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세계 전기차 시장에서 7위를 차지했다. 브랜드 첫 전용 전기차 'EV6'의 인기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연말 '톱5' 진입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대차는 기아에 이어 8위에 올랐다. 10일 전기차 전문매체 인사이드EVs(INSIDEEVs)에 따르면 기아는 올해 들어 4월까지 세계 전기차 시장에서 총 7만3212대를 판매, 글로벌 전기차 판매 순위 7위를 기록했다. 이는 순수 전기차(BEV)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판매량을 합산한 수치다. 브랜드 첫 전용 전기차 EV6가 실적을 견인했다. 같은 기간 글로벌 베스트셀링 전기차 순위 16위를 차지했다. 3만대 가까운 판매고를 기록했을 것으로 추산된다. 구체적인 판매 수치는 '톱10'에 이름을 올린 모델들에 한해서만 공개됐다. 현대차는 기아에 이어 8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총 7만2250대를 판매했다. 마찬가지로 브랜드 첫 전용 전기차 모델 '아이오닉5'가 큰 인기를 끌며 실적을 이끌었다. '아이오닉5'는 누적 판매대수 3만6025대를 기록, 글로벌 베스트셀링 전기차 순위 10위에 올랐다. 중국 BYD가 39만1782대를 판매하며 테슬라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PHEV를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모비스가 글로벌 자동차 부품 업계 6위 자리를 이어가며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반도체 쇼티지(부족현상) 등 어려운 상황 속에서 두 자릿수 성장했다. 중국 CATL는 전기차 확대에 따른 베터리 사업에 힘입어 '톱10'에 처음 진입했다. 10일 독일 자동차 전략 컨설팅 기업인 베릴스 분석에 따르면 현대모비스는 지난해 매출 310억 유로(한화 약 41조7279억원) 달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13.8% 성장한 수치로 글로벌 자동차 부품업체 순위 6위를 기록했다. 특히 현대모비스는 지난 2014년부터 9년 중 8년 간 6위를 수성하며 글로벌 부품사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이 순위는 글로벌 자동차업계에서 부품사들의 경쟁력을 보여주는 척도로 활용되고 있다. 1위는 독일 보쉬가 차지했다. 지난해 매출 454억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7.8% 상승한 수치다. 이어 일본 덴소가 전년 대비 6.6% 상승한 417억 유로 매출을 달성하며 2위에 올랐다. 3위는 지난해 매출 382억 유로를 낸 독일 콘티넨탈이 올랐다. 전년 대비 1.3% 상승했다. 4위와 5위는 각각 독일 ZF 프리드리히스하펜(349억 유로), 캐나다 마그나(320억 유로)가 이름
[더구루=오소영 기자] 테슬라가 내년 출시 예정인 전기 픽업트럭 '사이버트럭' 프로토타입을 공개했다. 와이퍼와 계기판 등 디자인의 변화가 확인됐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전력회사 퍼시픽가스앤드일렉트릭(PG&E)은 지난 7일 트위터에 엘크론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상업 가동 기념행사에 등장한 사이버트럭 시제품 영상을 공유했다. 이번에 선보인 사이버트럭은 이전 프로토타입보다 와이퍼가 훨씬 작았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앞서 "거대한 와이퍼가 양산 모델에 포함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었는데 이는 현실화됐다. KSBW를 비롯해 현지 매체에서 공개한 실내 사진에서도 기존 컨셉과 달라진 점이 확인됐다. 스티어링 휠 뒤에는 별도의 계기판이 있었다. 각진 디스플레이로 중앙에 '모델X'라고 표시됐다. 모델X와 동일한 컨트롤러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어서다. 센터콘솔과 페달의 디자인도 바뀌었다. 업계는 프로토타입이 공개됐지만 아직 미완성 상태며 생산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2019년 처음 사어버트럭을 공개할 당시 머스크 CEO는 2021년 말에 판매를 시작하겠다고 했지만 부품 부족 등으로 미뤄졌다. 경제성 향상도 테슬라의 과제였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차량 보증 서비스가 미국 내 최고로 평가받았다. 현대차(제네시스 포함)과 기아의 보증 기간과 서비스 범위를 대폭 늘리며 고객 만족도를 높였다는 평가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온라인 자동차 구매사이트 트루카(TrueCar)는 최근 브랜드별 차량 보증 서비스를 토대로 상위 15개 모델을 선정했다. 판매 가격 대비 보증 기간과 범위를 비교해 1위부터 15위까지 순위를 매겼다. 현대차·기아는 15개 모델 중 13개 모델을 휩쓸었다. 현대차 엘란트라(국내명 아반떼)가 1위를 차지한 데 이어 쏘나타와 아이오닉이 각각 2, 3위에 올랐다. 이어 기아 쏘울과 포르테가 각각 4위와 5위에 이름을 올리며 '톱5'를 석권했다. '톱10' 중에서는 10위를 제외하고 제네시스와 기아가 양분했다. 제네시스 G80이 6위, 기아 스팅어와 K5가 각각 7위와 8위에 올랐다. 9위는 제네시스 G70이 선정됐다. 10위는 재규어 XF가 장식했다. 11위부터 15위는 △현대차 액센트 △현대차 벨로스터 △제네시스 G90 △기아 리오 △재규어 F-타입 순으로 나타났다. 현대차는 미국 시장에서 가장 우수한 자동차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루시드모터스가 미국 2대 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BOA)와 손잡고 금융 서비스를 선보인다. 유럽 시장 진출도 추진하고 있어 향후 현지 은행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서비스 확대가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루시드모터스는 뱅크오브아메리카와 함께 전기 세단 '루시드 에어' 고가 모델인 '그랜드 투어링'을 구매한 미국 고객에 임대와 대출 옵션 등을 제공하는 '루시드 파이낸셜 서비스(Lucid Financial Services)'를 출시했다고 지난 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내 루시드 에어 투어링과 퓨어 모델까지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루시드 파이낸셜 서비스는 디지털 금융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 고객들은 금융 서비스 신청과 계약 전자 서명 등 차량 구매 전 과정을 온라인으로 완료할 수 있다. 루시드모터스는 소비자 맞춤형 컨시어지 서비스를 선사한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다양한 금융 혜택을 제공한다. 차량 구매 고객들은 24개월, 36개월, 28개월 등 3가지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해 임대하거나 다양한 기간의 대출을 신청할 수 있다. 대출 기간과 규모는 개인 신용이나 계약금 등 담보에 따라 달라진다. 루시드모터스는 온라인으로 차량을…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세계 최대 건설자재기업 및 공구제작 전문기업 '힐티'(Hilti)에 업무용 전기차를 대량 공급한다. 9일 힐티와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영국 힐티에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니로EV' 200여대를 공급한다. 그동안 업무용으로 사용된 디젤 차량을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다. 특히 힐티 경영진이 내부회의를 통해 직접 니로EV를 선택했으며, 이번 계약에는 추가 공급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가격과 성능, 안정성에서 우수성을 나타내며 경쟁 모델을 모두 제치고 선택을 받았다. 1회 충전으로 282마일을 주행할 수 있다는 점과 7년/10만 마일 보증이 기본으로 포함된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했다. 이들 차량은 힐티의 영국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투입됐다. 영국 힐티 직원은 업무용 차량을 이용해 하루 평균 111마일을 운전하고 있다. 업무량에 따라 최대 250마일을 운전할 때도 있다. 때문에 주행 거리 등 성능이 뒷받침되는 전기차가 필요했다. 기아는 이번 니로EV 공급과 함께 직원들의 업무 환경 개선을 위해 가정용 전기차 충전기를 무료로 제공할 예정이다. 아네트 보렌(Annette Boren) 힐티 재무담당자는 "니로
[더구루=한아름 윤진웅 기자] 기아와 코카콜라가 월드컵 마케팅을 위해 손을 잡았다. 기아가 진품 FIFA 월드컵 트로피 투어에 참여한다는 것. 9일 FIFA와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코카콜라가 주최하는 'FIFA 월드컵 트로피 투어'(the FIFA World Cup Trophy Tour) 중동지역 행사에 필요한 운영 차량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양사는 최근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FIFA 월드컵 트로피 투어'는 11월 2022년 월드컵 주최국인 카타르에 도착하기 전까지 전 세계를 돌며 여행한다. 여행할 총 거리는 13만4017㎞(지구 둘레 3배)에 달한다. 기아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UAE를 비롯해 오만, 쿠웨이트, 바레인, 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파키스탄을 포함한 8개국 행사에 차량을 지원한다. 트로피 투어 동안 팬들은 진짜 FIFA 월드컵 트로피를 가까이서 볼 수 있는 드문 기회를 갖게 돼 기아 입장에서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기대하고 있다. 기아는 각 도시마다 열리는 행사에서 FIFA월드컵의 기념할 만한 순간들을 보여주는 특별한 행사를 마련하는 한편 차량 전시 행사 등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기아 관계자는 “코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멕시코 진출 8년 만에 누적 판매 30만대를 돌파했다. 현대차는 브랜드 비전인 '인류를 위한 진보'(Progress for Humanity)를 토대로 현지 시장 입지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9일 멕시코 통계청(INEGI) 등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달 멕시코 시장에서 총 3338대를 판매했다. 시장 점유율은 3.9%다. 브랜드 베스트셀링카 투싼이 1396대 판매되며 실적을 견인했다. 이어 경형 해치백 모델 '그랜드 i10'(1208대)와 소형 SUV 모델 '크레타'(375대)가 인기를 끌었다.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누적 판매량은 1만6634대로 집계됐다. 특히 현지 진출 8년 만에 누적 판매 30만대를 돌파했다. 지난 2014년부터 지난달 까지 총 30만2820대를 판매하며 현지 시장에 안정적으로 안착했다. 가격 대비 성능은 물론 기술력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제품을 제공한 결과라는 설명이다. 현대차는 브랜드 비전인 '인류를 위한 진보'(Progress for Humanity)를 토대로 현지 시장 입지를 지속해서 키워간다는 계획이다. 향상된 기술력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브랜드 의지를 전달하겠다는 것. 현대차 관계자는 "지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 E-GMP 기반 첫 전용 전기차 'EV6'가 호주 자동차 시장에서 이른바 '로또'로 불리고 있다. 급증하는 전기차 수요 대비 공급량이 현저히 부족한 탓에 중고차에 신차를 뛰어넘는 프리미엄이 붙었다는 것. 8일 업계에 따르면 EV6가 호주 중고차 시장에서 공식 판매 가격보다 8000~1만 호주 달러(한화 약 723만~904만 원) 비싼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EV6 호주 물량이 중고차 되팔이 전문 딜러들에게 넘어간 영향이다. 애꿎은 실수요 고객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 이들은 공급망 차질 문제로 전기차 인도 기간이 늦어지고 있다는 점을 악용했다. 시드니 동부 해안가에서 EV6를 구매한 뒤 서부에 다시 되파는 형식으로 웃돈을 챙겼다. 앞서 기아 다목적차량(MPV) 모델 카니발,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쏘렌토' 등 인기 차종에 대해서도 똑같은 수법을 사용해 차익을 남겼다. 다미엔 메레디스(Damien Meredith) 기아 호주판매법인 최고운영책임자(COO)는 "EV6 재판매 현상은 고객 인도 지연보다 더 큰 문제"라며 "수요가 감소하면 어느 정도 문제가 완화될 수도 있지만 이는 내연기관에나 해당되는 내용"이라고 말했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지난달 우크라이나 자동차 시장에서 '톱3'에 올랐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로 현지 시장 규모가 급격하게 축소한 가운데 구급차, 경찰차 등 관용차 수요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지난달 우크라이나 시장에서 총 276대를 판매했다. 각각 161대, 115대를 기록하며 월간 판매 3위에 올랐다. 1위는 도요타가 차지했다. 총 411대를 판매했다. 이어 르노가 289대를 판매하며 2위를 차지했다. 현대차·기아와의 격차는 13대에 불과했다. 스코다와 폭스바겐은 각각 187대, 169대를 기록하며 4위와 5위에 올랐다. 지난달 등록 차량은 2542대에 불과했다. 특히 기아 인기 준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차량 스포티지가 인기를 끌었다. 르노 소형 픽업트럭 모델 더스터에 이어 월간 베스트셀링카 2위에 이름을 올렸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달 현지 시장에 신규 등록된 차량 대부분이 구급차와 경찰차로 사용 가능한 모델과 관용차였다"고 설명했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유럽 자동차 시장 공략을 위한 전용 모델 개발을 위해 독일 오펠(OPEL) 테스트 트랙을 활용한다. '현대차 유럽연구개발(R&D)센터→뉘르부르크링 서킷→옛 오펠(OPEL) 테스트 트랙'으로 이어지는 '삼각 벨트'를 구축한 셈이다. 이들 '삼각벨트'는 유럽 연구개발(R&D)센터를 중심으로 차량으로 1시간 안팎 거리인 것으로 알려졌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유럽형 모델 주행 성능 테스트 장소로 독일 자동차 브랜드 오펠이 보유하고 있는 두덴호펜(Dudenhofen) 테스트 트랙을 선정했다. 임차나 인수가 아닌 필요 시 예약해 비용을 지불하고 사용하는 방식을 통해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했다. 타이론 존슨(Tyrone Johnson) 현대차 유럽 차량 R&D 책임자는 "유럽 시장 공략을 위한 새로운 모델 개발을 위해 최적의 환경을 구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2003년 독일 러셀하임에 마련한 '유럽 R&D센터'와 2013년 R&D 역량 강화를 위해 독일 뉘르부르크링 서킷 인근에 마련한 유럽 테스트 센터와의 시너지를 노린 전략이다. 그동안 유럽 R&D센터와 유럽 테스트 센터…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지난달 호주 자동차 시장에서 판매 2위를 차지했다. 특히 현대차를 5개월 연속 앞지르고 있다. 현대차는 기아에 이어 3위에 이름을 올렸다. 8일 호주자동차산업위원회(The Federal Chamber of Automotive Industries·FCAI)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달 호주 시장에서 총 7307대를 판매하며 월간 판매 2위를 기록했다. 1위는 토요타가 차지했다. 같은 달 총 2만2813대를 판매하며 압도적인 판매고를 올렸다. 현대차는 기아에 이어 3위에 이름을 올렸다. 총 7063대를 판매했다. 양사 판매 격차는 244대다. 4위와 5위는 각각 마쓰다(6474대)와 미쓰비시(6086대)가 차지했다. 특히 기아는 지난 1월부터 5월까지 5개월 연속 현대차의 월간 판매량을 앞섰다. 이같은 추세가 이어질 경우 연말 호주 시장 진출 최초로 현대차를 넘어설 것으로 관측된다. 10년 전만 해도 기아 현지 시장 판매량은 현대차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지난 2012년 기준 기아의 연간 판매량은 3만758대로 현대차(9만1536대)에 크게 뒤졌었다. 양사 판매량 격차가 좁혀진 것은 2020년부터다. 당시 기아는 연말 5만6076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자동차 부품 회사 일본특수도업(日本特殊陶業, 이하 NGK)이 '미래 먹거리'인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전력투구한다. 연말 항공우주용 전고체 배터리의 성능을 검증하고 2025년 상용화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NGK는 전고체 배터리를 2025년 상용화할 계획이다. 자동차뿐 아니라 항공우주, 헬스케어 등에서 활용을 모색하고 연말 항공우주용 배터리에 대한 성능 테스트를 실시한다. 1936년 설립된 NGK는 점화 플러그와 세라믹 제품 등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는 회사다. 주력 제품인 점화 플러그는 거의 모든 완성차 업체들이 사용하고 있다. NGK는 내연기관차 시대가 저물고 전기차를 비롯해 친환경차의 판매량이 증가하며 새 수익원 발굴에 매진했다. 그동안 자동차 부품 시장에서 축적한 기술력을 토대로 전고체 배터리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에 쓰이던 액체 전해질을 고체로 바꾼 제품이다. 구조적으로 단단해 화재 위험이 없고 에너지밀도가 높아 주행거리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어 '차세대 배터리'로 꼽힌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는 전 세계 전고체 배터리 시장 규모가 올해 2.1GWh에서 2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화유코발트와 짐바브웨 정부 간 리튬 프로젝트를 둘러싼 동상이몽으로 첫 삽을 뜨기 전부터 잡음이 새어 나오고 있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 등 인프라 부족이 걸림돌로 작용하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화유코발트는 최근 짐바브웨 아르카디아(Arcadia) 리튬 프로젝트 관련 "현지 파트너사의 지원과 적절한 환경이 갖춰졌을 때만 리튬 생산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당국이 계약서 내용과 달리 일방적으로 5년 내 현지 리튬 생산을 요구한 데 따른 것이다. 화유코발트는 총 4억2200만 달러(약 5513억원)를 들여 호주 프로스펙트리소시스로부터 아르카디아 프로젝트를 인수했다. 지난 5월 광산 개발과 리튬 처리 시설 건설에 3억 달러(약 3920억원)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본보 20222년 5월 27일 참고 中 화유코발트, 짐바브웨 리튬 사업 '3700억' 투자> 인수 작업이 순항하는 듯 했지만 예상치 못한 곳에서 발목이 잡혔다. 짐바브웨 경쟁관세위원회가 지난달 22일(현지시간) 화유코발트와 프로스펙트리소시스 간 거래를 승인하며 '5년 이내에 짐바브웨에서 배터리 등급 리튬을 생산해야 한다'는 조건을 내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