2억7500만원)에 달한다. 반면
[더구루=오소영 기자] 현대글로비스가 현대차그룹 이노베이션 허브인 '현대 크래들 텔아비브'와 이스라엘 스타트업 '카포우(CAPoW)'의 로봇 자동 충전 기술을 시범 도입했다. 중단 없는 로봇 운영을 통해 물류 효율화와 비용 절약을 달성할 잠재력을 확인했다. 향후 여러 현장에 도입해 첨단 기술 기반의 물류 혁신 흐름에 발 빠르게 대응한다. 30일 현대크래들에 따르면 현대글로비스는 현대 크래들 텔아비브, 카포우와 '파워인모션(Power-in-Motion)' 기술의 개념검증(PoC)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파워인모션은 로봇이 바닥에 설치된 모듈형 안테나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 중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을 뜻한다. 일종의 무선 충전 매트 위를 지나며 충전되는 셈이다. 이 기술을 도입하면 로봇이 충전을 위해 멈추지 않아도 돼 물류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충전 중인 로봇을 대체하기 위한 여유분이 필요 없어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고정식 충전기 설치 공간을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현대글로비스는 이번 협력을 통해 파워인모션 기술의 실질적인 효과를 확인했다. 향후 물류 거점에 확대 적용하고 물류 자동화를 이룬다. 현대글로비스는 로보틱스와 인공지능(AI),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물산 상사부문이 5000만 달러(약 700억원) 상당 튀니지 토지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을 수주했다.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해 핵심 인프라인 데이터센터 건설을 총괄한다. 아프리카 전자 정부 시스템을 완성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디지털 사업 확장에 나섰다. 29일 튀니지 지형지적청(OTC)과 챌린지스 등 외신에 따르면 이 기관은 지난 26일(현지시간) 삼성물산 컨소시엄과 토지정보시스템 구축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이날 체결식에는 살라흐 조와리(Salah Zouari) 튀니지 건설주택부 장관이 참여했으며 민지환 삼성물산 상사부문 프로와 아하마드 알 카멜(Ahmed El Kamel) OTC 청장이 서명했다. 계약 규모는 5000만 달러, 기간은 계약 발효 후 3년이다. 삼성물산 상사부문은 국내 기업 2곳과 컨소시엄을 꾸려 튀니지에서 데이터센터 개발을 추진한다. 데이터센터는 지적도를 비롯해 각종 부동산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통합 관리하는 핵심 인프라로, 토지정보시스템 구축의 기반이 된다. 삼성물산 컨소시엄은 데이터센터 구축에 협력할 현지 업체를 발굴하고 건설 전반을 감독한다. 삼성물산은 1992년 국내 기업 최초로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단독 전시회를
[더구루=오소영 기자] 현대글로비스가 스웨덴 컨실리움 세이프티 그룹(Consilium Safety Group, 이하 컨실리움)과 자동차 운반선의 안전 확보에 협력한다. 화재 감지 장치인 스미그(SMIG) 설치를 현재 8척에서 연내 총 32척의 사선으로 확대한다. 고도화된 화재 대응 시스템을 갖춰 보다 안전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글로비스는 컨실리움과 협력해 자동차 운반선에 스미그를 도입하고 있다. 현재까지 8척에 탑재했으며 연내 총 32척에 설치를 완료할 예정이다. 스미그는 열∙연기 감지와 경보기 1000여 개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한 화재 감지 장치다. 선박에 화재가 발생하면, 조타실에 설치된 컴퓨터 모니터에 불이 난 화물칸의 평면도가 나타나고 정확한 화재 위치가 빨간 점으로 표시된다. 기존에는 '5층 A 구역'과 같이 어느 구역에서 불이 났는지에 대한 정보만 제공됐다면, 스미그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확한 위치를 확인해준다. 컨실리움 측은 공식 성명을 통해 "수초를 다투는 순간 최대 4분의 대응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준다"며 "과거 추측에 의존하던 결정들이 이제는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뤄진다"고 밝혔다. 현대글로비스
[더구루=오소영 기자] 현대코퍼레이션이 베트남 딜러사 4곳과 전자제품 공동 마케팅 행사를 열었다. 현대([HYUNDAI) 브랜드를 단 에어프라이어와 진공청소기, 조명, 도어락 등 신제품 출시를 알리고 현지 시장 공략에 나섰다. 신흥 시장을 중심으로 글로벌 가전 사업의 성장 기회를 모색해온 정몽혁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 회장의 구상이 동남아에서도 본격적으로 구현되고 있는 모습이다. 27일 더인베스터와 베트남익스프레스 등 외신에 따르면 현대코퍼레이션은 베트남 딜러사 4곳과 지난 21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에서 '현대 라이프' 행사를 열었다. 이번 행사는 현대 브랜드로 베트남에 새롭게 출시한 제품들을 홍보하는 자리다. 홍콩 소비재 기업 굿플러스굿(GoodPlusGood, 이하 GPLUSG Coporation)을 비롯해 현대코퍼레이션의 딜러사 4곳이 행사를 주최했다. 이들은 현대코퍼레이션과 현대 상표를 사용할 수 있는 라이선스 계약을 맺고 베트남에 제품을 유통하고 있다. 최근 에어프라이어와 공기청정기, 진공청소기 등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조명, 도어락을 출시했다. 향후 TV와 오디오, 에어컨, 모바일 등으로 제품군을 늘리고, 현지 가전 시장에서 점유율 10%를 확보한
[더구루=김은비 기자] "혁신의 시작은 문제 의식입니다. 도전하고 실패하고 또 도전합시다. 직접 해봐야 압니다. 안 될 것 같다고, 아무것도 안 하는 게 가장 위험한 일입니다." 조현범 한국앤컴퍼니그룹 회장이 그룹 임직원에게 가장 자주 하는 말이다. 그는 그룹 회장 취임 이후 지속적으로 기업 경영 뿐 아니라 조직 문화에까지 '혁신 DNA'를 이식 중이다. 24일 한국앤컴퍼니그룹에 따르면 조 회장이 내세우는 그룹 최우선 가치는 '도전과 혁신'이다. 그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과감히 도전하는 '프로액티브(Proactive)' 정신을 강조하며, 이를 조직 문화로 정착시키는 데 힘쓰고 있다. 그의 프로액티브 정신은 조직 혁신의 원동력이다. 사내 최고 권위 시상식의 명칭을 '프로액티브 어워드'로 정한 까닭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최고경영진들이 그룹 모든 임직원과 공개적으로 대화하는 프로그램은 '프로액티브 콘서트'로 불린다. 실제 조 회장은 자타공인 '혁신과 도전의 전도사'다. 평소 미팅이나 대화에서도 "변화가 무서운 게 아닙니다. 아무것도 안 하는 게 가장 무서운 겁니다. 실패는 선물입니다. 다시 도전하면 됩니다"라고 강조한다는 전언이다. 지난해 2월 대전 테크노돔
[더구루 호치민(베트남)=오소영 기자]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보다 더 많은 해외 기업의 투자를 유치한 지역이 바로 호치민시다. 삼성전자와 효성 등 한국 주요 기업들의 거점도 호치민에 있다. 호치민은 발달된 교통 인프라와 우수한 인적 자원, 막대한 세제 지원 등을 바탕으로 상당한 투자를 확보했다. 이는 연평균 6% 이상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는 토대가 됐다. 하지만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와 글로벌 최저한세 도입 등으로 베트남의 투자 환경에 대한 우려가 많다. 호치민투자진흥원(ITPC)은 미국발 관세가 베트남 경제에 큰 도전이 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현지 정부와 기업의 공조를 강조했다. 호치민 투자 환경의 경쟁력에는 변함이 없을 것으로 전망하며 더 많은 투자 유치에 자신감을 표했다. ◇트럼프 관세 리스크 줄일 해법 '세 가지' 뜨란 푸 루(Trần Phú Lữ) ITPC 원장은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관세 부과는 중국만 겨냥한 것이 아니라 베트남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베트남 경제와 기업들에 도전이지만 동시에 재정비할 기회이다"라고 평가했다. 루 원장은 미국이 베트남산 제품에 최대 45%의 고율 관세를 예고한 후 즉각 대응책
[더구루=정등용 기자] 독일이 수소 산업 생태계 전환을 위한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25일 독일 연방경제에너지부에 따르면, 독일은 지난 2020년 수소 경제를 선도하기 위한 ‘국가수소전략(Nationale Wasserstoffstrategie, NWS)’을 발표하고 38개의 실행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독일은 수소 기술 개발과 시장 확대에 70억 유로(약 10조9500억원), 국제 협력 프로젝트에 20억 유로(약 3조1280억원)를 투입해 오는 2030년까지 5GW 규모의 수소 생산 설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독일은 수소연료전지차 분야에 힘 쓰고 있다. BMW와 벤츠, 다임러 트럭 등 주요 완성차 업체들과 수소연료전지차(FCEV) 개발을 공동 수행하고 있다. 친환경 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 기술도 독일의 핵심 기술 영역이다. 독일은 재생에너지 기반의 수소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전해조 기술 개발과 대규모 설비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수소 충전 인프라도 확대하고 있다. 유럽에서 가장 큰 공공 수소 충전소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H2 모빌리티 독일’과 협력하고 있다. 올해 안에 수소 충전소 400개를 구축하는 동시에, 고속도로와 물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최대주주로 있는 위성 전문기업 쎄트렉아이가 우주산업의 '에어비앤비'를 표방한 위성 임대 서비스를 곧 출시한다. 10월부터 자체 개발한 광학위성 스페이스아이-티(SpaceEye-T)를 활용해 고해상도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향후 위성영상 수요가 농업과 도시개발, 재해 등 다양한 분야로 뻗어나갈 것으로 예상되면서 내후년까지 추가로 세 기를 더 발사하고 사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23일 미국 항공우주 전문지 스페이스뉴스에 따르면 쎄트렉아이는 지난 19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8월부터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통해 스페이스아이티에 사진 촬영을 요청할 수 있다"며 "본격적인 위성 임대 서비스는 10월 시작된다"고 밝혔다. 스페이스아이티는 높이 3m, 무게 650㎏의 지구관측용 중형위성이다. 국내 상용 위성 중 최고 수준인 25cm급 해상도를 갖췄다. 쎄트릭아이는 지난 3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SpaceX) 발사체에 스페이스아이티를 실어 발사에 성공했다. 쎄트렉아이는 스페이스아이티를 활용해 임대 서비스를 추진해왔다. 이 회사는 임대 서비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에너지 기업 ‘멕시코 퍼시픽’이 멕시코에서 추진 중인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가 미국 정부의 수출 허가 재개로 투자 진척이 기대된다. 파트너사인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안정적인 LNG 공급망 확보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23일 미국 에너지부(DOE)에 따르면 에너지부는 지난 19일(현지시간) '2024년 LNG 수출 영향 연구 보고서'에 대한 공개 의견 수렴을 시작하며 수출 허가 절차 재개 의지를 공식화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올 1월 바이든 행정부가 중단했던 자유무역협정(FTA) 미체결 국가 대상 LNG 수출 허가 중단을 종료하라는 행정명령에 따른 조치다. DOE는 이번 의견 수렴을 바탕으로 FTA가 체결되지 않은 국가에 대한 LNG 수출 허가 신청을 신속히 처리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이에 따라 멕시코 퍼시픽이 추진하는 사구아로 에네르기아 프로젝트에 대한 당국의 수출 허가가 곧 승인될 가능성이 커졌다. 사구아로 에네르기아 프로젝트는 지난해 조 바이든 행정부가 LNG 수출 허가를 사실상 중단하면서 최종 투자 결정(FID)이 지연되고 있다. 텍사스산 천연가스를 멕시코 내 액화 시설에서 LNG로 전환해 아시아로 수출
[더구루=오소영 기자] 에너지 사물인터넷(IoT) 전문기업 누리플렉스가 호치민 인민위원회와 만나 재생에너지 사업 협력을 모색했다. 빈즈엉성과 바리아붕따우성을 합쳐 베트남 남동부에 조성될 메가시티에 재생에너지 투자를 추진한다. 22일 호치민 인민위원회에 따르면 김진영 누리플렉스 베트남 법인장은 지난 20일(현지시간) 보 반 호안(Võ Văn Hoan) 부위원장과 만났다. 양측은 재생에너지와 에너지 IoT 사업 기회를 논의했다. 특히 호치민시가 조성 중인 메가시티에 지붕형 태양광을 비롯해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구축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호치민시는 빈즈엉성과 바리아붕따우성을 합쳐 인구 1400만 명에 달하는 대규모 도시를 조성하고 있다. 베트남 남동부 지역의 경제 발전을 위해 도시 개발을 추진하며 에너지 인프라도 깔릴 것으로 보여 누리플렉스에 기회가 될 전망이다. 김 법인장은 이날 호치민과의 협력에 큰 관심을 표명했다.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기술 지원과 경험 공유에 협력할 의사가 있다고 전했다.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최적화를 위해 재생에너지 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싶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호안 부위원장은 누리플렉스의 제안이 호치민시의 발전 방
[더구루=정예린 기자] 롯데케미칼이 인도네시아 대규모 석유화학단지 '라인 프로젝트(LINE Project)' 시운전 일환으로 유체를 태우는 플레어링(Flaring) 작업에 돌입했다. 상업 가동 준비에 속도가 붙으며, 신(新) 생산거점이 실적 반등과 신시장 안착의 분기점이 될지 주목된다.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 자회사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LCI)’는 20일(현지시간) 찔레곤에 조성 중인 라인 프로젝트 상업 가동을 앞두고 플레어링 작업을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이날부터 약 일주일간 진행될 예정이다. 플레어링은 공정 중 발생하는 가스를 굴뚝에서 태워서 배출하는 작업이다. 석유화학 플랜트 시운전 단계에서 설비 안전성과 환경 대응 능력 등을 확인하기 위한 표준 절차로 여겨진다.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는 플레어링을 통해 설비 반응과 운영 시스템을 실가동 수준으로 점검한다. 또 플레어링 기간 동안 공장 안팎의 △대기질 △소음 △환경 영향을 측정하고, 모든 정보를 주민과 공유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작업을 마무리하고 본격적인 양산 체제 전환을 준비할 것으로 예상된다. 라인 프로젝트의 현재 공정률은 99% 수준이다. 지난 4월부터 시운전을 시작해 단계별로 가동 범위를 넓혀가고
[더구루=진유진 기자] 영국계 글로벌 담배기업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BAT)'가 우즈베키스탄 합작사 '우즈바트(UzBAT)' 지분을 전량 인수했다. 지난 1994년 현지 진출 이후 30년간 이어온 합작 체제를 마무리하고 단독 소유로 전환한다. 이번 인수는 BAT의 중앙아시아 시장 지배력 강화와 무연 제품 중심 구조 전환을 가속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사로닉'과 '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 기반 해양 자율 운항 기술 개발을 위해 손을 잡는다. 사로닉은 자율 선박 성능과 개발 속도를 높여 미국 조선 산업 재산업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