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CJ ENM이 다음달 일본에서 개최하는 K-컬처 페스티벌 케이콘 2023 재팬(KCON 2023 Japan)에서 일본 패션 페스타 TGC(Tokyo Girls Collection)와 콜라보에 나선다. K-팝은 물론 최신 트렌드를 살펴볼 수 있는 장을 마련하며 콘텐츠 다변화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CJ ENM은 다음달 12일부터 사흘 동안 일본 도쿄 인근 치바현에 자리한 복합 컨벤션 시설 미쿠하리 멧세(幕張メッセ)에서 케이콘 2023 재팬을 개최한다. 케이콘 2023 재팬 둘째날인 다음달 13일에는 TGC와 협력해 이색 행사를 펼칠 예정이다. TGC는 ‘일본 걸즈(Girs) 문화를 세계로’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지난 2005년부터 연 2회씩 패션 페스타를 개최하고 있다. CJ ENM과 TGC는 라이프스타일에 관련된 최신 트렌드를 다루는 다양한 행사를 기획했다. 메이크업 트렌드, 한국의 최신 뷰티 정보, Z세대(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디저트 등에 관한 의견을 나누는 토크쇼와 패션쇼 등을 기획했다. 일본 걸그룹 AKB48의 멤버 혼다 히토미(本田仁美)를 비롯해 이케다 미유(
[더구루=한아름 기자] CJ ENM·티빙 오리지널 드라마 '운수 오진 날'과 '우씨왕후'가 해외로 향한다. 파라마운트 플러스를 통해 전 세계 27개국 시청자와 만난다. CJ ENM과 파라마운트 플러스와 콘텐츠 동맹이 보다 견고해지는 모양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CJ ENM·티빙 드라마 운수 오진 날과 우씨왕후가 파라마운트 플러스 파트너십 작품으로 선정됐다. CJ ENM이 지난 2021년 파라마운트 플러스 운영사 바이어컴CBS와 콘텐츠 투자·제작 협력을 위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한 데 따른 것이다. 파라마운트 플러스는 티빙 콘텐츠를 분석한 결과, 운수 오진 날과 우씨왕후가 글로벌 상업 가치가 높다고 판단했다. 이에 운수 오진 날과 우씨황후는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 라틴 아메리카, 브라질, 이탈리아,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프랑스 등 총 27개국 파라마운트 플러스에서 공개된다. 두 작품은 K-콘텐츠 기대작으로 주목받고 있다. 운수 오진 날은 택시기사 '오택'(이성민)이 손님 '금혁수'(유연석)를 태우고 가다 그가 연쇄살인마임을 깨달으면서 공포의 주행을 시작하는 이야기다. 이정은은 아들을 죽인 혁수를 쫓는 '황순규'로 나선다. 동명 네이버웹툰이 원
[더구루=홍성일 기자] 카카오픽코마가 프랑스 진출 1년여만에 100만명 유저를 확보하는 등 빠르게 시장을 확장하고 있다. 카카오픽코마는 프랑스 시장이 아직은 초기단계라며 웹툰 시장에 대한 투자를 이어나간다. 김형래 카카오픽코마 유럽법인 대표는 프랑스 만화전문매체 actuabd가 24일(현지시간) 보도한 인터뷰에서 "카카오픽코마 프랑스 서비스는 이미 100만명의 유저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카카오픽코마는 지난해 3월17일(현지시간) 프랑스 서비스를 정식으로 시작했다. 카카오픽코마는 서비스 시작에 앞서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2021년 9월 픽코마 유럽 법인을 설립했다. 카카오픽코마는 유럽 내 첫 디지털만화플랫폼 델리툰SAS 최고운영책임자(COO) 등을 맡았던 김형래 대표를 영입했다. 카카오픽코마는 현지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전문가로 평가받는 김 대표를 통해 프랑스 시장에 안착한다는 목표였다. 카카오픽코마는 서비스 시작 이후 매달 30개의 신작을 출시하며 라인업을 확대, 현재는 700개가 넘는 웹툰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카카오픽코마의 성장을 이끌었던 작품은 한국과 일본, 미국에서도 인기를 끌었던 '나혼자만 레벨업'과 레디스가 제작한 '픽 미 업'이었다. 카카오픽코
[더구루=한아름 기자] CJ ENM·티빙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드라마 '몸값'과 '아일랜드'가 글로벌 시장에서 호평을 받았다. 프랑스 칸 국제 시리즈 페스티벌에서 큰 관심을 받았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CJ ENM·티빙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드라마 몸값·아일랜드가 지난 14일(현지시간)부터 5일간 프랑스 칸 뤼미에르 대극장에서 열린 제6회 프랑스 칸 국제 시리즈 페스티벌에서 인정받았다. 몸값은 이번 페스티벌에서 장편 경쟁 부문 각본상을 받는 쾌거를 이뤘다. 각본상을 받은 한국 드라마는 이번이 최초다. 몸값은 동명의 약 14분짜리 단편 영화(연출 이충현)를 원작으로, 지진으로 건물이 무너진다는 재난적 상황을 덧붙여 세계관을 확장한 6부작 스릴러 드라마다. 티빙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파라마운트+가 글로벌 유통을 맡았다. 진선규·전종서·장률 등 연기파 배우들이 대거 출연했다. 몸값은 현지에서 각자의 몸값을 놓고 흥정하는 인물들 간 관계가 전복을 거듭하며 반전을 낳고, 파격적인 소재와 연출 속에 블랙코미디 유머도 잃지 않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남길·이다희·차은우 주연의 아일랜드도 관심을 끌었다. 아일랜드는 세상을 멸망시키려는 악에 대항해
[더구루=홍성일 기자] 최근 러시아의 영화, 드라마 콘텐츠 플랫폼 시장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 콘텐츠에 대한 수요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한국 콘텐츠의 인기가 비즈니스 측면으로도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코트라모스크바무역관은 17일 'K-콘텐츠, 러시아인들의 마음을 사로잡다'라는 보고서를 통해 러시아의 OTT 플랫폼 성장과 한국 콘텐츠 수요 증가 등에 대해서 상세히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며 2022년 기준 러시아의 VoD(Video On Demand) 시장 규모는 2억2970만 달러로 전년대비 32%가 증가했다. OTT(Over The Top)도 7억6230만 달러로 전년대비 13%가 증가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넷플릭스, 미고고 등이 철수한 상황을 감안했을 때 상당히 유의미한 수치라는 평가다. 러시아 유명 VOD 플랫폼 'ivi'에 따르면 러시아인들이 가장 즐기는 콘텐츠는 TV시리즈로 2022년 기준 러시아인의 약 55%가 TV시리즈를 선호한다고 답했으며 이중 30%가 해외TV시리즈, 약 25%가 국내TV 시리즈를 즐겨본다고 답했다. 그 뒤를 38%를 점유한 영화였으며 나머지는 리얼리티쇼였다. ivi는 최근 한국과 튀
[더구루=한아름 기자] CJ그룹이 베트남 문화사업 발전을 위해 팔을 걷었다. CJ CGV가 CJ문화재단과 함께 베트남 단편영화 프로젝트 5개에 15억동(약 8355만원)을 지원한다. 베트남에서 CJ 이미지가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CJ CGV·CJ문화재단이 내달 28일까지 베트남 단편영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베트남 영화 산업 성장의 뜻이 있지만 제작 기회가 없었던 청년 감독 5명을 선정해 각각 최대 3억동(약 1670만원)을 지원한다. 이어 CJ CGV의 콘텐츠 제작 역량을 바탕으로 멘토링을 진행하며 프로젝트 완성작이 국제 영화제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성과도 좋다. CJ의 지원을 받은 단편 영화 '좋은 땅'(A Good Land)은 2019년 베를린영화제에서 수상한 바 있다. '모든 것은 다 수정할 수 있다'(Everything Can Be Edited)도 2020년 싱가포르 국제영화제에서 동남아 단편영화 부문 감독상을 받는 영광을 누렸다. CJ CGV는 앞으로도 다양한 지원을 통해 베트남 현지의 젊은이들에게 영화감독으로의 육성 기회를 제공하겠단 계획이다. CJ CGV는 베트남 로컬 영화의 성장도 도모하고 있다. 베트남 진출
[더구루=한아름 기자] CJ CGV가 인도네시아에서 본격적인 사업 확장에 나선다. 올해 신규 영화관을 오픈하는 등 사업 육성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코로나 엔데믹으로 인도네시아에서 실적이 흑자로 돌아서면서 꾸준히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는 평가다. CJ CGV인도네시아는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각각 925억원과 영업이익 111억원을 기록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CJ CGV가 이드 기간(4월20~21일)을 맞아 시트라 마자 라야(Citra Maja Raya) 지역에 신규 영화관을 운영한다. 신규 영화관은 에코플라자 시트라 마자 라야점에 위치하고 있다. 상영관 4개 규모다. 이드는 이슬람 최대 명절 연휴 중 하나인 데다 에코플라자가 현지 인기 쇼핑몰인 만큼 방문객이 많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CJ CGV가 인도네시아서 신규 영화관을 설립하겠단 계획에 따른 것이다. CJ CGV인도네시아는 지난달 경쟁사가 없는 지역에 신규 영화관을 설립하겠단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다만 투자 규모나 시기 등 세부 상황은 밝히지 않았다. CJ CGV는 이번 신규 영화관에 이어 꾸준히 사업 영역을 확장할 예정이다. <본보 2023년 3월 21일 참고 CJ CGV 인니
[더구루=김형수 기자] 여가 플랫폼 기업 야놀자가 미국 여행정보사이트 익스피디아로부터 우수 파트너로 선정됐다. 야놀자 클라우드의 주력하고 있는 북미 사업이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익스피디아는 야놀자 클라우드 계열사 이지테크노시스(eZee Technosys)가 '2023 익스피디아그룹 엘리트 커넥티비티 파트너'( 2023 Expedia Group Elite Connectivity Partner) 자격을 획득했다. 이지테크노시스는 야놀자가 2021년 글로벌 클라우드 솔루션 기술 리더십 강화를 목적으로 설립한 회사다. 이지테크노시스는 예약, 여행자 경험, 연결 경험, 탑승 경험 등 여러 분야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최고등급인 엘리트 커넥티비티 파트너로 선정됐다고 익스피디아는 설명했다. 이지테크노시스는 글로벌 호스피탈리티 기술 제공업체로 △채널 관리 △자산 관리 소프트웨어 △예약 엔진 △레스토랑 POS △매출 관리 △숙박시설용 웹사이트 빌더 등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지테크노시스는 엘리트 커넥티비티 파트너 자격 획득을 계기로 △향상된 기술적 지원 △API(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 조기 접근 등의 혜택을 받게 될 전망이다. 이를
[더구루=김형수 기자] CJ ENM이 글로벌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프랑스에서 개최되는 글로벌 방송영상콘텐츠마켓에서 신규 예능 프로그램 알리기에 나선다. 홍콩에 이어 유럽에서 열리는 시장에서 콘텐츠를 적극 홍보하며 해외시장 공략에 힘을 쏟겠다는 계획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CJ ENM은 오는 17일부터 사흘 동안 프랑스 칸(Cannes)에서 열리는 '방송영상콘텐츠마켓 밉TV 2023(MIPTV 2023)'에서 예능 프로그램 '더 타임 호텔' 홍보 활동을 펼친다. 올해로 60회째를 맞는 밉TV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방송영상콘텐츠마켓으로 꼽힌다. 전세계에서 콘텐츠 판매업자, 구매업자, 제작자, 투자자, 마케팅업자 등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할 전망이다. CJ ENM이 올해 밉TV에서 선보일 더 타임 호텔은 돈 대신 시간이 재화로 사용되는 타임호텔에 투숙하는 10명이 경쟁을 벌이는 생존 서바이벌 예능이다. 1세대 프로게이머 홍진호, 코미디언 황제성, 가수 존박 등이 출연한다. 국내에서는 오는 12일 CJ ENM이 운영하는 자체 OTT 티빙(TVING)을 통해 공개된다. 글로벌 무대에서 예능 콘텐츠 경쟁력을 입증한 CJ ENM이 글로벌 방송 콘텐츠
[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라다이스가 엔데믹이 본격화하면서 실적이 우상향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각국의 코로나19 방역 규제가 대부분 해제되면서 올해 실적이 뚜렷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 일본인 여행객 입국이 수월해진 데 에 이어 중국을 잇는 하늘길이 넓어짐에 따라 향후 실적에도 장밋빛 전망이 나온다. 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파라다이스의 지난달 카지노 매출은 427억140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86억1300만원에 비해 129.5% 증가했다. 해당 기간 테이블 매출은 137.0% 늘어난 390억8600만원을 기록하며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머신 매출은 71.2% 증가한 36억2800만원으로 집계됐다. 1분기 실적만 놓고 보면 일본, 대만, 홍콩 등 항공 노선이 빠른 회복세로 코노라19 이전의 매출 80% 수준을 회복했다. 지난 1월부터 3월까지 올린 카지노 매출은 1352억6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1.5% 증가했다. 같은 기간 테이블 매출은 162.0% 증가한 1256억9600만원, 머신 매출은 64.4% 늘어난 95억1000만원을 기록했다. 일본 관광객 유입이 매출 상승을 이끌었다. 지난달 일본 VIP 드랍액(카지
[더구루=김형수 기자] CJ ENM이 글로벌 시장 공략에 고삐를 죈다. 지난해 초 인수한 미국 콘텐츠 제작 스튜디오 피프스 시즌(Fifth Season·옛 엔데버 콘텐트)을 통해서다.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한 콘텐츠를 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OTT)을 통해 공개하겠다는 계획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피프스 시즌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콘텐츠 제작회사 어노니미스 콘텐트(Anonymous Content)와 협력해 8부작 시리즈 '더 서번트(The Savant)'를 애플의 OTT 애플TV+(Apple TV+)에서 선보일 전망이다. 더 서번트는 지난 2019년 8월 미국 유명잡지 코스모폴리탄(Cosmopolitan)에 실린 기사에서 영감을 받아 기획된 콘텐츠다. 해당 기사에는 '더 서번트'로 알려진 한 여성이 온라인 혐오집단에 침투해 그들의 행동을 추적하고 폭력적 행위를 예방하기 위해 펼친 활동에 관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영화 '타미 페이의 눈(The Eyes of Tammy Faye)'으로 지난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여배우 제시카 차스테인(Jessica Chastain)이 더 서번트에 출연한다. 넷플릭스 시리즈 ‘아나토미 오브 스캔들
[더구루=정등용 기자] 지난해 월드컵 개최 국가였던 카타르에서 사상 첫 K-POP 콘서트가 열린다. 2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오는 5월19일부터 20일까지 카타르 도하 루사일 다목적 홀에서 K-POP 콘서트 ‘케이원페스타(K.OneFesta)’가 진행된다. 공연에는 iKON과 선미, SF9, EVERGLOW 등이 출연할 예정이며 티켓 예매는 4월 6일부터 가능하다. 티켓 가격은 350~1500리얄(12만~53만 원)에 형성돼 있으며 플래티넘 스탠딩+밋앤그릿 티켓은 1500리얄, 플래티넘 스탠딩 티켓은 900리얄(약 31만 원)에 구매할 수 있다. 이 밖에 골드 티켓은 700리얄(약 24만 원), 실버 티켓은 350리얄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Lucid Group)가 약 1조5000억원 규모로 전환사채를 발행한다. 최대 주주인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공공투자기금(PIF)이 이를 지원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루시드는 3일 최대 10억 달러(약 1조4600억원) 규모로 2030년 만기 전환선순위채권Convertible Senior Notes)을 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선순위전환채권은 약정 시점이나 투자자 전환권 행사 시점에 주식으로 전환, 원금을 상환받을 수 있는 채권이다. 다만 일반 전환사채(CB)와 달리 전환 가격이 정해져 있지 않다. 루시드의 선순위전환채권 발행과 관련해 PIF 자회사인 '아야르서드 컴퍼니'가 특정 투자자와 선불 선도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는 미래 보유 주식 매각을 담보로 미리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이다. PIF는 루시드의 지분 60%를 보유한 최대 주주이다. 2022년 12월 15억 달러, 2023년 5월 18억 달러를 지원한 데 이어 작년에도 3월 10억 달러, 8월 15억 달러의 유동성을 공급했다. <본보 2024년 8월 6일자 참고 : 사우디 국부펀드, 루시드에 '2조' 자금 투입> 루시드는 또 작
[더구루=홍성일 기자] 구글이 인공지능(AI) 수요 급증에 따라 엔비디아 AI칩 추가 조달에 나섰다. 구글의 AI칩 추가 조달이 'AI반도체 수요 고점론'을 약화시킬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3일 경제전문매체 디 인포메이션에 따르면 구글은 AI 데이터센터 임대기업 코어위브(CoreWeave)와 엔비디아 블랙웰(Blackwell) AI칩 임대를 위한 사전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상세한 조달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구글이 코어위브와 협상에 나선 배경에는 AI 수요 급증이 있다는 분석이다. AI관련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데 맞춰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설치하기 위해 서버 임대를 선택했다는 것. 코어위브는 미국 전역에 32개 데이터센터를 구축했으며 탑재된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는 25만 장이 넘는다. 특히 이번 계약으로 AI칩 수요 고점론이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 AI칩 수요 고점론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코어위브 기업공개(IPO) 결과가 기대에 못미치면서 고개를 들었다. 당초 코어위브는 주당 공모가를 47~55달러로 목표했지만 시장의 미온적 반응에 공모가격을 40달러 낮췄다. 지난해 매출의 62%를 담당한 마이크로소프트(MS)가 미국 내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