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오뚜기가 미국을 교두보로 삼아 중남미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중남미 시장 영업을 담당할 인력 채용에 나서며 현지 사업 경쟁력 제고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오는 2028년 글로벌 매출 1조원 달성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19일 미국 채용정보사이트 잡코리아USA(JobKoreaUSA)에 따르면 오뚜기 미국 법인 오뚜기 아메리카는 중남미 담당 영업 매니저(Sales Manager) 채용에 착수했다. 중남미 담당 영업 매니저는 △중남미 시장 침투율 제고 △신규 유통 네트워크 구축 △소비자 관계 강화 △시장 모니터링 △프로모션 계획 수립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자리다. 대학 학사 학위를 소유하고 있으며, 영업 분야에서 2년 이상의 경력을 갖춘 경우 지원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한국어, 스페인어, 영어 등 다중 언어 구사능력이 있는 지원자를 우대한다. 오뚜기 아메리카는 이밖에도 미국 영업 매니저, 사무직 직원, 창고 관리 담당자 등을 채용하고 있다. 이번 인력 모집을 통해 채용된 이들은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주, 동부 뉴저지주 등에서 근무하게 된다. 오뚜기 아메리카 입사를 희망하는 사람은 이메일을 통해 입사지원서,
[더구루=김형수 기자] 롯데칠성음료가 필리핀 음료 사업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필리핀 자회사 펩시 필리핀(이하 PCPPI)이 호주 엔터테인먼트기업 타임존(Timezone)이 운영하는 현지 매장에 다양한 음료를 공급한다. 기존 고객사 계약 연장, 신규 고객사 확보를 통해 현지 시장 장악력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타임존은 18일 PCPPI와 △펩시(Pepsi) △게토레이(Gatorade) △마운틴듀(Mountain Dew) 등 음료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다만 이번 계약 기간, 계약금 등과 관련된 세부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타임존은 지난 1978년 호주 서부 중심도시 퍼스(Perth)에서 설립된 기업이다. 지난 1998년 필리핀에 진출해 현지 사업을 본격화했다. 범퍼카, VR게임 등을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시설을 운영하는 사업을 현지에서 영위하고 있다. 필리핀 마닐라, 세부 등의 도시를 중심으로 50개 지점을 보유하고 있다. PCPPI는 필리핀에서 사업을 전개하는 여러 업체들과의 협력 관계를 구축하며 현지 시장 내 입지를 확대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지난 5월 현지 외식업체 맥스그룹(Max’s Group)과 음료 공급 계약을 갱신
[더구루=김형수 기자] 일본 롯데가 현지 주류기업 아사히와 손잡고 과자 생산 중 나온 부산물로 생산한 업사이클링 맥주를 출시한다. 식품 폐기물 감축을 통해 ESG 경영을 선도한다는 방침이다. 일본 아사히그룹 산하 아사히유우아스(アサヒユウアス)는 17일 일본 롯데와 협력해 개발한 업사이클링 맥주 '토포 크래프트 브루'(Toppo CRAFT BREW)를 이달 말 론칭한다고 밝혔다. 아사히유우아스는 아사히그룹이 지난 2022년 지속가능 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설립했다. 오는 30일 일본 지바현 소재 ZOZO 마린스타디움에 입점한 '롯데 오카시 스타디움'(LOTTE OKASHI STADIUM), 다음달 4일 도쿄에 있는 쇼핑몰 마루이 기타센주점(ルイ北千住店)에 있는 '비어업!기타센주'(BEER UP!KITA-SENJU) 매장을 통해 토포 크래프트 브루를 한정 판매한다는 계획이다. 토포 크래프트 브루는 일본 롯데의 스틱형 초콜릿 과자 토포(Toppo) 생산 과정에서 나온 깨지거나 잘려 상품화하기 어려운 프레첼 조각을 활용해 제조된다. 맥아 대신 프레첼을 맥주 원료로 사용하는 것이다. 토포 크래프트 브루 제조에 들어가는 전체 원료 가운데 약 30%를 프레첼 조각이 차지한
[더구루=이연춘 기자] 오리온, 해태, SPC 등 K간식 대표 식품기업이 대한항공의 기내 간식 공급 계약을 따냈다. 대한항공 장거리 노선 이코노미석에 제공되던 컵라면 자리를 꿰찼다. 이들 식품기업은 K간식 대표주자로서의 홍보에 톡톡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지난 15일부터 비행기에서 제공하는 스낵으로 새로 선정했다. 오리온의 ▲다이제 비스킷 ▲카스타드 ▲예감 감자칩 등을 기내 서비스를 통해 제품을 선보인다. 해태제과의 포키, 파리바게뜨의 샌드위치도 포함됐다. 앞서 대한항공은 라면 서비스를 없애는 대신 다양한 간식을 제공한다고 밝한 바 있다. 기상으로 인해 기체가 요동치는 난기류 상황에 따른 화상 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해 라면 서비스를 중단했다. 대한항공은 간식 메뉴 개편으로 고객 만족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다만 라면처럼 승객이 요구하면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항공은 기내 셀프 스낵 바를 운영해 승객이 원하는 시간에 자유롭게 간식을 먹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이제'은 오리온의 대표 비스킷 제품으로 통한다. 소프트 케이크 브랜드 '카스타드'는 글로벌 합산 매출액이 1000억원을 돌파하는 효자 상품이다. 감자함유량
[더구루=이연춘 기자] 남양유업이 클린컴퍼니 도약을 위해 ‘준법∙윤리 경영 강화’를 골자로 한 고강도 쇄신안을 내놨다. 과거 경영 체제의 잘못된 관행을 단절하고, 투명하고 윤리적인 경영을 통해 주주와 소비자로부터 신뢰를 회복하기 위함이다. 16일 남양유업에 따르면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선진 시스템을 도입한다. ▲재무∙회계 분야 불법 이슈를 예방하기 위한 오디트 서비스(Audit Service) ▲회사 자금 관리 강화 및 자금 사고 예방을 위한 임직원 규칙(Financial Management Internal Control Rule Book) ▲회사 보안 강화 및 정보 자산 보호를 위한 임직원 규칙(Security Management Internal Control Rule Book) 등이다. 이를 통해 회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최소화하고 사전 예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 자율적 내부통제가 정착되도록 할 방침이다. 또한 체계적인 내부통제를 위한 기준인 ‘준법통제기준’을 제정, 이를 바탕으로 상시 모니터링을 통해 이상 거래나 부적절한 행위를 탐지하며 컴플라이언스를 강화할 계획이다. 임직원 및 이해관계자가 상시 상담하고 위반 사항을 제보할 수 있는 윤리경영
[더구루=한아름 기자] 하이트진로가 영국 음악 축제 '올포인츠이스트 페스티벌'(AllPointsEast Festival)을 통해 현지 소비자와의 접점에 박차를 가한다. 하이트진로가 올포인츠이스트 페스티벌에 후원한 지 올해로 3년째다. 영국을 거점으로 삼아 유럽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하고 K소주의 세계화를 이끌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15일 올포인츠이스트 페스티벌에 따르면 하이트진로가 오는 16일부터 10일간 영국 런던 빅토리아 파크(Victoria Park)에서 진행되는 음악 축제에 공식 후원사로 참여한다. 올포인츠이스트 페스티벌은 공연주최사 AEG프레젠트(AEG Presents)가 매년 영국 런던에서 진행하는 뮤직 페스티벌이다. 지난해에만 40여만명의 관람객이 현장을 찾았다. 진로 홍보 부스에서 열린 미니게임 행사에는 1만1000여명이 참가했으며 진로 1만7000여잔이 팔렸다. 이에 따라 하이트진로는 올해에도 브랜드 노출 효과를 톡톡히 누릴 것으로 전망된다. 진로는 이번 페스티벌에서 홍보부스를 열고 진로 등 소주 라인업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어 관람객 흥미를 끌기 위해 △시음회 이벤트 △포토존 △미니게임 경품 행사 등도 진행한다. 또한 올포인츠
[더구루=한아름 기자] 미국 프로레슬러 겸 할리우드 배우 '더 락' 드웨인 존슨(Dwayne Johnson)의 데킬라 브랜드 '테레마나'(Teremana)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진출한다. 호주 시드니 공항 내 독일 하이네만(Heinemann) 면세점에 고객 접점을 마련했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 미국 파트너사 이탈리아 커피업체 라바짜(Lavazza)가 북미 시장 공략에 드라이브를 건다. 미국 오피스카페, 홈카페를 겨냥한 투트랙 성장 전략을 추진하며 현지 사업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오리온이 베트남에 출시한 마이구미(현지명 붐젤리·Boom Jelly)가 현지 젤리 시장에서 부동의 1위 자리를 지키며'젤리=오리온'이라는 공식을 만들어냈다. 혁신적 기술력을 토대로 고품질 제품을 선보인 것이 성과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오리온은 현지화 전략을 펼치며 마이구미를 '제2의 초코파이'로 육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오리온 마이구미는 베트남 젤리 시장 1위다. 지난해 3월 글로벌 젤리 브랜드 하리보를 제치고 베트남 시장 2위에 오른 지 1년 만에 정상에 올라섰다. 오리온이 베트남의 무더운 날씨에도 맛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제조기술을 적용해 생산한 마이구미를 선보이고 있는 것이 성공 요인으로 꼽힌다. 엄마가 자녀에게 안심하고 먹일 수 있는 젤리 브랜드라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마이구미를 찾는 현지 소비자들의 수요가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오리온은 베트남 소비자들의 입맛을 고려해 개발한 현지화 마이구미 제품을 론칭하며 포트폴리오를 강화하는 데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2022년 베트남 사람들이 즐겨먹는 칠리소트를 활용해 개발·출시한 마이구미 그린망고 칠리솔트맛이 흥행 돌풍을 일으키는 등 성과도 거두고 있
[더구루=한아름 기자] 라면이 건강을 위협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라면에는 나트륨(소금) 함량이 높아 심장마비·뇌졸중 등 만성질환의 위험을 높인다고 주의를 요구했다. 글로벌에 K라면 로드를 전파 중인 국내 기업이 타격을 입을지 우려가 커진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음료기업 펩시코(Pepsico) 산하 제과업체 프리토레이(Frito-Lay)가 감자칩 신제품 레이즈 허니버터(Lay's Honey Butter)를 내세운 이벤트를 펼치며 현지 고객몰이에 나섰다. 레이즈 허니버터 마케팅을 강화하고 늘어나는 현지 K과자 수요를 선점하기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더구루=이연춘 기자] CJ푸드빌의 뚜레쥬르가 싱가포르 진출을 통해 동남아 시장에서 프리미엄 베이커리 브랜드 입지를 강화한다. 뚜레쥬르는 싱가포르 현지 기업인 ‘로열 티 그룹(Royal T Group)’과 마스터 프랜차이즈(MF) 계약 체결 및 연내 1호점 오픈을 추진하고 향후 주요 입지로 출점을 확산한다고 12일 밝혔다. 이에 따라 뚜레쥬르는 진출 국가를 확장하며 해외 총 8개국에서 K-베이커리 대표 브랜드로서의 위상을 알리게 됐다. 싱가포르는 1인당 GDP가 약 9만 달러로 아시아 1위에 달하는 경제대국이다. 소득 수준이 높고 외식 문화가 발달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 핵심 거점 시장이자 전략적으로 중요한 국가다. 다문화 국가 특성상 음식 문화의 스펙트럼이 넓고 다양하며 다양한 문화권의 요리가 공존하는 미식의 중심지이기 때문이다. CJ푸드빌은 현지 시장에서 우수한 외식 사업 역량과 탄탄한 인프라를 보유한 파트너사와의 협업을 통해 싱가포르 시장에 안정적으로 안착하는데 집중할 예정이다. 뚜레쥬르의 MF파트너사인 ‘로열 티 그룹’은 다양한 F&B 브랜드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싱가포르 기반의 외식 전문 기업이다. 싱가포르를 포함한 동남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엑스박스(Xbox)가 에이수스(ASUS)와 협력해 새로운 휴대용 콘솔을 내놓으면서 하드웨어 전략이 변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등장했다. MS는 자체 콘솔도 개발하고 있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일각에서는 전략 자체가 잘못됐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