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제철의 제품 브랜드 '에이치코어(이하 H CORE)'가 프리미엄 건설용 강재로 한 단계 발돋움했다. 현대제철은 새롭게 선보이는 H CORE는 토목, 건축, 플랜트 등 건설 전 분야의 공정에 적용할 수 있도록 후판, 강관, 열연 강판, 냉연 강판 등으로까지 범위를 확대했다고 30일 밝혔다. 기존 H CORE는 철근, 형강 등 내진 설계에 적용 가능한 일부 건설 강재에만 한정됐다. 새로운 H CORE는 △용접성 △내식성 △내충격성 △고연성 △친환경성 등 특정한 내부 기준에 따라 일반 제품 대비 우수한 제품에만 선별적으로 적용해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할 예정이다. 현대제철은 H CORE가 안전을 바탕으로 가장 안심하고 선택할 수 있는 최고급 강재라는 의미에서 '안전을 심은 철, 안심 H CORE'라는 슬로건을 전면에 내세웠다. 또 H CORE의 기본을 지킨다는 제품의 이미지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최종 사용자인 일반 국민뿐 아니라 설계, 제작, 시공 등 건설 전 분야에 종사하는 고객들이 공감할 수 있는 다양한 콘셉트로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할 예정이다. 브랜드 홈페이지를 통해서는 H CORE 브랜드가 적용되는 제품의 상세 정보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해양이 3조8000억원 규모의 브라질발 해양플랜트 수주 고배를 또 마셨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은 브라질 국영 석유업체 페트로브라스의 P-83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에 대한 상업 입찰 수주에 실패했다. 싱가포르 케펠 O&M 자회사 케펠 조선소가 38억 싱가포르 달러(약 3조8000억원)의 P-83 FPSO 엔지니어링·조달·건설(EPC) 일감을 확보했다. P-78, P-80 이어 P-83까지 세번째 수주다. P-83 FPSO는 2027년 상반기 인도 예정이다. <본보 2022년 8월 17일 한국조선해양·대우조선, '3.8조' 브라질발 해양플랜트 수주 고배> 케펠은 "P-80에서 얻은 시너지 효과를 기반으로 P-83 EPC를 수주했다"며 "탑사이드 모듈의 제작은 싱가포르, 중국, 브라질에 있는 케펠 O&M 시설에서 제조되며, 선체와 수용 모듈의 건설은 중국의 CIMC 라펠(Raffles)가 수행한다. FPSO가 부지오스 필드에 도착하면 케펠 O&M 수행하는 해양 시운전 작업의 마지막 단계와 함께 개별 구성 요소의 통합이 싱가포르에서 수행된다. P-8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후동중화조선이 2조원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7척을 신규 수주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카타르에너지(옛 카타르페트롤리엄)가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를 위해 중국 후동중화조선에 사전 예약된 7개의 LNG 운반선 선석을 확정한다. 선박 건조와 정기 용선 계약은 내달 말 완료될 예정이다. 선가는 척당 2900억원 수준으로 총 2조원으로 추정된다. 인도는 2026년으로 연기된다. 선주사는 일본 선주 NYK 라인으로 예상된다. 카타르에너지는 LNG 프로젝트를 위해 일본 3대 선주인 MOL과 NYK 라인, K라인 등과 협력한다. 일본이 과거 LNG 운반선을 위해 카타르와 긴밀히 협력했고, 과거 중동 걸프 국가 기초 구매자라 입찰 경쟁에 참여했다. 카타르에너지는 대우조선에 발주한 6척 주문과 후동중화 추가 7척을 통해 대규모 LNG 신규 건조 프로그램의 1단계를 완료할 예정이다. 카타르는 슬롯 150여 개를 예약한 상태이다. 국내 조선 3사에서 45척씩, 후동중화에서 16척을 건조하기로 했다. <본보 2021년 6월 30일 참고 카타르, 'LNG선 45척' 선주 입찰 내달 마감...연내 발주 시동> 그러다 카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가 수소환원제철기술 개발, 재생에너지 확대, 탄소포집(CCS) 등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탄소중립 방안을 실행한다. 포스코는 자동차 고객사들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제조사들의 저탄소 제품 공급 요구를 맞추기 위해 이산화탄소(CO2) 배출 원단위 저감, RE100(Renewable Enegy 100%) 인증 제품 생산 등 다양한 방식의 탄소중립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특히 포스코는 저탄소 철강제품 만드는 브릿지(Bridge) 기술을 적용한다. 저탄소 친환경 제철 프로세스를 위해서다. 브릿지 기술은 철강제품 생산시 이산화탄소(CO2)가 배출되는 이유는 철광석(Fe2O3)을 철(Fe)로 환원시킬 때 석탄,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가 쓰이기 때문에 필요하다. 철강제품 생산시 이산화탄소(CO2) 배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환원제가 필요하며, 글로벌 철강사들은 수소를 환원제로 사용하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포스코도 파이넥스(FINEX) 유동환원로 기술을 기반으로 가루 상태의 철광석과 수소를 사용하여 쇳물을 제조하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인 HyREX (Hydr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그리스 선주사로부터 카타르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척을 수주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그리스 TMS카디프가스(TMS Cardiff Gas)로부터 5955억원 규모의 LNG 운반선 2척의 건조 일감을 확보했다. 척당 2억1190만 달러의 가치를 지녔다. 신조선은 선주사에 2026년 3분기까지 인도될 예정이다. 대우조선의 카타르발 수주는 공시로도 알려졌다. 앞서 대우조선은 오세아니아 지역 선주로부터 LNG 운반선 2척을 5959억원에 수주했다고 공시했다. 그리스 TMS카디프가스 신조 발주는 예고된 일이다. 카타르에너지는 대우조선에 발주할 신조선 8척을 용선할 선주사 3곳을 선정했다. 선정된 선사는 말레이시아의 선주 MISC, 일본의 메이지 해운, 그리고 그리스 TMS카디프가스이다. <본보 2022년 9월 14일 참고 대우조선, 카타르발 LNG선 8척 수주…일주일새 4.3조원 일감 확보> 대우조선은 이번 TMS카디프가스 수주 물량을 제외하고 카타르발 1차 수주 물량이 6척 남은 것으로 알려졌다. 카타르는 거대한 신조선 프로그램 1단계를 한국 조선소에서 완료할 예정이다. 한국
[더구루=길소연 기자] 핀란드 선주 메리아우라가 암모니아 연료 선박 건조 경쟁에 뛰어든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미포조선의 베트남 자회사인 현대베트남조선(HVS)이 건조한 700t 크레인을 가동한다. 베트남 조선소 생산을 확대하고 향후 조선 사업을 대규모로 발전시킨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베트남조선은 지난 22일(현지시간) 칸호아성 닝화현 닌푸억 코뮌 마이장 마을에서 700t 골리앗 크레인을 가동했다. 700t 크레인은 3200만 달러를 투자한 대규모 프로젝트로 현재 공장의 연간 최대 20척의 선박의 품질, 기술, 조선 능력 표준을 충족할 수 있다. 동시에 생산을 확대하고 향후 조선 사업을 대규모로 발전시킨다. 크레인의 총 중량은 3700t, 인양능력은 최대 700t이다. 높이는 도크 바닥에서 88m이다. HVS는 크레인 설치를 위해 550만 달러(약 77억원) 이상을 투자해 건물을 확장하고 회사 내외부에 더 많은 창고를 짓고, 크레인을 재배치하는 등의 새로운 생산 장비를 확장해야 한다. 700t 크레인의 설치가 완료되면 HVS의 연간 생산능력을 10만8000t에서 13만6000t으로 늘리고, 늘어나는 건조량을 문제 없이 처리할 수 있다. 현대베트남은 2008년부터 선박수리에서 신조선 건조 조선소로 전환한 이후 149척의 벌크선과 3만5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도의 유력 기업인 아다니그룹이 국영 철강기업 '라쉬트리아이스파트니감(RINL)' 인수 추진을 공식화했다. 아다니그룹과 손잡고 인도에 일관제철소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포스코의 역할도 주목받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중공업그룹과 삼성중공업이 수주한 모잠비크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축배가 내년으로 미뤄진다. 최종 투자 결정(FID)이 올해 3월로 미뤄지더니 내년으로 미뤄져 신조선 인도일이 연기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삼호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은 프랑스 에너지기업 토탈에너지스가 주도하는 모잠비크 LNG 프로젝트에 대한 신규 LNG 운반선 17척 인도일을 연기했다. 신조선은 절반 이상이 최소 6개월 더 지연 인도된다. 당초 현대삼호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은 프랑스 에너지기업 토탈에너지스와 건조의향서(LOI)를 체결하며 지난해 5월 수주 확정을 기다렸다. 그러나 최종 발주가 그해 9월로 연기되더니 올해 3월로 미뤄졌다. 그러다 내년으로 연기되면서 수주 여부와 신조선 납기 모두 미뤄진다. <본보 2021년 6월 15일 참고 현대·삼성중공업 모잠비크 축배 또 미룬다…최종계약 '5월→9월' 연기> 실제 삼성중공업에서 건조 중인 LNG 운반선 신조선 8척의 인도일이 2026년 3월에서 2027년 3월 사이로 연기된다고 전했다. 현대삼호중공업도 진행 중인 9개 LNG 운반선의 인도 날짜 변경이 있다고 시사했다. 선박 인도 지연 이유는 액상화 시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조선이 유럽 선사로부터 수에즈막스급 원유운반선 2척을 수주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조선은 벨기에 선사 유로나브로부터 2100억원 규모 수에즈막스급 원유운반선 2척을 수주했다. 2024년에 인도 예정이며, 스크러버가 장착될 수 있다. 신조선 선가는 척당 7500만 달러(약 1047억원)으로 총 2100억원 수준이다. 이는 유로나브가 지난해 현대삼호에서 주문한 수에즈맥스 3대 결제한 가격보다 900만 달러 가량 높은 금액이다. 유로나브의 선가는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급등 속에서 조선 자재와 인건비 상승을 확인시켜준다. 유로나브가 대한조선에 신조 발주한 건 단골 선사이기 때문이다. 대한조선은 지난해 말 유로나브에서 수주한 수에즈막스급 원유운반선 2척에 대해 온라인 연결을 통한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한 바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빈손으로 핀란드를 떠났다. 핀란드 선박 에너지 솔루션 공급업체 바르질라(Wärtsilä)의 선박 엔진을 받아야 하지만 바르질라 소속 노동조합이 화물 적재를 돕지 않아 엔진 확보에 실패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바르질라 선박 엔진을 납품받지 못했다. 현지에서 엔진 제작이 늦어져 납품이 지연되다 이번엔 엔진 제작은 완료했으나, 선적이 안돼 납품 받지 못했다. 실제 포르투갈 선박 'UHL FUSION'은 볼주낙(Boljunac) 근처 바르질라 공장에서 제조된 12개의 선박 엔진 없이 이탈리아·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가 공유하는 '트리에스테 만'에서 출항했다. 선박은 항해 후 엔진을 트리에스테 항구의 항행 채널에서 넘겨했어야 했지만, 담당 항만회사 직원들이 바르질라 직원들과 연대하면서 화물을 싣는 데 도움을 주지 못하면서 적재되지 못했다. 화물은 대우조선이 가져가기로 했었다. 선원들은 트리에스테 항만청에 엔진을 독립적으로 적재해 달라는 요청했고, 대우조선은 트리에스테 지사로부터 화물을 받으려고 했지만 결국 모두 실패했다. 3대 노조는 "엔진 없이 배가 출발해 작은 전투에서 승리했다"고 말했다. 이탈리아 금속노조(FIOM
[더구루=길소연 기자] 고려아연이 투자한 스위스 에너지볼트가 중국 시장에 진출한다. 중국이 향후 10년 내 세계에서 가장 큰 재생 가능 에너지 저장 시장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중국에 중력 저장 장치를 배치한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에너지볼트는 중국에 총 저장 용량이 2GWh인 5개의 중력전기 저장 프로젝트를 건설한다. 프로젝트를 위해 에너지볼트의 EVx 중력 기반 에너지 저장 기술에 의존하고, 미국 재생에너지 발전업체 알타스(Atlas Renewable Energy)와 중국 NGO EIPC, 중국 기반 통신 회사 중국천영(China Tianying) 그리고 중국 지방 정부와 협력한다. 에너지볼트의 중국 중력전기 건설은 지난 2월 체결한 계약에서 비롯됐다. 에너지볼트는 중국 중력 에너지 저장 기술을 배치하기 위한 라이선싱과 로열티 계약을 체결했다. 에너지볼트는 그리드 복원을 위한 유틸리티 규모의 에너지 저장에 대해 세계가 새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재생에너지 저장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에너지볼트의 EVx는 전력 공급이 수요를 초과할 땐 전기 모터를 사용해 30t 블록을 들어 올리고 공급이 모자랄 땐 블록을 순차적으로 내려 전력을 생산하는 플랫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