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랩스 게임즈 디랩스 게임즈는 캐주얼 레이싱 게임 럼블 레이싱 스타에서 푸짐한 골드 보상을 지급하는 '웰컴 골드 이벤트'를 진행한다. 내달 10일까지 웰컴 골드 이벤트 일환으로 진행되는 '드리프트 마스터'는 최고의 드리프트 실력을 겨루는 이벤트로, 이용자는 레이스에 참가해 드리프트 실력을 뽐낼 수 있다. 최고의 드리프트 실력을 갖춘 이용자에게는 누적된 점수에 따라 1등에게는 5000골드, 2등에게는 3000골드 등 게임 내 보상이 지급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스타 스프린트' 이벤트가 10월 10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레이스에 참가해 가장 많은 스타를 획득한 이용자에게 푸짐한 게임 내 보상이 지급될 예정이다. 럼블 레이싱 스타는 캐주얼 웹3 레이싱 게임으로 지난 2월 글로벌 시장에 선보였다. 이용자들은 잔디 깎는 기계인 '론모어'(Lawnmower)를 이용해 전 세계 플레이어들과 경쟁할 수 있다. 럼블 레이싱 스타는 출시 이후 5개월 만에 총 240만 회의 레이스가 진행됐다. ◇크립토닷컴 글로벌 가상자산 플랫폼 크립토닷컴(Crypto.com)이 AI(인공지능) 에이전트 SDK(Crypto.com AI Agent SDK)의 최초 버전을 도입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SK플래닛과 손잡은 일본의 게임 특화 블록체인 '오아시스'가 글로벌 블록체인 네트워크 '아비트럼' 생태계에 합류한다. 오아시스는 이번 제휴로 유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돈나무 언니로 불리는 캐시 우드가 비트코인에 대한 강한 믿음을 다시 한 번 나타냈다. 당초 목표 가격으로 제시했던 150만 달러(약 20억원)도 충분하다는 주장이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캐시 우드는 최근 인베스터스 비즈니스 데일리와 인터뷰에서 “우리는 비트코인 목표 가격을 150만 달러로 잡았다”면서 “기관 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의 5%를 비트코인에 투자한다면 충분하다”고 말했다. 우드의 이 같은 발언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그는 지난 2022년에도 비트코인 가격이 지난해 말까지 13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구체적인 수치는 맞지 않았지만 전체적인 성장 궤적은 정확하게 짚어냈다는 평가다. 우드는 올초에도 비트코인 가격이 오는 2030년 말까지 150만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는 현재 가격보다 약 2700% 높은 수치다. 비트코인의 장기 상승 여력이 크다고 믿는 사람은 우드뿐만이 아니다. 트위터, 코인베이스, 테슬라, 스페이스X, 링, 실란스 등에 투자한 것으로 유명한 벤처 캐피털리스트인 팀 드레이퍼는 지난 2018년 비트코인이 오는 2022년까지 25만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비트코인 가
◇디랩스 웹3 게임 개발사 디랩스 게임즈는 글로벌 웹3 게임 퍼블리셔 몬 프로토콜과 함께 '코리안 웹3 게이밍 고잉 글로벌(Korean Web3 Gaming Going Global)' 오프라인 행사를 오는 19일 싱가포르에서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오는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간 진행되는 '토큰2049'에 맞춰 진행된다. 행사장에서는 네트워킹 및 게임 시연이 진행되며, 디랩스 권준모 대표, 플라네타리움 김재석 대표 등이 패널로 참여해 한국 웹3 게임 생태계에 대한 그동안의 경험과 의견을 밝힐 예정이다. 한편 몬 프로토콜(MON Protocol)은 웹3 게임 퍼블리셔로, NFT 기반 프로젝트 픽셀몬(PIXELMON)을 개발하고 있다. 이 회사는 유비소프트, 블리자드, 그리고 파이널 판타지 제작 경험이 있는 개발자들로 구성돼 있으며, 시드 라운드에서 약 800만 달러(109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코인원 국내 대표 전문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원이 고객 예치금 이용료 도입 이후 8월까지의 데이터를 분석해 공개했다. 코인원은 업계 유일 '이자 바로 받기' 기능을 통해 예치금 이용료가 최초 발생한 7월 20일부터 거래소 중 가장 먼저 지급을 시작했다. 코인원은
[더구루=홍성일 기자] 블록체인 전문 투자사 해시드(Hashed)가 분산형 금융(DeFi, 이하 디파이) 추상화 레이어 인피닛(Infinit)에 투자했다. 인피닛은 투자를 바탕으로 디파이 생태계 확장에 속도를 낸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인피닛은 해시드, 일렉트릭 캐피탈, 미라나 벤처스, 라이트스피드 팩션, 로봇 벤처스 등이 참여한 펀딩을 통해 600만 달러(약 80억원)를 조달했다. 인피닛은 디파이 추상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블록체인 업계에서 추상화는 기술 대중화 과정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뽑힌다. 추상화는 쉽게 말하자면 복잡한 프로그램을 몇 번의 클릭만으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인피닛의 추상화 레이어를 활용하면 개발자들은 손쉽게 DEX, 수익 프로토콜 등 다양한 앱을 구축할 수 있다. 현재 인피닛의 레이어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은 3개 체인에 걸쳐 12개 이상 서비스되고 있다. 인피닛은 신규 자본을 활용해 인프라를 발전시키고 디파이 개발자들에게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인피닛 관계자는 "우리의 목표는 코딩을 못해도 누구나 인피닛 솔루션으로 몇 분만에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싱가포르 당국이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샘 알트만이 주도하는 암호화폐 프로젝트 월드코인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월드코인은 홍채정보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악용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싱가포르 당국은 월드코인 계정, 토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한 7명을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하고 있다. 싱가포르 당국이 조사에 나선 것은 월드코인의 거래가 싱가포르의 결제 서비스 법에 따라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간 킴 용 싱가포르 부총리 겸 통상산업부 장관 "월드코인은 싱가포르 규정에 따라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며 "월드코인 계정과 토큰을 사고파는 사람들은 무허가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불법 행위"라고 밝혔다. 월드코인 측은 이번 조사는 자신들과 관련이 없는 일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규정 준수 문제 외에도 월드코인은 개인의 홍채정보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범죄 악용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싱가포르 경찰은 지난달 7일 "월드코인은 범죄 활동에 사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며 "계정이나 토큰을 양도하거나 판매하지 말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월드코인의 개인정보 악용 가능성은 싱가포르만 우려하는 것은 아니다. 월드
◇디랩스 웹3 게임 개발사 디랩스 게임즈는 KBW 사이드 이벤트 '웹3 게이밍 나이트 아웃(Web3 Gaming night Out)'을 성황리에 진행했다. 웹3 게이밍 나이트 아웃은 1일부터 일주일간 진행되는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KOREA BLOCKCHAIN WEEK 2024)의 사이드 이벤트로 4일 오후 8시부터 자정까지 압구정에 위치한 '식스나잇'에서 진행됐다. 당일 행사에는 웹3 게임을 대표하는 프로젝트인 픽셀몬·곰블·페이블본이 공동 호스트로 참여했으며, 글로벌 투자사인 스파르탄·IVC 프로토콜 플랫폼 엑스프로토콜(XProtocol), 스팟제로(Spot Zero)가 스폰서로 참여했다. 당일 행사에는 웹3 업계 관계자 500명 이상이 행사장을 가득 메웠다. 이 날 행사에서는 국내 주요 웹3 업계 관계자들이 함께 교류할 수 있는 네트워킹 세션이 진행됐고, 공동 호스트 및 메인 스폰서의 관계자들이 직접 자사의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시간도 가졌다. 또한 행사에 참석한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닌텐도 스위치와 게이밍 전용 키보드 등 풍성한 경품을 지급하는 이벤트도 진행됐다. ◇크레타 웹3 게임 플랫폼 크레타가 KBW 2024에 참가, 한국 활동을 본격화한다. 크레타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블록체인 전문 투자사 해시드가 홍콩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에 투자했다. 해시드는 향후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보고있다. IDA는 2일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600만 달러(약 80억원)를 투자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은 해시드, CMCC글로벌 산하 타이탄 펀드가 주도했다. 펀딩에는 핵VC, 아나그램, GSR, 프로타고니스트, 브링, 코러스 원, 키네틱, SNZ, 욜로 인베스트먼츠 외에도 솔라나 공동 창립자인 라지 고칼 등 앤젠투자자들이 참여했다. 홍콩 최초의 법정통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HKDA를 개발하고 있는 디지털자산 전문기업이다. 해시드가 IDA에 투자한 것은 향후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스테이블코인은 가치가 일정한 현물과 연동된 가상자산으로 통상적으로 미국 달러, EU 유로화 등과 연계돼 만들어졌다. 스테이블코인은 다른 암호화폐의 가치 변동폭이 큰 것과는 다르게 현물 자산의 가치와 연동돼 안정적인 가치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거래에도 손 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현재 약 1700억 달러(약 227조원) 규모다. IDA는 향후 5년내 스테이블
◇솜니스 블록체인 게임 '솜니스:럼블 러시(Somnis: Rumble Rush, 이하 솜니스)'가 정식 출시 1주일 만에 글로벌 게임 시장에서 화제를 일으키고 있다. 개발사인 오버테이크는 솜니스가 출시 1주일 만에 누적 가입자 수가 2만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솜니스의 하루 평균 접속자 수(DAU)는 1만명이 넘는다. 전체 가입자 중 절반 가까운 유저가 지속적으로 접속하고 있는 것으로, 이는 일반 게임 대비 두 배 이상 높은 유지율이다. 오버테이크는 실사용자가 적은 블록체인 게임 분야에서 매우 드문 성과라고 덧붙였다. 오버테이크는 솜니스의 초반 흥행에 대해 성공적인 비공개테스트(CBT) 이후 이어진 전 세계 이용자들의 뜨거운 관심과 인기가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또한 솜니스는 글로벌 시장에서 전략 게임 카테고리 상위 랭크에 빠르게 진입하기도 했다. 시장조사기관 센서타워(Sensor Tower)에 따르면 솜니스는 미국에서 8위, 일본 5위, 인도네시아 2위, 필리핀 2위, 태국 9위, 브라질 2위를 기록했다. 오버테이크 오승환 대표는 "CBT에서 받은 소중한 피드백을 바탕으로 게임을 더욱 개선해 기대 이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솜니스를 통
[더구루=홍성일 기자] 북한 해커조직 '라자루스(Lazarus)' 등의 피해를 입고 있는 암호화폐 스타트업들이 다양한 대응책을 내놓고 있다. 특히 구인 과정에서 접근하는 북한 해커를 막기 위한 방법이 공개돼 눈길을 끌고 있다.
◇마브렉스 넷마블 블록체인 자회사 마브렉스(MARBLEX)가 게임 전문 글로벌 블록체인 플랫폼 '이뮤터블(Immutable)'과 함께 '게임 온, 체인 온(Game On, Chain On.)' 오프라인 행사를 개최한다. 게임 온, 체인 온은 내달 1일부터 일주일간 진행하는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2024(KOREA BLOCKCHAIN WEEK 2024, KBW 2024)'의 사이드 이벤트로 9월 4일 오후 6시부터 자정까지 성수동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MM성수'에서 진행된다. 행사장은 △게이밍 익스피리언스 존(Gaming Experience Zone) △포토부스 △쿵야 브랜드 NFT 존 △VIP 존 등으로 구성되며 방문객들은 각 부스를 방문해 마브렉스 온보딩 게임 시연, 기념사진 촬영 등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다. 특히 이번 행사를 통해 최초 공개되는 '쿵야 NFT(대체불가토큰)'도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럭키 드로우, 보물 찾기 등의 다양한 현장 이벤트를 통해 쿵야 굿즈 등 풍성한 선물을 증정한다. 게임 온, 체인 온은 이벤트 주최 플랫폼 '루마(luma)'에서 마브렉스 검색 후, 초청 페이지 사전 등록을 통해 무료 참석할 수 있다. ◇디랩스 웹3 게
◇카이아 카카오 클레이튼(Klaytn), 네이버 핀시아(Finschia) 통합 블록체인 추진 협의체 '카이아(Kaia)' 프로젝트가 '카이아 스퀘어 라운지(Kaia Square Lounge, KSL) 2024' 개최한다. KSL 2024는 내달 2일부터 3일까지 서울 성수동 피치스 도원(Peaches D8ne)에서 개최된다. KSL 2024는 카이아, 라인 넥스트, 글로벌 웹3 전문 투자사 DWF랩이 공동 주최한다. 주최측은 카이아 프로젝트의 아시아 지역 내 웹3 산업 촉진자 역할과 사업 확장 포부를 담아 '웹3로 가는 아시아의 관문(Asia’s Gateway to Web3)'를 주제로 결정했다. 카이아는 KSL 2024에서 아시아 대표 블록체인 도약 전략, 신규 플래그십 RWA 토큰화 프로젝트 및 파트너사를 공개한다. 글로벌 파트너들과 카이아 생태계 확장 논의도 진행한다. 또한 라인 넥스트와 연계한 생태계 강화 이니셔티브인 '카이아 웨이브(Kaia Wave)' 프로그램을 소개할 계획이다. 카이아 웨이브는 카이아와 라인 넥스트가 협력해 만든 새로운 웹3 빌더 프로그램으로 라인이 보유한 인프라와 마케팅 패키지를 기반으로 새로운 디앱 사용자 경험(UX)과 성장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사로닉'과 '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 기반 해양 자율 운항 기술 개발을 위해 손을 잡는다. 사로닉은 자율 선박 성능과 개발 속도를 높여 미국 조선 산업 재산업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세계 1위 배터리 제조사 CATL이 유럽 생산 공장을 본격 가동한다. CATL은 헝가리 공장을 연내 1단계 완공하고 시운전에 돌입한다. CATL은 글로벌 대규모 증산 체제에 속도를 내며 글로벌 배터리 산업 경쟁 지형에 변화를 일으킬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