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침공으로 훼손된 전력 인프라를 대체하고자 최대 20기의 소형모듈원자로(SMR)를 짓는다. SMR을 미래 먹거리로 삼고 원천 기술을 보유한 회사와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는 삼성, 두산, 현대 등 국내 기업들이 우크라이나에서 사업 보폭을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인터팍스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게르만 갈루첸코(German Galushchenko) 우크라이나 에너지부 장관은 지난 16일(현지시간) SMR을 열병합 발전소를 대체할 수단으로 꼽으며 "최대 20기 건설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는 전체 전력 생산량의 29%를 화력·열병합 발전소를 통해 얻었다. 2021년 기준 35개의 열병합 발전소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지난해 러시아의 대규모 공습으로 대부분 파괴됐다. 우크라이나 전력사 DTEK는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열병합 발전소를 포함해 45개가 넘는 에너지 시설이 훼손됐다고 지적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작년 10월 우크라이나 발전소의 30%가 파괴돼 나라 전역에 대규모 정전이 발생했다고 밝혔었다. 우크라이나는 파괴된 발전소를 대체할 시설로 SMR 건설을 검토해왔다. 우크라이나 국영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뉴스케일파워가 인도네시아에 소형모듈원자로(SMR) 수출을 추진한다. 미국과 유럽을 넘어 아시아로 글로벌 영토를 확장하며 국내 협력사들의 수혜가 전망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이 폴란드 신규 원전 사업을 수주한 가운데 원전 교육센터 설립을 추진한다. 원전 기술의 이전뿐만 아니라 인재 양성에도 힘써 폴란드의 에너지 안보 강화를 지원한다. 폴란드 정부에 따르면 안나 모스크바 폴란드 기후환경부 장관은 지난 10일(현지시간) 마크 브레지즌스키 폴란드 주재 미국 대사를 만났다. 양측은 신규 원전 사업 협력과 인재 양성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신입 직원의 교육을 원전 협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교육센터 설립을 모색했다. 모스크바 장관은 "우리 정부와 기업은 미국과 에너지 협력을 확대하길 희망한다"며 "미국의 (원전) 기술과 인력 훈련 경험을 효과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폴란드의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미국과 에너지 협력을 논의하기 위한 조직을 만들고 원전을 제외한 다른 분야에서도 사업 기회를 모색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모스크바 장관은 "폴란드와 미국은 다른 에너지에서도 협업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며 "가스와 액화천연가스(LNG)가 사례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양국이 돈독한 관계를 쌓으며 신규 원전 사업도 탄력을 받고 있다. 웨스팅하우스는 지난해 한국수력원자력,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엑스에너지가 영국 엔지니어링 회사와 하트풀 원전 인근에 소형모듈원자로(SMR) 건설을 추진한다. 2030년께 첫 SMR을 가동하고 글로벌 영토를 확장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USNC가 다국적 원전 기업 유렌코로부터 농축우라늄을 공급받는다. 2025년 초소형모듈원자로(MMR)용 핵연료 생산을 앞두고 공급망 강화에 나섰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우크라이나 에너지부가 미국 테라파워와 소형 원전 건설을 논의했다. 러시아와의 전쟁으로 파괴된 전력 인프라를 대체하고자 미국 소형모듈원자로(SMR) 업체들에 지원을 요청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의 파트너사 폴란드전력공사(PGE)와 민간 발전사 제팍(ZEPAK)이 폴란드 신규 원전 사업을 총괄할 합작사를 꾸린다. 현지 당국은 2035년 1호기 시운전을 목표로 퐁트누프 원전 사업에 속도를 낸다. PGE는 8일(현지시간) 제팍과 폴란드 퐁트누프 원전 사업을 이끌 특수목적기구(SPV) 설립에 대한 사전 합의(Preliminary agreement)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SPV는 환경영향평가와 자금 조달, 세부 일정표 작성, 인허가 등 퐁트누프 원전 사업의 전 단계에서 폴란드 측을 대표한다. PGE와 제팍이 절반씩 지분을 보유한다. SPV의 이사회 의장은 PGE가 지명한 이사회 구성원에서, 감독이사회 의장은 제팍이 뽑은 감독이사회 구성원 중 선출된다. SPV를 만들려면 폴란드 경쟁·소비자 보호청(UOKiK)의 허가가 필요하다. 표트르 보즈니 제팍 사장은 "신청서를 즉시 제출하고 가능한 빨리 환경·현장 조사, 타당성 조사를 시작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PGE와 제팍이 합작사 설립에 나서며 한수원의 폴란드 진출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한수원은 PGE, 제팍과 지난해 10월 퐁트누프 지역에 신규 원전 건설을 전제로 한 협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Xe-100 원자로 관리를 위한 컨트롤타워를 건설한다. 글로벌 SMR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루마니아 정부가 일본과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 미국 뉴스케일파워가 주도하는 SMR 사업에 시공 역량이 우수한 일본 기업들의 참여가 전망된다. 클라우스 요하니스 루마니아 대통령은 지난 7일(현지시간)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 직후 "오늘 서명된 문서는 원전을 포함한 혁신적인 에너지 프로젝트에 일본의 참여를 촉구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미국과 SMR 건설을 비롯해 그린수소, 풍력 등과 같은 프로젝트에 대해 이야기해왔다"고 부연했다. 양국은 이날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을 위한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인프라와 에너지, 지진학,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포괄적으로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SMR도 양국이 협력을 모색하는 분야 중 하나다. 루마니아 원자력공사(S.N. Nuclearelectrica S.A.)는 작년 5월 현지 민간 전력 회사인 누바파워·가스(Nova Power & Gas), 뉴스케일파워와 루마니아 최초 SMR 건설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이어 올해 초 상세설계 전 단계인 엔지니어링 용역에 착수하고 2026년 착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도이세슈티(Doicest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웨스팅하우스가 체코 파트너사들과 신규 원전 사업의 협력 의지를 다졌다. 체코 업체들의 참여 비중을 높이고 폴란드를 비롯해 해외 시장에 동반 진출하기로 약속하며 두코바니 원전 수주를 위한 홍보에 공격적으로 나섰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글로벌 화학기업 다우(Dow)와 손잡고 북미 지역 최초 공업지대 내 SMR 개발을 추진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UAMPS의 회원들이 뉴스케일파워 주도의 현지 최초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에 압도적인 지지를 보냈다. 사업비 상승 우려에도 불구하고 소형 원전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SMR 건설이 탄력을 받게 됐다. 뉴스케일파워의 파트너인 두산에너빌리티와 삼성물산, GS에너지의 동반 진출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더구루=김예지 기자] 에어버스(Airbus)와 캐세이퍼시픽항공(Cathay Group, 이하 캐세이 그룹)이 지속가능항공연료(SAF) 산업 육성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양사는 아시아 및 전 세계 SAF 생산 확대를 위한 공동 투자에 나서며, 항공 산업의 탈탄소 전환 가속화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구글과 대규모 컴퓨팅 인프라 도입 논의를 시작했다. 추가 자금을 확보한 앤트로픽이 본격적으로 대규모 AI 인프라 확보에 나서는 모양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