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우버이츠가 홍콩에서 철수한다. 1일 우버이츠는 온라인 성명을 통해 "이달 말에 홍콩을 떠난다"고 밝혔다. 철수의 가장 큰 이유는 음식 배달 사업에서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어서다. 다만, 우버가 홍콩에서 완전히 철수를 하는 것은 아니다. 배달 플랫폼 사업을 접는 대신 모빌리티는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우버 측은 차량 공유 노력을 두 배로 늘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회사는 홍콩에서 배달 플랫폼 운영을 중단하는 대신 더 많은 라이더와 드라이버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홍콩의 음식 배달 시장은 푸드판다(시장 점유율 51%)와 딜리버루(44%)가 장악하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러시아 로사톰의 자회사 우라늄원(Uranium One)이 아르헨티나 리튬 광산에 지분 투자한다. 최대 50% 지분을 보유하며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재료인 리튬 확보에 나선다. 우라늄원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캐나다 리튬 회사 알파리튬(Alpha Lithium)과 톨리야르(Tolillar) 광산 개발을 위한 합작사를 세우고자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톨리야르 광산은 '리튬 트라이앵글' 중 하나인 아르헨티나 살타에 위치하며 2억7500만㎡ 규모다. 농도가 높은 리튬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우라늄원은 3000만 달러(약 350억원)를 쏟아 지분 15%를 확보한다. 85%는 알파리튬이 갖는다. 타당성 조사가 완료되면 1억8500만 달러(약 2200억원)를 추가 투자해 지분을 50%로 늘리고 생산물의 100%를 회수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리튬은 은백색의 알칼리 금속으로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재료다. 희소성이 높아 하얀 석유로 불리며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맞물려 가격이 폭등하고 있다. 한국자원정보서비스(KOMIS)에 따르면 탄산리튬 가격은 지난달 25일 기준 ㎏당 185.5위안(약 3만4440원)로 1년 사이 375% 치솟았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퍼브매틱(PubMatic)이 프랑스에 신규 지사를 오픈한다. 디지털 광고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유럽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퍼브매틱은 프랑스에 새로운 사무실을 개소하고 팀을 책임질 관리자급 인사 2명을 고용했다고 지난 2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퍼브매틱은 "(프랑스 지사는) 고성장 시장에 대한 회사의 전략적 투자의 일환"이라며 "고객이 현지 전문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할 필요성을 느껴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미 프랑스 TV 채널 M6, 미디어 컨설팅 회사 옵티디지털(Opti Digital), 광고회사 미디어스퀘어(Mediasquare) 등 현지 파트너사들과 긴밀한 파트너십 관계를 구축, 협력하고 있다. 퍼브매틱은 프랑스 지역 팀에 힘을 싣기 위해 콘스탄스 드 불피안(Constance de Vulpian) 프랑스지사 고객서비스 책임자와 로렌스 해로크(Laurence Harroch) 게시자 개발 담당 이사 등 2명의 관리자급 인물을 새롭게 영입했다. 퍼브매틱은 지난 2006년 설립된 공급자측 광고 플랫폼(SSP) 업체다. 퍼블리셔와 광고주들이 실시간으로 프로그래매틱 광고를 거래할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숏비디오 플랫폼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ByteDance)가 두바이에 위치한 물류 스타트업 아이마일 딜리버리(iMile Delivery)에 1000만 달러(약 118억원)을 투자했다. 아이마일 딜리버리는 30일(현지시간) 시리즈 A라운드 투자 펀딩을 통해 4000만 달러(약 474억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아이마일 딜리버리는 기업가치는 3억5000만 달러(약 4145억원)로 평가받았다. 이번 펀딩에 대해서 상세 투자자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바이트댄스가 1000만 달러를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마일 딜리버리는 화웨이 출신 리타 황, 아마존 출신 나빈 조셉 등이 2017년 두바이에 설립한 물류 스타트업으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라스트 마일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중국 내 판매자들을 신흥시장과 연결하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아이마일 딜리버리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바탕으로 신규 입점 프로세서를 디지털화해 소규모 전자 상거래 비즈니스 성장을 지원하고, 사용자가 배송할 물품을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배달 앱도 출시할 계획이다. 또한 중앙집중식 배송이 아닌 지역별 배송 시스템을 갖출 계획이며, 이를 통해 아프리카
[더구루=길소연 기자] 일본 우주서비스업체 스페이스BD(Space BD)가 내년 미국 우주탐사기업 스페이스X(SpaceX)의 2단 발사체 팰콘(Falcon)9 로켓을 발사한다. 발사 서비스 부문에서 첫 해외 위성 발사다. 스페이스BD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스페이스X 팰콘9 로켓 활용해 위성 발사 서비스 개시한다고 밝혔다. 서비스 시기는 내년 10월로 예정됐다. 임무명은 '트랜스포터6(Transporter6)'이다. 스페이스X와 팰컨9 위성 발사 프레임 사용권 계약을 맺고, 해외 첫 위성 발사에 나서는 것으로, 향후 스페이스X처럼 해외 발사 수단을 조달해 나갈 예정이다. 스페이스BD는 우주로의 운송 옵션을 확대해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공간을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우주 활용 수요가 늘어나자 일본 자국 발사 수단에 더해, 해외의 발사 수단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스페이스BD의 강점인 기술적인 발사·운용 지원을 원스톱으로 제공해 경쟁력이 있는 발사 서비스로 향상시킨다. 가나자와 마코토(金澤 誠) 스페이스BD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스페이스X와의 제휴는 글로벌 관점에서 발사 방식을 다양화하는 첫 번째 단계로 자리 잡았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털(CVC) '삼성넥스트'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독일의 공유 서비스 스타트업 '그로버(Grover)'가 영국의 벤처캐피털(VC)로부터 추가 자금을 유치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그로버는 런던에 본사를 둔 파사나라 캐피탈(Fasanara Capital)로 부터 2억5000만 달러(약 2980억원)를 투자받았다. 그로버는 삼성넥스트를 비롯해 JMS 캐피탈, 코패리온, 서큐리티 캐피탈 등에서 약 14억 7700만 달러(약 1조 7580억원)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그로버는 지난 2015년 독일 베를린에서 설립됐으며 현재 독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스페인 등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로버는 스마트폰, 노트북, VR장비 등 3000여종 이상의 스마트 기기를 월단위로 빌려주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며 계약 기간이 끝난 제품은 소비자가 구매하거나 반납 할 수 있다. 반납된 제품은 수리 작업을 거쳐 다시 사용된다. 그로버는 2024년까지 구독 서비스 이용자를 500만 명이상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2만4000톤의 전자제품 폐기물, 26만 톤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겠다는 목표다. 그로버는
[더구루=최영희 기자] 홍콩에 본사를 둔 메타버스 개발사 ViLab가 걸리버스튜디오와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씨제스엔터테인먼트 자회사인 걸리버스튜디오는 넷플릭스 히트 시리즈 오징어게임의 메인 컴퓨터그래픽(CG), 시각특수 효과(VFX)를 담당한 기업이다. 양사는 3차원 웹·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컴퓨터 생성 이미지(CGI)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해 나갈 예정이다 ViLab의 공동 창립자인 지니 Q는 "ViLab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모든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채택될 수 있는 가상 ID를 만들기 위한 기술을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걸리버스튜디오는 지난달 증강현실 플랫폼 스타트업 리콘랩스와도 업무협약을 맺었다. 리콘랩스는 AI(인공지능) 솔루션을 통해 제품 이미지를 3D로 변환시키는 스타트업이다.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콘텐츠를 자동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올해 초 중소벤처기업부의 '팁스(TIPS)'에 선정돼 기술력을 인정받은 리콘랩스는 이후 네이버가 설립한 기업형 엑셀러레이터(AC)인 D2SF와 카카오의 벤처캐피털(VC) 카카오벤처스로부터 공동 투자를 받으면서 업계 주목을 받았다.
[더구루=김도담 기자] '중국판 테슬라'로 불리는 중국 전기차 기업 패러데이퓨처(Faraday Future)가 미국 나스닥 시장에서의 상장 폐지설을 부인했다. 패러데이퓨처는 29일(현지시간) "일부 언론이 (나스닥의 경고 보도 이후) 잘못된 해석을 내놓고 있으나 우리는 가능한 빨리 3분기 재무보고서를 제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곧 정상 상태로 돌아갈 것"이라고 발표했다. 중국 증권시보 등 미·중 현지 언론보도에 따르면 패러데이퓨처는 최근 3분기 재무보고서를 제때 제출하지 않아 나스닥으로부터 경고를 받았다. 경고 후 60일 이내에 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상장 폐지 가능성도 있다. 올 7월22일(현지시간) 나스닥 상장 이후 3개월 만에 상장 폐지 위기를 맞은 셈이다. <본보 2021년 11월17일자 참조 패러데이퓨처, 사기논란 조사에 3분기 실적 공개 미뤄> 미국의 공매도 성향 헤지펀드 제이캐피탈리서치는 올 10월 패러데이퓨처가 여전히 생산을 개시하지 않고 있다며 회사가 사기를 벌이는 중이라고 주장했다. 설립자가 첫 고성능 전기차 'FF91' 사전계약대수 등을 속여 투자받은 자금으로 부채를 메우고 있다 것이다. 이 논란은 상장 이후 이어져 온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가 독일 기가팩토리 건설에 대한 대규모 보조금 신청을 철회한 것이 배터리 기술 유출과 공장 가동 지연 우려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정부 지원 없이 자금을 자체 조달하고 생산 속도를 높인다는 전략이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독일 IFO 경제연구소의 요아힘 라그니츠(Joachim Ragnitz) 보조금 전문가는 경제전문지 한델스블라트(Handelsblatt)와의 인터뷰에서 "테슬라는 (배터리 기술) 연구 결과를 다른 경쟁자들에게도 제공해야 하는 점을 두려워 할 수 있다"고 밝혔다. 테슬라는 지난 26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독일 연방경제부((BMWi)와 브란덴부르크주 경제부에 "그륀하이데(Grunheide) 배터리 공장을 위한 국가 자금지원인 '유럽 공익을 위한 중요한 프로젝트(IPCEI)' 신청서를 철회한다고"고 전했다. 보조금 규모는 11억4000만 유로(약 1조 5283억원)에 달했다. IPCEI는 대표적인 유럽 내 국가 지원 프로그램이다. 이미 많은 기업들이 신청해 수혜를 받고 있어 신청·검토 절차가 까다로워졌다. 정부가 기존 알려지지 않은, 보다 혁신적인 기술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또 지원금을 통해 획득한 연구결과는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전기차 배터리 스타트업 퀀텀스케이프가 다층 구조의 전고체 배터리셀 시제품 테스트에서 우수한 성능을 입증했다. 연내 성능 목표를 조기 달성하고 배터리 상용화에 속도를 내게 됐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퀀텀스케이프는 10층의 멀티레이어 기반 전고체 배터리셀 프로토타입을 테스트한 결과 800 사이클 동안 80% 이상의 용량을 유지했다. 이번 테스트는 1시간 안에 배터리 충·방전(1C), 표준 온도 25도, 3.4기압(atm) 조건 하에 수행됐다. 퀀텀스케이프는 지난달 싱글레이어 전고체 배터리셀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확인했다. 이어 10층 다층셀에서도 성능을 입증하며 올해 초 제시한 모든 이정표를 달성하게 됐다. <본보 2021년 10월 29일 참고 퀀텀스케이프, 전고체 배터리 성능 테스트 결과 공개…2024년 상용화 박차> 퀀텀스케이프는 향후 레이어 수를 늘리면서 고성능 배터리 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다. 통상 파우치형 배터리셀은 20Ah이지만 퀀텀스케이프가 개발한 10층 구조의 전고체 배터리는 2Ah로 나타났다. 퀀텀스케이프는 수십층 구조로 개발해 용량을 파우치형 배터리셀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2024년 상용화에 나선다는 목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칭산홀딩그룹(Tsingshan Holding Group, 이하 칭산)이 청신리튬그룹(Chengxin Lithium Group, 이하 청신)과 인도네시아에서 리튬 합작 공장을 짓는다. 해외 영토를 확장해 배터리 재료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는다는 전략이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칭산은 청신과 인도네시아에 3억5000만 달러(약 4150억원)을 투자해 연간 생산량 6만t의 리튬 합작 공장을 짓는다. 칭산이 35%, 청신이 65% 지분을 보유한다. 30%는 자체 자금으로 충당하고 70%는 대출을 받을 예정이다. 착공 일자는 알려지지 않았다. 양사는 연간 45만t의 리튬 정광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해외 광산에서 리튬 정광을 수입해 활용할 계획이다. 인도네시아산 니켈은 품위가 낮은 라테라이트 니켈로 대부분 스테인리스와 니켈선철(NPI)에 쓰인다. 전기차 배터리의 소재로 쓰이는 니켈은 황화광 니켈이다. 청신은 아르헨티나와 짐바브웨 광산에 투자했으며 중국 쓰촨성에서 리튬 광산을 개발 중인 후이롱 마이닝의 지분도 보유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정부에 셰브첸키브스키와 도브라 리튬 광산의 탐사권도 신청했다. 광산 개발을 확대해 안정적으로 리튬 정광
[더구루=정예린 기자] 화웨이와 샤오미가 중국 전기차 업체 니오의 배터리 공급사에 베팅했다. 핵심 미래 사업으로 낙점한 전기차 제조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한 행보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화웨이와 샤오미는 '북경웨이란신에너지기술(北京卫蓝新能源科技·Beijing WeLion New Energy Technology, 이하 웨이란)'에 약 5억 위안(약 931억원) 을 투자했다. 웨이란은 20년 넘게 전고체 배터리를 연구해 온 중국 과학원 물리학연구소 소속 첸 리퀴안 교수가 지난 2016년 설립한 회사다. 전고체와 반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기술연구 개발과 제조에 중점을 둔다. 본사는 베이징에 위치하고 있으며 베이징 팡산, 장쑤성 리양, 저장성 후저우 등에 3개의 생산 기지가 있다. 화웨이와 샤오미는 잇따라 전기차 시장 진출을 선언하고 관련 기술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화웨이는 CATL, 창안자동차와 전기차 동맹을 맺었다. 창안자동차 산하 전기차 브랜드 아바타 테크놀로지(Avatar Technology·중국명 아웨이타)가 차량 생산을 맡고 화웨이와 CATL은 각각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 소프트웨어 기술과 배터리를 공급한다. 지난 8월 3사의 첫 협력 결과물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자동차, 로보틱스, 재생에너지의 발전이 질화갈륨(Gan) 전력 장치 시장의 성장을 이끌 것으로 전망됐다. 이들 산업이 요구하는 고성능, 고효율, 소형화라는 과제를 해결할 소재로 질화갈륨이 주목받으면서, 관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글로벌 질화갈륨 전력 장치 시장은 2024년 3억9000만 달러(약 5390억원)에서 2030년 35억1000만 달러(약 4조8500억원)로 9배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 기간 연평균 성장률(CAGR)은 44%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질화갈륨은 실리콘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한 제품이다. 질화갈륨 반도체는 실리콘 반도체 대비 내구성이 우수해 고온·고전압을 견딜 수 있다. 에너지 변환 효율도 높아 소형화에 유리하다. 실제로 실리콘 반도체와 비교해 같은 성능의 반도체 크기를 3분의 1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질화갈륨 반도체는 전기차, 신재생에너지, 데이터센터, 로봇 분야 등에서 발생하는 고성능 전력 부품 수요에 적합한 차세대 소재로 꼽히고 있다. 질화갈륨 전력 장치 시장 성장의 가장 강력한 동력은 AI
[더구루=길소연 기자] 영국이 차세대 원자력 발전 건설 속도를 높이기 위해 원전 규제 개편에 착수한다. 원자력 프로젝트 승인 속도를 높이고 지나치게 느리고 복잡한 시스템을 개편해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한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영국 원자력규제청(ONR)은 원전 규제 관련 문제점을 인정하며 관행 개선에 나선다. ONR은 업계 이해 관계자들과 협의를 거쳐 올 연말까지 최종 권고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권고안은 규정을 간소화하고, 절차를 현대화하며, 높은 안전 기준을 유지하는 동시에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규제 개편은 행정 규제 비용을 25% 감축하고, 현재 허가된 8개 부지 외에도 잉글랜드와 웨일즈 전역에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허용하는 완화된 정부 개혁도 포함된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지난 2월 장기 국가계획으로 원전 규제를 대폭 완화하겠다며 8개로 제한됐던 원전 부지 제한 규정을 폐지했다. 마이크 피너티 ONR 최고경영자(CEO)는 "규제 개편을 위해 그룹과 지속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원자력 부문 성장을 방해하는 규제 관련 과제를 인정하고 관행을 개선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ONR이 원전 규제 개편에 나서는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