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콜마비앤에이치(콜마BNH)가 글로벌 히트 상품으로 자리매김한 건강기능식품 헤모힘(HemoHim)의 성공 비결로 엄격한 품질관리를 꼽았다. 콜마비앤에이치는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K건강 기능식품 브랜드로 자리매김한 헤모힘은 철저한 품질관리 과정을 거쳐 제조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콜마비앤에이치는 26일 헤모힘 글로벌 매출이 2조원(지난 2022년 기준)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4년 이후 9년 연속 1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며 콜마비앤에이치 베스트셀러로 등극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수출액은 2억달러(약 2650억원)를 넘어섰다. 콜마비앤에이치는 헤모힘 생산 과정 전반을 아우르는 엄격한 품질관리를 통해 얻은 고객 신뢰가 괄목할 만한 실적의 토대가 됐다고 분석했다. 콜마비앤에이치는 전담 식품안전팀을 조직하고 충북 제천, 강원도 진부, 전남 화순 등에 있는 당귀, 천궁, 작약 재배농가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철저하게 시행하는 한편 이들 농가에 기술 관련 교육도 제공하고 있다. 헤모힘 핵심 원료인 당귀, 천궁, 작약의 안전성을 높이고 그 효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또 지난달 유전자 분석을 통한 원재료 원산지 판별 기술에 대한 특허를
[더구루=김형수 기자] 코스닥 상장사 엘앤씨바이오(L&C 바이오)가 중국에 이어 미국 합작사 설립을 통한 몸집 키우기에 본격 나선다. 혁신적 기술력을 내세운 글로벌 마케팅을 강화하며 연매출 1000억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엘앤씨바이오 지난해 매출은 688억7000만원이다. 이환철 엘앤씨바이오 대표는 지난 24일(현지 시간) 싱가포르 비즈니스 전문지 더월드포리오(The Worldfolio)와의 인터뷰를 통해 미국 합작사 설립을 골자로 하는 성장 전략을 제시했다. 이 대표는 중국에 이어 미국에 합작사를 설립해 인증 취득, 제품 생산 등에 대한 현지 사업 역량을 확보하고 글로벌 인체조직 이식재 시장 내 입지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에 적용한 해외 시장 진출 모델을 미국에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엘앤씨바이오는 지난 2020년 중국국제금융공사(CICC)와 현지 합작법인 엘앤씨차이나를 세웠다. 지난 5월 헬시언 헬스케어 인베스트먼트를 상대로 우선매수청구권을 행사해 엘앤씨차이나 지분 23.7%를 추가 취득했다. 해당 거래로 엘앤씨바이오가 보유한 엘앤씨차이나 지분은 75.1%로 높아졌다. 헬시언 헬스케어 인베스트먼트는 엘앤씨바이오의 엘앤씨차이나 합작사 설립을
[더구루=김형수 기자] 마녀공장이 일본에 스크럽팩 신제품을 론칭하고 현지 뷰티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신제품을 꾸준히 선보이며 신규 수요를 창출하고 현지 판매를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마녀공장은 일본에 '퓨어돌콩 스크럽팩'을 출시했다. 일본 대형 온라인 쇼핑몰 큐텐(Qoo10), 라쿠텐(Rakuten) 등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퓨어돌콩 스크럽팩은 마녀공장이 지난달 15일 국내에 선보인 퓨어 라인 신제품이다. 퓨어 클렌징 오일의 메인 성분 돌콩을 비롯한 퓨어빈 스크럽 콤플렉스가 블랙헤드·각질 등 노폐물을 깔끔하게 씻어내주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한 번의 사용으로 블랙·화이트헤드 및 피지(유분) 감소, 들뜬 각질 개선, 피부 보습 등의 모공 케어 효과를 선사한다. 피부 저자극 테스트를 완료해 피부가 민감한 사람들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마녀공장의 설명이다. 마녀공장은 일본 인스타그램 계정에 퓨어돌콩 스크럽팩 3단계 사용법을 안내하는 게시물을 올리며 신제품 홍보전을 적극 펼치고 있다. 세안 후 제품에 동봉된 주걱으로 적당량을 손등에 덜어낸 뒤 얼굴에 두껍게 바른 이후 5분간 기다린 이후 씻어내면 된다는 설명이다. 마녀공장은
[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가 북미 영토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유타주, 워싱턴주에 이어 테네시주로 현지 사업을 확대했다. 오는 2030년 북미 1000호점 비전 달성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Nashville)에 테네시주 1호점을 열었다. 해당 매장 오픈에 따라 파리바게뜨가 진출한 미국 내 주는 전체 50개 가운데 절반이 훌쩍 넘는 29개주로 확대됐다. 파리바게뜨는 지난 5월 미국 유타주에 이어 워싱턴주에 깃발을 꽂으며 현지 사업 영토를 28개주로 넓혔다. 워싱턴주의 경우 지역 사업가 에드윈 창(Edwing Chang) 가족과 손잡고 지난 6월 린우드(Lynwood)에 1호점, 지난달 투퀼라(Tukwila)에 22호점을 연달아 조성했다. 향후 워싱턴주 시애틀 인근 벨뷰(Bellevue), 레드먼드(Redmond) 등에 신규 출점한다는 계획이다.<본보 2024년 7월 11일 참고 파리바게뜨, 미국 워싱턴 2호점 출점…"올 100개 목표 순항"> 파리바게뜨의 적극적 북미 사업 확대 행보는 지난 2분기 현지 신규 가맹점 20개 오픈이라는 성과로 이어졌다. 파리바게뜨가 북미
[더구루=김형수 기자] 맘스터치가 일본에 특제 마늘소스를 활용해 개발한 사이드메뉴를 론칭하고 현지 시장 공략에 나섰다. 사이드메뉴 포트폴리오 강화를 통해 신규 수요를 창출하고 현지 판매를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맘스터치는 일본에 신규 사이드메뉴 '허니갈릭 하모교'(ハニーガーリックハモギョ)를 론칭했다고 24일 밝혔다. 지난 16일부터 맘스터치 일본 1호 직영점 ‘시부야 맘스터치’를 예약방문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허니갈릭 하모교를 판매하고 있다. 허니갈릭 하모교는 갓 튀겨낸 하루사메마키(春雨巻き·김말이), 모찌(餅·떡), 교자(餃子·만두) 등을 마늘과 꿀 등으로 만든 특제 마늘소스에 버무린 사이드 메뉴다. 하루사메마키, 모찌, 교자 등 각 음식이름 앞글자를 조합해서 메뉴 이름을 지었다. 지난달 일본에 허니갈릭 싸이버거를 론칭한 데 이어 이번에는 꿀과 마늘의 풍미를 살린 사이드 메뉴를 선보이며 허니갈릭 라인 제품군을 확대한 것이다. 허니갈릭 싸이버거는 마늘과 달콤한 간장의 맛이 어우러진 메뉴다.<본보 2024년 7월 15일 참고 日 건너간 맘스터치, 버거 포트폴리오 다변화…열도 공략 고삐> 신메뉴를 꾸준히 선보이며 일본 시장 내 흥행을 이어나가기 위한 맘
[더구루=김형수 기자] CJ대한통운 미국 통합법인 CJ로지스틱스 아메리카(CJ Logistics America)가 초등학생 자녀를 둔 현지 취약가정에 도움의 손길을 건넸다. 미래세대 육성을 적극 지원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현에 앞장서고 있다. CJ로지스틱스 아메리카는 24일 구세군과 협력해 본사가 자리한 미국 일리노이주 데스 플레인스(Des Plaines)에서 학용품 전달 봉사활동을 펼쳤다고 밝혔다. 가을 신학기 개학을 앞두고 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해 경제력이 위축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내 소외계층을 돕기 위해 기획한 행사다. CJ로지스틱스 아메리카 본사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은 직접 필기구, 노트, 돋보기 등으로 가득찬 책가방 100개를 전달하며 구슬땀을 흘렸다. 일리노이주가 아닌 미국 여러 지역에서 일하는 CJ로지스틱스 아메리카 직원과 그 가족도 기부 활동에 팔을 걷어붙였다. 플로리다주 잭슨빌(Jacksonville), 조지아주 페어번(Fairburn), 캘리포니아 폰타나(Fontana) 등에서 초등학생 자녀가 있는 취약 가정을 대상으로 한 학용품 기부 활동이 이어졌다. CJ대한통운은 국내외에서 나눔활동을 꾸준히 펼치며 ESG 경영을 선도하고 있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CJ올리브영이 자체 브랜드(PB) 바이오힐보 일본 온리숍 오픈을 기념, 이벤트를 펼치며 고객몰이에 나섰다. 바이오힐보 마케팅을 강화하고 일본 뷰티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23일 CJ올리브영 일본 파트너사 IK홀딩스에 따르면 CJ올리브영은 지난 22일 일본 도쿄 신주쿠에 위치한 복합 쇼핑몰 '루미네이스트 신주쿠점'에 바이오힐보 온리숍을 열고 다양한 개점 행사를 펼치고 있다. 바이오힐보 온리숍은 지난 2021년 루미네이스트 신주쿠점에 개점한 올리브영 PB 전문매장 '올리브영 익스클루시브'(OLIVE YOUNG EXCLUSIVES)를 리뉴얼하는 방식으로 조성됐다. 바이오힐보 브랜드를 체험하고 다양한 화장품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졌다.<본보 2024년 8월 1일 참고 [단독] CJ올리브영, '바이오힐보' 오프라인 매장 日 첫 진출…PB 영토 확장> CJ올리브영은 오는 25일까지 매일 매장을 방문한 고객 선착순 50명에게 CJ제일제당 음용식초 미초를 선물하는 행사를 준비했다. 오는 31일까지 매일 매장을 찾은 고객 선착순 30명에게 바이오힐보 인기 상품, 할인 쿠폰 등을 받아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룰렛
[더구루=김형수 기자] 맥도날드가 영국·아일랜드 사업 영토 확장에 속도를 낸다. 향후 4년간 이들 국가에 200개 이상의 매장을 오픈한다는 방침이다. 23일 영국 유력 일간지 가디언(Guradian) 등 외신에 따르면 맥도날드는 앞으로 4년 동안 영국과 아일랜드에 200개 이상의 신규 매장을 열고 2만4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맥도날드는 이번 영국·아일랜드 사업 확대 전략을 펼치기 위해 프랜차이즈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10억파운드(약 1조7570억원) 규모의 자금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20년간 맥도날드가 시행한 사업 확대 프로젝트 가운데 최대 규모다. 지역별 특성에 따라 소규모 매장, 온라인 마케팅과 매장 내 오프라인 경험 통합형 옴니채널 플랫폼 '드라이브 투'(Drive to) 기반 점포 등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계획이 차질없이 추진되면 이들 국가 내 맥도날드 점포 숫자는 1700개를 넘어설 전망이다. 맥도날드는 현재 영국에 1435개, 아일랜드에 95개 등 이들 국가에서 총 1530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이 가운데 80%가량은 가맹점이 차지하고 있다. 맥도날드가 해외 시장 다변화를 통해 실적 반등을 노리는 것
[더구루=김형수 기자] 대상이 청정원 글로벌 식품브랜드 오푸드(O’food)를 내세워 중동 시장 공략에 시동을 걸었다. 아랍에미리트(UAE) 대형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다양한 오푸드 K소스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글로벌 K소스 대표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비전 달성을 해외 시장 다변화 통해 구현하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대상은 데저트카트(Desertcart) UAE 온라인 쇼핑몰에 입점해 오푸드 소스를 판매하고 있다. 데저트카트는 지난 2014년 설립된 이커머스 업체다. UAE를 비롯해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쿠웨이트, 바레인, 호주, 영국 등의 국가에서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고 있다. 대상은 데저트카트 UAE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고추장 △된장 △쌈장 △비빔밥고추장 △소갈비양념 등 오푸드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오푸드를 통해 출시한 고춧가루, 참기름 등도 선보이고 있다. 특히 오푸드 고추장·된장·쌈장 등은 대상이 지난해 8월 해외시장 공략을 위해 선정한 글로벌 전략 제품이다. 대상은 당시 한국 전통 장류 기반 K소스를 내세워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서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한식 고유의 정체성은 유지하면서도 글로벌 소비자들의 입맛과 취
[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이 말레이시아 전역을 순회하는 대대적 마케팅 캠페인을 통해 현지 시장을 확대한다. 신라면 치킨과 신라면볶음면 치즈 등 신제품 출시를 기념한 대형 홍보전을 펼치며 고객몰이에 나선다. 23일 농심 등에 따르면 농심은 현지 파트너사와 헙력해 지난 20일(현지 시간)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 인근 도시 페탈링 자야(Petaling Jaya)에 자리한 대형쇼핑몰 '선웨이 피라미드'(Sunway Pyramid)에 홍보 부스를 조성하고 △신라면 치킨 △신라면볶음면 치즈 론칭 이벤트를 시작했다. 이날 말레이시아 브랜드 앰배서더인 와니 하스리타(Wany Hasrita)와 카이 바하르(Khai Bahar)가 무대에 올라 신라면 치킨 등 신제품을 소개했다. 오는 25일까지 운영되는 팝업 부스는 체험 공간으로 조성, 신라면 치킨과 신라면볶음면 치즈를 직접 맛보고 구매할 수 있도록 했다. 농심은 오는 10월까지 말레이시아 전역을 돌며 신라면 치킨, 신라면볶음면 치즈 마케팅 캠페인을 이어나간다는 계획이다. 페탈링 자야에 이어 △조호르바루(Johor Bahru) △페낭(Penang) △푸트라자야(Putrajaya) △쿠알라룸푸르(Kuala Lumpur)
[더구루=김형수 기자] CJ ENM 드라마 '선재 업고 튀어'가 일본 시청자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았다. 일본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플랫폼 유넥스트(U-NEXT)가 발표한 '2024 상반기 한류·아시아 콘텐츠' 시청 순위 정상을 차지했다. 독특한 스토리, 주연 배우들의 열연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23일 유넥스트에 따르면 선재 업고 튀어는 '2024 상반기 한류·아시아' 시청 순위 1위를 차지했다. 유넥스트는 지난 1월1일부터 지난 6월23일까지 자사 OTT 플랫폼을 통해 방영된 콘텐츠의 총시청자 숫자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순위를 매겼다고 설명했다. 유넥스트는 타임 슬립을 토대로 구성된 색다른 스토리 전개가 선재 업고 튀어의 흥행 비결이라고 분석했다. 선재 업고 튀어는 삶의 의지를 놓아버린 순간 자신을 살게 해준 유명 아티스트 류선재(변우석 분)의 죽음으로 절망했던 그의 열성 팬 임솔(김혜윤 분)이 자신의 '최애'를 살려내기 위해 시간을 거슬러 2008년으로 돌아가는 타임슬립 구원 로맨스다. 주연을 맡은 배우 변우석과 김혜윤의 연기도 인기 요인으로 꼽았다. 과거와 현재를 오가면서 조금씩 미래가 달라지는 가운데 두 사람 사이에서 싹트는
[더구루=김형수 기자] 하이트진로가 일본에 진로 소주 기반 칵테일 '진차'(JINCHA)를 출시하고 현지 시장 공략에 나섰다. 젊은 일본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는 '쇼와 스낵바' 레트로 트렌드에 대응한 마케팅을 펼치며 현지 판매를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하이트진로는 22일 일본에 진로 소주와 다양한 차(茶)를 조합해 개발한 RTD(Ready To Drink·즉석음용) 칵테일 제품 진차를 론칭했다. 일본 크라우드 펀딩 기반 테스트 마케팅 플랫폼 마쿠아케(Makuake)를 통해 한정된 수량을 판매한다는 계획이다. 소비자 반응을 모니터링한 뒤 진차를 공식 출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하이트진로는 △녹차와 레몬그라스의 상쾌한 맛을 강조한 진차 녹차와 레몬그라스 △은은한 단맛과 이국적 풍미가 특징인 진차 루이보스와 계피 △상쾌한 유자와 산초의 청량한 풍미가 조화를 이루는 진차 유자와 산초소다 등 진차 3종을 준비했다. 플레이버 시럽 등을 첨가하지 않고 허브 등으로 맛을 내 깔끔하면서도 자연스러운 맛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 하이트진로의 설명이다. 하이트진로는 일본 2030세대 사이에서 과거 쇼와(1926년부터 1989년까지의 일본 연호) 시대에 유행했던 스낵
[더구루=홍성일 기자] 바나듐 구리 정제 기술을 개발한 미국 스타트업 스틸 브라이트(Still Bright)가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스틸 브라이트는 시범 생산 시설을 건설해, 상업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스틸 브라이트는 30일(현지시간)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1870만 달러(약 260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에는 브레이크스루 에너지 머터리얼, 임팩트 포르테에스큐, 아졸라 벤처스, SOSV, 임팩트 사이언스 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2022년 설립된 스틸 브라이트는 정제 과정에서 손실을 최소화하고 최대한 효율적으로 구리 금속을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정제는 구리 광석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순수한 구리를 얻는 과정으로, 스틸 브라이트는 이 과정에서 최대 20%에 달하는 구리 금속이 손실된다고 설명했다. 스틸 브라이트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황산구리(Cu2S)를 바나듐 용액에 담가 구리 금속을 추출했다. 스틸 브라이트 측은 바나듐 흐름전지(Vanadium flow battery)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전했다. 바나듐 흐름전지는 활물질(바나듐이온)이 전해액 내부에 녹여진 상태로 작동하는 배터리로, 에너지저장장치(E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가 중국에서 1000번째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ESS) '메가팩'을 생산하며 조기 양산 체계 안착이라는 이정표를 세웠다. 빠르게 안정화된 생산 역량은 아시아를 넘어 유럽으로의 공급 확대는 물론, 글로벌 ESS 시장에서 테슬라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31일 테슬라 중국법인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29일(현지시간) 공식 웨이보 계정을 통해 상하이에 위치한 '메가팩토리'에서 1000번째 메가팩 생산을 완료하고 유럽 수출을 위한 출하 준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첫 양산을 시작한 이후 불과 6개월여 만에 이룬 성과다. 1000번째 메가팩 생산은 단순한 누적 생산 수치를 넘어 상하이 공장의 양산 체계가 빠르게 안정화됐음을 방증한다. 전체 기간을 기준으로 환산하면 월평균 생산량은 약 188대 수준이지만, 생산 초기 안정화 기간을 감안하면 최근에는 월 300대에 근접하는 생산 속도를 기록했을 가능성이 높다. 상하이 메가팩토리는 테슬라가 미국 외 지역에 처음으로 구축한 ESS 전용 생산기지다. 작년 5월 약 20만㎡ 부지에 착공, 9개월 만인 올해 2월 본격 가동에 돌입했다. 총 투자비는 약 14억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