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KB국민카드 인도네시아 법인 KB파이낸시아멀티파이낸스가 경영진을 교체했다. 계속된 실적 악화에 따라 인적 쇄신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7일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에 따르면 KB파이낸시아는 피터 할림 최고운영책임자(COO)를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피터 할림 신임 대표는 금융감독청(OJK) 승인을 거쳐 공식 취임할 예정이다. 피터 할림 대표는 지난 2003년 KB파이낸시아에 합류한 이후 20년 넘게 근무하고 있다. KB파이낸시아가 대표를 교체한 것은 2019년 국민카드에 인수된 이후로 처음이다. 기존 얍 타이 힝 대표는 지난 2000년부터 대표직을 맡아 왔다. 이번 경영진 교체는 실적 악화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KB파이낸시아는 올해 1분기 68억원의 손손실을 기록, 전년 동기 5억 순이익에서 적자 전환했다. 앞서 지난해에는 연간 510억원의 순손실을 봤다. 2022년 121억원 흑자였지만 2023년 흑자 규모가 19억원으로 크게 줄어든 데 이어 지난해 대규모 손실 전환했다. 국민카드는 2019년 'PT 파이낸시아 멀티파이낸스(FMF)' 지분 80%를 950억원에 인수했고 이듬해 본격적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자동차·오토바이·
[더구루=정등용 기자]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사 아람코의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지분 매각을 검토하고 있다. 자산 관리 전략을 강화한다는 차원에서다. 7일 호주 투자정보회사 ‘심플리 월 스트리트(Simply Wall St)’에 따르면, 블랙록은 아람코의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지분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블랙록은 지난 2021년 사우디 투자운용사 GOSI(General Organization for Social Insurance)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아람코와 155억 달러(약 21조1200억원) 규모의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관련 리스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과정에서 세 회사는 별도 법인인 ‘아람코 가스 파이프라인 컴퍼니(Aramco Gas Pipelines Company)’를 설립했다. 아람코가 지분 51%, 블랙록·GOSI 컨소시엄이 지분 49%를 보유하고 있다. 블랙록은 자산 관리 전략의 일환으로 이번에 지분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사모 시장 존재감을 강화하는 가운데 자사 리스크 관리 및 투자 분석 플랫폼인 ‘알라딘(Aladdin)’에 사업 역량을 집중하기 위한 의도가 깔려 있다. 블랙록은 지난 5년 간 116.78%의 총주주수익률(
[더구루=정등용 기자] 자국 기업에 대한 입찰 제한 논란이 불거진 케냐 간선급행버스(BRT) 5호선 사업이 다시 본궤도에 올랐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케냐 공공조달행정검토위원회(PPARB)는 지난 1일 케냐 BRT 5호선 사업 입찰과 관련한 CK 솔루션의 이의 제기를 기각했다. CK 솔루션은 케냐 현지 기업인 쿠망 건설과 비욘드 트레이딩의 합작법인이다. 지난 5월 CK 솔루션은 케냐 도시도로청(KURA)을 상대로 케냐 BRT 5호선 사업 입찰에 대한 이의를 제기한 바 있다. CK 솔루션은 “케냐 도시도로청이 한국 기업에만 입찰 기회를 부여했다”며 “이는 헌법 제227조가 규정하고 있는 공정하고 투명한 공공 조달 시스템 조항을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케냐 공공조달행정검토위원회는 판결문을 통해 “이번 사안은 케냐 공공조달행정검토위원회가 개입할 권한이 없다”며 기각 결정을 내렸다. 이번 사업은 케냐 수도 나이로비 시내의 교통 혼잡 완화와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해 추진되고 있다. 2차선 전용도로와 13개 역, 3개 하천 교량, 2개 고가 도로, 전용 BRT 차량기지(1365㎡) 등이 포함되며 총 사업비는 76억 케냐실링(약 800억원) 규모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신한은행 베트남 법인인 신한베트남은행의 대출 잔액이 작년보다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신한베트남은행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대출 잔액은 48억 달러(약 6조5100억원)를 기록했다. 작년 동기 대비 26% 증가한 수치다. 전체 대출 잔액 중 주택담보·자동차 등 개인 고객 대출이 28억 달러(약 3조8000억원), 기업 고객 대출이 20억 달러(약 2조7100억원)에 달했다. 신한베트남은행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1억7850만 달러(약 2400억원), 총 자산은 84억700만 달러(약 11조4370억원)로 집계됐다. 자기자본비율(CAR)은 21.25%, 부실채권(NPL)비율은 0.47%를 각각 나타냈다. 신한은행은 지난 1993년 사무소 설립으로 베트남에 진출했다. 이후 지난 2009년 법인으로 전환 후 현지 은행을 인수하며 사업을 꾸준히 확대해왔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최근 'TIGER 토탈월드스탁액티브' 출시한 가운데, 이 상품의 기초 지수로 활용되는 'FTSE 글로벌 올 캡 인덱스' 개발사인 FTSE러셀도 기대감을 나타냈다. 5일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FTSE러셀의 에메랄드 야우 지수상품관리 아시아태평양 총괄은 “이번 FTSE 글로벌 올 캡 인덱스 적용이 아시아 운용사 중 최초”라고 강조했다. 야우 총괄은 “다른 아시아 국가와 운용사에서 시도하지 못했던 상품을 미래에셋자산운용이 론칭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주식 분산 투자가 증가하는 가운데 한국 투자자들에게 보다 폭 넓은 투자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앞서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달 24일 TIGER 토탈월드스탁액티브를 상장했다. 이 ETF는 미국과 비(非) 미국 시장의 비중을 6대4로 분산 투자하며, FTSE 글로벌 올 캡 인덱스를 기초 지수로 삼는다. FTSE 글로벌 올 캡 인덱스는 미국, 인도, 브라질, 체코 등 세계 48개국 1만개 이상의 주식으로 구성돼 있다. 전 세계에서 투자할 수 있는 종목의 약 98%를 포함하는 포괄적 지표다. 유명 미국 ETF인 '뱅가드 토탈월드 스탁'(V
[더구루=홍성환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가 국내 자산운용사 이지스자산운용과 대신증권이 인수한 영국 오피스 빌딩의 혁신 리모델링을 지원한다. 영국 그린빌딩위원회(UKGBC)는 4일 빌 게이츠가 설립한 기후기술 투자플랫폼 '브레이크스루 에너지 벤처스', 영국 부동산 투자사 '포어파트너십'과 런던 소재 사무실 건물인 '원 폴트리(One Poultry)'의 혁신 리트로핏(Retrofit)을 위한 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리트로핏은 기존 건물이나 구조물에 새로운 기술이나 설비를 추가해 성능을 향상시키는 작업을 의미한다. 주로 내진 성능, 에너지 효율성, 환경 친화적 요소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 요구에 맞게 보강하는 것이 특징이다. 원폴리트는 런던 금융 중심지에 위치한 프라임급 오피스 빌딩이다. 지하 2층~지상 6층, 전체 면적은 1만4000㎡ 규모다. 1997년 완공된 건물로 이후 대대적인 개보수 작업은 없었다. 이지스자산운용은 올해 초 대신증권과 사모부동산신탁을 조성해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으로부터 이 건물을 인수했다. 구체적인 인수가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지스자산운용은 건물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고 운영 비용을 감축하기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 인권 NGO(비정부기구)인 ‘기업과인권네트워크(KTNC Watch)’의 보고서가 논란이다. 캄보디아에서 자행된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의 '약탈적 대출 행위'가 포함돼 있어서다. 국제금융공사(IFC)의 조사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캄보디아인권단체 리카도(Licadho)는 2일(현지시간) 기업과인권네트워크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지난해 기업과인권네트워크가 캄보디아 농촌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현장 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여기에는 KB국민은행 캄보디아 자회사(KB프라삭)와 우리은행 캄보디아 법인의 인권 침해 사례가 상세히 담겨 있다. 기업과인권네트워크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KB프라삭과 우리은행은 농촌 주민들을 대상으로 공격적인 대면 판매 정책을 펼치면서 토지를 담보로 삼아 과도한 금액을 대출해줬다”면서 “이 과정에서 농촌 주민의 실제 소득 수준은 고려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농촌 주민들은 대출 수수료나 담보 요건 등 계약 조건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 받지 못했다”며 “이는 높은 이자율과 수수료 증가로 이어져 부채가 늘어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꼬집었다. 추심 과정도 불법적이었다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우리금융그룹 벤처캐피털(VC) 자회사 우리벤처파트너스가 비만 치료제를 개발 중인 미국 바이오 스타트업 '신티스 바이오(Syntis Bio)'에 투자했다. 신티스는 4일 3300만 달러(약 450억원) 규모 시리즈A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는 미국 뉴욕에 기반을 둔 VC 케르베로스 벤처스가 단독으로 주선했다. 우리벤처파트너스와 맨수에토인베스트먼츠, 아폴로랩스 등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신티스는 이와 함께 미국 국립보건원(NIH)으로부터 500만 달러(약 70억원)의 보조금을 획득했다. 신티스는 미국 보스턴에 본사를 둔 바이오 스타트업이다. 비만 및 희귀질환 경구용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주요 파이프라인으로는 비만 신약 후보물질 'SYNT-101'와 소아 희귀 질환인 호모시스틴뇨증 신약 후보물질 'SYNT-202' 등이 있다. 신티스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으로 두 후보물질의 임상에 속도를 높일 방침이다. 이와 함께 소장에 경구 투여되는 일시적 폴리머 코팅제 'SYNT' 개발을 촉진할 계획이다. 라훌 단다 신티스 공동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비만 분야에서 신약 후보물질의 가능성을 입증하고 개발을 가속화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에 진출한 외국계 은행의 지난해 성적표가 공개됐다. 굴지의 외국계 은행 사이에서 신한은행만 유일하게 성장세를 보였다. 3일 베트남 외국계 은행의 재무보고서에 따르면, 신한은행 베트남 법인인 신한베트남은행은 지난해 5조7700억 동(약 3000억원)의 세전 이익을 거뒀다. 전년 대비 2% 증가한 수치다. 특히 현지 은행들보다 더 큰폭의 이익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신한은행은 지난 1993년 사무소 설립으로 베트남에 진출했다. 이후 지난 2009년 법인으로 전환 후 현지 은행을 인수하며 사업을 꾸준히 확대해왔다. 꾸준한 현지화와 베트남에 맞는 리스크 관리가, 큰 폭의 흑자를 가져온 셈이다. 반면 다른 외국계 은행은 모두 전년보다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영국계 은행인 HSBC 베트남은 4조4500억 동(약 2300억원)의 세전 이익을 기록, 전년 대비 무려 32%나 감소했다. 말레이시아 계열 '퍼블릭 뱅크 베트남'은 전년 대비 40% 급감한 3190억 동(약 170억원)의 세전 이익을 기록했다. 역시 말레이시아 계열 은행인 CIMB 베트남은 1,870억 동(약 100억원) 적자를 내며, 적자폭이 전년도에 비해 두 배 커졌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KB국민은행이 JB금융지주에게, 인도네시아 계열사 KB부코핀파이낸스를 매각한다. 수익성 개선과 경영 정상화에 더욱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국민은행 인니법인 KB뱅크는 2일 "JB우리캐피탈과 KB부코핀파이낸스 지분 85%를 매각하는 주식매매계약(SPA)을 맺었다"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매각가는 공개하지 않았다. KB부코핀파이낸스는 자동차 금융 전문회사다. 지난해 124억6000만 루피아(약 10억원)를 기록하며 흑자 전환했다. KB뱅크는 경영권 매각 이후에도 지분 14%를 유지하며 주요 주주로 남는다. KB뱅크는 이번 매각에 대해 "자본 구조를 강화하고 회사의 핵심 사업에 맞춰 포트폴리오를 최적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KB뱅크는 올해 연간 흑자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지 설립 후 처음으로 올해 1분기 첫 흑자를 기록했다. 또 지난 5월에는 첫 현지인 행장을 발탁하며 현지화 전략을 강화했다. JB우리캐피탈은 KB부코핀파이낸스 경영권 인수를 통해 동남아 시장 진출이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JB우리캐피탈은 자동차 할부 금융에 강점을 가진 회사로 KB부코핀파이낸스와의 시너지가 기대된다. JB우리캐피탈은 현재 미얀마 시장에
[더구루=홍성환 기자] 메리츠증권이 중국 랑방그룹에, 미국 증시에 상장된 이 회사의 주식을 매각했다. 랑방은 2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에서 "바이백 계약에 따라 지난달 27일 메리츠증권으로부터 자사주 1380만4733주를 4810만 유로(약 780억원)에 매입했다"고 밝혔다. 랑방은 매입가와 같은 액수로 메리츠증권에 고정금리 11.4%의 담보 대출채권을 발행했다. 랑방은 지난달 30일 850만 유로(약 140억원)를 일부 상환했고, 내년 12월까지 대출금을 전액 상환할 예정이다. 앞서 메리츠증권은 지난 2022년 12월 랑방이 미국 증시에 상장할 당시 5000만 달러(약 680억원)를 투자한 바 있다. <본보 2022년 10월 18일자 참고 : [단독] 메리츠증권, 佛 명품 브랜드 랑방에 최대 '1000억' 투자> 1889년 설립된 랑방은 프랑스의 1세대 명품 패션 브랜드로 꼽힌다. 세계 50개 국가 및 지역에서 의류, 가방 등 피혁제품, 신발, 악세사리, 향수 등을 판매 중이다. 지난 2018년 중국 푸싱그룹에 인수됐다. 1992년 설립된 푸싱그룹은 의약, 레저 등 다양한 사업에서 성장한 중국의 대형 민영 기업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국내 은행이 인도네시아에서 호실적을 거뒀다. 1일 인도네시아 경제매체 콘탄(Kontan)에 따르면 하나은행 인니 법인은 올해 1~5월 누적 순이익이 2770억 루피아(약 23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 증가했다. OK금융그룹 인니 자회사 OK뱅크는 전년 대비 233%나 급증한 480억 루피아(약 40억원)를 기록했다. 우리은행 인니 법인은 2540억 루피아(약 210억원)로 0.9% 늘었고, IBK기업은행 인니 법인은 870억 루피아(약 70억원)로 9.6% 증가했다. 최근 한화생명이 경영권을 확보한 노부은행은 1910억 루피아(약 160억원)로 93% 성장했다. 유일하게 신한은행만 수익이 줄었다. 신한은행 인니 법인은 1~5월 누적 순이익이 1080억 루피아(약 90억원)로 한국계 은행 가운데 홀로 3.6% 감소했다. KB국민은행 인니 법인은 아직 5월 실적을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로비 몬동 부행장은 현지언론에 "5월까지 흑자를 유지하고 있다"면서 "실적 개선 추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KB국민은행 인니 법인은 올해 1분기, 설립 후 첫 흑자를 기록한 바 있다. 국민은행을 제외한 6개 한국계 은행의 총자산은
[더구루=김명은 기자] 글로벌 무연담배 시장이 오는 2033년 177억 달러(약 24조4000억원)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흡연보다 덜 해롭다는 인식과 제품 혁신 등이 성장에 한몫하고 있다. 다만 성장 전망이 밝지만 청소년에 대한 노출 위험성과 규제 강화 요구에 대한 대응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유료기사코드] 18일 글로벌 시장 조사 전문 기관인 리서치앤마켓츠(ResearchAndMarkets)의 '2025-2033년 무연담배 시장 전망 및 경쟁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무연담배 시장은 지난해 133억 달러(약 18조3600억원)에서 오는 177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기간 동안 연평균 성장률(CAGR)은 3.2%를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무연 담배 시장의 성장 요인으로는 △향이 첨가된 무연 담배에 대한 수요 증가 △흡연이 건강에 해롭다는 인식의 확산 △니코틴 파우치, 용해형 담배 등 신제품에 대한 개발과 투자 확대 △일부 지역에서의 문화적 수용과 생활 방식의 변화 등이 거론된다. 선진국과 신흥 시장 모두 전통적인 무연 담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니코틴 파우치를 사용하고 있다. 과거에는 담배 잎을 태우지 않고 니코틴을 섭취하는
[더구루=오소영 기자] 체코 연구소가 고순도의 네오디뮴을 분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상용화에 성공하면, 재활용을 통해 보다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네오디뮴을 추출할 수 있다. 네오디뮴 자석 공급망을 쥐고 있는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대안으로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체코 유기화학·생화학 연구소(ICOB)에 따르면 밀로슬라프 폴라셰크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희토류 원소 분리방법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금속 이온과 결합해 고리 형태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킬레이트제(Chelator)'를 활용했다. 킬레이트제를 용해된 자석에 넣으면 네오디뮴과 선택적으로 뭉치는 반면, 디스프로슘은 그대로 용액에 남는다. 네오디뮴과 다른 금속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독한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기존 방법과 동일하거나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오면서도 유해 페기물이 발생하지 않는다.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기술을 통해 전기차에서 회수한 네오디뮴 자석으로부터 순도 99.7%의 네오디뮴을 얻었다. 연구 결과는 미국 화학회지(JACS)에 실렸다. 연구팀은 특허 출원을 진행 중이다. 실증도 추진하고 여러 기업·투자자와 협력해 상용화를 검토할 계획이다. 폴라셰크 박사는 "증가하는 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