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베트남 타이응우옌성이 LG CNS,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손잡고 현지 데이터센터 건립을 추진한다. 중앙정부의 디지털 전환 정책에 맞춰 지방정부도 적극적으로 나서며, 한국 기업들이 수혜를 입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18일 타이응우옌성에 따르면 응우옌 휘 둥(Nguyễn Huy Dũng) 성 당위원회 부서기이 겸 성 인민위원회 위원장은 최근 LG CNS와 KISA 관계자와 만나 데이터센터 건설 관련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동은 양측 간 첫 만남으로, 향후 지속적으로 자리를 마련해 사업 전략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이날 타이응우옌성과 LG CNS, KISA는 △라이선스 규정 △협력 조건 등을 논의했다. LG CNS와 KISA는 하노이 호아락 하이테크파크 내 위치한 데이터센터 모델을 예로 들며 타이응우옌에 적용할 가능성 등을 분석했다. 양측은 조만간 실무 회의를 개최해 투자 인센티브 정책 등을 면밀히 검토하기로 했다. 호아락 하이테크파크에는 베트남 우편 전기 공사(VNPT)와 비엣텔(Viettel), VNG 등이 설립한 대규모 데이터센터들이 위치하고 있다. 이중 비엣텔의 데이터센터는 베트남 최대 규모로, 2만1000제곱미터의 면적
[더구루=오소영 기자] 인도네시아 정부가 우리나라의 금융 지원을 받아 추진하려던 바탐 데이터센터 사업을 중단한다. 한국의 정치적인 혼란으로 정부간계약(G2G)을 연장하더라도 지연을 막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정부간 파트너십이 없던 일이 됐음에도 LG를 비롯한 민간 기업들은 인도네시아 시장 개척에 더욱 매진하는 양상이다. 7일 콤파스와 CNN인도네시아 등 외신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정보통신부는 지난 4일(현지시간) 하원 제1위원회 회의에서 바탐 데이터센터 투자를 포기하기로 결정했다. 메우티우 하피드(Meutya Hafid) 정보통신부 장관은 회의 직후 현지 언론을 통해 "한국과 체결한 파트너십이 지속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사유를 밝혔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바탐과 치키랑, 동칼리만탄 신수도 등에서 데이터센터 3~4개 구축을 추진해왔다. 바탐 데이터센터는 한국 정부와 G2G 방식으로 추진됐다. 한국으로부터 저리로 차관을 지원받아 2027년까지 데이터센터를 지을 계획이었으나, 추진 속도가 더뎌 결국 어그러졌다. 한국으로부터 계약 연장 요청을 받았지만 동력을 상실했다고 판단해 거절했다는 게 현지 정부의 설명이다. 하피드 장관은 "2년 동안 진전이 없었다"며 "격변을 겪고
[더구루=오소영 기자] "해외 투자자들을 만나기 전 여러 이벤트로 한국 시장에 대한 투자가 얼어붙겠다고 우려했다. 하지만 (그들은) 예상보다 높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 한국 경제·자본 시장에 대한 우려는 크지 않았다" 상장을 앞두고 숨가쁜 일정을 보내고 있는 현신균 LG CNS 사장의 말이다. 현 사장은 9일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하기 직전까지 홍콩과 싱가포르를 돌았다. 약 50곳과 미팅을 갖고 오늘 오전에 귀국했다. 곧 미국 출장도 떠난다. LG CNS의 성공적인 상장을 위해 그야말로 '지구 한 바퀴'를 돌고 있는 셈이다. 지난달 초 비상계엄 사태로 투자 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 상장에 대한 우려도 있으나, 현 사장이 현장에서 확인한 건 한국 기업을 향한 높은 관심이었다. 그는 "이벤트 이후 LG CNS가 첫 상장"이라며 "열심히 해서 대한민국 경제에 긍정적인 신호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있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LG CNS는 지난해 12월 5일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 총 공모주식수는 1937만7190주, 주당 희망공모가액은 5만3700원~6만1900원이다. LG CNS는 오는 21~22일 일반 투자자 대상의 공모주 청
[더구루=오소영 기자] LG CNS와 인도네시아 대기업 '시나르마스'의 합작사 'LG 시나르마스'가 통신장비 유지보수 사업을 추진한다. 시나르마스의 자회사 스마트프렌(Smartfren)과 XL악시아타(XL Axiata)의 합병으로 탄생할 신생 회사의 파트너로 거론된다.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에 이어 통신장비 시장도 노리며 사업을 다각화한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카타다타 등 인도네시아 외신에 따르면 프랭키 우스만 위자야(Franky Oesman Widjaja) 회장은 "합병회사가 탄생하면 LG 시나르마스가 통신장비 유지보수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시나르마스의 자회사 스마트프렌은 XL악시아타와 합병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프렌은 약 3200만 명의 고객을 둔 4위 통신업체다. XL악시아타는 5800만 명의 고객을 보유한 인도네시아 3위 통신사다. 양사는 작년 9월부터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해 지난 5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르면 연내 세부 협상을 마무리한다는 목표며 합병회사의 기업가치는 34억 달러(약 4조55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LG 시나르마스는 곧 탄생할 합병회사의 통신장비 유지보수를 맡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LG CNS는 LG
[더구루=오소영 기자] LG가 투자한 미국 소프트웨어 테스트 솔루션 스타트업 '오티파이(Autify)'가 1300만 달러(약 180억원) 상당의 자금 조달을 완료했다. 코드 없이 시스템을 검증할 솔루션을 선보인다. 동시에 LG CNS와 협력해 한국에 본격 진출한다. 오티파이는 17일(현지시간) 1300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B 투자 라운드를 마쳤다고 밝혔다. LG의 기업형벤처캐피탈(CVC)인 'LG테크놀로지벤처스'와 일본 글로벌 캐피털 파트너스가 주도하고 월드이노베이션랩(WiL), 세일즈포스 벤처스, 아키타입 벤처스 등 기존 투자자들이 참여했다. 오티파이는 이번 조달 자금을 활용해 테스트 자동화 솔루션을 강화한다. 오티파이는 최근 제네스(Zenes) 베타 버전을 출시했다. 제네스는 소프트웨어를 론칭하기 전에 테스트할 수 있는 AI 기반 솔루션이다.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 환경(UI) 요소를 클릭해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제네스를 활용하면 테스트 케이스(소프트웨어의 특정 기능을 측정할 때 필요한 일련의 시나리오) 작성에 걸리는 시간을 기존 대비 55% 단축시킬 수 있다는 게 오티파이의 설명이다. 오티파이는 제네스를 비롯해 자체 솔루션을 토대로 글로벌 진
[더구루=오소영 기자] 압둘라 알감디 사우디아라비아 데이터인공지능청(SDAIA) 청장이 LG그룹의 융복합 연구단지인 'LG사이언스파크'를 찾았다. LG CNS의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을 살피고 스마트시티 협력도 점검했다. 27일 SDAIA에 따르면 알감디 청장 일행은 지난 23일 서울 강서구 마곡 소재 LG사이언스파크를 방문했다. 진요한 D&A사업부 AI센터장(상무) 등 LG CNS 임직원과 만나 'DAP GenAI' 플랫폼을 비롯한 생성형 AI 사업 전략을 들었다. 사우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에 LG의 AI·데이터 분석 기술을 적용하는 방안을 포함해 포괄적인 협력을 살폈다. 내년 9월 사우디 수도 리야드에서 열리는 '제3회 글로벌 AI 서밋'에 초청하며 준비 현황도 검토했다. 사우디는 원유 중심의 경제 구조를 다각화하는 국가 전략 '비전 2030'을 추진하며 AI를 미래 먹거리로 점찍었다. 전담 부처와 주요 연구센터를 만들고 AI 육성에 돈을 쏟고 있다. 올해 1000억 달러(약 136조8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했고, 미국 실리콘밸리의 대표적인 벤처캐피탈 앤드리슨 호로위츠 등 잠재 파트너사와 400억 달러(약 54조7200억원) 규모의 투
[더구루=오소영 기자] 현신균 LG CNS 대표가 아이르랑가 하르타르토(Airlangga Hartarto) 인도네시아 경제조정부 장관과 만났다. 하반기 합작법인 설립을 목표로 현지 파트너사인 시나르마스와의 협력 계획을 살피는 한편 인도네시아 신수도에서 추진 중인 스마트시티 사업도 점검했다. 기존 사업을 토대로 투자를 확대하고 인재 교육을 지원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21일 인도네시아 경제조정부에 따르면 현 대표는 전날 서울에서 하르타르토 장관과 만났다. LG CNS의 인도네시아 사업 현황과 향후 계획을 공유하고 지원을 논의했다. 하르타르토 장관은 인도네시아 시나르마스와 손을 잡은 데 감사를 표하며 하반기까지 합작법인이 신설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합작법인은 인도네시아 기업, 공공 고객을 대상으로 데이터센터 컨설팅·구축·운영과 클라우드 전환 사업 등을 추진하고, 스마트시티, 금융IT 등 인도네시아의 IT서비스 시장을 공략한다. LG CNS는 작년 3월 시나르마스와 합작법인 설립 위한 계약을 맺었다. 또한 하르타르토 장관은 인도네시아의 스마트시티 발전을 돕고 있는 LG CNS의 행보에 감사를 표했다. LG CNS는 지난 2022년 인도네시아 신수도청과 스마트시티
[더구루=정예린 기자] LG CNS가 아마존과 쿠팡 출신 인물이 설립한 국내 물류 스타트업 '테크타카'와 손잡는다.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낙점한 구독형 서비스형 로봇(Robot as a Service·RaaS)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LG CNS와 테크타카는 RaaS 기반 사업 협력을 논의 중이다. 현재 PoC(개념검증, Proof of Concept)를 진행 중이며 LG CNS 로봇 솔루션 도입 등 다양한 사업 모델을 검토할 것으로 예상된다. RaaS는 물류창고에서 사람을 대신할 로봇을 임대하는 사업모델이다. 고객은 필요한 만큼 로봇을 대여해 사용한 뒤 사용한 만큼 금액을 지불하면 된다. 물류로봇 구입을 위해 대규모 투자할 필요 없이 연 구독료만 내면 된다. 구독 서비스인 만큼 기술 변화와 물류 시장의 변화에 맞춰 필요한 로봇으로 변경이 용이하다는 것도 장점이다. LG CNS는 지난 2022년 로봇 구독 서비스 'RaaS'를 처음 선보였다. 서비스 출시 후 다양한 종류의 물류 로봇을 지속적으로 연계하며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있다. LG CNS의 RaaS를 이용하는 고객사도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여러 기업들과 실증 사업을 진행
[더구루=오소영 기자] LG CNS가 사우디아라비아의 '기가 프로젝트' 참여를 꾀한다. 현신균 대표가 직접 사우디아라비아까지 날아가 비즈니스 경쟁력을 확인하고 현지 프로젝트 개발사와 회동했다. 이는 홍해 프로젝트의 핵심 인프라 중 하나인 홍해 국제공항 디지털 사업 수주를 위한 현장 행보다. 앞서 인천국제공항의 정보화 사업에 참여한 경험을 토대로 사우디에 진출한다는 복안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현 대표와 최문근 디지털전환(DT) 사업부장(전무)은 최근 사우디에서 홍해 프로젝트를 이끄는 RSG(Red Sea Global) 경영진과 만났다. 존 파가노(John Pagano) RSG 최고경영자(CEO), 아흐메드 다르위시(Ahmed Darwish) 최고행정책임자(CAO) 등과 만나 홍해에서 펼쳐지는 기가 프로젝트 참여를 논의했다. 양사는 우선 홍해 국제공항의 ICT시스템 구축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클라우드와 결합한 전사적 자원관리(ERP)를 공급하는 한편 공항 정보시스템을 고도화하는 방안을 살핀 것으로 보인다. 홍해 국제공항은 홍해 해안선을 따라 개발되는 관광특구의 관문이다. 건축계의 노벨상 '프리츠커상' 수상 경력이 있는 노먼 포스터가 설계했다. 사막에서
[더구루=정예린 기자] LG CNS의 인도네시아 행정수도 건설 사업 일환인 스마트시티 구축 프로젝트가 순항하고 있다. 여러 한국 기업이 참여하고 있는 가운데 내년 사업이 본궤도에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아궁 위카소노 신수도청(OIKN) 자금·투자 담당은 지난 8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외교정책공동체(FPCI)가 자카르타에서 개최한 워크숍에서 "LG CNS는 기업이 보유한 첨단 기술을 활용해 신수도(IKN) 주거지역의 에너지 이용 효율화를 위한 스마트시티 관제센터를 구축하는 등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며 LG CNS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위카소노 담당은 "LG CNS,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삼성물산, LX인터내셔널, 신한투자증권 등 한국 기업과 10개의 참여의향서(LOI)를 체결했다"며 "한국이 기술 발전을 통해 스마트시티, 주택, 연결 인프라 부문에서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수도를 자바섬에 있는 자카르타에서 항공편으로 약 2시간 떨어진 보르네오섬의 누산타라로 이전하는 행정수도 건설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신수도는 서울(605㎢)의 4.2배인 2561㎢ 규모로 건설된다. 총 사업비만 40조원으로
[더구루=오소영 기자] LG전자와 LG CNS가 LG의 생산·연구기지가 모여있는 베트남에서 산학협력을 강화한다. 하노이 산업대학교(HaUI)와 협력해 우수 인재를 양성한다. HaUI는 LG전자 베트남 연구·개발(R&D)법인, LG CNS 베트남 법인과 각각 산학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LG전자와 LG CNS 현지 법인은 우수 학생을 선발해 장학금을 수여하고 채용 기회를 제공한다. 인턴십 프로그램과 산학 연구도 모색한다. 양사는 MOU 체결에 앞서 진행된 회의에서 HaUI 학생들의 자질을 호평했다. 이들의 역량 개발을 위해 커리큘럼 개발과 강사 초빙, 세미나 개최 등을 돕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HaUI도 LG와의 협력 의사를 표명했다. 팜반동(Phạm Văn Đông) HaUI 부총장은 공식 성명에서 "HaUI는 기계공학과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LG전자 베트남 R&D법인, LG CNS와 협력을 확대하고 싶다"며 "앞으로도 HaUI가 기업의 동반자로 남길 바란다"고 밝혔다. 베트남은 LG가 공들이는 시장이다. 인구가 1억명에 육박하고 평균 연령은 32세 전후로 소비 시장으로서 규모가 크다. 특히 1986년 '도이머
[더구루=정예린 기자] LG CNS가 바레인 정부와 협력 관계를 강화, 또 한번의 대규모 수주 발판을 마련한다. 스마트시티 등 디지털 인프라 구축 사업이 활발하게 펼쳐지고 있는 중동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바레인 상공회의소는 5일(현지시간) 주바레인 한국대사관과 함께 공동 주최한 '제5차 한-바레인 비즈니스 포럼'을 개최했다. LG CNS와 네이버클라우드가 국내 대표 기업으로 참석했다. LG CNS는 약 10년 간의 현지 사업 경험을 통해 축적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바레인 디지털전환(DX) 신규 사업을 정조준한다. 바레인은 정부 주도 하게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 현대화를 주요 국가전략 프로젝트로 실시하고 있다. 인공지능(AI), 디지털 트윈,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등 LG CNS의 다양한 신기술을 도입, △스마트시티 △전자정부 △클라우드 등 분야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G CNS와 바레인 주요 정부 기관은 오랫동안 돈독한 파트너십을 구축해오고 있다. 일찍부터 바레인을 포함한 중동 시장 성장성에 눈을 뜬 LG CNS와 인프라 디지털화를 추진하려는 바레인 정부 간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것이다. LG CNS는 바레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Lucid Group)가 약 1조5000억원 규모로 전환사채를 발행한다. 최대 주주인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공공투자기금(PIF)이 이를 지원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루시드는 3일 최대 10억 달러(약 1조4600억원) 규모로 2030년 만기 전환선순위채권Convertible Senior Notes)을 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선순위전환채권은 약정 시점이나 투자자 전환권 행사 시점에 주식으로 전환, 원금을 상환받을 수 있는 채권이다. 다만 일반 전환사채(CB)와 달리 전환 가격이 정해져 있지 않다. 루시드의 선순위전환채권 발행과 관련해 PIF 자회사인 '아야르서드 컴퍼니'가 특정 투자자와 선불 선도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는 미래 보유 주식 매각을 담보로 미리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이다. PIF는 루시드의 지분 60%를 보유한 최대 주주이다. 2022년 12월 15억 달러, 2023년 5월 18억 달러를 지원한 데 이어 작년에도 3월 10억 달러, 8월 15억 달러의 유동성을 공급했다. <본보 2024년 8월 6일자 참고 : 사우디 국부펀드, 루시드에 '2조' 자금 투입> 루시드는 또 작
[더구루=홍성일 기자] 구글이 인공지능(AI) 수요 급증에 따라 엔비디아 AI칩 추가 조달에 나섰다. 구글의 AI칩 추가 조달이 'AI반도체 수요 고점론'을 약화시킬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3일 경제전문매체 디 인포메이션에 따르면 구글은 AI 데이터센터 임대기업 코어위브(CoreWeave)와 엔비디아 블랙웰(Blackwell) AI칩 임대를 위한 사전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상세한 조달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구글이 코어위브와 협상에 나선 배경에는 AI 수요 급증이 있다는 분석이다. AI관련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데 맞춰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설치하기 위해 서버 임대를 선택했다는 것. 코어위브는 미국 전역에 32개 데이터센터를 구축했으며 탑재된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는 25만 장이 넘는다. 특히 이번 계약으로 AI칩 수요 고점론이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 AI칩 수요 고점론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코어위브 기업공개(IPO) 결과가 기대에 못미치면서 고개를 들었다. 당초 코어위브는 주당 공모가를 47~55달러로 목표했지만 시장의 미온적 반응에 공모가격을 40달러 낮췄다. 지난해 매출의 62%를 담당한 마이크로소프트(MS)가 미국 내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