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싱가포르 투자청(GIC)이 일본 물류센터를 인수했다. 일본 물류센터에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모습이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GIC는 일본 요코하마에 위치한 물류센터를 인수했다. 구체적인 인수액을 공개하지 않았다. 이 물류센터는 일본 부동산 개발업체 다이와하우스인더스트리가 개발한 자산이다. 4층, 12만6000㎡ 규모다. 2022년 완공했다. GIC는 최근 일본 물류센터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서 확대하고 있다. 앞서 작년 4월 블랙스톤으로부터 일본 전역의 물류센터 6개를 8억 달러에 인수했다. 이어 지난해 7월 야토미시에 위치한 물류센터를 매입했다. 작년 12월에도 오사카와 후쿠오카에 위치한 물류센터 2곳을 인수했다. 일본 부동산 시장은 저금리와 엔저로 많은 투자자들이 기회를 엿보고 있다. MSCI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일본 도쿄 부동산 거래액은 1010억 달러(약 135조원)에 달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최대 연기금 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CalPERS·캘퍼스)이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Lucid) 비중을 확대했다. 루시드가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의 자금 지원을 바탕으로 신형 전기차 출시에 속도를 높이면서 주가 상승 여력에 충분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3일 미국 투자전문매체 배런스 등에 따르면 캘퍼스는 지난 2분기 루시드 주식 26만2123주를 추가로 매수했다. 지난 6월 말일 종가(2.61달러)를 반영하면 매수액은 약 68만 달러(약 10억원) 수준이다. 캘퍼스가 보유한 루시드 주식 수는 131만7396주로 전분기 대비 24% 증가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루시드는 지난 2007년에 설립된 전기차 기업이다. 테슬라 전 부사장인 버나드 체와 오라클 출신 샘 웽이 설립했다. 현 CEO인 피터 롤린스는 테슬라 수석 엔지니어 출신으로 모델S를 설계했다. 루시드는 지난달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공공투자기금(PIF) 및 아야르서드컴퍼니와 15억 달러(약 2조원) 규모 자금조달 약정을 맺었다. PIF는 루시드의 지분 60%를 보유한 최대 주주이다. 최근 1~2년간 지속해서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본보 2024년 8월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가 일본 임대주택을 인수했다. 저금리·엔저 등으로 일본 부동산에 대한 글로벌 투자자의 관심이 높아지는 모습이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도쿄 대도시권에 있는 8개 임대주택을 8000만 달러(약 1100억원)에 인수했다. 해당 임대주택은 500여가구로 구성됐으며, 평균 준공 연수는 6년이다. 주로 젊은층 전문가와 커플이 거주하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몇 년 동안 일본 부동산에 대한 투자를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 앞서 지난 2022년 일본 종합상사 소지쓰와 협력해 임대주택에 3억 달러(약 4000억원)를 투자했다. 또 지난해에는 아부다비투자청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일본 전역의 리조트 호텔 27개를 9억 달러(약 1조2000억원)에 매입했다. 이어 올해 초에도 그랑도쿄사우스타워의 사무실 4개 층을 2억8100만 달러(약 3800억원)에 샀다. 일본 부동산 시장은 저금리와 엔저로 많은 투자자들이 기회를 엿보고 있다. MSCI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일본 도쿄 부동산 거래액은 1010억 달러(약 135조원)에 달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KDB산업은행이 도쿄증권거래소(TSE)와 아시아 유망 스타트업의 기업공개(IPO)에 협력한다. 국내 스타트업의 일본 증시 상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일 도쿄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도쿄증권거래소가 주도하는 'TES 아시아 스타트업 허브(TSE Asia Startup Hub)'에 파트너사로 합류했다. TES 아시아 스타트업 허브는 유망 아시아 스타트업의 도쿄 증시 IPO를 지원하기 위해 올해 3월 출범한 조직이다. 현재 52개 파트너사와 4개 옵서버(참관인)가 참여 중이다. 국내 금융사 가운데서는 산업은행이 유일하다. 이외에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대만, 인도네시아 등의 금융사가 합류했다. TES 아시아 스타트업 허브는 도쿄 증시에서 IPO를 추진한 아시아 유망 기업을 모집 중이며, 3분기 지원 기업을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산업은행은 국내 최대 벤처투자 기관으로서 2023년 연간 5000억원의 직접 지분 투자와 1조2000억원의 벤처펀드 출자 사업을 실시했다. 또 벤처플랫폼인 KDB넥스트라운드 운영을 통해 2016년 이후 2800여개 스타트업에 IR 기회를 제공하며 벤처기업의 투자 유치를 지원하고 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7월 위안화 국제 결제 비중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의 안정적인 거시 경제 환경과 무역 규모 증가가 요인이란 분석이다. 1일 국제은행 간 송금망인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의 데이터에 따르면 7월 위안화 국제 결제 금액은 전월 대비 13.37% 증가했으며 국제 결제 비중은 4.74%에 이르렀다. 무역금융시장에서 위안화의 비중은 6%로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으며, 6월 0.07%에서 7월 0.17%로 점유율 격차가 확대되면서 두 달 연속 유로화를 앞질렀다. 이와 관련해 차오전 중국은행 하이난 금융연구원 연구원은 중국의 안정적인 거시 경제 환경과 무역 규모 증가가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국가외환관리국(国家外汇管理局) 데이터에 따르면, 7월 은행의 대외 수입은 전월 대비 9% 증가했다. 지출은 7% 증가해 상품 무역 항목에서의 국경 간 자금 순유입이 전월 대비 48% 늘었다. 이는 역사상 최고 수준이다. 중국 금융 시장의 양방향 개방도 위안화의 국경 간 사용을 증가시켰다는 해석이 나온다. 후강퉁(沪港通)과 선강퉁(深港通), 채권통(债券通) 등 자본시장의 상호 연결 채널 구축이 해외 투자자의 중국 시장 진입과 중국 투자자의 국제
[더구루=홍성환 기자] 인공지능(AI) 코딩 도우미 스타트업 매직(Magic)이 4300억원에 달하는 신규 자금을 유치했다. 에릭 슈미트 전 구글 최고경영자(CEO)가 참여했다. AI 코딩 스타트업에 막대한 자금을 몰리는 추세다. [유료기사코드] 매직은 29일(현지시간) 3억2000만 달러(약 4300억원) 규모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슈미트 전 CEO가 주도했다. 이와 함께 △제인스트리트 △세쿼이아 △아틀라시안 등 유명 글로벌 벤처캐피털(VC)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기존 투자자 가운데서는 알파벳의 투자펀드인 캐피탈G, 실리콘밸리 유명 엔젠 투자자 일라드 길 등이 추가로 자금을 댔다. 매직은 실리콘밸리에 기반을 둔 AI 코딩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AI 기술을 기반으로 코딩 업무를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입소문만으로 15억 달러(약 2조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아 많은 관심을 모았다. 최근 AI 코딩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확대하고 있다. 실제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애니스피어를 비롯해 리플릿, 매직, 어그먼트, 수퍼메이븐, 풀사이드AI 등 AI 코딩 도우미 스타트업들은 지난해 1월 이후 10억 달러(
[더구루=홍성환 기자] KB증권과 LB자산운용이 투자한 아일랜드 더블린 소재 오피스 빌딩이 '헐값'에 팔릴 것으로 보인다. 30일 아일랜드 일간지 아이리시타임즈(Irish Times)에 따르면 영국 부동산 전문 자산운용사 BCP캐피탈은 아일랜드 더블린에 위치한 베케트 빌딩(Beckett Building)을 인수할 예정이다. BCP캐피탈은 현재 이 빌딩의 법정관리인인 그랜트쏜튼과 막바지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매각가는 3500만 유로(약 520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이는 지난 2018년 KB증권과 LB자산운용이 1억100만 유로(약 1500억원)에 인수했던 것에 비해 65%나 하락한 금액이다. 베케트빌딩은 더블린 노스 도크랜드에 있으며 2008년 준공됐다. 지상 6층, 연면적 1만7566㎡ 규모다. 인수 당시 메타(옛 페이스북)의 유럽 본사 사옥으로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메타가 유럽 본사를 이전하면서 자산 가치가 크게 하락했다. 메타는 최초 2032년까지 임대 계약을 맺었고, 2027년 중도 해지할 수 있는 옵션을 보유했다. KB증권과 LB자산운용은 애초 지난해까지 이 건물을 매각할 계획이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경기 침체 등
[더구루=진유진 기자] 인도증권거래위원회(SEBI)가 인도 증권사 쉐어칸(Sharekhan)에 벌금 행정명령을 내렸다. 쉐어칸은 미래에셋증권이 지난해 12월 4870억원을 투입, 지분 100%를 인수한 곳으로 국내에 알려졌다. 다만 이번 행정명령이 인도 당국의 최종 승인 과정에 끼칠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30일 인도증권거래위원회에 따르면 SEBI는 쉐어칸의 승인자(AP)가 등록되지 않은 장소에서 거래를 수행한 점과 권한이 없는 개인이 AP의 단말기를 운영한 점을 적발, 증권 중개인 규범을 위반한 행위에 대해 벌금(40만 루피·약 640만원)을 부과했다. SEBI는 14페이지에 달하는 행정명령서를 통해 쉐어칸 AP인 바드라 서비스 프라이빗 리미티드(Bhadra Services Private Limited)와 아스미타 지테쉬(Asmita Jitesh)가 각각 등록한 인도 구자라트주 운자(Unjha)와 마하라슈트라주 나비 뭄바이(Navi Mumbai)에서 거래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또한 AP 중 다른 곳은 아밋쿠마르 S. 두파드(Amitkumar S. Dhupad)의 경우 다른 사람이 거래 단말기를 운영했다고 덧붙였다. SEBI는 이들 행위가 지난 199
[더구루=홍성환 기자] 우리은행이 중국에서 부당대출로 벌금 부과 행정명령을 받았다. 국내에 이어 해외에서도 부당대출 사실이 밝혀지면서 내부통제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다.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중국은행보험감독관리위원회(CBIRC)는 지난 23일 우리은행 중국법인 심천지점에 130만 위안(약 2억5000만원)의 벌금을 부과했다. 이에 대해 CBIRC 측은 "우리은행이 부적절한 수단을 사용해 예금을 흡수하고 대출을 실행했다"고 설명했다. 우리은행은 국내에서 전임 회장의 친인척 부당대출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해외에서도 부당대출에 따른 행정 처분을 받으면서 내부통제와 관련해 심각한 우려가 나온다. 우리은행은 올들어 중국에서만 세 차례 행정 처분을 받았다. 한편, 금융감독원 검사 결과 우리은행이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전 회장 친인척 관련 법인이나 개인사업자에 최근 4년간 616억원 상당을 대출해준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가운데 350억원은 통상의 기준·절차를 따지지 않은 부적정 대출이고, 269억원에 대해 부실이 발생했거나 연체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검찰은 지난 27일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과 강남 선릉금융센터 등 사무실 8곳, 관련자 주거지 4곳을 압수수색 하
[더구루=홍성환 기자] 싱가포르 자산운용사 캐피탈랜드투자운용이 2000억원 규모로 한국 오피스 자산에 투자하는 펀드를 조성했다. 캐피탈랜드투자운용은 29일 한국 사무실 빌딩에 투자하는 블라인드 펀드를 2000억원 규모로 마감했다고 밝혔다. 캐피탈랜드투자운용은 KB국민은행과 파트너십을 통해 블라인드 펀드를 운용할 예정이다. 캐피탈랜드투자운용은 밸류애드(가치증대) 전략을 추진한다. 밸류애드는 개선 가능성 있는 부동산 자산을 매입해 리모델링, 증축 등으로 건물 가치를 높이는 투자 전략이다. 캐피탈랜드투자운용은 "장기간 고금리가 지속되는 가운데 한국에서 부가가치 투자 전략이 두각을 보인다"며 "한국은 우리의 주요 시장으로 오피스 포트폴리오뿐만 아니라 물류, 숙박, 데이터센터 등으로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캐피탈랜드투자운용은 싱가포르에 기반을 둔 자산운용사로 운용자산(AUM)이 1340억 싱가포르달러(약 137조원)에 이른다. 최근 서울 강남에 위치한 골든타워를 인수하는 등 한국 부동산 시장에 대한 투자를 계속 확대하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 8개 사모펀드를 운용 중이다. 앞서 지난 2023년 9월에는 경기도 안성 신축 물류센터를 인수한 바 있다. 이 물류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증권이 인도네시아 남부 자카르타 지역에 신규 사무소를 열었다. 지역 거점 확대를 통해 현지 시장 1위 자리를 수성하겠다는 각오다. 미래에셋증권 인도네시아 법인은 28일(현지시간) 남부 자카르타 자란 시마투팡에 위치한 세연빌딩에서 미래에셋 금융센터 레박 불루스 사무소 개소식을 열었다. 레박 불루스 사무소는 세연빌딩 3개 층에 총 면적 1500㎡(평방미터) 규모로 들어선다. 3개 층 중 한 층은 투자 및 자본시장 교육을 위한 레박 불루스 교육센터로 사용된다. 특히 레박 불루스 사무소는 아수란시 아스트라 빌딩, FIF 그룹 빌딩, 사우스 쿼터와 멀지 않은 곳에 있으며 레박 불루스 지하철 역도 인근에 있어 남부 자카르타 지역 주민들의 접근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이번 신규 사무소 설립을 통해 인도네시아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미래에셋증권 인도네시아 법인은 지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거래대금 기준 시장점유율 1위에 올라 있다. 심태용 미래에셋증권 인도네시아 법인장은 “우리의 주요 목표는 고객이 종합적인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고 전문가로부터 조언을 받으며 금융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콘텐츠에
[더구루=진유진 기자]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조스가 스위스 로봇 제조업체 스위스 마일(Swiss-Mile)에 투자를 단행한다. 아마존이 올해 들어 인공지능(AI) 투자를 대폭 늘리고 있어 이목이 쏠린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4륜 4족 융합 로봇 개발업체 스위스 마일은 2000만 달러(약 270억원) 규모의 시드 펀딩 라운드를 추진한다. 이번 펀딩 라운드를 통한 기업가치는 1억 달러(약 1340억원)로 추정된다. 투자자에는 △아마존 산하 벤처투자 프로그램 '아마존산업혁신펀드(Amazon Industrial Innovation Fund)' △제프 베조스 아마존 의장이 설립한 벤처투자기업 '베조스 익스페디션(Bezos Expeditions)' △벤처 캐피털 '세쿼이아 캐피털 차이나' 등이 포함됐다. 유일한 유럽 투자자인 △스위스 아르마다 인베스트먼트(Armada Investment)와 기존 주주인 △리니어 캐피털(Linear Capital)도 투자자 명단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전해졌다. 스위스 마일은 스위스 취리히 연방 공대(ETH Zurich) 연구진이 설립했다. 자율주행 바퀴 달린 로봇 뮬(Robotic Mule)과 로봇 워치독(Robotic
[더구루=오소영 기자]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너도나도 베트남에 투자하고 있다. 미국 반도체 설계 업체(팹리스)인 마벨을 비롯해 차량용 반도체·후공정 업체들이 베트남에 둥지를 텄다. 저임금으로 우수한 인력을 확보할 수 있고 미·중 갈등의 리스크도 없어 반도체 생산 허브로 떠오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4일 닛케이아시아와 아시아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마벨은 베트남을 미국과 인도 다음으로 큰 칩 설계 거점으로 키운다. 호찌민 거점과 함께 새로 설립되는 다낭 반도체 설계 센터를 통해 2026년까지 현지 직원을 약 500명으로 늘린다. 현재 직원은 약 400명으로 대부분 20~30대의 젊은 인재다. 세계 3대 전자설계자동화(EDA) 툴 업체인 미국 시놉시스도 호찌민과 다낭에 진출해 500명이 넘는 직원을 뒀다. 베트남 팀은 지난해 인텔과 협력해 UCle 솔루션 개발에 큰 역할을 했다. 베트남 국가혁신센터(NIC)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해 반도체 설계 산업 육성도 지원하고 있다. 시놉시스의 경쟁사인 케이던스 또한 지난해 NIC와의 파트너십을 토대로 칩 설계 산업 혁신을 가속화한다고 밝혔다. 베트남 교육기관과 스타트업 등에 케이던스의 툴을 제공한다. 미국 사바
[더구루=홍성일 기자] e-모빌리티와 공유 서비스가 결합된 '공유형 마이크로 모빌리티'가 미국에 차세대 이동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사용량이 늘어나면서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도 늘어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4일 글로벌 조사기관 마켓 앤 마켓(Markets and Markets)에 따르면 미국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은 2022년 34억 달러(약 4조5770억원)에서 2027년 61억 달러(약 8조2120억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공유 서비스와 결합된 공유형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이 경제성과 편리성을 앞세워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미국에서 공유형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이 주목받는 원인에는 고물가와 대중교통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 과정에서 야외에서 혼자 이동할 수 있어 감염의 위험성이 낮다는 것도 시장 성장의 원동력이 됐다. 관련 기업들도 빠르게 이용자 층을 확대하고 있다. 미국 공유형 마이크로 모빌리티 기업인 리프트는 2019년부터 시카고에서 디비 바이크(Divvy Bike)라는 공유형 전기 자전거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디비 바이크는 기본요금 1달러에 1분당 0.44달러의 추가 요금이 부과돼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