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가 웹3 게임회사 '일루비움(Illuvium)'과 손잡고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에 나선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웹3 TV에서 일루비움의 대체불가토큰(NFT)를 지원한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웹3 TV에서는 일루비움 생태계 내 3개 게임에서 구현된 아이템, 캐릭터, 슈트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일루비움은 블록체인 게임 개발사로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오버월드, 아레나, 제로 등 3종의 게임을 개발했다. 일루비움은 파트너십이 삼성전자의 세계 최고의 기술력과 자신들의 세계관을 결합해 가상과 현실을 더욱 긴밀하게 조화시킬 것이라 전했다. 삼성전자와 일루비움은 오는 21일(현지시간) 개최되는 세계 최대 게임쇼 '게임스컴 2024'에서 상세한 파트너십 내용에 대해 공개하기로 했다. 삼성전자는 게임스컴 부스 내에 일루비움의 3개의 게임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도 조성한다. 또한 참가자들에게 일루비움, 폴리곤 랩스, 월드 오브 우먼, 레저, 벨베데레 박물관과 함께 출시한 제너레이터 NFT(GEN3RATOR NFT)를 획득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된다. 제너레이터 NFT와 삼성 젠3 칩 NFT를 모두 보유한 이용자는 파트너 프로젝트
◇디랩스 디랩스 게임즈는 차기작 우주 난민 서바이벌 역할수행게임(RPG) '스페이스 프론티어(Space Frontier)'의 게임 플레이 영상을 공식 엑스(X, 옛 트위터) 채널을 통해 공개했다. 웹3 게임 스페이스 프론티어는는 우주를 배경으로 이용자는 자신만의 행성을 개발하고 침입자와 전투를 벌이는 등 인류의 생존자로 살아남는 것이 목적인 웹3 PC 기반의 '우주 난민 서바이벌 게임'이다. 이번에 공개된 영상에서는 스페이스 프론티어의 개발을 총괄하는 조용태 PD가 출연해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아이템·채집과 전투 그리고 멀티플레이 모드 중 하나인 디펜스 모드를 직접 플레이하며 다양한 게임요소들을 상세히 소개했다. 특히 지난 비공개 테스트 이후 최초 공개된 상점과 신규 추가된 디펜스 모드 그리고 대폭 늘어난 크래프팅 아이템 및 채집 요소 등이 눈길을 끌었다. 조용태 PD는 "개발팀 전원이 웹3라는 미지의 영역을 개척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열심히 만들고 있다"며 "커뮤니티가 원하는 게임을 만들기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갈라뮤직 블록체인 엔터테인먼트 기업 '갈라(Gala)'의 음악 플랫폼 '갈라뮤직'이 텔레그램 미니 앱 '뮤직 마이너(Music Miner)
[더구루=홍성일 기자] 유럽 가상자산 거래소 비트스탬프(Bitstamp)가 금융 인프라 플랫폼 스트라이프(Stripe)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비트스탬프는 스트라이프 기술을 활용해 유럽연합(EU) 시장 공략을 확대한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비트스탬프는 최근 스트라이프와 파트너십을 맺고 협력관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파트너십에 따라 비트스탬프는 EU 국가에서 스트라이프의 법정화폐-암호화폐 온램프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스트라이프 온램프 솔루션은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이나 웹사이트에 직접 삽입할 수 있는 맞춤형 위젯 서비스로 이용자에게 암호화폐 거래에 최적화된 결제 환경을 제공한다. 암호화폐 거래에 최적화된 결제 환경을 제공하는 만큼 법정화폐로 손쉽게 암호화폐를 구매할 수 있다. 스트라이프 온램프 솔루션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솔라나, 스텔라, USD 코인 등 다양한 암호화폐를 지원한다. 비트스탬프는 로빈후드 인수 결정 이후 생태계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스트라이프 파트너십과 함께 웹3 금융 플랫폼 기업 크립토스(Kryptos)와도 손잡기도 했다. 장 밥티스트 그라프티오 비트스탬프 최고경영자(CEO)는 "결제 분야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
[더구루=홍성일 기자] 넥슨의 지주사 NXC 산하 가상자산 거래소 비트스탬프(Bitstamp)가 웹3 금융 플랫폼 기업 크립토스(Kryptos)와 손잡았다. 비트스탬프는 크립토스와 웹3 금융 생태계 확장에 나선다. 크립토스는 비트스탬프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에 따라 비트스탬프에서 크립토스 플랫폼으로 연결되는 원클릭 연결 기능이 구현된다. 비트스탬프와 손잡은 크립토스는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표준화된 재무 데이터 프로토콜 레이어를 구축하고 있다. 크립토스는 웹3 오픈 뱅킹 표준을 만들어 개발자, 기업, 이용자들이 웹3 금융에 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고 있다. 현재 크립토스는 5000개 이상의 웹3 플랫폼에 대한 금융, 규제 준수 프로토콜을 제공하고 있다. 크립토스는 이번 파트너십에 대해서 비트스탬프 이용자가 디지털 자산을 관리하고 크립토스의 웹3 금융 툴에 접근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비트스탬프 이용자들이 암호화폐와 관련된 규제 준수와 관련해 향상된 기능을 제공받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비트스탬프 이용자들은 프리미엄 기능, 분석 툴을 포함한 크립토스 서비스를 독점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디랩스 웹3 게임 개발사 디랩스 게임즈는 자사의 웹3 게임 럼블 레이싱 스타(Rumble Racing Star)가 댑레이더(DappRadar)기준 아비트럼 게임 카테고리 1위를 달성 했다고 밝혔다. 지난 2월 글로벌 시장에 선보인 럼블 레이싱 스타는 출시 이후 6개월 만에 총 240만 레이스를 달성했으며 아비트럼 네트워크 이전 후 총 268만 건의 트랜잭션을 발생시켰다. 또한 YGG·픽셀버스·잠보·자이 등 다양한 웹3 파트너사와 함께하는 제휴 이벤트를 진행 웹3 이용자들에게 풍성한 혜택을 제공했다. 디랩스는 지난 7일 16일 종료된 레이스 포 리치스 이벤트를 통해 상위권에 랭크된 총 100명의 이용자에게 상금을 지급하는 등 적극적으로 이용자 유치에 나서고 있다. 한편 럼블 레이싱 스타는 잔디 깎는 기계인 론모어(Lawnmower)를 이용해 전 세계 플레이어들과 경쟁하는 멀티플레이어 레이싱 게임으로, 모바일 버전의 경우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이용자 인터페이스(UI)와 다이나믹한 트랙 및 카트 등 럼블 레이싱 스타의 독특한 재미를 경험할 수 있다. ◇갈라필름 갈라필름이 자사 플랫폼에서 상영 중인 시리즈 '레이저(RZR)' 출연 배우 미나 수바리(Mena Suva
◇갈라 블록체인 기반 엔터테인먼트 기업 갈라(Gala)가 갈라체인(GalaChain)에 체인코드를 메인넷에 적용하기 전 배포, 테스트 및 개선을 할 수 있는 공식 테스트넷을 출시했다. 갈라체인은 2024년 초 SDK(개발자 키트)와 '갈라 크리에이터 포털'의 출시로 외부 개발자들에게 개방된 바 있다. SDK를 통해 개발자들은 갈라체인의 하이퍼레저 프레임워크에서 토큰을 생성하거나 배포하고 복잡한 스마트 계약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용 노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다. 갈라체인 테스트넷은 SDK를 활용한 작업을 메인넷이 아닌 곳에서 미리 배포, 테스트를 진행해 더 용이한 개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주요 기능으로는 메인넷과의 원활한 통합과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는 '도커 컨테이너 배포', 포괄적인 API 접근 기능, 체인코드의 간편한 재배포, 승인 및 검증 등이 있다. 갈라체인 관계자는 "진정한 오픈 소스 블록체인으로 발전하는 것은 산업군에 관계없이 사용자에게 웹3 기술을 누릴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며 "많은 개발자들이 갈라체인에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캐리버스 캐리버스와 월트디즈니 컴퍼니 코
[더구루=홍성일 기자] 넥슨 지주사 NXC 산하 가상자산거래소 비트스탬프가 2014년 파산한 마운트곡스 상환 프로세스에 앞서 테스트에 나섰다. 마운트곡스의 10년만의 상환에 비트코인 시세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마운트곡스 트러스티(Mt. Gox Trustee)는 비트스탬프 내 4개 월렛에 1달러씩 입금했다. 이 사실을 처음 전한 블록체인 플랫폼 기업 '아캄 인텔리전스(Arkham Intelligence)'는 "이번 거래는 테스트 거래일 가능성이 높다"며 "비트스탬프는 마운트곡스 상환에 협력하는 5개 수탁 기관 중 한 곳"이라고 설명했다. 마운트곡스 트러스티는 테스트 이후 5000 비트코인을 비트스탬프로 이전했다. 마운트곡스는 일본의 암호화폐 거래소로 한 때 글로벌 비트코인 거래의 75%를 담당했던 곳이다. 하지만 2014년 2월 고객들이 맡겨둔 비트코인 75만개, 마운트곡스가 보유하고 있던 비트코인 10만 개 등 최대 95만개 비트코인이 해킹으로 도난당하며 파산 신청을 했다. 이로인해 마운트곡스에는 14만 여개의 비트코인이 묶여, 고객들에게 돌아가지 못하고 있었다. 이번에 마운트곡스 트러스티가 상환하려고 하는 비트코인은 10년
◇슈퍼워크 프로그라운드가 리워드형 웹3.0 헬스케어 플랫폼 '슈퍼워크' 서비스 2주년을 맞아 주요 성과를 공개하고 신규 콘텐츠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블록체인 기반 M2E(Move To Earn, 돈 버는 운동)서비스인 슈퍼워크는 지난 2년간 국내를 포함한 일본, 베트남, 미국 등 20개국에서 누적 35만명의 이용자를 확보했다. 대체불가토큰(NFT) 신발이 필요한 프로 모드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도 올해 6월 기준 전년 대비 약 2.5배 가량 증가했다. 현재 슈퍼워크는 월간 재사용률 90%에 달하는 NFT 이용자들을 주축으로 성장세를 거듭하고 있다. 지금까지 NFT 신발의 누적 거래액은 300억원을 돌파했으며 총 발행량은 약 27만개에 달한다. 최근 1년 내 가장 비싸게 판매된 NFT 신발은 약 5000만원대에 육박한다. 슈퍼워크 이용자들이 그동안 운동한 거리를 합산하면 총 2389만km로 이는 지구 둘레(4만75km)의 596바퀴, 지구에서 달까지 31번 왕복한 거리와 같다. 총 운동 시간 역시 2억8064분으로 햇수로 환산하면 533년에 달하는 수치다. 2022년 정식 출시된 슈퍼워크는 앱에서 걷기, 조깅, 달리기 등 원하는 운동 형태에 맞는 NF
◇업루트컴퍼니 디지털 자산 적립식 투자 솔루션 '비트세이빙'을 운영하는 업루트컴퍼니와 디지털 자산 중개 플랫폼 '바우맨(BOWMAN)'을 제공하는 해피블록이 디지털 자산 및 블록체인 비즈니스에 대한 공동연구개발 및 상호협력 파트너십 체결했다. 업루트컴퍼니의 비트세이빙은 블록체인 온체인 데이터 분석을 통해 시장의 과열, 기회 구간을 분석해내고 적립식 투자 금액을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스마트 저금통'을 서비스하고 있다. 해피블록의 바우맨은 국내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 인증을 획득했으며 국내외 10여 개 거래소의 거래 및 자산관리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콜드월렛 및 MPC(multi-party computation, 다자간 계산)를 기반으로 15개 이상의 블록체인을 지원 중에 있다. 업루트컴퍼니는 파트너십에 따라 해피블록의 바우만에 '스마트 저금통' 등 라이브 운영하며 검증한 디지털 자산 포트폴리오를 공급할 예정이다. 업루트컴퍼니 이장우 대표는 "디지털 자산 중개, 보관 분야를 리드하는 해피블록과 MOU를 맺게 돼 기쁘다"며 "상호 협력을 통해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고객들이 원하는 더 큰 가치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더샌드박스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더구루=정등용 기자] 암호화폐 전문매체 와처구루(Watcher.Guru)가 암호화폐 투자자를 부자로 만들 수 있는 3가지 코인을 선정·공개했다. 13일 와처구루에 따르면 도지코인과 페페, 플로키 이누가 이번 3가지 코인에 이름을 올렸다. 도지코인은 세계에서 가장 유망한 암호화폐 중 하나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승인했으며, 커뮤니티 애호가들이 열광할 만한 팬층을 자랑한다. 코인코덱스에 따르면 도지코인은 가격 상승 속도를 회복하기 전에 추가 하락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와처구루는 도지코인 가격이 1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했다. 와처구루는 “도지코인 가격은 내달 7일까지 13.82% 하락해 0.085723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도지코인 예측 알고리즘에 따르면 오는 2028년 10월에 도지코인이 1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페페는 최근 암호화폐 시장을 휩쓸고 있는 또 다른 주요 밈 코인이다. 이 토큰은 인터넷에서 유명한 청개구리 밈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현재 시장 모멘텀을 활용해 새로운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 토큰은 앞서 GME(게임스탑) 주식 시장 상승을 활용해 높은 수익을 제공한 바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블록체인 전문 투자사 해시드의 자회사인 샤드랩(ShardLab)이 실생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결제 애플리케이션(앱)을 출시했다. 샤드랩은 블록체인 기술이 일상생활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사업을 확장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샤드랩은 9일(현지시간) 계정추상화(account abstraction, AA), 영지식(zero-knowledge, zk) 기술을 기반으로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했다. 샤드랩은 해당 앱으로 분산형 ID(DiD)을 활용할 수 있으며 실생활에서 바우처를 원활하게 배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샤드랩이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한 계정추상화 기술은 블록체인 결제 시스템 도입에 핵심 기술로 뽑히고 있다. 이더리움 계정에는 EOA(Externally Owned Accounts)와 CA(Contract Accounts) 등 2가지 방식이 있다. EOA는 개인 키로 제어되는 계정으로 유명 핫월렛에 보유한 계정이 대표적이다. EOA는 쉽고 저렴하고 빠르게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서명해 자금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하지만 개인키 하나에 의존한 방식으로 도난, 분실 위험을 안고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프로그래
[더구루=홍성일 기자] 블록체인 전문투자사 해시드의 지원을 받은 전자상거래 자동화 네트워크 홀리데이(Halliday)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전자상거래 구축 솔루션을 출시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홀리데이는 지난 8일(현지시간) 전자상거래 구축에 특화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출시했다. 홀리데이는 해시드, 안드레센 호로위츠의 투자를 받았으며 26개 이상의 파트너십을 확보하고 있다. 홀리데이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 시스템의 채택을 막고 있는 복잡한 사용자 경험, 기술적 격차를 해소한다는 목표로 개발됐다. 실제로 현재의 웹2 환경에 익숙한 이용자들은 웹3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복잡한 유저 인터페이스(UI)에 접근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할리데이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 전반을 자동화 하고 체인간 기술 차이와 관계없이 통합 인터페이스 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지분 증명 프로토콜도 도입했다. 할리데이는 자사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기업들이 수천 시간의 엔지니어링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용자들도 웹2 환경과 같은 원클릭 결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할리데이 관계자는 "현재 블록체인
[더구루=홍성일 기자] PCI 익스프레스(PCIe) 기능이 없는 USB3 표준으로 AMD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작동할 수 있는 기술이 공개됐다. 새로운 GPU 연결 기술은 윈도우와 리눅스 뿐 아니라 애플 실리콘 컴퓨터에서도 사용이 가능해, AMD GPU의 활용성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AMD 그래픽처리장치(GPU) 소프트웨어 개발기업 타이니 코프(Tiny Corp)는 USB3 표준으로 AMD 외장 GPU를 작동시키는데 성공했다. 타이니 코프는 17세에 아이폰을 해킹한 천재 해커 조지 호츠(George Hotz)가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조지 호츠는 AMD가 좋은 칩을 생산하고 있지만 소프트웨어 지원이 부실해 시장의 선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타이니 코프를 설립했다. 타이니 호프는 현재 AMD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타이니 코프가 USB3 표준을 기반으로 한 GPU 연결 기술을 개발한 이유는 애플 실리콘 기반 맥(Mac) PC에 AMD GPU를 연결시키기 위해서다. 기본적으로 외장 GPU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PCle 슬롯이나 PCle 터널링을 지원하는 썬더볼트/USB4 인터페이스를 이용
[더구루=홍성일 기자] 말레이시아의 월간 그래픽처리장치(GPU) 수입 규모가 역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국 정부가 대중국 반도체 제재를 강화한 가운데 말레이시아가 'GPU 밀수 우회로'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말레이시아 정부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4월 말레이시아 GPU 수입규모가 27억4000만 달러(약 3조8680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급 기록을 세운 3월(19억6000만 달러, 약 2조7650억원) 결과를 뛰어넘은 것이다. 말레이시아의 GPU 수입 규모는 올해 들어 급증하기 시작했다. 1월 11억2000만 달러(약 1조5825억원)를 수입하며 전년동기 대비 700% 가량 증가한 것. 올해 수입량이 급증하면서 연간 누적 수입 규모도 단 4개월만에 지난해 수치를 뛰어넘었다. 말레이시아의 지난해 GPU 수입액은 48억7700만 달러(약 6조8940억원)이었으며,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누적 수입액은 64억5000만 달러(약 9조1164억원)를 기록했다. 기업별로는 엔비디아 GPU가 가장 많이 수입됐다. 말레이시아는 올해 2월부터 4월까지 엔비디아 GPU를 53억3000만 달러(약 7조5371억원)어치 수입했다. 이 기간 엔비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