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델타항공이 일본 도쿄 하네다에 스카이 클럽을 오픈하면서 아시아 승객 편의를 제공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델타항공은 도쿄 하네다에서 스카이 클럽을 오픈했다. 하네다에서 유일한 미국 독점 항공사 라운지다. 델타항공은 지난 2020년 2월에 새로운 스카이 클럽을 처음 시연했지만 팬데믹으로 그해 7월로 개장일을 연기했다. 그러다 2년 만에 공식적으로 첫 손님을 맞이했다. 하네다 공항 라운지는 866㎡에 이르며, 모든 여행객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좌석 옵션을 갖추고 있다. 여기에는 전화를 걸거나 회의에 참석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개인 전화 부스뿐만 아니라 소파와 개인 리클라이너도 구비됐다. 일본 특색의 초밥과 다른 지역적인 영감을 받은 진미를 포함한 뜨거운 것과 차가운 것의 뷔페가 마련됐다. 이밖에 지역 별미로는 튀김 두부, 전통 일본 소고기 카레, 직접 만든 라면 국수, 된장국 등이 있다. 계절 칵테일, 와인, 맥주, 증류주, 사케를 무료로 제공하는 풀 서비스 바도 있다. 샤워 시설과 모든 좌석에 전원 콘센트, USB-A 포트가 있으며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와이파이(Wi-Fi)가 있다. 라운지는 제 3터미널 5층 게이트 11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은 삼성전자 미국 반도체 공장이 있는 텍사스주 오스틴 직항편 개설에 나설 전망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오스틴에서 아시아로 가는 직항 항공편이 개설을 검토하고 있다. 오스틴 지역 투자와 급성장으로 오스틴 버그스트롬 국제공항(ABIA)에서 인천 또는 도쿄까지 직항 노선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해당 노선 개설은 내년 또는 내후년에 발표된다. 맷 게스케 오스틴 상공회의소(Greater Austin Chamber of Commerce) 지역 정책 부사장은 "아시아는 합리적"이라며 "상공회의소는 서비스 대상 지역을 확인했으며 이제 아시아 노선 개설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스틴 상공회의소는 코로나19 펜데믹 이전부터 아시아로의 직항편을 요구해 왔다. 공항 측도 긍정적이다. 샘 헤인즈 오스틴 국제공항 대변인은 "항공사와 정기적으로 만나고 항상 새로운 서비스를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당장 아시아 직항 항공편 공유 소식은 없다"고 밝혔다. 현재 텍사스 오스틴행 직항 노선은 없다. LA국제공항(LAX) 혹은 달라스 공항으로 경유해야 한다. 오스틴 상공회의소가 직항편 개설을 검토하는 건 삼성전자 때문이다. 삼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이달부터 네덜란드행 노선의 공급석을 늘린다. 차세대 항공기 보잉 787 드림라이너를 투입해 여객 서비스를 확대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지난 1일부 '인천~암스테르담' 노선에 소형 에어버스 330-200 대신 보잉 787-9을 배치했다. B787-9는 승객들에게 차원이 다른 항공 여행 경험을 제공하는 동시에 첨단 기술을 집약한 고효율 친환경 항공기다. 기존 항공기가 백두산 수준 기압(8000ft)이지만, B787-9은 한라산이나 지리산 수준(6000ft)의 기압을 유지한다. 습도도 타 항공기보다 5% 이상 높아졌다. 기체는 탄소복합소재가 50%, 알루미늄 합금이 20%가 사용돼 중량도 대폭 줄고 연료효율이 개선됐다. 이번 항공기 교체로 비즈니스 클래스 승객 편의가 확대된다. A330-200의 비즈니스 클래스는 모든 좌석이 통로에 직접 접근할 수 없고 상대적으로 프라이버시도 거의 없다. 그러나 787-9는 모든 좌석이 통로로 바로 연결된데다 프라이버시가 보장된다. 좌석도 늘어난다. A330의 항공편당 218석이라면 787은 269석으로 수용 인원이 상당히 증가한다. 다만 비즈니스 클래스 객실은 30석이 아닌 24석으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 화물기가 미국 알래스카주 앵커리지 공항에서 격납고 인근에 주차된 트럭과 충돌했다. 이번 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한항공 보잉 747 화물기가 1일(현지시간) 오전 앵커리지 국제공항 내 피덱스 메인터넌스(FedEx Maintenance) 격납고 근처에서 주차된 트럭과 충돌, 관련 시설과 화물기 일부가 파손됐다. 이번 사고는 화물기 정비를 위해 현지 조업사가 토잉카를 이용해 항공기를 지상 이동 시키는 과정에서 항공기가 공항 펜스와 조업 차량과 출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고로 대한항공 보잉 747의 3번 엔진 덮개와 항공기 앞바퀴 부분에 경미한 손상을 입었고, 충돌 차량도 일부 손상됐다. 아론 대니얼슨(Aaron Danielson) 소방서장은 "보잉 747 화물기가 오전 9시 30분에 페가수스 항공 서비스 소속 지상 작업자들에 의해 이동 중에 유인 없이 주차장에 들어가다 주차된 트럭과 울타리가 충돌하고 파손됐다"고 말했다. 그는 "공항 울타리에서 다른 회사의 차량을 훼손했고, 인명피해는 없었다"며 "울타리에 약간의 손상이 있었지만 공항 운영에는 지장을 주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현재 대한항공과 공힝 측은
[더구루=길소연 기자] 싱가포르 창이공항이 코로나19 앤데믹에 맞춰 늘어난 여행 수요에 대응하고자 4터미널(T4)을 재개장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창이공항그룹(CAG)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2년간의 폐쇄를 마치고 오는 9월 13일 창이공항 제4터미널 운영을 재개한다. 4터미널은 2020년 5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항공 여행이 급감하면서 터미널 운영이 중단됐다. CAG는 "항공 허브가 항공 여행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수용하고 항공사의 더 많은 비행 계획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T4를 재개장한다"며 "이로 인해 창이 공항의 수용력이 추가될 것"이라고 말했다. 4터미널 외 2020년 업그레이드 공사로 폐쇄됐던 제2여객터미널 출국장 남쪽 부분도 오는 10월 재개장한다. 4터미널 재개장에 맞춰 항공사도 이전한다. 9월 13일에는 캐세이퍼시픽과 대한항공을 시작으로 총 16개 항공사가 단계적으로 이전한다. 이어 9월 15일에는 에어아시아그룹이 이전하고, 20일에는 필리핀 세부퍼시픽항공, 중국 준야오항공, 제주항공, 베트남 뱀부에어웨이즈, 홍콩 홍콩익스프레스 등이 옮긴다. CAG는 4터미널의 원활한 운항 재개를 위해 향후 두 달 동안 항공사와 공항 협력사와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에서 만든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제트엔진 GE90 유지보수를 맡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GE와 GE90-115B 엔진의 예비 부품, 수리와 중고 부품 업그레이드를 위해 5년 트루초이스(TrueChoice™) 자재 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 GE에서 만든 GE90-115B 엔진의 유지보수를 5년간 맡기기로 한 것이다. 러셀 스톡스(Russell Stokes) GE 서비스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엔진 유지보수 서비스를 통해 대한항공과 오랜 관계를 지속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번 계약으로 대한항공은 엔진 성능을 향상시키고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더 많은 옵션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대한항공이 GE와 체결한 트루초이스 엔진 유지보수 제품군은 엔진 수명 주기 전반에 걸쳐 GE 기능과 사용자 지정 기능을 통합한다. 고품질의 신규와 중고 OEM 부품, 고급 수리, 기술 업그레이드를 제공해 엔진 성능을 향상하고 더 높은 엔진 잔존 가치를 지원한다. 모든 트루초이스 제품은 GE의 데이터 분석 기능과 경험을 바탕으로 유지 관리 부담과 고객의 서비스 중단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조원태 대한항공 회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기간 보여준 경영전략에 글로벌 항공업계가 찬사를 보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조원태 회장은 '2022 항공업계 우수 전략 어워즈(Airline Strategy Awards)'에서 항공 화물 부문 고위급 리더로 선정됐다. 우수 전략 어워즈는 2002년부터 개최돼 역동적인 리더십과 명확한 비전을 보여준 개인, 항공사와 항공 운송을 지원하는 회사 혹은 경영자에 수여된다. △경영진 리더십 △부문 리더십 △저비용 리더십 △항공화물 리더십 △혁신 △ESG 등 6개 부문으로 니눠 업계 전문가 패널에 의해 선정된다. 조 회장은 항공화물 리더십 부문에서 인정 받았다. 이는 코로나19로 글로벌 항공업계가 사상 최악의 위기에 처한 가운데, 화물운송 노하우와 뛰어난 서비스 품질을 바탕으로 화물 부문에서 보인 탁월한 성과가 높이 평가되서다. 특히 항공여객 수요가 급감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방역과 안전, 서비스까지 고객들의 편안하고 안전한 여행을 위해 노력해 온 점도 인정됐다. 대한항공은 같은 이유로 이달 15일에 열린 ‘2022 에어라인 엑셀런스 어워즈(Airline Exc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루프트한자 넷라인(NetLine)을 도입한다. 대한항공은 넷라인 시스템으로 현대적이고 효율적인 계획과 일정 관리 도구를 제공할 뿐만 경쟁사의 판매와 마케팅에 적극 대응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루프트한자의 네트워크 계획 시스템 넷라인(NetLine)을 도입한다. 대한항공은 넷라인을 통해 현대적이고 효율적인 계획과 일정 관리 도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일정과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쟁사의 판매와 마케팅 계획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루프트한자의 넷라인은 운영 무결성과 손쉬운 일정 관리에 대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설계돼 대한항공에 이상적인 솔루션이다. 오타 카즈야 루프트한자 시스템즈 부사장은 "네트워크 계획 수립자로서 일상 관리를 넘어 업계에서 가장 정확한 예측과 계획 시스템, 네트워크 계획을 최적화하는 동일한 비전을 공유하면서 대한항공과의 관계를 중시하면서 상생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한항공은 루프트한자 시스템으로 고급 네트워크 계획과 스케줄링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네트워크 계획 역량을 강화하고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 네트워크를 최적화하고 수익성과 일정의 탄력성을 높인다. 대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화물 수요 증가에 대응해 화물기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최근 몇 개월 동안 에어버스와 보잉이 출시한 신형 광동체 화물기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에어버스와 보잉은 화물 수요 증가로 각각 A350, 777X 화물기를 출시했다. 항공사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화물 사업을 더욱 강화해 수익이 개선됐으며 화물 운영 확장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여객기를 화물 운영으로 전환했다. 이에 화물기 도입으로 화물 수요에 적극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지난 22일(현지시간) 카타르 도하에서 개최된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연례총회(AGM)에서 "화물의 긍정적인 전망을 고려해 두 가지 옵션을 살펴보고 있다"며 "(화물기 도입을 두고) 두 가지 방안 모두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현재 규제 승인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아시아나항공과의 합병 건으로 결정이 어렵다고 전했다. 조 회장은 "우리는 너무 많은 유형을 갖게 되겠지만, 그것을 조금 뒤로 미루고 있다"고 인수합병 규제 승인 결정을 기다리고 있음을 시사했다. 그러면서 "두 가지 방안 중 하나는 보잉 또는 에어버스 중 새로운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중단한 일본 하늘길을 연다. 훗카이도 삿포로 노선 운항을 재개, 한·일 노선 항공 수요 회복이 기대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내달 17일 '인천~훗카이도(신치토세)' 노선을 주 2회(목·일) 일정으로 운항한다. 코로나 확산으로 운항 중단한지 2년 4개월 만이다. 운항 일정은 오전 10시5분 인천국제공항을 출발해 오후 12시 50분에 신치토세 공항에 도착한다. 귀국편은 신치토세 공항에서 오후 2시5분에 출발해 오후 5시 5분에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한다. 그동안 대한항공은 삿포로 포함 일본 노선은 일본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외국인 입국을 전면 금지하면서 운항이 중단됐다. 삿포로 노선은 지난 2020년 2월 운항 재개 예정이었지만 운휴를 이어갔다. <본보 2020년 12월 28일 참고 대한항공, 日 삿포로 운항 재개 잠정 연기…변종 바이러스 직격탄> 코로나19 확산 전 대한항공은 일본 12개 도시에 17개 노선을 운영해왔다. 그러다 일본 정부가 입국 제한을 강화하면서 도쿄(나리타), 오사카(간사이) 2곳으로 제한했다. 현재 나고야(센트레아 중부국제공항), 후쿠오카 등 5개 노선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오는 10월 크로아티아에 전세기를 띄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한진관광 여행 상품에 따라 '인천~자그레브' 노선을 전세기를 운영한다. 전세편은 오는 10월 7일부터 10월 29일까지 매주 금요일 인천국제공항을 출발해 토요일에 218석의 에어버스 A330-200 항공기로 돌아오는 일정이다. 이번 전세편은 대한항공과 한진관광이 진행하는 여행 상품 출시에 따른 것이다. 정기 노선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한진관광은 그리스 아테네 전세기를 시작으로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전세기 등 다양한 지역의 전세기 상품 확대에 힘쓰고 있다. 크로아티아 자그래브 노선은 대한항공 취항 당시부터 효자 노선이었다. 대한항공은 자그레브에 지난 2018년 첫 취항했다. 아시아에서 크로아티아로 가는 최초의 직항 정기 노선을 개설한 것. 저비용항공사(LCC) 중에는 티웨이항공이 중대형 항공기인 A330-300 기종을 도입해 인천~크로아티아 노선에 취항한다. 자그레브는 발칸반도에 위치한 크로아티아의 수도로 천년의 역사를 간직한 도시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두브로브니크 구시가지나 로마 황제의 궁전이 있는 스플리트와 해안성채도시인 트로기르 지역은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 화물 서비스가 항공 화물 허브인 비엔나 공항에 의존하고 있다. 수요 화물 t수가 더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비엔나 공항을 고수하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 화물 서비스는 항공 화물 허브인 비엔나 공항에서 화물 운송 수치가 증가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인 2020년과 2021년에 화물 t수가 40% 이상 증가했고, 인천~비엔나 노선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특히 중동·유럽의 자동차 산업에 있어 대한항공 화물은 지리적으로 이상적인 위치와 우수한 처리 인프라 덕분에 유럽 물류 허브인 비엔나 공항에서 화물을 취급하고 있다. 전자제품과 의약품도 수송 t수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우수한 물류 인프라와 넉넉한 처리 능력을 갖춘 비엔나 국제공항은 유럽 고속도로망으로의 빠른 환승을 제공해 지리적으로 이상적인 위치다. 화물이 트럭으로 36시간 이내에 약 23개국에 도달할 수 있는 포괄적인 도로 공급망을 갖추고 있다. 유럽에서 가장 붐비는 공항이자 유럽 대륙의 주요 물류 허브가 된 이유다. 덕분에 대한항공 화물 서비스는 2020년 약 3만9400t, 2021년 약 3만9800t으로 지난 2년간 비엔나 공항에서 사업을
[더구루=정등용 기자] 투안 팜 쿠팡 최고기술책임자(CTO)가 워렌 버핏의 투자 지원을 받는 중남미 금융 스타트업 누뱅크(Nubank)에 합류한다. 누뱅크는 이사회 멤버 중 하나인 브라질 팝 가수 아니타가 바쁜 일정으로 이사회를 떠날 것을 요청하면서 후임자로 투안 팜 쿠팡 CTO를 영입했다고 9일(현지시간) 밝혔다. 앞서 쿠팡은 지난 7월 해롤드 로저스 수석부사장 명의의 사내 메일을 통해 투안 팜의 퇴사 소식을 알린 바 있다. 투안 팜이 쿠팡 내에서도 핵심 인재로 꼽혔던 만큼 퇴사를 두고 업계에선 의외라는 반응이 지배적이었다. 실제로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은 투안 팜 영입에 상당한 공을 들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우버에 재직 중이었던 투안 팜은 인공지능 기반 물류 시스템 개발로 성공 신화를 써내려가던 중이었다. 투안 팜은 우버 재직 당시 세계 주요 도시의 교통 상황과 이동 수요, 차량 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기사와 승객을 연결해주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연간 1000만건 수준이었던 승차 공유 횟수는 투안 팜 합류 이후 연 70억건 이상 급증하기도 했다. 우버가 중국 시장에 진출했을 때는 4000만~5000만 달러의 무료 인센티브를 배포하며
[더구루=김형수 기자] 헤일리온을 분사시킨 영국 제약업체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이 유럽연합(EU)과 대규모 백신 계약을 체결했다. 백신 계약을 줄줄이 따내며 글로벌 백신 시장에서 영향력을 발휘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0일 GSK는 유럽 집행위원회(EC)의 긴급의료 대응전담기구 HERA(Health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Authority)와 팬데믹 인플루엔자 백신 아쥬판릭스(Adjupanrix) 8500만 도즈 생산 및 공급 예약에 대한 기본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지난해 9월 설립된 HERA가 체결한 초기 계약 가운데 하나다. HERA는 각국의 보건기구, 업체 등 국제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력해 긴급 의료상황을 예방, 발견하고 긴급 대응에 나서는 것을 핵심 업무로 하고 있다. 보건 긴급사태에 대한 유럽의 대비 태세를 개선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HERA가 GSK와의 이번 계약을 통해 대비하려는 인플루엔자 팬데믹은 기존 인구에게 면역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새로운 인플루엔자 유형에 의해 발생하는 글로벌 전염병을 의미한다. 예측할 수 없는 심각한 질병이나 사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