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우리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이 신규 자금 조달을 추진한다. 자금 조달은 신주 발행을 통해 진행되며 우리은행도 참여 의사를 밝혔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우리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인 우리소다라은행은 64억 주의 신주를 발행할 예정이다. 이는 발행·납입 자본금의 42.76%에 해당한다. 각 신주의 액면가는 주당 100 루피아이며, 행사 가격은 주당 500 루피아로 책정될 예정이다. 총 자금 조달 규모는 3조2000억 루피아(약 2700억원)에 이른다. 신주 발행 등록일은 오는 3월22일 이뤄진다. 신주 배정은 3월25일, 신주 상장은 3월22일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로 예정돼 있다. 회사 DPS(주당배당금)에 이름이 기록된 구주 보유자는 각각 16억 개의 우선매수청구권을 취득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각 신주인수권 1주는 주당 500 루피아의 행사 가격으로 신주 1주까지 매입할 수 있으며, 신주인수권 행사 주문서를 제출할 때 전액 지불해야 한다. 우리은행도 이번 신주 발행에 참여한다. 우리은행은 우리소다라은행의 최대주주로 지분 84.20%에 해당하는 72억1000만 주를 보유하고 있다. 우리소다라은행 이번에 확보한 자금 중 90
[더구루=정등용 기자] KB국민은행의 인도네시아 자회사 KB부코핀은행이 실적 개선을 위한 혁신 프로세스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26일 KB부코핀은행 사업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월 사업 순손실은 5123억6000만 루피아(약 440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월 651억6000만 루피아(약 55억원)의 순손실보다 크게 증가한 수치다. 이에 KB부코핀은행은 도매 부문에서 형성된 포지셔닝과 비즈니스 생태계를 활용해 중소기업 및 소매 부문을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자산 건전성과 제3자 펀드(DPK) 성장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상품, 프로세스, 인적 자원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자금 조달과 대출 측면에선 한국 연계 비즈니스 고객 수를 늘려 성장을 지속적으로 이어간다는 목표다. 현재 인도네시아에는 현대자동차와 CGV, 롯데 등 2000여개의 한국 기업이 진출해 있어 KB부코핀은행의 사업 연계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모기업인 국민은행과의 기술 협력도 강화될 전망이다. 올해 중반 구현될 예정인 차세대 뱅킹 시스템(NGBS) 프로젝트가 추진 중인 가운데, 지난해 말에는 KB스타 디지털 뱅킹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하기도 했다. 로비 몬동 KB부코핀은행 부행장은 “올해
[더구루=정등용 기자] KDB산업은행이 미국 재생 에너지 기업 스트라타 클린 에너지(Strata Clean Energy)의 자금 조달을 지원한다. 스트라타 클린 에너지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단지 프로젝트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스트라타 클린 에너지는 스캐터 워시(Scatter Wash) 배터리 에너지 저장 단지 건설을 위해 5억5900만 달러(약 7457억원)의 자금 조달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산업은행은 이번 자금 조달 과정에서 미국 뱅코프 임팩트 파이낸스(Bancorp Impact Finance), 코뱅크(CoBank), 노르트도이체 란데스방크(Norddeutsche Landesbank)와 공동 주간사를 맡았다. 대표 주간사로는 JP모건(JP Morgan)과 노무라(Nomura)가 이름을 올렸다. 지멘스(Siemens)와 리전스(Regions)는 이번 자금 조달에 대출기관으로 참여했으며, 뱅코프 임팩트 파이낸스는 주요 세금 지분 투자자로도 역할을 한다. 스캐터 워시 배터리 에너지 저장 단지는 지난달 18일 애리조나주에서 착공해 내년 4월 가동을 앞두고 있다. 최대 1GWh(기가와트시) 규모의 에너지 저장이 가능하며, 이는 여름철
[더구루=정등용 기자] 하나은행이 신태용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과 2년 연속 브랜드 홍보 파트너십을 이어간다. 하나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은 20일(현지시간) ‘미래를 담다’ 캠페인 홍보대사로 신태용 감독을 임명한다고 밝혔다. 하나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은 신태용 감독에 대해 “낙천적이고 목표 달성에 투지가 강한 진취적인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면서 “인도네시아에서도 인기가 높아 홍보대사로 선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하나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은 신태용 감독과 2년째 홍보 파트너십을 이어가게 됐다. 하나은행은 신 감독과의 협력을 통해 인도네시아에서 금융 파트너로서 대중 신뢰도와 인지도를 높여왔다. 박종진 하나은행 인도네시아법인장은 “이번 협력은 하나은행이 모든 단계에서 고객을 지원하고 돕기 위한 행보 중 하나”라며 “하나은행과 신 감독이 파트너로서 공유하는 공통의 가치를 바탕으로 고객 니즈에 맞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하나은행은 지난 2007년 현지은행인 빈탕마눙갈은행을 인수하며 인도네시아에 진출했다. 이후 지난 2014년에는 외환은행 현지법인과 합병하며 인도네시아 30위권 은행으로 자리매김했다. 하나은행
[더구루=홍성환 기자] 신한은행이 카자흐스탄 체육시설 현대화 사업에 자금을 지원한다. 신북방 거점 국가인 카자흐스타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신한은행 카자흐스탄법인과 유럽부흥개발은행(EBRD)은 수도 알마티 소재 체육시설인 아타켄트 비즈니스 협력 센터(Atakent Business Cooperation Centre) 현대화 사업에 자금을 지원한다. 신한은행과 EBRD는 이 사업에 660만 달러(약 90억원)의 대출을 제공할 예정이다. 아타켄드 센터에는 현대적인 체육관과 실내외 훈련 시설, 수영장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프로 선수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도 이용 가능하다. EBRD는 소련 붕괴 이후 동유럽과 구소련 국가의 시장경제 체제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1991년 설립된 지역개발 금융기구다. 신한은행은 EBRD와 협력해 카자흐스탄 여러 분야에 지속해서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앞서 작년 12월 EBRD로부터 최대 800만 달러(약 100억원) 규모 유동성을 공급받아 청년창업대출을 선보였다. <본보 2023년 12월 5일자 참고 : 신한은행, '신북방 핵심' 카자흐스탄 청년 창업 돕는다> 한편, 신한은행은 지난
[더구루=홍성환 기자] KDB산업은행이 20년 만에 룩셈부르크 금융시장에 채권을 상장했다. 한국과 룩셈부르크 두 나라 간 경제 협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20일 룩셈부르크 증권거래소(LuxSE)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지난 19일 룩셈부르크 거래소에 30억 달러(약 4조원) 규모 채권을 상장했다. 산업은행이 룩셈부르크소에 채권을 상장한 것은 2004년 이후 처음이다. 앞서 산업은행은 이달 초 30억 달러 규모 글로벌 채권 발행에 성공했다. 트랜치(만기구조)는 3년물과 5년물 고정금리부채권으로 각각 17억5000만, 12억5000만 달러 규모다. 쿠폰 금리는 3년물·5년물 각각 4.625%·4.50%다. <본보 2023년 2월 5일자 참고 : KDB산업은행, 올해 첫 달러화 채권 발행 채비> 룩셈부르크 거래소 측은 "산업은행이 글로벌 채권을 위해 세계 최고의 시장인 우리 거래소에 다시 합류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다른 한국 발행인들도 뒤따라 룩셈부르크 거래소를 찾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룩셈부르크는 제주도의 2배 정도의 크기인데 인구는 60만 명 정도 밖에 되지 않는 나라다. 우리나라와 1962년 처음 수교했다. 오랜 수교 기간
[더구루=정등용 기자] IBK기업은행이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 ‘특별감시종목’에 지정됐다. 상장 유지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다는 이유에서다.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는 18일(현지시간) 기업은행 인도네시아 법인과 인도은행 인도네시아 법인, 지역개발계획은행, QNB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을 특별감시종목에 추가했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는 기업은행 인도네시아 법인과 QNB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에 대해 “규정 I-A·I-V(자유 유동 주식 관련)에 명시된 거래소 상장 유지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며 특별감시종목 포함 이유를 설명했다. 마사 크리스티나 미래에셋증권 투자정보 수석은 “특별감시종목 지정은 정보와 지식이 부족한 개인 투자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인도네시아 금융당국에서 지정하는 것인 만큼 신뢰할 수 있는 정보”라고 말했다. 이어 “투자자가 주식을 매입하기 전 회사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면서 “이는 투자 교육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기업은행은 지난 2019년 1월 인도네시아 현지 아그리스 은행과 미트라니아가 은행을 인수·합병해 인도네시아 법인을 출범했다. 현재 기업은행의 인도네시아 법인 지분 비율은 93.24%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이 이사진 개편을 추진할 전망이다. 성기정 하나은행 부행장의 BIDV 이사 임기 만료가 임박하면서다. 그동안 BIDV에 많은 관심을 가져온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이 어떤 묘수를 발휘할지 주목된다. 19일 BIDV에 따르면 성기정 부행장의 이사회 이사 임기는 이번달 말로 종료된다. 성 부행장은 지난 2020년 1월1일부터 BIDV 이사회 이사를 역임해왔다. 하나은행 글로벌사업부 부실장을 지낸 성 부행장은 BIDV·하나은행 협력 구축 블록 대표 등을 맡기도 했다. BIDV는 성 부행장의 임기가 끝나면서 본격적인 이사진 개편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상장 이후 최고 실적을 달성한 만큼 올해도 새로운 이사진을 통해 사업 실적 개선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실제 BIDV는 지난해 총 27조6500억 동(약 1조5200억원)의 세전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19.4% 증가한 수치다. 세후이익도 220억2700만 동(약 12억원)으로 증가했는데 BIDV 상장 이후 최고치다. BIDV 이사진 개편을 두고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이 어떤 묘수를 발휘할지도 관심사다. 하나금융은 지난 2019년 함 회장의
[더구루=홍성환 기자]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신한은행 선순위 무담보 채권에 신용 등급 'A'를 부여한다고 19일 밝혔다. 등급전망은 '안정적'으로 평가했다. 해당 채권은 60억 달러(약 8조원) 규모 글로벌 중기채(MTN·Medium-Term Note) 프로그램에서 인출될 예정이다. 이번 채권 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은 일반 기업 용도로 사용된다. MTN 프로그램은 차입 한도와 기간을 설정하고 이 범위 내에서 수시로 채권을 발행하는 중·장기 자본 조달 방법이다. 신한은행은 앞서 지난해에도 중기채 프로그램에 따라 지속해서 달러화 채권을 발행해 왔다. 한편, 신한은행은 해외 조달 시장에서 적극적으로 채권을 발행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5억 유로 규모(약 7200억원)로 외화 커버드 본드 발행에 성공했다. 커버드 본드는 발행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우량자산을 담보로 발행하는 채권이다. <본보 2024년 1월 10일자 참고 : [단독] 신한은행, '7200억 규모' 유로화 커버드본드 첫 발행> 또 작년 10월에는 대만 시장에서 5억 달러 규모로 외화 포모사채권을 발행했다. 포모사채권은 대만에서 발행·상장하는 대만달러화(TWD) 이외
[더구루=홍성환 기자] 우리은행이 해외 사업에서도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 국내 실적이 크게 뒷걸음질 친 가운데 해외 사업도 역성장함에 따라 임기 2년차를 맞은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의 어깨가 더욱 무거워진 모양새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우리은행 인도네시아법인 우리소다라은행은 지난해 6980억 루피아(약 60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8610억 루피아(약 740억원) 대비 18.9% 급감한 수치다. 은행의 핵심 수익원이 이자이익 감소한 영향이다. 지난해 우리소다라은행의 순이자이익은 1조6600억 루피아(약 1420억원)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9.6% 줄었다. 이에 순이자마진(NIM)도 전년 대비 80bp(1bp=0.01%p) 낮아진 3.51%를 기록했다. 수수료 수익은 전년보다 27.63% 감소한 2310억 루피아(약 200억원)로 집계됐다. 작년 말 기준 총자산은 54조8200억 루피아(약 4조6870억원)로 1년 전보다 6.45% 증가했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국내 금융지주 가운데 나홀로 두자릿대 역성장을 하면서 아쉬운 성적을 거뒀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2조516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 전년 대비 19.9% 감소했다. 핵심 자회사인
[더구루=정등용 기자] 일본 신용평가사 JCR(Japan Credit Rating Agency)은 신한은행 일본법인 SBJ은행에 기업신용등급 ‘AA-’, 등급전망 ‘안정적’을 각각 부여했다고 13일(현지시간) 밝혔다. SBJ은행은 신한금융그룹의 핵심 상업은행인 신한은행의 일본 자회사로 총 1조엔(약 8조8737억원) 이상의 예금을 보유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SBJ은행 지분 100%를 소유하고 있으며, 부행장을 포함한 여러 명의 이사를 파견하고 있다. SBJ은행은 틈새시장에 집중해 수익성이 높은 비즈니스 모델을 달성했다. 개인 고객을 위한 ‘애니 하우징 론’을 주력 상품으로 내세웠으며, 특히 부분 소유를 위한 임대 부동산 구입 목적의 대출 분야에서 실적을 쌓아왔다. 최근에는 기업 고객에 대한 대출에 집중하고 있다. 부동산업을 중심으로 한 중소기업 대출 비중은 지난 2018년 3월 말에서 지난해 3월 말까지 10%p 이상 증가했다. 또한 사업 구조 다각화를 위해 디지털 사업의 수익성 제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자회사인 SBJ DNX를 통해 자체 개발한 시스템을 다른 은행에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3월 말 기준 대출 잔액은 기업 대출 증가에 힘입
[더구루=홍성환 기자] IBK기업은행 인도네시아법인이 지난해 높은 실적 성장세를 기록했다. 올해도 공격적인 영업을 통해 성장세를 이어갈 방침이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기업은행 인도네시아법인은 지난해 1870억 루피아(약 160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전년 1030억 루피아(90억원) 대비 80% 증가한 수치다. 대출액은 9조4000억 루피아(약 808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16.5% 늘었다. 작년 말 기준 총자산은 19조4000억 루피아(약 1조6680억원)로 2019년 현지법인 출범 이후 3배 성장했다. 기업은행은 2019년 1월 인도네시아 현지 아그리스 은행과 미트라니아가 은행을 인수한 뒤 합병해 그해 9월 IBK 인도네시아를 출범시켰다. 한편, 기업은행 인도네시아법인은 13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유상증자를 승인했다. 최대 117억7000만주의 신주를 발행할 예정이다. 신주 액면가는 주당 100루피아다. 기업은행 인도네시아법인은 "자본력을 강화해 영업 활동을 확대하고 사업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고 전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Lucid Group)가 약 1조5000억원 규모로 전환사채를 발행한다. 최대 주주인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공공투자기금(PIF)이 이를 지원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루시드는 3일 최대 10억 달러(약 1조4600억원) 규모로 2030년 만기 전환선순위채권Convertible Senior Notes)을 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선순위전환채권은 약정 시점이나 투자자 전환권 행사 시점에 주식으로 전환, 원금을 상환받을 수 있는 채권이다. 다만 일반 전환사채(CB)와 달리 전환 가격이 정해져 있지 않다. 루시드의 선순위전환채권 발행과 관련해 PIF 자회사인 '아야르서드 컴퍼니'가 특정 투자자와 선불 선도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는 미래 보유 주식 매각을 담보로 미리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이다. PIF는 루시드의 지분 60%를 보유한 최대 주주이다. 2022년 12월 15억 달러, 2023년 5월 18억 달러를 지원한 데 이어 작년에도 3월 10억 달러, 8월 15억 달러의 유동성을 공급했다. <본보 2024년 8월 6일자 참고 : 사우디 국부펀드, 루시드에 '2조' 자금 투입> 루시드는 또 작
[더구루=홍성일 기자] 구글이 인공지능(AI) 수요 급증에 따라 엔비디아 AI칩 추가 조달에 나섰다. 구글의 AI칩 추가 조달이 'AI반도체 수요 고점론'을 약화시킬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3일 경제전문매체 디 인포메이션에 따르면 구글은 AI 데이터센터 임대기업 코어위브(CoreWeave)와 엔비디아 블랙웰(Blackwell) AI칩 임대를 위한 사전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상세한 조달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구글이 코어위브와 협상에 나선 배경에는 AI 수요 급증이 있다는 분석이다. AI관련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데 맞춰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설치하기 위해 서버 임대를 선택했다는 것. 코어위브는 미국 전역에 32개 데이터센터를 구축했으며 탑재된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는 25만 장이 넘는다. 특히 이번 계약으로 AI칩 수요 고점론이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 AI칩 수요 고점론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코어위브 기업공개(IPO) 결과가 기대에 못미치면서 고개를 들었다. 당초 코어위브는 주당 공모가를 47~55달러로 목표했지만 시장의 미온적 반응에 공모가격을 40달러 낮췄다. 지난해 매출의 62%를 담당한 마이크로소프트(MS)가 미국 내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