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11-05 WED
[단독] CJ ENM '친애하는 X', MENA 안방 뚫었다…스타즈플레이와 파트너십
2025-11-05 WED
[단독] 롯데쇼핑, 日미쓰이은행과 대규모 자금조달 계약…북미사업 돈줄 확보
2025-11-04 TUE
[단독] CJ ENM, 대만 FET와 중국어 콘텐츠 공동제작…430억 투자
2025-11-04 TUE
[단독] 김동관 한화 부회장, '트럼프 주니어 투자' 美 고체 추진체 개발기업 베팅
2025-11-04 TUE
[단독] 강원에너지·美노베온, 年 2000톤 희토류 영구자석 생산공장 설립
2025-11-04 TUE
[단독] 삼성전자, 아나플래시 AI MCU 수주…엣지 AI 시장 진입 교두보 확보
2025-11-04 TUE
[단독] 케이웨더, 美 나스닥 상장사로부터 투자 유치…리플 투자 예정
2025-11-04 TUE
[단독] 삼성물산 재팬, 일본 전력회사와 에너지 저장 합작법인 설립
2025-11-03 MON
[단독] 지드래곤 소속사 '갤럭시코퍼레이션', 중화권 스타 주걸륜 가족기업서 투자유치…IPO 탄력
2025-11-03 MON
[단독] 뉴럴링크 칩 뇌 이식 환자, 테슬라 옵티머스 연구 참여…로봇·BCI 융합 현실화
2025-11-03 MON
[단독] 호텔신라, 베트남 '신라모노그램 2호' 완공 임박…동남아 强드라이브
2025-11-03 MON
[단독] 삼성물산, 日·印 제치고 '3.6조' 카타르 탄소포집사업 수주
2025-10-31 FRI
[단독] 한화자산운용·한국투자리얼에셋운용, 삼성E&A 美인디애나 암모니아 플랜트 투자
2025-10-31 FRI
[단독] 코리아인스트루먼트 "삼성전자에 HBM-D램용 프로브카드 공급 추진"
2025-10-31 FRI
[단독] 현대차, 글로벌 부동산 관리 나선다…'쿠시먼앤웨이크필드'와 계약
2025-10-30 THU
[단독] 신동빈 롯데 회장, 르엉 끄엉 베트남 국가주석 만나 사업 논의
2025-10-30 THU
[단독] 日, 뉴스케일·엔트라원 AI 전력개발사업 250억 달러 투자…두산에너빌·보성파워텍·우진 화색
2025-10-30 THU
[단독] CJ포디플렉스, 대만 시장 출사표…쇼타임시네마와 파트너십
2025-10-30 THU
[단독] 보스턴다이내믹스 '스팟' UAE 상륙…'AI 에이전트' 차세대 로봇 플랫폼 공동 개발
2025-10-30 THU
[단독] 삼성바이오에피스, 바이오젠과 '바이우비즈' APA 체결...내년 1월 유럽 상용화
[더구루=정등용 기자] 현대캐피탈 미국법인인 ‘현대캐피탈 아메리카’가 글로벌 신용평가사 피치로부터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건전한 신용 실적과 강력한 대차대조표 유동성, 자금 조달 다양성이 높은 점수를 받은 결과다. 피치는 4일(현지시간) 현대캐피탈 아메리카의 장기 외화표시 발행자등급(IDR)을 'A-'로 유지하고, 등급 전망을 ‘안정적’으로 부여했다. 피치는 현대캐피탈 아메리카의 자산 건전성에 대해 “양호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소매금융채권의 60일 이상 연체율이 올 2분기 기준 0.69%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0.74% 대비 소폭 하락한 점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피치는 “현대캐피탈 아메리카의 유동성 프로필이 향후 자금 조달 수요를 단독으로 충족시키기에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올 2분기 기준 유동성 자원은 현금 5억1500만 달러와 신용 시설 및 자산담보채권(ABC) 채널을 통한 차입 가능액 185억 달러로 구성됐는데, 이는 꾸준한 영업 현금 흐름에 의해 추가로 뒷받침된다”고 분석했다. 다양한 자금 조달 구조에도 높은 점수를 줬다. 피치는 “현대캐피탈 아메리카의 자금 조달 구조는 증권화와 무담보 채권, 은행 대출, 상업어음(CP), 계열사
[더구루=정등용 기자] 하나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이 내년 인니 경제를 전망하는 세미나를 열었다. 행사에선 인니 경제 성장에 대한 낙관론이 이어졌다. 하나은행 인니 법인은 4일(현지시간) ‘변화하는 세계 속의 인도네시아: 지정학적, 자본 시장, 그리고 2026년 글로벌 경제’를 주제로 경제 전망 세미나를 개최했다. 행사는 지정학적 변화와 글로벌 시장의 역학 관계 속에서 인니의 경제적 기회와 도전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고영렬 하나은행 인니 법인장과 이만 라흐만 인니 증권거래소(BEI) 사장, 차르타 폴리티카(Charta Politika) 연구소의 윤아르토 위자야 전무가 참석했다. 고영렬 법인장은 인사말을 통해 “2026년은 주요국 금리 인하와 관세 변화, 환율 변동성, 지속되는 지정학적 리스크 등 다양한 글로벌 경제 역학이 펼쳐질 것”이라고 전망하며 “인니 경제가 내년에도 성장을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라흐만 사장은 “올들어 지난달 24일까지 인니 주가지수는 누적 기준으로 16.83% 상승했으며 일평균 거래액은 16조4600억 루피아(약 1조4000억원), 일일 활성 투자자 수는 23만2000명을 기록했다”며 “종합주가지수는 동남아에서 두 번째로
[더구루=김나윤 기자] 키움증권 인도네시아 법인이 연말을 앞두고 현지 증시에서 대기업 중심의 선별적 투자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지수 조정 등으로 우량주가 상승세를 주도할 것이란 전망이다. 지난 4일(현지시간) 인니 경제매체 비즈니스닷컴은 "연말 자카르타종합지수(JCI)는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의 자유유동주 비율 조정과 주요 지수 재편 등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고 있다"며 "이 같은 흐름이 블루칩(우량 기업 주식)과 대기업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보도했다. 리자 카멜리아 수랴나타 키움증권 인니 법인 주식연구책임자는 "대형주의 기여도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일부 종목은 여전히 지수 상승을 견인할 잠재력이 있다"며 "리밸런싱이 은행, 통신, 소비재 등 유동성이 높은 대표 종목들로의 자금 이동을 촉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다수 우량주가 지난 3~5년 평균 대비 낮은 값에 거래되고 있고 4분기 실적 개선 기대와 내년 초 배당 확대 가능성까지 감안하면 투자 매력이 크다"고 분석했다. 수랴나타 책임자는 또 "MSCI의 새로운 자유유동주 정책은 복잡한 지배구조를 가진 기업에 대한 투자 회피를 유도할 수 있다"며 "결국 시장은 투명한 소유구
[더구루=김나윤 기자] 한국투자증권(KIS) 베트남 법인이 현지 증권시장 선도기업인 VPS 증권의 기업공개(IPO) 주식 유통 대리인으로 선정됐다. 베트남 금융 시장에서 한국계 증권사가 역할을 넓힐 수 있게 됐다. 지난 3일(현지시간) 베트남 금융매체 더우 뜨 쯩 코안에 따르면 VPS 증권은 시장 점유율 1위 증권사로서 이번 IPO를 통해 자본력 강화와 디지털 증권 플랫폼 확대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KIS 베트남이 IPO 유통 대리인을 맡게 됐다. KIS 베트남은 "회사는 주식 매입 신청 접수부터 투자자 절차 안내까지 책임지며 IPO 참여 과정이 투명하고 편리하며 안전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VPS는 보통주 약 2억 주를 IPO로 공급하고 주당 공모 최소 가격은 6만 동(약 3300원)으로 정해졌다. 청약 기간은 지난달 16일(현지시간)부터 이달 6일(현지시간)까지로 공시됐다. 매체는 "이번 협력이 단순한 IPO 유통 계약을 넘어 베트남 금융시장이 통합·성장하는 시점에서 국내 기업과 국제 금융기업 간 응집력 있는 협업의 상징"이라고 평가했다. VPS는 개인·기관 고객 1위 증권사로 온라인 거래 플랫폼을 통해 증권·자산관리·기업금융 서비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물산과 GS건설·현대건설이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NSW) 재생에너지 인프라 사업을 놓고 맞붙는다. NSW 에너지공사(EnergyCo)는 6일 뉴잉글랜드 재생에너지 구역(Renewable Energy Zone·REZ) 네트워크 운영사 입찰 최종 후보 3개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GS건설과 현대건설이 참여한 '퓨처 에너지 네트워크', 삼성물산이 참여한 '뉴리프 에너지', 프랑스 전력공사(EDF)가 주도하는 '베르타 에너지' 등이 포함됐다. GS건설과 현대건설은 호주 전력회사 오스넷, 호주 투자회사 퍼시픽 파트너십스, 이탈리아 건설사 겔라, 호주 건설사 CPB 등과 컨소시엄을 꾸렸다. 삼성물산은 세계 2위 재생 에너지 기업 스페인 이베르드롤라, 스페인 인프라 기업 페로비알, 호주 인프라 투자사 카펠라캐피털, 말레이시아 건설사 가무다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에너지공사는 이들 3개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제안요청서(RFP)를 접수할 예정이다. 이후 평가를 거쳐 2027년 말까지 최종 사업자를 선정해 약정서를 체결하고, 2028년까지 계약과 자금 조달을 완료할 방침이다. 사업자는 뉴잉글랜드 REZ와 NSW 가정·기업을 연결하는 새로운 송전선 및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 호치민시가 투티엠 신도시 건설에 속도를 내기 위한 실무 그룹 설립에 나섰다. 토지 사용료 문제로 사업에서 철수했다가 최근 다시 추진 절차에 들어간 롯데그룹에도 호재가 될 전망이다. 호치민시 인민위원회는 5일(현지시간) “투티엠 신도시 건설 관리를 위한 실무 그룹을 설립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실무 그룹은 오는 2030년 전까지 투티엠 신도시 건설을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위원장은 응우옌 반 드억 호치민시 인민위원회 위원장이 맡는다. 이 밖에 △농업환경부 △계획건축부 △건설부 △재무부 △사법부 등 주요 부처 관계자들이 참여한다. 실무 그룹은 투티엠 신도시 건설 사업과 관련해 현장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호치민시 인민위원회에 정기적으로 보고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호치민시 인민위원회의 심의와 지도를 받는다. 호치민시가 투티엠 신도시 건설에 박차를 가하기 위한 실무 그룹을 구성하면서 롯데그룹의 행보도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롯데그룹은 지난달 응우옌 반 드억 호치민시 인민위원장을 만나 투티엠 에코스마트 시티의 재개 가능성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롯데그룹은 추가 토지 사용료 면제와 함께 롯데 프라퍼티스 호치민의 지분 조정 허용
[더구루=정등용 기자] GS건설 호주법인이 수주한 멜버른 도시순환철도(SRL) 동부 구간 터널 사업이 착공에 들어갔다. 올해 초기 공사를 시작으로 내년 본 공사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5일 호주 빅토리아주 SRL 당국에 따르면, 멜버른 SRL 동부 구간 터널 사업은 최근 19m 깊이의 발사 갱도 준비 작업을 시작했다. 이 공사는 ‘TBM(Tunnel Boring Machine)’이라는 대형 터널 굴착 장비를 땅속으로 투입하기 위해 지상에서 지하로 수직 또는 경사 구조물의 갱도를 만드는 과정이다. 갱도는 TBM 공사의 시작점 역할을 하며 TBM의 조립과 발진(굴착 시작), 그리고 굴착된 토사 운반과 자재 보급을 위한 통로로 사용된다. 해리엇 싱 빅토리아주 SRL 장관은 “이번 작업은 초기 공사에서 본 공사로의 전환을 의미한다”며 “향후 몇 달간 지하 시설물의 대대적 이전 작업에 이어 터널링 및 신규 지하철역 건설을 위한 핵심 기반 시설 구축에 주력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사업은 멜버른 교외의 SRL 동부 구간에 약 10㎞ 길이의 복선 TBM 터널 건설공사와 39개의 피난연결도로, 지하 역사 터파기 2곳 등을 건설하는 프로젝트다. 완공 시점은 오는 203
[더구루=정등용 기자] 남궁홍 삼성E&A 사장이 세계 최대 규모 에너지 산업 전시회인 '아디펙(ADIPEC) 2025'에서 최신 기술 공개를 예고했다. 4일 삼성E&A에 따르면, 남궁 사장은 지난달 말 공개된 자사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올해 행사에서 최신 기술 솔루션과 혁신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아디펙 2025에서 기술 융합을 통한 비즈니스 기회 창출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아디펙은 아부다비 국영 석유회사(ADNOC)가 주최하는 행사로 올해는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고 미래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행사에는 전 세계 2250여 개 기업이 참가한다. 삼성E&A는 지난 2016년 이후 올해 10년째 아디펙에 참가하며 '기술의 융합으로 새로운 가치를 제공한다(Weaving Technology Threads·Delivering Excellence)'라는 주제로 에너지 전환, 안전·품질, 혁신기술 등 총 3가지 테마의 전시 부스를 꾸민다. 에너지 전환 구역에서는 파트너사인 하니웰 유오피(Honeywell UOP)와 함께 개발한 탄소포집 솔루션과 지난 2월 지분 인수 이
[더구루=진유진 기자] 수원 로컬 도넛 브랜드 '골디스(Goldie's)'가 캐나다 디저트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메트로 밴쿠버 외곽에서 검증된 브랜드력을 통해 시내 핵심 상권으로 진입하며 도심 수요를 정면 공략한다는 전략이다. 6일 골디스에 따르면 회사는 캐나다 밴쿠버 프레이저가 3932번지에 시내 1호점을 연다. 시 당국의 영업 허가 처리 진행 상황에 따라 약 2~3주 내 오픈할 예정이다. 이곳은 웨스트밴쿠버·랭리에 이은 메트로 밴쿠버 지역 세 번째 매장으로, 소비자 밀집도가 높은 도심권 진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골디스는 24시간 발효 브리오슈 반죽에 크림 필링·글레이즈를 얹어 직접 만드는 제조형 도넛 콘셉트가 강점이다. 지난해 웨스트밴쿠버에 1호점을 열며 캐나다에서 첫선을 보였고, 올해 랭리에 2호점을 개점했다. 두 매장 모두 오픈 직후 품절 사태와 대기 행렬이 이어지며 브랜드 인지도를 단기간에 끌어올렸다. 이번 시내권 진출은 지역 기반 브랜드에서 현지 시장 플레이어로 존재감을 넓히는 단계로 해석된다. 새 매장에서는 기존 인기 메뉴에 더해 밴쿠버 전용 메뉴도 선보인다. 대표 메뉴는 딸기 밀크셰이크, 바닐라 커스터드, 커스터드 콘 크림, 크로넛
[더구루=진유진 기자] 롯데호텔앤리조트가 국내를 넘어 해외 시장에서도 존재감을 확 키우고 있다. 프리미엄 인바운드 수요 회복과 서비스 경쟁력 강화가 동시에 맞물리며, K-호스피탈리티 글로벌 표준을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다. 6일 트레블앤드투어월드(Travel And Tour World, TTW)에 따르면 롯데호텔앤리조트가 국내를 넘어 해외 시장에서 K-호스피탈리티 지배력을 가파르게 확대하고 있다. 롯데호텔의 글로벌 경쟁력은 단순 자본 투입이 아니라, 50년간 축적한 운영 노하우와 시스템의 수출에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자산 매입 리스크를 낮춘 위탁운영·프랜차이즈 모델로 해외 사업 속도를 극대화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실제 롯데호텔은 서울·부산·제주 등 국내 핵심 거점에서 확보한 고부가 고객 데이터와 경험 설계 역량을 글로벌 영업·제휴에 그대로 투입 중이다. 현재 미국 뉴욕, 시애틀에 이어 인디애나주 웨스트필드에 L7 호텔 신규 지점 개관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 내년 말 개관 예정인 러시아 소치 5성급 호텔을 비롯해 베트남 하노이 L7 웨스트 레이크 하노이 바이 롯데 등 해외 주요 거점 롯데호텔이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 있다. 글로벌 호텔 시장에서 롯데호텔은
[더구루=이꽃들 기자] 장 건강과 면역 증진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프로바이오틱스가 건강기능식품과 발효유를 아우르는 핵심 성장 카테고리로 급부상했다. CJ제일제당, 동원F&B, 매일유업 등 주요 식품기업들은 자체 균주 기술과 프리미엄 발효 제품으로 시장 주도권을 노린다. 6일 시장조사기관 데이터엠 인텔리전스(DataM Intelligence)에 따르면 국내 프로바이오틱스 식품 시장은 2023년 12억7800만달러(한화 약 1조7000억원)에서 2027년 18억700만달러(약 2조5000억원)로 확대될 것으로 추산된다. 연평균 성장률은 약 9.2%로, 고령화와 면역력 강화 트렌드가 시장 확대를 견인하고 있다. 이 같은 성장세에 발맞춰 CJ제일제당은 자회사 CJ웰케어를 통해 피부 유산균 브랜드 '바이오코어'를 전개하며 프로바이오틱스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올해 매출은 전년 대비 120% 증가했으며, 2023년 말 기준 브랜드 누적 매출은 3000억원을 돌파했다. CJ웰케어는 국내 최초 개별인정형 유산균 'CJLP133'을 활용한 'BYO 피부 유산균'을 앞세워 시장에 진출한 이후, 지난 10년간 연구개발(R&D) 역량 강화와 생산 기지 확충, 유
[더구루=진유진 기자] 국내 외국인 전용 카지노 양대 축인 파라다이스와 그랜드코리아레저(GKL)의 10월 성적표가 엇갈렸다. 파라다이스는 지난 9월 주춤했던 흐름을 끊고 매출 반등에 성공한 반면, GKL은 드롭(칩 구매액)이 늘었는데도 오히려 매출이 줄며 수익화에 난항을 드러냈다. 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파라다이스의 지난달 카지노 매출은 7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5%, 전월 대비 16.7% 증가했다. 슬롯머신 매출은 48억7000만원을 기록해 2.9% 줄었지만, 테이블 게임 매출이 687억원으로 전월 대비 18.3% 뛰며 상쇄했다. 특히 드롭 금액이 전년 대비 12.4%, 전월 대비 7.4% 성장한 6095억원으로 회복세를 이끌었다. 올해(1~10월) 누적 매출은 746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2% 증가해 두 자릿수 성장세를 나타냈다. 같은 기간 누적 드롭은 5조9500억원으로 전년보다 3.4% 개선됐다. 반면 GKL의 지난달 매출은 뒷걸음질쳤다. 이 기간 286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6.5% 감소했다. 전월 대비 감소 폭은 17.9%으로 더 컸다. 슬롯 매출은 24.8% 늘었지만, 테이블 매출이 252억원으로 9.5% 줄며
[더구루=홍성일 기자] KT의 위성통신 자회사 KT샛(KT SAT)이 아시아태평양 위성산업협회(APSCC) 연례행사에 참석했다. KT샛은 이번 연례행사 참여를 토대로 아시아 차세대 통신 생태계 구축에 참여한다는 목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KT샛은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대만 타이베이 메리어트 호텔에서 개최되는 APSCC 2025 연례 총회에 참가했다. APSCC 연례 총회는 아시아태평양 역내에 위치한 위성·우주 기업과 정부 인사, 투자자 등이 참가하는 지역 최대 규모 산업 행사다. 올해 행사에는 26회차 행사로, KT샛을 비롯해 유텔셀, SES, 이리듐, 비아샛 등 25개국 150여개 기업을 비롯해 500여명의 업계 전문가와 경영진이 참여했다. APSCC 연례 총회에서는 전문가들의 대담과 스피치를 비롯해 기술 전시회, 네트워킹 이벤트, 시상식 등이 진행된다. 올해 총회에서는 지정학적 변화와 AI의 발전이 가져오는 위성 통신 산업의 변화, 다중 궤도 위성 통신, 국가의 규제, 우주-지상 네트워크, 양자 우주 통신 등이 주요 의제가 됐다. KT샛은 아시아태평양 역내 위성통신 환경 변화에 대해 논의했을 뿐 아니라 4일 환영오찬을 주도했다. KT샛은 환영오찬을 통
[더구루=홍성일 기자] KT가 지난해 서버가 악성 코드에 감염된 것을 확인하고도 당국에 신고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무단 소액결제 사건의 원인이 된 초소형 기지국(펨토셀) 관리 체계도 부실했다는 점이 확인돼 논란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6일 KT 침해사고 민관합동조사단의 중간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합동조사단은 지난 9월 8일 KT가 침해 사실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신고한 다음날인 9일 구성됐다. 합동조사단은 구성 이후 불법 펨토셀에 의한 무단 소액결제 사건, KT 인증서 유출 정황, KT가 외부업체와 진행한 보안 점검 과정에서 발견한 침해 사례 등을 조사해왔다. 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KT의 은폐 정황이 확인됐다. 합동조사단이 서버 포렌식 분석을 하는 과정에서 KT가 악성코드에 감염된 사실을 정부에 보고하지 않은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합동조사단에 따르면 KT는 지난해 3월부터 7월까지 BPF도어, 웹셸 등 악성코드에 감염된 서버 43대를 발견했으며, 정부 신고없이 자체 처리했다. BPF도어는 은닉성이 매우 강한 악성코드로, 올해 초 발생한 SK텔레콤 해킹 사례에서도 큰 피해를 준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와 독일 도이치텔레콤이 10억 유로(약 1조6600억원)를 투입해 세계 최초 산업용 인공지능(AI) 팩토리를 구축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이번 협력을 통해 글로벌 피지컬 AI 생태계 확장을 가속한다는 목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KT 계열 미디어 솔루션 기업인 케이티알티미디어(KT Altimedia)가 대만 미디어 기업 다펑TV(Dafeng TV)에 유료 TV 솔루션을 공급했다. 케이티알티미디어는 공급 실적을 기반으로 글로벌 유료 TV 솔루션 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다펑TV는 케이티알티미디어의 지원을 받아 와이드바인 CAS(Widevine CAS)를 도입했다. 다펑TV는 "와이드바인 CAS 도입으로 콘텐츠 전송 플랫폼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동시에 운영 효율성도 개선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다펑TV가 도입한 와이드바인 CAS는 구글이 개발한 디지털 권리 관리(DRM) 기술이다. CAS는 수신제한시스템(Conditional Access System)의 약어로 수신시스템이 자동으로 허가된 수신자를 인식해내는 기술이다. 즉 와이드바인 CAS는 구글이 개발한 콘텐츠 보호 기술로, 정식으로 이용료를 지불한 가입자만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솔루션이다. 또한 와이드바인 CAS는 콘텐츠 보호 기능과 함께 형태가 다른 콘텐츠를 융합한 '하이브리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결합돼, 차세대 유료 TV 솔루션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칠레에서 남미 최초로 테슬라 라이트쇼가 개최된다. 테슬라는 이번 라이트쇼로 칠레와 남미에서 상당한 홍보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에서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베뉴(VENUE)의 2세대 모델을 선보였다. 특히 베뉴 N 라인 모델도 출시, 인도 고성능차 시장 공략 의지를 들어냈다. 현대차 인도권역본부는 4일(현지시간) 2세대 베뉴와 베뉴 N 라인을 동시에 공개했다. 현대차 인도권역본부는 "베뉴는 출시 직후 70만 대 이상 판매되며 인도 소형 SUV 시장에서 톱 3위 안에 꾸준히 이름을 올려왔다"며 "새로운 베뉴는 인도 소형 SUV 세그먼트 시장 자체에 새로운 기준이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날 공개된 2세대 베뉴는 이전세대 모델에 비해 덩치를 키웠다. 길이는 3995mm로 이전 세대보다 45mm 줄어들었지만 너비가 1800mm으로 30mm, 높이가 1665mm로 48mm 늘어났다. 축간거리(휠베이스)도 기존 모델보다 20mm 길어진 2520mm다. 2세대 베뉴의 파워트레인으로는 카파 1.2L MPi 가솔린, 카파 1.0L 터보 GDi 가솔린, U2 1.5 I CRDi 디젤 엔진과 함께 5단 수동변속기, 6단 수동변속기, 6단 자동변속기, 7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 등으로 구성됐다. 판매가격은 78만9900루피(약 1287만원)부터
[더구루=김예지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싱가포르에 이어 말레이시아를 새로운 수소 생태계 거점으로 모색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정부가 청정 모빌리티 및 재생에너지 분야 협력 의지를 밝히면서 현대차의 동남아 수소 밸류체인 확장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5일 중국매체 이스트머니에 따르면 지난 3일(현지시간) 텡쿠 자프룰 아지즈(Tengku Zafrul Aziz) 말레이시아 투자·통상·산업부(TMIT) 장관이 현대차 대표단과 회동했다. 양측은 현대차가 말레이시아를 '지역 재생에너지 및 클린 모빌리티 허브'로 조성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현대차가 조호르주에서 추진 중인 수소에너지 생산 프로젝트 계획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자프룰 장관은 "말레이시아는 현대차의 조호르 수소 프로젝트 계획을 환영한다”며 “정부 차원에서 전폭적인 행정·인프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현대차의 투자가 말레이시아의 녹색전환(Green Transition) 전략과 맞닿아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행보는 현대차가 최근 싱가포르 경제개발청(EDB)과 체결한 '수소 중심 저탄소 기술 개발 기회 발굴을 위한 업무협약(MOU)'의 연장선에 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3일 싱가포르
[더구루=정예린 기자] 현대자동차가 중국에서 생산한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일렉시오(ELEXIO)’를 내년 호주 시장에 출시한다. 중국 현지 모델을 해외에 직접 수출하는 첫 사례로, 현대차그룹이 추진 중인 중국사업 구조 재편과 글로벌 생산기지 다변화 전략이 가시화되고 있다. ◇베이징현대, 수출 1호 전기차 호주 '낙점' 5일 현대차에 따르면 회사는 내년 초 호주에서 일렉시오를 정식 판매할 예정이다. 가격은 5만5000~6만5000호주달러(약 5160만~6100만원)로 책정될 전망으로, 중형 전기 SUV 시장의 핵심 경쟁 구간에 직접 맞붙게 된다. 일렉시오는 현대차와 베이징자동차(BAIC)의 합작법인 ‘베이징현대(BHMC)’ 주도로 약 5년간 연구개발을 거쳐 완성된 전략형 전기차다. ‘중국에서, 중국을 위해, 그리고 세계로(From China, For China, For the World)’라는 현대차그룹의 신(新) 생산·수출 전략을 대표하는 1호 모델이다. 현대차는 호주 시장 진출을 앞두고 지난 9월 현지 연방정부의 자동차 형식승인(RVS) 절차를 마쳤다. 이는 법적·기술적 기준을 모두 충족해 현지 판매를 위한 마지막 관문을 통과했다는 의미다.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