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홍콩계 투자회사 SC로위가 서울 강남 고급 아파트 개발 사업에 투자했다. SC로위는 30일 "서울 강남 고급 아파트 단지 개발 사업에 대한 2억5000만 달러(약 3500억원) 규모 재고금융 거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투자처는 공개되지 않았다. 재고금융은 기업이 재고를 담보로 활용해 자금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단기 차입의 한 형태다. SC로위는 1억5000만 달러(약 2100억원)를 직접 투자하고, 나머지 1억 달러(약 1400억원)를 국내 22개 기관에서 조달했다. 이수천 SC로위 공동 창립자 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이번 거래는 SC로위의 구조화 및 신디케이트론 역량에 대한 한국 기관 투자자의 신뢰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아시아 주요 도시 중심지의 우량 자산에 대한 금융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SC로위는 홍콩에 기반을 둔 '스페셜 시츄에이션' 투자 전문 운용사다. '스페셜 시츄에이션' 투자는 자산 본연의 가치나 경쟁력과 별개로 예기치 못한 이벤트로 저평가를 받거나 어려워진 자산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SC로위 운용자산은 15억 달러(약 2조1000억원) 규모다. SC로위는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투자증권이 인도네시아 최대 미디어 그룹 MNC 계열의 MNC 자산운용과 협력을 추진한다. 한국투자증권 인도네시아법인(KISI)은 28일(현지시간) MNC 자산운용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KISI는 자사 투자 앱 ‘iKISI’를 통해 MNC 자산운용 상품을 판매한다. 주요 상품은 △MNC 다나 랑카(MNC Dana Lancar)와 △MNC 다나 샤리아 바로카(MNC Dana Syariah Barokah) △MNC 다나 리퀴드(MNC Dana Likuid) △MNC 다나 샤리아(MNC Dana Syariah) 등이다. 지난 25일 기준 해당 상품의 연 순수익률을 보면 △MNC 다나 랑카 5.65% △MNC 다나 샤리아 바로카 5.52% △MNC 다나 리퀴드 7.34% △MNC 다나 샤리아 7.07%다. KISI와 MNC 자산운용은 파트너십을 통해 고객의 금융 상품 접근성을 확대하고 협력을 모색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돈나무 언니'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캐시 우드가 이끄는 자산운용사 아크인베스트가 솔라나 스테이킹(가상자산 예치) 제공업체로 캐나다 솔스트래티지(SOL Strategies)를 선정했다. 솔스트래티지는 "아크인베스트 디지털에셋 레볼루션 펀드의 새로운 솔라나 스테이킹 제공업체로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2020년 출시된 디지털에셋 레볼루션 펀드는 10~12개 암호화폐에 투자해 4~5년의 전체 시장 주기 동안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상품이다. 아크인베스트는 이 펀드를 지원하기 위해 자사 솔라나 검증인(밸리데이터) 운영을 솔스트래티지로 전환할 예정이다. 밸리데이터는 블록체인 위에 기록되는 거래 내역을 확인하는 주체로, 모든 거래의 유효성과 정확도를 검증한다. 솔스트래티지는 솔라나 생태계에 특화된, 탈중앙화 인프라를 제공하는 캐나다 기업이다. 솔스트래티지는 "캐시 우드와 아크인베스트는 암호화폐 및 기술 투자 분야에서 널리 인정받고 있다"며 "우리의 검증인 역량에 대한 캐시 우드의 신뢰는, 기관 고객에게 최고의 스테이킹 솔루션을 제공하려는 우리의 노력을 더욱 강화시킨다"고 전했다. 1955년 생인 캐시 우드는 캐피탈그룹 이코노미스트를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ETF'가 국내 ETF 시장에서 개인 투자자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6월말 기준 TIGER ETF의 개인 투자자 보유 금액은 27조1000억원에 달했다. 국내 전체 ETF 개인 투자자 보유 금액인 63조7000억원 중 43%에 해당하는 수치다. 특히 TIGER ETF는 지난 2021년 11월 이후 월말 기준으로 44개월 연속 개인 투자자 점유율 1위 자리를 이어오고 있다. 올해 상반기, 개인 투자자 순매수 1위도 TIGER ETF가 차지했다. 상반기 기간 TIGER ETF 213종의 개인 순매수 대금 합계는 4조558억원을 기록, 국내 ETF 브랜드 중 유일하게 4조원을 돌파했다. 개별 상품으로 살펴봐도 개인 투자자 순매수 1위는 TIGER ETF가 차지했다. 'TIGER 미국 S&P500 ETF'는 올해 상반기 개인 누적 순매수 규모 1조1626억원을 기록하며 선두 자리에 올랐다. 전체 ETF 중 유일하게 1조원을 넘겼으며 올해 순자산 8조원을 돌파하기도 했다. TIGER ETF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대표 ETF 브랜드로 해외 주식형과 테마형 ETF 투자 열
[더구루=김나윤 기자] 인도네시아의 암호화폐 거래 규모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업비트 인도네시아가 "사기에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지난 26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금융당국청(OJK)에 따르면 5월 한 달간 인도네시아 내 암호화폐 거래액은 49조 5700억 루피아(약 4조2000억원)에 달했다. 암호화폐 시장이 성장하면서 사기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업비트 인도네시아 확인 결과 △가짜 링크를 활용한 피싱 △고수익 보장 불법 투자 앱 △암호화폐 관련 공식 기관·대표 사칭 등의 사기 사례들이 발견됐다. 사기 예방을 위해 업비트 인도네시아는 △공식 플랫폼 이용 △개인정보 요청 주의 △자체 조사(DYOR, Do Your Own Research) △추가 보안 기능 활성화 등의 수칙을 제안했다. 레스나 라니아디(Resna Raniadi) 업비트 인도네시아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암호화폐 시장의 성장은 인도네시아 디지털 경제에 중요한 기회"라며 "다만 이런 성장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문해력과 사용자 인식을 높여야 하며 강력한 교육이 필수"라고 말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DS프라이빗에쿼티의 루마니아 소형모듈원전(SMR) 사업 지분 투자가 막바지 단계에 진입했다. 루마니아 원자력공사(Nuclearelectrica)는 오는 9월 3일(현지시간)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DS프라이빗에쿼티, 노바 파워 앤드 가스(NOVA POWER & GAS) 간 주주 협약을 승인한다고 28일 밝혔다. DS프라이빗에쿼티는 DS자산운용의 자회사다. 지난 2022년 미국 뉴스케일파워에 투자하는 등 미래 신사업으로 꼽히는 SMR에 주목하고 있다. DS프라이빗에쿼티는 루마니아 원자력공사 자회사인 로파워(RoPower) 지분 약 33%를 인수할 예정이다. 로파워는 루마니아 원자력공사와 현지 민간 에너지 기업 '노바 파워 앤드 가스'가 50%씩 출자해 설립한 합작사다. DS프라이빗에쿼티는 앞서 2023년 7월 루마니아 원자력공사와 도이체슈티 SMR 개발을 위해 로파워에 7500만 유로(약 1200억원)를 투자하는 계약(Term Sheet Agreement)을 체결한 바 있다. <본보 2023년 7월 6일자 참고 : [단독] DS프라이빗에쿼티, 루마니아 소형원전 개발업체 1100억 투자> 이
[더구루=김나윤 기자] 미래에셋베트남증권이 거래 주문 접수·확인 관련 규정을 위반해 벌금을 부과받았다. 베트남 국가증권위원회(SSC)는 지난 25일(현지시간) 미래에셋베트남증권에 대해 현지 규정 위반으로 1억3700만 동(약 730만 원)의 벌금을 부과했다. SSC에 따르면 미래에셋베트남증권은 2020년 12월 7일부터 지난 5월 26일까지 고객이 브로커를 통해 제출한 증권 주문을, 거래 당일에 확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현지 규정상 주문 확인은 주문 접수 시점에 확정해야 한다, 앞서 작년 7월에도 미래에셋베트남증권은 필수 정보 미공개로 8500만 동(약 450만원)의 벌금을 부과받았다. 지난 2020년 당시의 재무제표, 채금원금·이자 지급 보고서, 채권 발행 자본 사용 보고서를 하노이 증권 거래소에 공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2007년에 설립된 미래에셋베트남증권은 증권 중개, 독점 거래, 투자 컨설팅, 인수 자문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래에셋베트남증권이 제출한 지난 2분기 경영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총 영업 수익은 6760억 동(약 36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0억 동(약 23억원) 증가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JP모건이 홍콩 금융당국에 가상자산 라이선스를 신청했다.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을 넘어 디지털 자산 분야로 전략적 전환을 꾀하는 행보다. JP모건 증권은 25일(현지시간) 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에 가상자산 거래 및 자문 서비스 제공을 위한 라이선스 신청서를 제출했다. 홍콩 증권선물위원회는 운영 프레임워크와 리스크 관리, 법령 준수 프로토콜에 대한 평가를 통해 라이선스 발급을 결정한다. 라이선스가 발급될 경우 JP모건 증권은 홍콩 디지털 자산 플랫폼 OSL 등 현지 금융사들과 경쟁을 벌일 전망이다. OSL은 최근 가상자산 인프라 강화를 위해 3억 달러(약 4140억원)의 자금을 확보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JP모건의 이번 행보가 전통적 금융 시장 내 가상자산의 존재감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반영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JP모건의 가상자산 시장 진입으로 기관 투자자의 투자를 가속화 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이는 글로벌 금융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홍콩의 야망과도 맞물려 있다. 홍콩은 최근 가상자산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글로벌 기업을 유치하는 데 공을 들이고 있다. 가상자산에 대한 회의론을 불식시키고 투자자 신뢰를 높일 수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국수출입은행이 카타르 국영선사 나킬라트(Nakilat)에 액화천연가스(LNG)선 건조 자금을 지원한다. 나킬라트는 "수출입은행과 한국에서 건조되는 LNG선 25척을 위한 첫 선박 금융 패키지를 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금융 패키지는 수출입은행과 나킬라트 간 양해각서 체결에 따른 것이다. 구체적인 조달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HD현대중공업이 17척, 한화오션이 8척을 각각 건조할 예정이다. 압둘라 알술라이티 나킬라트 최고경영자(CEO)는 "이 파트너십을 통해 선대 확장에 필수적인 재원을 확보했다"며 "이번 국제 협력을 활용해 전 세계 시장에서 회사의 입지를 강화하고 카타르가 LNG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로 도약하는 것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카타르에너지는 2030년까지 연간 LNG 생산 능력을 1억4200만 톤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나킬라트는 앞서 작년 2월 카타르에너지와 LNG선 25척의 정기용선계약(타임 차터·TCP)을 맺은 바 있다. <본보 2024년 2월 13일자 참고 : 카타르에너지, LNG선 25척 용선계약 체결...발주 본격화 시동>
[더구루=김나윤 기자] 인도네시아 람풍주가 이슬람 금융 산업의 발전 잠재력이 매우 큰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오토 피트리안디(Otto Fitriandy) 인도네시아 금융감독청(OJK) 람풍 지부장은 지난 18일(현지시간) "람풍 인구의 90% 이상이 무슬림인 점을 감안할 때 이 지역은 이슬람 금융 산업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이어 "람풍은 수마트라 섬에서 이슬람 기숙 학교가 두 번째로 많은 주이기도 하다"며 교육 인프라 또한 잠재력을 뒷받침하는 요소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슬람 금융에 대한 실제 이해도와 이용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2025년 금융 이해력·포용에 관한 전국 조사(SNLIK) 결과에 따르면 이슬람 금융 이해도는 43.42%, 포용률은 13.41%에 불과하다. 자본시장에 대한 문해력은 17.78%, 포용률은 1.34%에 그쳤다. 이에 관련해 오토 지부장은 "람풍 내 이슬람 은행의 자산 규모는 올해 들어 전년 대비 16.01% 증가한 7조8300억 루피아(약 6600억원), 자금 조달 역시 15.58% 증가해 6조2100억 루피아(약 5200억원)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이어 "금융 이해력은 단순히 저축을 아는 것에
[더구루=홍성환 기자] 대만 라인페이가 전자결제 사업자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라인페이는 대만 금융감독위원회(FSC)로부터 전자결제 사업자 허가를 받았다고 26일 밝혔다. 이에 따라 전자결제 자회사를 설립할 예정이다. 전자결제 사업자 라이선스를 획득으로 존 간편결제를 비롯해 현금 이체와 출금, 은행 계좌 연동, 개인정보 활용 등 사업 범위를 더욱 확대할 수 있게 됐다. 라인페이는 그동안 제3자 간편결제 서비스만 제공해 왔다. 라인페이는 "전자결제 사업자 승인은 대만 결제 시장에서 회사 네트워크 발전의 중요한 이정표"라며 "전자결제 서비스 공식 출시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라인페이는 앞으로 크로스보더 결제 사업 진출도 추진할 방침이다. 크로스보더 결제는 국경 간 결제로, 해외 고객이 자국에서 사용하는 결제 수단으로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다. 라인페이는 지난 2015년 8월 처음 대만 시장에 진출했다. 모회사 라인야후(LY)를 비롯해 타이페이푸본은행·타이완유니온은행 등이 주요 주주로 있다. 현재 대만 내 라인페이 이용자수는 1300만명에 이르며, 가맹점은 60만 곳에 갈한다. 지난해 거래 건수는 11억3600만 건으로 전년 대비 23
[더구루=정등용 기자] 신한카드와 롯데카드가 베트남 테슬라로 불리는 빈패스트와 함께 하노이 시의 전기차 보급 확대에 나섰다. 빈패스트는 24일(현지시간) 신한카드 베트남법인(신한 파이낸스)과 롯데카드 베트남법인(롯데 파이낸스)을 비롯한 12개 금융사와 업무 협약을 맺고 전기차 보급 확대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12개 금융사에는 △비엣콤뱅크 △비엣틴뱅크 △BIDV(베트남투자개발은행) △MBB △테크콤뱅크 △VP뱅크 △HD뱅크 △싸콤뱅크 △TP뱅크 △MSB도 포함됐다. 이번 협약에 따라 빈패스트와 금융사들은 하노이 시민들이 간단한 절차로 전기차를 구매할 수 있도록 매력적인 대출 패키지와 우대 금융 솔루션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빈패스트 전기차를 구매한 고객에게 금융사에 따라 최대 70~80%의 대출을 최대 8년 동안 할부로 지원한다. 대출 기간 첫 3년 동안은 3%의 금리 혜택도 주어진다. 또한 그린 SM 플랫폼에서 사업용 서비스 등록을 위해 차량을 구매할 경우 대출 기간 첫 3년간 4%의 우대 금리가 지원된다. 더불어 전기 오토바이를 구매할 경우엔 전체 가격의 90%를 할부 대출로 지원하며 나머지 10%는 환급해준다. 한편, 신한 파이낸스는 지난 2019년
[더구루=김명은 기자] 일본 담배회사 JTI(Japan Tobacco International)가 대규모 투자를 통해 루마니아에 신규 공장을 건설한다. 기존 시설을 대체해 최첨단 기술과 대규모 생산 능력을 갖춘 공장을 신설함으로써 루마니아를 글로벌 공급망에서 더욱 중요한 위치로 격상시키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JTI는 루마니아 수도 부쿠레슈티 외곽에 약 7000만 유로(약 1130억원)를 투자해 첨단 생산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다. 현재는 앞서 지난 1994년 세워진 파이페라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하고 있지만 노후화된 기존 공장을 대체해 신기술과 대형 설비를 갖춘 새로운 공장으로 이전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JTI의 루마니아 내 사업 확장 전략의 일환으로, 현재보다 생산능력을 3배 이상 확대하고 글로벌 수출 역량을 강화한다는 목표다. 신설 공장은 부쿠레슈티 인근의 슈테퍼네슈티 데 조스에 위치할 예정이며, 루마니아의 주요 고속도로인 A0와 A3 교차점 인근에 자리잡는다. 총 면적은 약 6만㎡로, 기존 파이페라 공장의 3배 규모다. 생산, 포장, 원자재 저장, 완제품 창고, 기술 장비 구역 등으로 구성되는 18.3헥타르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노스이스턴대학교 연구팀이 스마트폰과 PC의 성능을 '1000배' 끌어올릴 기술을 개발했다. 발전이 정체되고 있는 반도체 기술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노스이스턴대학교 연구팀은 양자 물질의 전자 상태를 자유자재로 제어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피직스(Nature Physics)'에 게재됐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연구팀은 이황화탄탈럼(1T-TaS2)이라는 양자물질을 이용해 연구를 진행했다. 이황화탄탈럼은 상온에서는 전기가 잘 흐르는 도체이지만, 200K(켈빈, 섭씨 -73.15도) 이하의 극저온에서는 매우 짧은 시간동안 부도체가 되는 금속이다. 연구팀은 빛을 이용한 열 소멸(thermal quenching)이라는 기법을 이용해 이황화탄탈럼을 상온에 가까운 210K(섭씨 영하 63도)에서 부도체로 만드는데 성공했다. 또한 수개월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까지 했다. 연구팀은 빛을 이용해 이황화탄탈럼의 상태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게되면서 매우 빠른 속도로 상전이가 가능해졌다고 소개했다. 즉 도체와 부도체 상태를 자유자재로 만들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