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신용평가기관 AM베스트가 KB손해보험에 대한 신용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AM베스트는 KB손해보험에 대해 재무건전성 등급 ‘A’, 장기 발행자 신용등급 ‘a’, 신용 등급 전망 ‘안정적’을 각각 부여했다. AM베스트는 KB손해보험의 대차대조표 강점과 적절한 영업 실적, 중립적인 사업 프로필, 효과적인 기업 리스크 관리 등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모그룹인 KB금융그룹의 지원과 그룹 내 KB손해보험의 전략적 중요성도 등급 결정에 요인이 됐다고 부연했다. AM베스트는 자본적정성비율(BCAR)로 KB손해보험의 위험조정자기자본을 측정한 결과 매우 견고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덧붙였다. 최근 후순위채 발행을 통해 자본시장에 대한 접근성도 양호한 것으로 진단했다. 이 밖에도 KB손해보험의 상대적으로 낮은 부채 레버리지와 건전한 지급여력비율, 보수적인 투자 전략 등이 재무제표의 강점으로 평가됐다. 다만 AM베스트는 KB손해보험의 재무건전성 펀더멘털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KB금융그룹의 지원이 현재의 개선 수준을 더 이상 지탱할 수 없을 정도로 축소될 경우 부정적 등급조치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더불어 KB손해보험
[더구루=홍성환 기자] KB국민은행 인도네시아법인 KB부코핀은행이 공격적인 대출 영업에 나서면서 이자 수익이 크게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코핀은행은 올해 1~9월 누적 이자 수익이 3조2000억 루피아(약 27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19.8% 증가했다고 3일 밝혔다. 올해 들어 집행한 대출 규모는 4조5000억 루피아(약 3800억원)로 작년보다 13.6% 늘었다. 9월 말 현재 대출잔액은 44조 루피아(약 3조7100억원)에 이른다. 이는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 기업을 중심으로 기업금융에 집중한 데 따른 성과다. 실제로 1~9월 누적 기업대출은 3조 루피아(약 2500억원)로 전체 대출 실행액의 67%를 차지했다. 중소기업 대출 비중도 11%로 나타났다. 소매대출 비중은 22%였다. 부코핀은행은 코리안 링크 사업 본부를 설치하고 현지에 진출한 한국계 기업에 대한 영업을 강화하고 있다. 주요 고객으로는 현대차·롯데·CJ 등이 있다. <본보 2023년 7월 21일자 참고 : KB부코핀은행, 기업금융 확대 박차> 로비 몬동 부코핀은행 부행장은 "앞으로 신용 포트폴리오를 지속해서 늘리고 다양한 산업 부문의 경제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기회를…
[더구루=홍성환 기자] 국내 최대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가 진주로 유명한 일본 주얼리 브랜드 타사키(Tasaki) 매각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3일 업계에 따르면 MBK파트너스는 투자은행(IB) 다이와증권을 매각 주관사로 선정하고 투자자들과 논의를 진행 중이다. 또한 MBK파트너스와 타사키, 다이와증권 측은 사실 확인을 거부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1954년 설립된 타사키는 진주 양식부터 판매까지 일관하는 브랜드로 진주 품질에 관한 한 세계 최고로 꼽힌다. 1970년 마베 조개의 인공 모종에 성공해 선보인 '마베 진주'는 타사키의 대표 상품이었다. 현재 일본을 비롯해 아시아, 유럽 등에서 100여개 소매점을 운영 중이다. MBK파트너스는 지난 2008년 처음 이 회사에 투자한 이후 2016년 투자를 회수했고, 이듬해인 2017년 재투자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하나금융그룹 계열사 GLN인터내셔널이 한국에 거주하는 라오스인들이 본국으로 손쉽게 송금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GLN은 이번 서비스 개시를 통해 해외 송금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낸다. GLN인터내셔널은 2일 라오스 최대 상업은행 BCEL(Banque Pour Le Commerce Exterieur Lao Public)과 송금 서비스에 대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GLN인터내셔널과 BCEL은 지난해 12월 QR코드 결제 파트너십도 체결한 바 있다. 새로운 송금서비스 협약 체결에 따라 GLN인터내셔널은 한국에 거주하는 라오스인들이 본국으로 손쉽고 안전하게 송금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서비스는 2024년 초부터 시작된다. GLN인터내셔널은 이번 협약이 양국 정부가 지원하는 한-라오스간 디지털 디지털 송금 및 혁신 결제의 공식 출범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한국에 거주하는 라오스인들은 복잡한 계좌 개설, 송금 절차는 물론 높은 비용 등으로 본국 송금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불법적인 경로를 통하는 경우가 많아 신변의 위협까지 느끼고 있었다. 이에 라오스 노동사회복지부와 라오스 중앙은행이 나서 국책 프로젝트로 '라오스 해외 이주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증권과 SK증권이 브룩필드 자산운용의 사모펀드 모집을 중개했다. 이 사모펀드는 핵심 인프라 부문에 자금을 투입할 예정이다. 3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브룩필드 자산운용은 60억 달러(약 8조40억원) 규모의 ‘브룩필드 인프라스트럭쳐 부채 펀드 III(Brookfield Infrastructure Debt Fund III·BID III)’를 마감했다. 미래에셋증권과 SK증권은 이번 BID III의 주요 투자자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다. 브룩필드 자산운용도 BID III에 6억 달러(약 8000억원)를 투자했다. 브룩필드 자산운용은 지난 10월 자사 대표 사모펀드인 ‘브룩필드 캐피털 파트너스 VI(Brookfield Capital Partners VI)’를 통해 120억 달러(약 16조80억원)를 모금한 바 있다. 이는 현재까지 사모펀드 중 최대 규모다. BID III는 공공 및 민간 연금 플랜과 국부 펀드, 금융 기관, 기부금, 재단, 패밀리 오피스 등 다양한 기관 파트너 그룹으로부터 상당한 지원을 받았다. 이미 약정 금액의 50% 이상이 집행됐으며 재생 전력 및 데이터 인프라 부문을 비롯한 핵심 인프라 부문에 집
[더구루=홍성환 기자] 국민연금공단이 미국 부동산 자산운용사에 지분 투자했다. 해외 부동산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이다. 스톡브릿지(Stockbridge)는 국민연금이 자사 소수 지분을 인수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국민연금이 미국 자산운용사 블루아울캐피탈에 위탁한 자금으로 이뤄졌다. 스톡브릿지는 2005년 설립한 부동산 자산운용사다. 현재 338억 달러(약 45조원) 규모 부동산 자산을 운용 중이다. 테리 펜쳐 스톡브릿지 최고경영자(CEO)는 "국민연금은 우리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을 지원할 이상적인 파트너"라며 "이번 투자는 회사 재편을 완료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되며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투자를 확대할 것"이라고 전했다. 국민연금은 해외 부동산을 비롯해 대체투자 비중을 높이고 있다. 앞서 지난 5월 열린 2023년도 제2차 국민연금기금운용위원회에서 2028년까지 기금의 대체투자 비중을 15% 이상으로 늘리기로 했다. 5년간 대체투자 비중을 올해 말 목표로 삼은 13.8% 대비 1.2%포인트 이상 상향한 한 것이다. 6월 말 기준 국민연금의 대체투자 잔액(투자원금)은 124조4607억원으로 지난해 말(118조521억원) 대비 6조4087억원 늘었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과 이집트가 물 산업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코트라(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는 1일(현지시간) 이집트 카이로에서 한국과 이집트 기업 간 물 산업 개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컨퍼런스·비즈니스 미팅을 개최했다. 주이집트 한국 대사관과 한국물산업협의회가 공동 주최한 이번 행사에는 △멤브레인 △강관 △초음파 유량계 △송풍기 △수도계량기 △관망 △슬러지 수집기 △배수시스템 △수처리 △밸브 △액추에이터 분야의 한국 기업 10개사가 대표단을 구성해 참가했다. 참가 기업 및 기관들은 이집트 주택공공사업부, 환경부, 상하수도 지주회사(HCWW), 상하수도 건설청(CAPW) 등 이집트 관련 부처 기관과의 프로젝트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한국과 이집트는 지난 1995년 외교 관계를 수립하기 전부터 경제 파트너 관계를 맺어왔다. 지난해 이집트의 대(對)한국 천연가스 수출액은 역대 두 번째로 높은 31억 달러(약 4조1600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705% 증가한 수치다. 이 밖에 이집트는 한국에 사탕수수 폐기물과 광물, 섬유, 시멘트 등을 수출하고 있으며 한국은 이집트에 자동차, 합성수지, 반도체, 석유화학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노르웨이 해운사 윌.윌헬름센(Wilh.Wilhelmsen Holdings)이 국제회계기준에 따라 현대글로비스를 관계사로 편입했다. [유료기사코드] 윌.윌헬름센 계열사 트레저(Treasure)는 2일 회계처리 방식 변경에 따라 현대글로비스를 관계사에 추가했다고 밝혔다. 트레저는 "회사는 현대글로비스를 관계사로 간주하고 투자를 지분법에 따라 인식하도록 회계처리 방식을 변경했다"고 설명했다. 트레저는 100% 자회사인 덴 노르스케 아메리카린제 에이에스(Den Norske Amerikalinje AS)를 통해 현대글로비스 지분 11%를 보유 중이다. <본보 2023년 6월 10일자 참고 : 노르웨이 해운사 윌헬름센, 현대글로비스 장악력 더 커지나>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이 미국 텍사스주 리처드슨에 위치한 복합용도 빌딩 내 매물 4건을 매각했다. 인수자는 NBA 구단 피닉스 선즈의 전 구단주인 로버트 사버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미국 텍사스주 리처드슨에 위치한 220만 평방피트 규모의 복합용도 빌딩인 시티라인(CityLine) 내 스테이트팜 오피스를 로버트 사버에게 매각했다. 구체적인 매각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스테이트팜 오피스는 지난 2016년 8억 달러(약 1조850억원)에 거래된 바 있다. 현지 업계는 해당 오피스 4개 동이 포함된 시티라인 단지 전체 개발 사업비가 약 16억 달러(약 2조17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 있다. 시티라인은 지난 5월 미국 부동산 시장에 매물로 나왔다. 이후 소유주인 미래에셋자산운용과 트랜스웨스턴 인베스트먼트 그룹을 대신해 뉴마크 그룹이 시티라인 매각을 주도해왔다. 지난 2016년 건설된 시티라인은 4개의 특수 목적 오피스 빌딩과 12만 평방피트의 리테일 공간, 4만2000 평방피트의 의료용 오피스 빌딩으로 구성돼 있다. 두 개의 주요 다트 레일 라인이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8개의 고급 아파트 단지와 30개의 레스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국을 대표하는 여성 펀드매니저인 안주희 미래에셋자산운용 홍콩법인 상무가 최고투자책임자(CIO)로 선임됐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자산운용 홍콩법인은 지난달 1일 안주희 상무를 신임 CIO로 선임했다. 안 CIO는 1980년생으로 2004년 LG투자증권(현 NH투자증권)에 입사한 뒤, 2006년 미래에셋자산운용으로 자리를 옮겼고 2009년부터 홍콩법인에서 근무 중이다. 현재 미래에셋 ESG 아시아 그레이트 컨슈머 주식형 펀드, 미래에셋 ESG 아시아 섹터 리더 주식형 펀드 등을 운용하고 있다. 지난 2014년 뛰어난 펀드 성과로 국가경제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표창을 수상하는 등 국내외적으로 실력을 인정받았다. 한편, 지난 2006년부터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근무한 라훌 차다 CIO는 지난 9월 말 공식 퇴임했다. 그는 2003~2006년 인도 대형 생명보험사인 아비바생명보험과 스탠다드차타드뮤추얼펀드에서 선임 애널리스트로 활약하다가 2006년 미래에셋자산운용 홍콩법인에 애널리스트로 합류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노무라증권이 LG화학 목표주가를 기존 58만원에서 50만원으로 하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을 중립으로 유지한다고 1일 밝혔다. 노무라증권은 “유럽의 전기차 수요가 둔화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시장도 비슷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중장기 성장 전략은 희망적이지만 단기적으로 봤을 때 업황 둔화 국면에 따른 투자금 조달 우려는 여전하다”고 분석했다. 국내 증권 업계에서도 LG화학의 목표주가를 잇따라 낮춰 잡고 있다. 조현렬 삼성증권 연구원은 LG에너지솔루션의 주가 하락에 따른 지분가치 감소를 반영해 LG화학 목표주가를 75만원에서 70만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조 연구원은 “4분기 영업이익은 전 분기 대비 18% 감소한 7020억원으로 시장 전망치 평균인 8910억원을 밑돌 것”이라며 “이는 예상보다 부진할 LG에너지솔루션 실적과 이에 따른 LG화학의 양극재 출하량 추가 감소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이진호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3분기 실적에서 양극재 수익성이 시장 예상치보다 나쁘지 않았다면서도 목표주가는 80만원에서 62만원으로 내려 잡았다. 이 연구원은 “목표주가 하향 조정 이유는 첨단소재 부문의 실적 추정치 하향, 순차입금 증가, L
[더구루=정등용 기자] IBK기업은행이 올해 3분기 인도네시아에서 우수한 경영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증가로 인해 자금 유동성 압박은 커졌지만 여신 건전성은 아직 안전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기업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의 올해 3분기 순이익은 1549억1000만 루피아(약 13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120% 증가했다. 순이자이익(NII)은 지난해 3분기 3061억8000만 루피아(약 260억원)에서 올해 3771억7000만 루피아(약 320억원)로 증가했다. 순이자마진(NIM)은 지난해 2.72%에서 올해 2.76%로 소폭 상승했다. 대출 실행 규모는 9조2900억 루피아(약 8000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기업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이 지난 한 해 동안 실행한 8조6000억 루피아(약 7400억원)를 훌쩍 넘어선 수치다. 여신 증가로 인해 자금 유동성 압박은 커지는 모습이다. 대출 대비 예금 비율(LDR)의 경우 지난해 3분기 87.95%에서 올해 99.5%로 증가했다. 다만 고정이하여신비율(NPL)은 2.21%에서 1.64%로 낮아져 우수한 여신 건전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의 제3자
[더구루=정등용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가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공항 중 하나인 영국 히드로 공항 지분 10%를 인수한다. 이번 작업이 예정대로 진행된다면 히드로 공항 최대주주는 카타르투자청(QIA)이 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는 스페인 인프라 투자사 페로비알로부터 히드로 공항 지주사 톱코(FGP Topco) 지분 10%를 매입할 예정이다. 톱코 지분 25%를 소유했던 페로비알은 나머지 15%를 프랑스 사모펀드 그룹 아르디안에 넘길 계획이다. 총 매각 규모는 24억 파운드(약 3조9400억원)에 이른다. 이번 매각으로 카타르투자청이 기존 지분 20%로 최대주주에 오르게 됐으며 아르디안이 2대 주주가 됐다.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는 10%의 지분으로 중국투자공사에 합류할 예정이다. 이번 매각 작업에 영국 정부가 참여할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페로비알은 지난 2006년부터 히드로 공항에 투자를 하기 시작했다. 이후 지분을 56%까지 확대하기도 했지만 점차 줄여나갔다. 히드로 공항은 올해 9월 역대 월간 최대치인 700만 명 이상의 승객 수를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치를 처음으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넥스젠에너지(NexGen Energy Ltd, 이하 넥스젠)가 연방 정부 허가를 받아 조만간 우라늄 생산에 들어간다. 생산 초기 전세계 우라늄 생산량의 23%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만반의 준비를 통해 생산을 준비한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캐나다 CBC방송에 따르면 닉 에스펜버그(Nick Espenberg) 넥스젠 광산 기술 서비스 담당은 지난 28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락 원 프로젝트(Rook I Project)의 진행 상황에 대해 "캐나다 원자력안전위원회와 연방 승인 절차를 밟고 있다"며 "내년 말까지 공청회를 마무리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어 "모든 승인이 완료되면 2020년대 안에 우라늄 생산이 시작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락 원 프로젝트는 캐나다 서스캐처원주 라 루체 지역에서 북쪽으로 130㎞ 떨어진 곳에 우라늄 광산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넥스젠은 지분 100%를 보유했다.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해 지난 9일 서스캐처원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우라늄 프로젝트 중에서 현지 주정부의 허가를 받은 건 약 20년 만이다. 에스펜버그 담당은 락 원 프로젝트의 친환경성을 강조했다. 그는 "지하 광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