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글로벌 3대 명차 브랜드 벤틀리가 럭셔리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벤테이가' 출시 10주년을 기념한 스페셜 에디션 모델을 선보였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베틀리는 최근 벤테이가 아틀리에 에디션(Bentayga Atelier Edition)을 공개했다. 벤테이가 아틀리에 에디션은 벤틀리가 직접 설정한 컨피규레이터로 고객에게 제공되는 특별한 모델이다. 다섯 가지 고유 컬러가 제공되며 고급스러움을 강조하기 위해 새틴과 크롬을 아낌 없이 사용했다. 측면부에는 차별화를 위한 아틀리에 에디션 배지가 부착됐다. 10 스포크 디자인을 적용한 22인치 휠에는 벤틀리 셀프 레벨링 센터 캡이 장착됐다. 실내는 외관에 맞춘 색상으로 조합됐다. 고급스러운 브러시드 알루미늄과 우드 트림, 최고급 가죽과 투톤 마감까지 선택할 수 있다. 파워트레인은 V8 4.0리터 엔진과 V6 3.0리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두 가지로 제공된다. W12 엔진은 제공되지 않는다. 판매 가격은 발표하지 않았다. 다만 일반 벤테이가보다 더 높은 프리미엄이 붙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일반 벤테이가의 경우 옵션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2억 원 후반에서 3억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준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투싼이 스페인 중고차 시장에서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매물 등록 기준, 평균 한 달이면 새 주인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현지 중고차 시장에서 가장 짧은 기간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투싼은 지난달 지난달 스페인 중고차 시장 판매 1위 모델로 꼽혔다. 평균 회전 기간은 30일로 집계됐다. 특히 8년 전 출시된 구모델이 인기다. 평균 1만~1만2000유로 저렴한 가격이 매력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투싼의 인기 덕에 스페인 중고차 시장도 활력을 띄고 있다. 같은 달 신차가 아닌 중고차를 선택한 운전자가 두 배 이상 많은 것으로 전히잰다. 특히 투싼의 이 같은 인기는 현지 브랜드 이미지와 인지도 제고로 이어지고 있다. 올해 현지 시장 판매량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는 올해 전년 대비 5% 성장한 6만8000대, 점유율은 0.1%포인트 늘어난 6.5%를 예상하고 있다. 이는 스페인 시장 규모가 전년 대비 3%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을 반영한 수치이다. 목표 달성을 위해 현지 전기차 판매 라인업 확대를 위한 작업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이미 보급형 전기차 모델 인스터(국내명 캐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저장지리홀딩그룹(Zhejiang Geely Holding Group) 산하 브랜드 볼보가 상하이 엔지니어링 팀의 주도로 개발한 첫 번째 글로벌 모델이 관심과 우려의 시선을 동시에 받고 있다. 미래차 플랫폼을 탑재한 스마트카라는 점은 기대감을 키우고 있는 반면 중국산이라는 점과 생성형 AI 딥시크(DeepSeek) R1 탑재 예고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볼보는 오는 5일 차세대 플래그십 전기 세단 'ES90'을 공개할 예정이다. ES90은 볼보 미래차 플랫폼 '슈퍼셋 테크 스택'을 기반으로 한 브랜드 최초 순수 전기 세단이다.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개념을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듀얼 엔비디아 드라이브 AGX 오린 반도체를 을 탑재해 기존 대비 8배 향상된 인공지능(AI) 컴퓨팅 성능을 제공하며, 무선 업데이트(OTA)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SPA2 플랫폼을 기반으로 EX90에 이어 두 번째로 슈퍼셋 테크 스택을 적용한 모델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단일 시스템으로 통합돼,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만으로도 차량의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중국 신에너지차(NEV) 공략을 위한 현지 전략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을 하반기 출시한다. 현지 시장 반등을 위한 새로운 전환점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특히 신차 개발부터 양산 단계에 이르는 전 과정에 현지 고객들의 의견을 반영할 것이라고 약속한 모델인 만큼 현지 운전자들의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중국 합작사 베이징현대는 오는 9월 중국 신에너지차(NEV) 시장에 전략형 전기 SUV 모델(코드명 OE)을 출시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전기차 출시 시기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차가 선보이는 OE는 지난해 10월 中 독자 EV 플랫폼+기술 현지화’ 융합 전략을 통해 개발을 시작한 전기차이다. 로컬 전기차 브랜드와 경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중국 전략형 EV 플랫폼이 탑재된다. 개발은 현대차 첨단기술연구개발(상하이) 유한회사(Hyundai Motor Advanced Technology R&D (Shanghai) Co., Ltd.·이하 상하이 연구센터) 주도하고 있다. 현지 운전자 고려한 독점적인 설계를 통해 개발한 EV 플랫폼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디자인과 첨단 신기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완성차 제조사 제너럴 모터스(GM)가 줄소송 위기에 놓였다. 자회사인 온스타가 고객 동의 없이 운전 데이터를 브로커 및 보험사에 판매한 사실이 적발되면서 아칸소주가 소송을 제기했다. 아칸소주뿐 아니라 다른 주에서도 소송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팀 그리핀 아칸소주 검찰총장은 지난 26일 GM과 온스타를 사기 행위 혐의로 가처분 신청을 냈다. 지난 10년간 교묘한 방법으로 운전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당 데이터를 브로커에 제공, 보험사가 보험료와 보장 범위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줬다는 이유에서다. 아칸소주 필립스 카운티에서 접수된 민원 등을 예로 들어 실제 운전자 보험료 인상과 보험 가입 거부 등이 이뤄졌다는 사실도 밝혔다. 그리핀 총장은 "GM과 온스타는 온보딩 프로세스를 의무적으로 보이게끔 만들어 운전자와 차량의 안전을 위한 데이터 수집인 것처럼 위장, 소비자를 기만했다"며 "고객 동의를 얻는 과정에서 정보 활용을 짐작할 수 없게 만든데다 이들 회사가 제공하는 고객 데이터 정보 수집 동의 내용을 주의 깊게 읽더라도 보험사에 제공된다는 사실을 알 수 없게 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가처분 신청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 전기차 모델이 미국 시장조사기관 J.D. 파워가 실시한 전기차 만족도 조사 '톱10'을 휩쓸었다. 아이오닉6 포함 총 6개 모델이 순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28일 J.D. 파워에 따르면 현대차 아이오닉6는 'JD 파워 2025 US EVX(Electric Vehicle Experience) 만족도 조사' 일반 전기차 부문에서 1000점 만점 기준 751점을 기록, 1위를 차지했다. 평균(725점)보다 26점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기아 EV6는 743점으로 2위, 쉐보레 이쿼녹스EV는 737점으로 3위에 올랐다. 이어 아이오닉5와 쉐보레 블레이저EV가 각각 728점과 724점으로 4위와 5위를 기록했다. 6위부터 10위는 △기아 EV9(724점) △코나EV(720점) △포드 머스탱 마하-E(718점) △스바루 솔테라(714점) △니로EV(702점) 순이었다. JD파워가 올해로 5년째 진행하고 있는 US EVX 만족도 조사는 매년 미국 운전자를 대상으로 △주행거리 정확도 △충전 편의성 △유지 비용 △주행 만족도 등 10가지 항목을 토대로 이뤄진다. 이번 조사는 북미 전기차 충전소 정보공유 앱 '플러그쉐어'(PlugShar
[더구루=윤진웅 기자] 호세 무뇨스 현대자동차 대표이사(사장)가 2025년 글로벌 자동차 산업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선정됐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메리 배라 GM 회장, R.J 스카린지 리비안 창업자 겸 CEO 등이 '톱5'에 이름을 올렸다. 미국 자동차전문지 모터트렌드(MotorTrend)는 27일(현지시간) 무뇨스 사장이 '올해의 인물'(Person of the Year 2025)」로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모터트렌드는 이날 '2025 모터트렌드 파워리스트(2023 MotorTrend Power List)' 50인을 공개했다. 무뇨스 사장의 지난해 순위는 15위였다. 지난 1949년 미국에서 창간된 모터트렌드는 자동차 분야 최고 유력매체이다. 매년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서 영향력 있는 50인의 파워리스트를 공개하고, 그 중 가장 영향력이 높은 1인을 '올해의 인물'로 명명한다. 모터트렌드 파워리스트는 모터트렌드 에디터들과 자문위원들의 엄격한 평가와 비공개 투표를 통해 작성되고 순위가 결정된다. 모터트렌드는 무뇨스 사장이 현대차 창사 이래 첫 외국인 최고경영자(CEO)로서 현대차의 기록적인 성장을 이끌었
[더구루=윤진웅 기자] "르노가 아브토바즈 지분을 다시 매입할 경우 1125억 루블(한화 약 1조8640억 원)을 지불해야 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막심 소콜로프 아브토바즈(AvtoVAZ)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러시아 국영 리아 노보스티(RIA Novosti)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러시아 시장 철수 이후 부재 기간 동안 이뤄진 투자비 상환 명목이라는 것. 아브토바즈는 르노가 러시아 시장 철수 전까지 최대 주주를 지냈던 러시아 국민차 라다 생산 업체이다. [유료기사코드] 그는 "2023년 우리 투자 규모는 275억 루블이 넘었고, 지난해에는 400억 루블에 달했다"며 "올해에는 투자 계획상 최소 450억 루블이 투입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기 위한 미국과 러시아 간 논의가 시작된 가운데 막심이 르노의 러시아 복귀 조건을 제시함에 따라 르노 러시아 시장 복귀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르노 역시 러시아 시장 재친출을 염두에 두고 있다. 루카 데 메오 르노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20일 보도된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자사가 러시아로 복귀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 중국 사업 고전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4년간 부진이 이어지면서 철수설 마저 돌고 있다. 올해 성적이 중국 사업 존폐 여부를 결정지을 것으로 분석된다. 27일 중국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CPCA)에 따르면 제네시스모터차이나(GMC)는 지난해 중국 프리미엄 자동차 시장에서 총 1328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1558대) 대비 14.8% 감소한 수치이다. 지난 2021년 중국 재진출 첫해 367대를 판매한 뒤 2022년 1457대, 2023년 1558대를 기록,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경쟁 브랜드 이른바 BBA(메르세데스-벤츠, BMW, 아우디) 비교할 때 매우 초라한 성적이다. 제네시스 현지 라인업은 △G70 스포츠 세단 △GV70 중형 SUV △G80 중대형 세단 △GV80 중대형 SUV △G90 플래그십 세단 △G90 이그제큐티브 확장 버전 △G80 순수 전기 세단 △GV70 순수 전기 SUV △GV60 순수 전기 SUV 총 9개 모델로 구성돼 있으나 낮은 브랜드 인지도가 부진의 원인으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의 경우 프리미엄 자동차는 독일이라는 등식이 성립돼 있는 상태"라며 "제네시스의 경우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브라질 상파울루대학과 함께 ‘에탄올 재생수소’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수소연료전지 전용 모델 '넥쏘'를 투입, 세계 최초로 에탄올을 활용해 생산한 수소 에너지를 테스트하고 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룰라 대통령과 브라질 정부 탈탄소 정책에 대해 햡의한 지 약 1년 만이다. 27일 브라질 상파울루 주립대학교에 따르면 현대차는 브라질 USP에서 수소차 넥쏘 테스트 운행을 시작했다. 현대차는 USP 온실가스 혁신 연구센터(Research Centre for Greenhouse Gas Innovation, RCGI)가 진행하는 프로젝트에 참여, USP 내 세계 최초로 마련된 에탄올 재생 수소 충전소를 활용하고 있다. 에탄올에서 생산된 수소의 순도를 평가하고, 더 나아가 에탄올 재생 수소 충전소의 대중화를 이루겠다는 목표이다. 이번 프로젝트 참여는 지난해 2월 정의선 회장이 브라질을 방문,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Luiz Inácio Lula da Silva) 브라질 대통령, 카를로스 길베르토 칼리로티 주니어(Carlos Gilberto Carlotti Junior) 상파울루대학 총장 등을 만나 동반성장과 탄소중립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자율주행 미국 자회사 모셔널(Motional)이 시속 120㎞에 달하는 고속주행 테스트를 성공했다. 로보택시 고속도로 주행에 대한 초석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고속주행 능력에 걸맞는 안전성을 갖춰 내년 상업 운행에 본격 나선다는 목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모셔널은 미국 현대차그룹 모하비주행시험장에서 로보택시 시속 120㎞ 고속주행 테스트를 성공했다. 이번 테스트는 모셔널이 현대차 미국기술연구소(Hyundai America Technical Center, HATCHI)와 협업, 테스트 신뢰도와 안전성을 확보했다. 엄격한 검증을 위해 맞춤형 시물레이션툴을 사용한 뒤 아이오닉5를 기반으로 한 로보택시를 10㎞ 타원형 트랙에 투입했다. 이후 점차 속도를 높여 고속주행 성능 데이터를 수집했다. 모셔널은 도심 주행을 넘어 고속도로에서도 로보택시를 운용하겠다는 계획이다. 단순히 고속으로 달리는 능력을 구비하는 것뿐만 아니라 고속주행 상황에서도 승객이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성능을 개발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이번 테스트에서 승차감에 대한 피드백을 통합한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로보택시는 운전자 간섭 없이 차량 스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테슬라 인도 진출이 또 다시 좌절될 위기다. 모디 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만남으로 미뤄왔던 계획이 급물살을 탔지만, 인도 당국이 새로운 전기차 정책 도입을 예고하면서 현지 채용 등 진행 사항이 올스톱됐다. 내달 최종안 발표 전까지 일단 관망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 중공업부는 자동차 제조업체 등 자동차 산업 이해관계자들과 전기차 정책 초안을 협의하고 있다. 이르면 내달 최종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이번 전기차 정책은 현지 자동차 제조 산업 발전 촉진에 초점을 두고 마련되고 있다. 따라서 인도 중공업부는 외국 자동차 업체의 충전 인프라 투자 비중을 약정 투자액에 최대 5%로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지 전기차 생산을 위해 5억 달러를 투자하는 경우 충전 인프라 투자는 2500만 달러까지 가능한 셈이다. 충전 인프라 투자 비용을 늘리더라도 추가 세금 감면 혜택을 적용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즉 외국 자동차 업체에는 현지 생산을 우선시하도록 하고 충전 인프라 등은 로컬 기업들이 도맡을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심산이다. 초안이 최종안으로 굳혀질 경우 외국 자동차 업
[더구루=김형수 기자] 일본 제약회사 시오노기(Shionogi)가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조코바(Xocova·성분명 엔시트렐비르) 현지 적응증 확대에 나섰다. 기존 치료제에서 코로나19 예방 의약품으로 조코바 사용 범위를 넓히고 '코로나19 의약품 대표 기업'으로 자리매김한다는 계획이다. 조코바는 일동제약이 시오노기와 공동개발한 치료제다. [유료기사코드] 시오노기는 31일 일본 후생노동성에 조코바를 코로나19 바이러스 노출 후 예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적응증 추가 승인을 신청했다. 지난해 3월 승인을 받은 데 이어 적응증 확대를 추진하는 것. 노출 후 예방은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해 감염 가능성이 발생한 경우 치료제를 투여해 발병을 막는 치료 행위를 의미한다. 내년 1분기 내 일본 후생노동성의 추가 승인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일본 후생노동성 심사 기간은 통상 약 12개월이 소요된다. 시오노기는 조코바 글로벌 제3상 노출 후 발병예방시험(SCORPIO-PEP·이하 글로벌 3상) 결과를 토대로 이번 추가 신청을 추진했다고 전했다. 시오노기는 미국과 남미, 아프리카, 일본 등에서 12세 이상 인구 2387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3상을 시행했다. 코로나19 바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12인치(300㎜) 웨이퍼 공장 수가 오는 2027년까지 70곳을 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 대중 제재에도 불구, 중국 반도체 굴기가 이어지고 있는 양상이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중국 광다(光大)증권에 따르면 중국 내 12인치 웨이퍼 공장 수는 2024년 29개에서 오는 2027년 71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2027년 글로벌 전체 12인치 웨이퍼 공장는 239개가 될 것으로 전망, 중국 비중은 세계 공장의 약 30%를 차지한다. 중국 내 웨이퍼 공장 확대는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응하는 한편 인공지능(AI) 칩 수요 급증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 대중 재제가 오히려 중국 본토 첨단 반도체 공장 설립을 촉진, 현지 반도체 산업 발전에 가속화됐다는 것. 미국은 지난 2022년 10월부터 18나노 공정 이하 D램, 14나노 이하 시스템 반도체 생산 장비와 기술에 대한 수출을 통제하고 있다. 이에 중국은 구형 반도체 기술로 눈을 돌리며 8인치(200㎜) 웨이퍼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나 12인치 웨이퍼 생산도 이어나가고 있다. 12인치 웨이퍼는 첨단 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이다. 8인치 웨이퍼보다 면적이 2.5배 넓어 웨이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