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사우디아라비아가 추진하는 '비전 2030'에 발맞춰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최근 사우디 내 수소버스 시범 사업을 성공적을 마무리하며 빈 살만 정부의 최적의 수소 파트너로 조명받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최근 사우디 내 수소버스 시범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현대차 사우디 수소버스 시범 사업은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약 2개월 동안 진행됐다. 지속 가능한 이동성을 향한 사우디 정부의 여정 가운데 주요 이정표로 여겨지는 수소 기반 운송 타당성과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 이번 시범 사업의 주된 목적이었다. 현대차는 전략적 이니셔티브에 따라 사우디 대중교통공사(SAPTCO)와 현지 현대차 유통사 중 하나인 알마주이 모터스(Almajdouie Motors), 에어프로덕츠 쿼드라(Airproducts Qudra), 압둘라 하심 가스(Abdullah Hashim Gases), 아람코 등과 수소 동맹을 맺고 시범 사업을 추진했다. 현대차는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첨단 수소연료전지버스인 '일렉시티'를 지원했다. 아둘라 하심 가스는 수소 연료 공급 인프라를 제공했으며, SAPTCO는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와 인도네시아 국가연구혁신청이 현지 전기차 생태계 성장을 위한 협업에 나설 예정이다. 인도네시아 국가연구혁신청장의 현대차 현지 공장 방문이 계기가 됐다. 전기 목적기반차량 시스템 개발을 시작으로 다양한 협업 기회를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16일 인도네시아 국가연구혁신청(BRIN)에 따르면 락사나 트리 한도코(LAKSANA TRI HANDOKO) 인도네시아 연구혁신청장은 지난 12일 베카시 치카랑 산업지구에 위치한 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HMMI·Hyundai Motor Manufacturing Indonesia)을 방문했다. 한도코 청장은 이날 이봉규 현대차 인도네시아법인장과 이강현 현대차 아태권역본부 최고운영책임자(COO)의 안내를 받으며 HMMI △프레스 △차체 △조립 등 전반적인 생산 시설을 둘러봤다. 시설 견학을 마친 한도코 청장은 HMMI의 향후 계획에 대한 브리핑도 받았다. 이후 한도코 청장은 현대차의 인도네시아 전기차 시장 활성화 노력에 공감하면서 BRIN과의 협업을 요청했다. 함께 전기 목적기반차량(PBV·Purpose-Built Vehicle) 개발에 나서자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전기 PBV 개발 관련 BRIN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인도네시아 판매량이 5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면서 급감했다. 현지 친환경차 시장이 전기차에서 하이브리드차로 역전환되는 과정에서 수요 확보 시기를 놓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차는 현지 시장에 싼타페와 투싼 하이브리드를 투입, 반전을 꾀하고 있으나 올해 판매 3만 대 달성은 여의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16일 인도네시아자동차공업협회(GAIKINDO)에 따르면 현대차 인도네시아판매법인(HMID)은 올해 들어 11월까지 총 2만543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 3만2684대 대비 37.14% 급감한 수치이다. 지난 7월부터 5개월 연속 판매가 감소했다. 해당 기간 HMID 월별 판매량은 △7월(1759대) △8월(1555대) △9월(1491대) △10월(1451대) △11월(1651대)로 6월 이후로 단 한 차례도 월 2000대 판매를 넘기지 못했다. 누적 판매 기준 브랜드별 현지 판매 순위는 9위를 달리고 있다. 전년 동기 6위 대비 3계단 하락했다. 현재 판매 추세라면 연말 3만 대를 넘기기도 어려울 전망이다. 올해 목표였던 4만 대 이상 판매는 실현 가능성이 제로(0)다. 앞서 HMID는 지난해 3만5736대를 기
[더구루=윤진웅 기자] KG모빌리티가 전 세계에서 '가장 젊은' 국가로 알려진 코소보 자동차 시장에 진출했다. 세련된 디자인과 내구성, 성능을 토대로 현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픽업 트럭 시장 공략에 나섰다. 특히 경쟁력 제고를 위해 기본 사양을 높이고 파격적인 보증 혜택까지 마련해 눈길을 끌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KG모빌리티는 최근 코소보에 진출했다. 브랜드 핵심 모델인 △티볼리 △코란도 △토레스 △토레스EVX △렉스턴 무쏘 그랜드(국내명 렉스턴칸스포츠) 총 5종으로 현지 판매 라인업을 꾸렸다. 합리적인 가격과 높은 가치 제공을 우선으로 기본 사양을 업그레이드하고 10년(20만km) 파격적인 보증을 마련했다. 코소보는 전 세계에서 가장 젊은 국가이다. 현재 코소보 전체 인구 약 159만 명의 절반가량(약 79만 명)이 25세 이하인 것으로 집계됐다. 높은 출산율과 코소보 전쟁 종식 등의 영향으로 경제적 회복과 인프라 재건이 반복되면서 인구도 증가하고 있다. KG모빌리티는 시승 체험을 위한 공간도 확보했다. 그라카니카 라플라셀라에 위치한 공인 딜러숍 델핀 LTD(Delfin LTD)를 통해 접수를 받고 있다. KG모빌리티 차량 성능을 궁금해하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협력사 SJG세종이 미국 조지아에서 전기차 부품 공장 가동을 시작했다. SJG세종은 현대차그룹 전기차 전용 공장 신설과 맞물려 전기차 배터리팩 공급사로 선정되며 내연기관차 중심 부품사에서 친환경차 부품사로 영점을 맞추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SJG세종은 지난 12일 미국 조지아주 라그랑(La Gr ange)에 통합충전제어장치(Integrated Charging Control Unit·ICCU) 제조 공장을 완공하고 준공식을 가졌다. 착공한 뒤 1년 6개월 만이다. 앞서 SJG세종은 지난해 6월 자동차 부품 생산 영역을 전기차까지 확장하고 현대차·기아 현지 전기차 생산 지원을 위해 현지 공장을 인수한 바 있다. ICCU는 전기차 주요 부품 중 하나이다. 배터리 충전과 에너지 관리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고전압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를 저전압 에너지로 변환하고, 배터리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최적의 충전 전압과 전류를 설정한다. 또한 ICCU는 배터리와 외부 충전 장치 간 통신을 관리, 조절하며 충전 시스템과 차량의 통신을 통해 충전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차량 충전 스케줄을 관리하고 사용자의 충전 요구에 맞춰 충전을
[더구루=윤진웅 기자] 테슬라가 내년 상반기 가성비 전기차 모델을 출시할 것이라는 소식이 나왔다. 판매 가격은 3만 달러(한화 약 4200만원) 이하로 폭스바겐 ID.3와 비야디(BYD) 돌핀과 경쟁을 펼칠 전망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트래비스 악셀로드 테슬라 IR 책임자는 최근 독일계 투자은행 도이체방크가 주최한 투자자 회의에서 테슬라가 내년 상반기 ‘모델Q’라는 신차를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코드명은 ‘레드우드’이다. 모델Q는 테슬라의 최신 차량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될 예정이다. 모델3와 비교해 30% 더 가볍고 15%가량 작다. 제조 원가도 모델3의 절반 수준으로 알려졌다. 53k·75kWh 구성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팩과 단일 및 이중 모터가 조합되며 1회 충전 주행 거리는 약 500km이다. 경쟁 모델로는 폭스바겐 ID.3와 비야디(BYD) 돌핀이 꼽힌다. 미국은 물론 중국 출시 여부는 정해진 바 없지만, 모델Q가 상하이 기가 팩토리에서 생산될 경우 판매 가격은 약 14만 위안(약 2 755만원)까지 낮아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업계는 모델Q 출시에 따른 테슬라 연간 판매량이 최대 30%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신모델 출시에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중국 합작사 베이징현대에 1조6000억 원에 달하는 실탄 장전을 토대로 중국 전략 전기차 시장 공략에 나선다. 현지 운전자 선호도를 고려한 중국 전략형 전기차 모델 매트릭스를 구축할 방침이다. 이와 더불어 중국발(發)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해 '내수 40만대+수출10만대' 계획도 구체화했다. 13일 베이징현대에 따르면 내년 중국 신에너지차(NEV) 시장 공략을 위해 중국 전략형 전기차를 출시한다. '中 독자 EV 플랫폼+기술 현지화' 융합 전략을 토대로 설계부터 개발까지 모두 중국 현지에서 모두 진행된 전기차가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향후 2년 내 장거리 전용 트림 3개 모델도 추가로 선보일 예정이다. 궁극적으로 현지 운전자 선호도에 맞는 신에너지차(NEV) 모델 매트릭스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미 중국 전략형 EV 플랫폼 개발에 착수한 상태이다. 이와 더불어 현지 전략형 전기차 모델 개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상하이 디지털 R&D 센터와 현지 기술 공급망도 강화했다. 아울러 내년 연간 생산 목표도 50만 대로 제시했다. 40만 대를 내수에서 소화하고 나머지 10만 대를 수출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수출 목표는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미국 자동차 금융 디지털 서비스 고객 만족도 '톱10' 목록에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13일 미국 시장조사 업체 J.D.파워가 발표한 '2024년 미국 자동차 금융 디지털 경험 연구'(2024 U.S Automotive Finance Digital Experience Study)에 따르면 현대차 파이낸스(Hyundai Motor Finance)는 7위를 기록했다. 1000점 만점 가운데 677점을 획득했다. 이는 전체 평균 점수(690점)보다 13점 낮은 수치이다. J.D.파워 미국 자동차 금융 디지털 경험 연구는 매년 자동차 금융 웹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앱)에 대한 고객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진행된다. 올해의 경우 자동차 금융 고객 6090명을 대상으로 설문이 이뤄졌다. 주요 평가 항목은 △UI/UX △콘텐츠 △안내 △속도 4가지였다. 기아 파이낸스 아메리카(Kia Finance America)는 현대차 파이낸스와 함께 '톱10' 목록에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총 640점을 받아 10위에 랭크됐다. 현대차·기아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객 금융 디지털 경험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궁극적으로
[더구루=윤진웅 기자] 다국적 기업 간 배터리 합작사 'ACC(Automotive Cells Company)'가 프랑스 배터리 공장 증설 지원을 위한 자금 마련에 나섰다. 글로벌 전기자동차 산업 성장세가 주춤세를 보이는 상황에서도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ACC는 최근 스텔란티스와 메르세데스-벤츠를 보증인으로 앞세워 10억 유로(한화 약 1조4980억 원) 규모 대출을 신청했다. 대출 심사가 완료되는 대로 최종 서명할 예정이다. ACC는 이번 자금을 토대로 프랑스 기가팩토리 연 생산 규모를 최대 40GWh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배터리 생산 규모는 연 15GWh이며, 두 번째 생산 시설은 연 13GWh 규모로 지어지고 있다. ACC는 글로벌 전기자동차 산업 성장세가 주춤세를 보이고 있는 것과는 무관하게 투자를 지속해서 이어갈 계획이다. 이번 프랑스 배터리 공장 증설 자금 마련에 앞서 최근 중국 CATL과 협력을 토대로 스페인 배터리 공장을 설립하겠다고도 발표했다. ACC는 독일과 이탈리아 공장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새로운 로드맵도 제시할 방침이다.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과 이탈리아 테르몰리에 들어설 예정이었던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브랜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앱) '마이현대'가 미국에서 일반 브랜드 부문 전기차 앱 만족도 '1위'에 이어 일반 브랜드 부문 내연기관 자동차 앱 만족도에서도 '정상'을 차지했다. 이와 함께 제네시스 브랜드 앱이 프리미엄 브랜드 부문 내연기관 자동차 앱 만족도에서 '최고점'을 받아 1위에 오르며 겹경사를 이뤘다. 12일 미국 시장조사 업체 J.D.파워가 발표한 '2024년 미국 자동차 제조사 내연기관 애플리케이션 보고서'(2024 U.S. OEM ICE App Report)에 따르면 현대차 '마이현대'(MyHyundai) 앱은 일반 브랜드 부문 1위에 올랐다. 1000점 만점 가운데 895점을 획득했다. 이는 전체 평균 점수(737점)보다 무려 158점이나 높은 수치이다. J.D.파워 미국 자동차 제조사 내연기관 애플리케이션 보고서는 브랜드별 내연기관 소유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이뤄진다. 자동차 모바일 앱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토대로 △보안 △앱 내 마켓플레이스 △차량 기능 업데이트 △활용성 △이용료 △만족도 등 항목을 평가한다. 이번 조사는 지난 10월부터 11월까지 2개월간 미국 내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 1900여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달 월간 베트남 월간 판매 1위 자리를 되찾았다. 지난 4월부터 7개월 연속 현지 월간 판매 정상을 지켜온 토요타의 독주를 8개월 만에 끊어냈다. 하지만 연말까지 한 달을 앞두고 아직 누적 판매량으로는 300여대 가량 뒤처지고 있어 역전에 성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2일 현대차 베트남 합작사 현대탄콩에 따르면 지난달 1만303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월(7639대) 대비 34.9% 증가한 수치이다. 판매 라인업 중에서는 액센트가 2052대로 브랜드 월간 베스트셀링카 자리를 이어갔고, 투싼이 전월(558대) 대비 3배가량 확대된 1584대를 기록하며 실적을 뒷받침했다. 특히 현대차은 지난달 토요타를 1452대 차이로 제치고 8개월 만에 월간 판매 순위 1위를 탈환했다. 토요타는 같은 달 8851대 판매에 그치며 2위로 밀려났다. 앞서 토요타는 지난 4월부터 10월까지 7개월 연속 월간 판매 1위를 기록한 바 있다. 하지만 아직 누적 판매량으로는 토요타에 383여 대 뒤처지고 있다. 올해 들어 11월까지 현대차과 토요타 누적 판매량은 각각 5만8849대와 5만9232대이다. 다만 양사 누적 판매 격차가 크게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산하 미국 로봇전문업체 '보스턴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가 인력 구조 조정을 단행했다. 경쟁사들의 대규모 투자 유치로 입지 축소가 우려되는 상황이지만 구조 조정을 통해 생산 집중력을 높이고 비용은 줄이기 위한 조치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보스턴다이내믹스에 사재 2400억 원을 투입하며 각별한 애정을 보이고 있지만 보스턴다이내믹스 자체 경쟁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는 계속 나오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보스턴다이내믹스는 지난 10일 직원 45명을 해고했다. 이는 전체 인력의 약 5%에 해당하는 수치다. 조직 내 거의 모든 부서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이다. 지속 가능한 운영 모델로 전환하는 동안 재정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력 조정이 불가피했다는 설명이다. 보스턴다이내믹스는 지난 2021년 이후로 전체 조직을 4배 가까이 확대하는 등 덩치를 키우는 데 집중했다. 이를 토대로 글로벌 로봇 시장에서 자사 로봇개 스폿과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의 기술력을 알리는 데 집중했다. 하지만 호평 만큼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고 운영 비용에 대한 부담은 계속 늘어갔다. 이런 가운데 어질리티 로보틱스(A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최대 D램 제조사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스(CXMT, 중국명 长鑫存储技术)가 D램 가격 표준이 되는 DDR4형 메모리 가격을 인상할 것으로 보인다. CXMT는 지난해 DDR4 생산량을 대폭 늘리는 한편 가격 인하까지 동반하며 D램 시장에서 빠르게 존재감을 키웠지만 불과 1년이 안된 사이 가격 인상을 고민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몇 년간 메모리 가격이 하향 안정화된 가운데 CXMT의 가격 상승이 반도체 업계에 어떤 영향을 또 불러올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일 대만 최대 IT전문매체 디지타임스(DIGITIMES)에 따르면 CXMT는 범용 메모리인 DDR4의 수요와 공급 안정화 추세가 지나면 가격 인상에 나설 전망이다. CXMT은 그동안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해 DDR4 가격 덤핑을 해왔다. 자국산 D램을 우대하는 보조금 정책을 유지하면서 저렴한 가격에 중국 디바이스 제조자들에게 D램 공급을 늘려왔다. <본보 2025년 2월 19일 참고 D램 국제가격 하락세 가속...中 자국산 생산·사용 확대가 주요인> CXMT 외 중국 대표 메모리 제조업체인 푸젠진화(福建晉華·JHICC)도 DDR4을 50% 할인된 가격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챗GPT를 활용한 '지브리 스타일 사진 만들기'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오픈AI 인프라에 심각한 부담이 되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오픈AI는 과부화가 지속될 시 신규 서비스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료기사코드] 샘 알트만 오픈AI CEO는 1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챗GPT 이미지 변환에 컴퓨팅 자원을 집중하면서 신규 기능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며 "일부 기능은 중단되고 서비스가 느려질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달 28일에도 "사람들이 챗GPT로 즐거워하고 있지만 우리의 GPU는 녹아내리고 있다"며 인프라 과부화 문제를 알린 바 있다. 오픈AI 인프라가 과부화된 배경에는 지난달 25일 출시된 챗GPT-4o 이미지 생성 모델이 있다. 해당 모델 출시 직후 전세계 이용자가 자신의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로 변환하기 시작한 것. 이용자들은 지브리 외에도 픽사와 디즈니, 심슨, 명탐정 코난, 짱구는 못말려 스타일로 사진을 변경하고 있다. 문제는 해당 기능이 전세계적인 입소문을 타면서 신규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점이다. 알트만 CEO는 지난달 31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