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이연춘 기자] GC녹십자가 혈액제제 해외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미국에 혈액제제 '알리글로'를 수출한 데 이어 말레이시아 혈액제제 사업에도 진출했다. 혈액제제 사업을 통해 GC녹십자의 실적 성장이 본격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6일 GC녹십자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자켈(JAKEL)그룹 산하의 솔리드 인텔렉추얼(Solid Intellectual SDN BHD·이하 SISB)와 혈장분획제제 공급을 위한 임가공 계약을 맺었다. 자켈그룹은 말레이시아 유수의 민간기업으로 산하에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SISB는 그룹 내에서 제약 및 의료기기 유통을 담당하는 계열사다. 이번 계약은 지난 3월, GC녹십자가 SISB와 함께 말레이시아 보건당국의 혈장 임가공 사업 입찰에 참여해 성사됐다. 해당 입찰에서 아시아 기업이 전량 위탁 사업자로 선정된 것은 GC녹십자가 처음이다. 계약에 따라 말레이시아 보건당국은 자국 혈액원(National Blood Center)을 통해 확보한 혈장을 SISB에 공급하며, SISB는 이 혈장을 GC녹십자로 유통하게 된다. GC녹십자는 해당 혈장을 원료로 알부민, 면역글로불린 등 혈액제제 완제품을 생산한 뒤, 이를 다시 SISB에
[더구루=이연춘 기자] 천종윤 씨젠 대표가 스페인 카탈루냐 자치주의 수장인 살바도르 이야 로카(Salvador Illa Roca, 이하 ‘살바도르 이야’) 주지사와 회동했다. 살바도르 이야 주지사는 천 대표를 만나 씨젠이 진행 중인 카탈루냐주 투자에 환영의 뜻을 전하는 한편, 향후 사업 협력 강화에도 강한 의지를 보였다. 6일 씨젠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살바도르 이야 주지사가 서울 송파구 씨젠 본사를 방문했다. 이날 천 대표는 살바도르 이야 주지사를 만나 “스페인은 유럽 내 대표적인 체외진단(IVD) 시장으로, 씨젠은 오래전부터 현지 파트너십을 맺고 독보적인 진단 체계를 구축하는 등 활발히 사업을 펼쳐오고 있다”며 “앞으로도 기술공유사업과 같은 협업 모델로 ‘질병없는 세상’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살바도르 이야 주지사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씨젠의 활약상을 잘 알고 있다”며 “카탈루냐는 사후 대응에서 사전 예방으로 의료 시스템을 전환하려는 목표를 갖고 있으며 씨젠의 혁신적인 기술로 글로벌 보건 위기를 극복하는 방안을 찾도록 적극적으로 돕겠다”고 밝혔다. 씨젠은 지난달 27일 카탈루냐주에 스페인 1위 진단기업 웨펜(Werfen)과 기술공유사업 법인
[더구루=이연춘 기자] 대웅제약의 고순도·고품질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가 국내 최초로 글로벌 핵심 시장 중 하나인 카타르에 진출하며, 성장 잠재력이 높은 중동 시장 공략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대웅제약은 최근 카타르 도하에서 론칭 심포지엄을 열고 나보타를 정식 출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출시로 나보타는 'K-뷰티'의 주요 타깃으로 꼽히는 걸프만 연안국 3개국(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UAE)에 모두 진출하게 됐다. 걸프만 연안국은 걸프협력회의(Gulf Cooperation Council) 6개 회원국을 일컫는다. 이들 국가는 모두 산유국이며, 국민 소득 수준이 높고 미용·성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 성장 가능성이 크다. 언어와 문화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한 교류도 활발해 국가 간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카타르는 2024년 기준 1인당 GDP가 약 8만 달러에 달하는 고소득 국가로, 프리미엄 보툴리눔 톡신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 시장이다. UAE, 사우디아라비아와 함께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내 높은 영향력을 지니고 있어, 나보타의 이번 진출은 전략적 측면에서도 의미가 크다. 대웅제약과 파트너사는 이를 기념해 지난달 30일 도하 세인트 레지스 호텔
[더구루=김명은 기자] 휴젤(Hugel)의 '레티보(Letybo)'가 미국 보툴리눔 톡신(보톡스) 시장에 초기 성공적으로 안착하고 있다. 레티보는 뛰어난 효과와 지속성 등을 무기로 현지 의료진과 소비자들 사이에서 빠르게 입소문을 타며 '보톡스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라이프스타일 전문매체 '피플 엔 에스파뇰(People en Español)'은 레티보를 환자에게 시술한 뉴욕 미용성형 전문의 제니퍼 레빈(Jennifer Levine) 박사를 인터뷰하고 레티보의 효과와 장점에 주목했다. 레빈 박사는 인터뷰를 통해 "환자에게 레티보를 투여한 지 불과 몇 시간 만에 주름 개선 효과가 나타났고, 자연스러운 결과를 경험할 수 있었다"며 "전통적인 보톡스와 비교해 작용 속도가 빠르고 효과가 오래 간다"고 평가했다. 레티보는 국내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의 선두주자인 휴젤이 개발한 제품으로, 지난해 2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았다. 이로써 미국, 유럽, 중국 등 세계 3대 미용 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초의 한국산 보툴리눔 톡신이 됐다. 레빈 박사는 "레티보는 찡그린 주름, 이마 주름, 눈가 주름에 특히 효과적이며, 환자들이 보다 자연
[더구루=이연춘 기자]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인천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국제 바이오 행사에 연이어 참가하며 글로벌 CDMO로서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알린다, 30일 롯데바이오로직스에 따르면 다음달 10일부터 12일까지 인천에서 개최되는 ‘월드 ADC 아시아 서밋(World ADC Asia Summit)’을 시작으로, 같은 달 16일부터 19일(미국 현지 시간)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International Convention 2025, 이하 바이오 USA)’에도 참가한다. ‘월드 ADC 아시아’는 올해로 4회째를 맞이한 아시아 대표 항체약물접합체(ADC) 행사다. ADC에 관심있는 다양한 참가자들이 모여 개발 및 생산과 관련한 최신 연구와 기술 동향을 논의한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이번 행사에서 아시아권 잠재 고객사와의 새로운 비즈니스 파트너십 구축을 모색하고 글로벌 CDMO로서의 입지도 굳건히 다져나갈 계획이다. 지난 1월 롯데바이오로직스는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자체 개발한 혁신적인 ADC 플랫폼 솔루플렉스 링크(SoluFlex Link)를 공개한 바 있다. 이후 4월에는 아시아 소재 바이오 기업과 AD
[더구루=김명은 기자]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디엑스앤브이엑스(Dx&Vx)가 코로나19 재확산 속에서 변이 바이러스 대응을 위한 임상 시험에 속도를 낸다. 범용 코로나 백신과 치료제 외에도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통해 글로벌 제약 및 생명공학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겠다는 전략도 내세웠다. 30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Dx&Vx는 현재 한국, 미국 및 동남아시아에서 코로나19 백신 임상2상을 시작하는 데 필요한 규제 절차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임상1상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연내 글로벌 2상 연구를 위한 임상시험용 신약(IND) 신청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최근 범용 코로나19 백신 관련 기술을 확보한 데 이어 개발 프로그램을 본격 가속화하는 것이다. 이번 백신은 현재와 미래의 모든 코로나19 변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된 차세대 백신으로, 최근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재확산 움직임이 감지되며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를 포함한 글로벌 보건 기구들은 유럽, 아시아, 북미 일부 지역에서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보다 강력하고 지속적인 면역 솔루션의 필요
[더구루=김명은 기자] 대웅제약이 보툴리눔 톡신 제품인 나보타(Nabota)를 인도네시아에 출시한다. 자체 개발 신약 연매출 1조원 달성 목표를 향해 해외 판로 개척에 더욱 속도를 내는 분위기다. 대웅제약은 인도네시아 최대 미용의학 학술대회인 '위스왐(WeSWAM) 2025'에 참가해 나보타 출시를 알렸다. 올해 위스왐은 지난달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반둥 엘 로얄 호텔에서 개최됐다. 위스왐 2025는 동남아시아 최대 미용의학 행사 중 하나다. 대웅제약은 의료 전문가 약 300명, 연사 14명, 업계 후원사 31곳이 참가한 이번 행사에서 나보타를 공개, 현지의 폭발적인 관심을 받았다. 대웅제약은 CnG 바이오 인도네시아(CnG Bio Indonesia, CBI)와 협력해 특별 전시관을 운영했다. 대표 보툴리눔 독소 제제인 나보타 외에 △히알루론산 기반 고급 필러 '디클래시(DCLASSY)' △체내 흡수형 리프팅 실 '두스(DOOTH)' △PDO(폴리디옥사논) 소재의 리프팅 실 '럭스(LUXX)' △칼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CaHA) 기반 콜라겐 자극 피부 강화제 '페이스템(Facetem)' 등도 공개했다. 대웅제약 전시관에는 의료진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
[더구루=김명은 기자] 지씨셀의 미국 세포 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자회사인 '메이드 사이언티픽'(Made Scientific)이 GMP(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 시설 확장에 나선다. 후기 단계 및 상업용 세포 치료제 생산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미국과 유럽연합(EU) 규제 요건을 충족하는 시설을 추가해 CDMO 수요에 대응하고,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키워나간다는 계획이다. 메이드 사이언티픽은 29일(현지시간) 뉴저지주 프린스턴에 위치한 GMP 시설을 내년 3분기까지 1만2000제곱피트(약 3170m²) 확장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미국 FDA(식품의약국)와 EU Annex 1 규격을 준수하는 GMP 생산 능력을 확보하고, 고처리량 제조 설계 및 첨단 자동화 생산 능력을 확대할 예정이다. 사이드 T. 후세인(Syed T. Husain) 메이드 사이언티픽 최고경영자(CEO)는 "더 많은 치료법이 후기 개발 단계로 진입함에 따라 상용화를 위한 인프라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며 "이번 시설 확장으로 파트너사의 치료법을 자신 있게 시장에 출시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이드 사이언티픽은 설계 및 엔지니어링 파트너인 오케스트라생명과학(Orche
[더구루=이연춘 기자]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오는 31일까지 서울 워커힐에서 개최되는 대한골대사학회 국제 학술대회(SSBH 2025)에 참가해 골질환 치료제 오보덴스®(Obodence®,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성분명 데노수맙) 알리기에 나선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본 행사의 주요 후원 기업으로서, 런천 심포지엄과 학술 데이터 발표 등을 통해 오리지널 의약품과의 동등성을 확보한 제품의 안전성 및 효능을 전파하고, 바이오시밀러의 인지도 제고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특히 지난 3월 오보덴스의 공동 판매 협약을 체결한 한미약품과 함께 현장 부스 활동 등으로 다양한 국내 골질환 분야 의료계 및 업계 관계자들과의 소통에 나설 예정이다. 오보덴스의 오리지널 의약품 프롤리아는 미국 암젠이 개발한 골다공증 및 전립선암∙유방암 환자의 골 소실 치료제로, 지난해 글로벌 매출액은 약 6조5000억원(43억7400만달러)이며 국내 시장 규모는 1749억원에 달한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020년 10월부터 2022월 11월까지 건강한 성인 남성 168명을 대상으로 임상 1상과, 2020년 11월부터 2023년 1월까지 폐경 후 골다공증 환자 457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 3상을 통해 프
[더구루=김명은 기자] 상반기 코스닥 상장을 추진 중인 액체생검 및 임상 유전체 전문기업 GC지놈이 주요 파트너사인 GC림포텍을 통해 3조 규모의 일본 조기암 진단 시장 선점에 나섰다. 앞으로 일본 현지에서 파트너사를 추가로 확보해 글로벌 조기암 진단 시장 공략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GC지놈은 다중암 조기선별 검사 '아이캔서치' 제품을 앞세워 글로벌 액체생검 암진단기술 기업으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아이캔서치는 단 한 번의 혈액 채취로 폐암, 간암, 대장암, 췌장담도암, 식도암, 난소암 등 주요 6대 고위험 암종을 스크리닝할 수 있는 검사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약 7000명 이상의 임상 검체 데이터를 확보했으며, 민감도 82.2%, 특이도 96.2%의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GC지놈은 지난 2023년 9월 국내 주요 대학병원, 건강검진 전문기관과 정식계약을 맺고 검사 서비스를 시작한 뒤, 해외 7개국에 이어 최근 일본시장까지 성공적으로 진출했다. 일본은 전 세계에서 네 번째로 암 발생률이 높은 국가로, 고령 인구 비중이 전체 인구 비중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의 조기 암 스
[더구루=김명은 기자] 지씨셀 미국 관계사 아티바 바이오테라퓨틱스(Artiva Biotherapeutics, 이하 아티바)가 글로벌 투자자 눈도장 찍기에 나선다. 루푸스 신염 치료제 후보물질 'AlloNK(AB-101)' 개발 기술력을 전면에 내세워 투자자 유치에 나설 전망이다. 아티바는 다음달 3일부터 이틀 동안 미국 뉴욕에서 개최되는 제프리스 글로벌 헬스케어 콘퍼런스(Jefferies Global Healthcare Conference)에 참가한다. 파트너를 모색하고 투자 자금을 마련해 혁신 신약 개발에 속도를 더한다는 계획이다. 제프리스 글로벌 헬스케어 컨퍼런스는 3000명 이상의 글로벌 제약·바이오 관계자를 포함한 기관 투자자, 사모펀드 투자자 등이 헬스케어 분야의 글로벌 트렌드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다. 아티바 경영진은 투자자 회의에도 참석해 AlloNK 임상 결과를 소개하고 파트너를 확보하기 위해 1:1 비즈니스 미팅을 전개할 방침이다. 아티바는 현재 전신성 홍반 루푸스(SLE) 환자를 대상으로 AlloNK와 단클론 항체 병용 요법을 평가하는 1/1b상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올해 말까지 초기 안전성 및 중개 데이터를 확보하고 추가 개발을 위한 선
[더구루=이연춘 기자] 대웅제약 엔블로가 지방간 동반 2형 당뇨병 환자를 위한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서 가능성을 확인했다. 대웅제약은 지난 11일 스페인 말라가에서 열린 '2025 유럽비만학회(European Congress on Obesity, ECO)'에서 SGLT-2 억제제 계열 2형 당뇨병 치료제 '엔블로'의 간 내 지방증 지표 개선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이 지방간 질환을 동반하는 사례는 국내외 다수의 연구에서 보고되고 있다. 실제로 대웅제약이 엔블로 임상시험 3건을 분석한 결과 시험에 참여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약 50%가 연구 시작 시점에 지방간을 동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총 554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3건의 엔블로 3상 임상시험 데이터를 활용해 엔블로의 간 지방증 지표 개선 효과를 통합 분석했다. 그 결과, 엔블로 0.3mg을 24주간 매일 복용한 환자들은 간 지방증 지수(Hepatic Steatosis Index, HSI) 및 프레이밍햄 지방증 지수(Framingham Steatosis Index, FSI)로 평가한 지방간 유병률이 기저 대비 각각 32%·2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엑스박스(Xbox)가 에이수스(ASUS)와 협력해 새로운 휴대용 콘솔을 내놓으면서 하드웨어 전략이 변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등장했다. MS는 자체 콘솔도 개발하고 있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일각에서는 전략 자체가 잘못됐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