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LG그룹이 올해 1분기 중국에서 1000건 이상의 특허를 확보하며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로봇을 비롯한 전기차 배터리, 디스플레이, 친환경 소재 등 미래 핵심 산업 분야에서 필요한 특허를 대거 확보했다. 1일 중국 국가지적재산권국(CNIPA)에 따르면 CNIPA는 올해 1분기 LG전자를 비롯한 LG 계열사가 2016년부터 2024년까지 출원한 특허 1132건을 승인했다. 전년 동기(763건)와 비교해 약 48% 증가한 수치다. LG그룹이 승인받은 특허를 월별로 살펴보면 △1월 311건 △2월 354건 △3월 467건으로 증가세를 이어갔다. 3월 기준으로는 LG전자가 계열사 중 가장 많은 174건의 특허를 확보했다. △LG에너지솔루션(126건) △LG디스플레이(57건) △LG이노텍(57건) △LG화학(53건)이 뒤를 이었다. LG전자는 전기차, 로봇, 디스플레이 분야에서의 적극적인 연구개발(R&D) 성과가 확인됐다. 지난달 승인된 특허 중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특허번호 CN119698366A)', '팝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특허번호 CN119604423A)'라는 제목의 특허 기술은 차세대 자동차 인포테인먼트시스템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세계에서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한 기업 ‘톱5’에 포함되며 한국 기업의 저력을 뽐냈다.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의 기술 리더십을 각인시키며 경쟁 우위를 강화했다. 20일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가 최근 발표한 작년 국제특허출원(PCT) 통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각각 4640건, 2083건을 출원해 2, 4위에 올랐다. 삼성전자는 2년 연속 2위 자리를 수성했고, LG전자는 지난해 6위에서 2계단 뛰었다. 삼성전자는 전년(3924건) 대비 18.2%(716건) 많은 특허를 출원했다. 이는 10위권 내 기업 중 가장 큰 증가폭이다. 특히 삼성전자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줄곧 2위를 기록하며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는 기술 혁신을 지속하고 있다. LG그룹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LG전자, LG에너지솔루션, LG화학 등 주요 계열사 3사가 50위권에 드는 쾌거를 이뤘다. LG전자가 6위를, LG에너지솔루션(1452건)과 LG화학(477건)이 각각 13위와 44위를 기록했다. 3사 모두 순위가 올라가며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입증했다. 디자인 특허에서는 지난해와 달리 LG전자만 5위권을
[더구루=정예린 기자] LG화학이 중국 시장의 성장 잠재력을 강조하며 글로벌 진출의 교두보로 삼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혁신 기술과 친환경 소재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중국을 비롯한 글로벌 석유화학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18일 중국 석유화학 분야 전문지 '중국화학정보잡지(中国化工信息杂志)’에 따르면 손청 LG화학 중국법인 대외협력담당은 최근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오늘날 중국 시장은 LG화학의 글로벌 전략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LG화학은 중국을 글로벌 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이라고 확신하며 중국 시장의 무한한 잠재력을 믿는다"며 "우리는 지속가능한 친환경 신소재 등 첨단 사업 영역을 적극적으로 탐색해 중국과 함께 지속가능한 발전의 미래를 향해 나아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쳇말로 '中꺾마(중국에 대한 꺾이지 않는 마음)'인 셈이다. LG화학은 1992년 한·중 수교 직후인 1995년 국내 화학기업 중 처음으로 생산법인을 설립해 중국에 진출했다. 톈진 소재 폴리염화비닐(PVC) 생산법인을 시작으로 1996년 닝보에 고부가합성수지(ABS) 생산법인, 2002년 광둥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P) 생산법인을 세워 사업을 확장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LG화학이 식물성 오일로 만든 '바이오 아크릴산(Bio-acrylic Acid)' 세계 최초 상업화에 나선다. 친환경 제품 중심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해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17일 LG화학에 따르면 회사는 올 2분기부터 국내 협력사를 통해 바이오 아크릴산 시제품 약 100톤(t) 규모를 위탁 생산한다. 추후 시장 수요에 따라 대량 양산 체제를 갖추고 국내 공장 신·증설을 통한 자체 생산을 추진한다 . LG화학이 개발한 바이오 아크릴산은 GS칼텍스와의 파트너십 결과물이다. GS칼텍스로부터 바이오 아크릴산의 핵심 원료로, 식물성 원료의 미생물 발효 공정으로 생산된 3HP(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를 조달한다. LG화학이 기술을 개발하고 GS칼텍스가 제조를 맡았다. LG화학과 GS칼텍스는 지난 2021년 3HP 양산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개발협약(JDA)을 체결하며 인연을 맺었다. 같은해 7월 GS칼텍스 여수공장에 3HP 실증플랜트를 착공하고 2023년 하반기 완공했다. 2023년 3HP 공동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맺으며 협력 관계를 공고히했다. LG화학의 바이오 아크릴산 생산에 필요한 3HP도 GS칼텍스 여수공장 내
[더구루=정예린 기자] LG화학이 작년 미국 듀폰을 넘어서지 못했다. LG화학의 소재가 쓰이는 OLED 패널 수요가 예상보다 적은데다 중국이 현지 기업들과의 공급망을 구축하고 나서면서다. 23일 시장조사기관 DSCC에 따르면 LG화학은 지난해 AMOLED 증착소재 시장에서 미국 △유니버설디스플레이코퍼레이션(UDC) △듀폰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당초 LG화학이 2위에 오를 것이라는 전망과 달리 듀폰을 제치는 데 실패했다. DSCC는 작년 7월 발간한 'AMOLED 재료 보고서'에서 LG화학이 전 세계 OLED 증착재료 시장 2위를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UDC가 1위를 수성하고 듀폰은 3위로 한 계단 내려앉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4위 삼성SDI △5위 이데미츠코산 등으로 예상했다. LG화학이 3위에 머무른 주요 원인으로는 LG디스플레이의 WOLED 생산량 부진을 꼽았다. 또 애플이 작년 처음 출시한 OLED 패널 기반 아이패드 프로 신모델 판매량이 저조한 점도 지적했다. LG디스플레이는 아이패드 프로 11인치와 13인치 모델에 IT용 OLED 패널 ‘탠덤 OLED’를 공급했다. 탠덤 OLED에는 LG화학의 p도판트가 쓰인다. p도판트는 OLED 발광층
[더구루=정예린 기자] LG그룹이 작년 한 해 중국에 수천 건의 특허권을 인정받았다. 반디배(반도체·디스플레이·배터리) 등의 분야에서 중국 기업들이 빠르게 기술 경쟁력을 따라잡고 있는 가운데 탄탄한 특허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업계 리더십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3일 중국 국가지적재산권국(CNIPA)에 따르면 CNIPA는 지난달 LG그룹 계열사가 출원한 특허 366건을 승인했다. 지난달 승인 절차는 9일에 걸쳐 이뤄졌으며, 일 평균 각각 약 41건에 대한 허가를 받았다. LG그룹이 올해 중국에서 확보한 특허 수는 총 3455건이다. 월별로 보면 △1월 282건 △2월 224건 △3월 257건 △4월 338건 △5월 294 △6월 291건 △7월 242건 △8월 369건 △9월 232건 △10월 244건 △11월 316건 △12월 366건이다. 지난달 확보한 특허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LG에너지솔루션이 관계사 중 가장 많은 109개의 특허를 승인받았다. △LG전자(95개) △LG화학(44개) △LG이노텍(11개) △LG생활건강(4개) △LG마그나이파워트레인(2개) △LG경영개발원(1개) 등이 뒤를 이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차전지 제조와 핵심 소재에 대한
[더구루=정예린 기자] LG화학이 독일 장비사 '라이펜하우저 블로운 필름(Rfenhäuser Blown Film, 이하 라이펜하우저)'와 친환경 필름 사업에 손을 잡았다. 글로벌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재활용 포장재 시장을 정조준한다. 라이펜하우저는 28일(현지시간) LG화학과 '재활용 패키징을 위한 파트너십'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양사는 MDO-PE 필름 공동 개발과 마케팅을 추진한다. MDO-PE 필름은 녹는점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해 특정 방향으로 늘려서 만든 고분자 필름이다. 높은 탄성과 투명도를 갖췄으며 포장재와 기저귀 등 위생용품에 쓰인다. LG화학과 라이펜하우저는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기술 개발과 제품 상용화를 가속화해 시장에 선보인다는 방침이다. 재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해 MDO-PE 필름 수익성을 높이는 데 집중한다. 또 MDO-PE 필름 두께를 16~17㎛(마이크로미터·1㎛=0.001㎜)까지 줄여 표준으로 활용되는 12㎛ PET필름을 대체한다는 목표다. 양사는 지난 5월 기존 파트너십을 통해 협력 성과를 낸 바 있다. 당시 라이펜하우저는 LG화학으로부터 원료를 제공 받아 세계 최초로 두께가 18㎛에 불과한 MDO-PE 필
[더구루=정예린 기자] LG화학이 캐나다 재활용 플라스틱 솔루션 기업 '라베르뉴 그룹(Lavergne Groupe, 이하 라베르뉴)'과 손잡고 재활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북미 생산 거점을 구축한다. 현지화를 통해 북미 친환경 소재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20일 LG화학과 라베르뉴에 따르면 양사는 재활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관련 전략적 파트너십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LG화학은 라베르뉴를 통해 원료 수급부터 가공까지 통합 생산망을 갖추고 북미 고객사에 재활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공급한다. 양사는 파트너십을 통해 △제조 효율성 △물류 △기술 혁신을 촉진한다는 방침이다. 라베르뉴는 지난 1년 동안 LG화학의 인증 프로세스를 거쳐 LG화학의 표준을 충족하는 고품질 재활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생산에 성공, 파트너사로 낙점됐다. LG화학이 라베르뉴와 파트너십을 맺은 것은 최소 비용을 쏟아 효율적으로 현지 공급망을 만들고, 북미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국내 본사와 현지법인을 통해 재활용 플라스틱 솔루션을 홍보하고 판매도 했지만 현지에 거점을 두는 것이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효과적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새로운 생산시설을 짓는데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더구루=정예린 기자] 말레이시아 화학기업 '페트로나스 케미칼 그룹(이하 페트로나스)'가 2조원이 넘는 대규모 신규 투자를 단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화학 소재를 비롯해 다양한 사업군에 대한 확장을 적극 추진하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온 하피즈 가지(Onn Hafiz Ghazi) 말레이시아 조호르주 주지사는 14일(현지시간)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 "페트로나스 경영진과 펭게랑 석유화학단지(PIPC) 최신 진행 상황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만났다"며 "이번 미팅을 통해 페트로나스가 75억 링깃(약 2조3400억원)의 신규 투자를 했다는 최근 동향을 알게 됐다"고 밝혔다. 페트로나스는 총 4개 프로젝트에 투자를 실시했다. △LG화학과의 NB라텍스 합작공장 △40MW(메가와트) 규모 태양광 에너지 △최첨단 플라스틱 재활용 공장 △바이오 정제소 등이 포함된다. 다만 LG화학과의 NB라텍스 합작공장의 경우 지난달 가동된 만큼 건설에 집행된 자금 등이 함께 집계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조호르주 주정부 대표단 방한 당시 LG화학과 회동하며 LG화학과 페트로나스 합작공장 추가 투자에 대한 기대감을 모은 바 있다. 하지만 양사 간 공장 설립 등을 위해 기존 계획
[더구루=정예린 기자] 프랑스 '에어리퀴드'가 LG화학의 미국 테네시주 양극재 공장에 산업용 가스를 납품하는 수주를 따냈다.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대규모 투자를 확정, 증설도 추진한다. [유료기사코드] 에어리퀴드는 15일(현지시간) LG화학과 산업용 가스 공급을 위한 장기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신규 수주에 따라 가스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1억5000만 달러(약 2050억원) 규모 투자도 단행한다. LG화학과 에어리퀴드 간 공급 규모 등 구체적인 조건은 알려지지 않았다. LG화학이 양극재 공장을 짓고 있는 테네시주 클락스빌에 위치한 에어리퀴드 미국 자회사 '에어가스'의 공장에서 가스를 조달한다. 에어리퀴드는 투자를 통해 에어가스 공장에 두 번째 공기 분리 장치(ASU)와 액화기, 저장·파이프라인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산소, 질소, 아르곤 등 산업용 가스 생산량을 기존의 2배로 늘린다. 오는 2027년 증설 프로젝트를 마무리하고 가동에 돌입한다는 목표다. 에어리퀴드는 일찍부터 LG화학에 러브콜을 보내왔다. 계약을 확보하기 전부터 자체적으로 증설을 추진하며 가스 납품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수주에 대한 의지를 피력했다. 실제 작년 8월 클락스빌
[더구루=정예린 기자] LG그룹이 중국에서 특허 활동을 통해 미래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핵심 계열사가 힘을 합치는 것은 물론 전고체 배터리 분야 등에서 전방위 협력을 적극 추진하며 기술 선점을 위한 행보에 속도를 낸다. 2일 중국 국가지적재산권국(CNIPA)에 따르면 CNIPA는 지난 7월 LG그룹 계열사가 출원한 특허 각각 242건을 승인했다. 승인받은 특허 수는 지난달(291건) 대비 소폭 감소했다. LG그룹은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LG생활건강 등 LG그룹 내 6개 계열사가 지난달 특허를 출원했다. LG에너지솔루션(99건)이 가장 많은 특허를 손에 넣었다. △LG전자(66건) △LG이노텍(35건) △LG화학(34건) △LG디스플레이(6건·공동 출원) △LG생활건강(2건)이 뒤를 이었다. 특히 내·외부 기업과의 파트너십이 눈에 띄었다. 가장 주목할 만한 협력은 배터리와 자동차 분야에서 확인됐다. LG그룹의 미래 성장동력이 모빌리티 분야 합종연횡이 활발하게 진행되며 기업 경쟁력 강화에 보탬이 될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금호석유화학과 공동으로 전고체전지용 전해질을 개발했다. ‘고체전해질막과 이를 포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 북미이노베이션센터 'LG 노바(LG NOVA)'가 스타트업과 함께 미래 먹거리 발굴에 나선다. 올해는 LG화학도 처음으로 참여, 사업 분야를 다변화한다. 17일 LG전자에 따르면 LG노바는 오는 9월 25일부터 이틀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팰리스 오브 파인 아트에서 '제4회 이노베이션 페스티벌(Innovation Festival·이노페스트)'을 개최한다. 스타트업 대상 아이디어 공모전을 진행하고 업계 관계자 간 네트워킹을 위한 자리 등을 마련한다. '혁신의 후광을 밝히다'라는 주제로 열리는 올해 이노베이션 페스티벌의 메인 행사는 '스타트업 피치 대회'다. 사전 신청을 받아 심사를 거쳐 선정된 10개의 스타트업들이 자신들의 기술과 아이디어를 발표한다. 수상한 스타트업들은 상금을 받는 것은 물론 LG와 협력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투자 유치, 마케팅 활동 지원 등의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올해는 LG전자와 함께 LG화학도 스타트업 공모전에 처음으로 합류했다. LG화학이 참여함에 따라 참여 분야도 기존 △헬스테크 △클린테크 △인공지능(AI) △스마트라이프 등에 △생명과학을 추가했다. 아이디어 범위가 넓어진 만큼 작년 대비 더 다양한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 모터스(Lucid Motors, 이하 루시드)가 첫 번째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그래비티(Gravity)’ 고객 인도를 실시한다. 지난해 12월 생산을 시작한 지 약 4개월 만이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루시드는 이달 말 그래비티 고객 인도를 시작한다. 이는 마크 윈터호프(Marc Winterhoff) 루시드 임시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밝힌 내용이다. 그는 개인 SNS 계정을 통해 "전시 차량과 시승 차량 제작 마무리 단계를 거치고 있다"며 "4월부터 미국 내 주요 매장에 배치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닉 트워크(Nick Twork) 루시드 대변인 역시 "초기 그래비티 생산은 내부 테스트 등을 목적으로 일부 제한된 고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이제 일반 고객 인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루시드는 지난해 12월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그래비티 생산을 개시했으며, 같은 달 직원 및 가족, 일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첫 차량을 인도한 바 있다. 그래비티는 루시드가 지난해 LA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한 전기 SUV 모델이다. 전기 세단 ‘에어(Air)’에 이어 SUV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샤오미가 신형 증강현실(AR) 스마트 글래스를 출시했다. 샤오미는 신형 AR 스마트 글래스를 30만대 이상 출하해 메타 레이벤 스마트 글래스와 경쟁한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를 공개하고, 크라우드 펀딩을 개시했다. 크라우드 펀딩은 오픈 당일 매진됐다. 정식 출시가(1199위안, 약 24만원)보다 20%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었던 것이 매진 이유라는 분석이다.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는 샤오미에서 자체 개발한 미지아 글래스앱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은 이전 세대 모델에 비해 프레임이 더 얇아져 템플(안경 다리)의 두께가 5밀리미터(mm)에 불과하다. 무게는 27.6g이다.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 1년간 개발한 힌지를 적용했다. 샤오미는 해당 힌지가 1만5000번을 굽혔다 펴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고 설명했다. 프레임 옵션은 총 5가지 스타일이 제공되며 압력을 분산시키는 디자인을 적용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는 지능형 알고리즘이 적용된 4개 마이크가 장착돼 통화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