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이꽃들 기자] 코닥 어패럴(Kodak Apparel)이 일본 도쿄에서 팝업스토어를 열고 현지 시장 공략에 나선다. 글로벌 필름 브랜드 코닥의 헤리티지를 기반으로 한 라이프스타일 라인업을 선보이며, 일본 내 브랜드 인지도 확대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28일 코닥 라이선스를 전개하는 하이라이트브랜즈 재팬에 따르면 다음달 6일부터 18일까지 13일간 도쿄 시부야 파르코(Shibuya PARCO) 5층에서 코닥 어패럴 일본 상륙 기념 팝업스토어를 연다. 하이라이트브랜즈는 코닥을 비롯해 말본골프, 디아도라, 시에라디자인, DOD, 프루츠오브더룸 등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아시아 시장 공략을 확대 중이다. 이번 팝업은 인스턴트 카메라와 일본식 스티커 사진 기기로 대표되는 1990년대의 레트로 문화와 현대적 패션 트렌드를 결합해, 세대 간 공감대를 끌어낸다는 취지로 마련됐다. 여기에 로고 스웨트 셔츠, 티셔츠, 아우터 등 패션 아이템은 물론, 필름카메라 감성을 시각화한 가방, 모자, 액세서리 등이 전시된다. 코닥의 상징색인 노란색과 빨간색을 활용한 점이 특징이다. 회사는 팝업 기간 브랜드의 한국 본사 및 해외 전개 현황 또한 홍보한다. 코닥 어패럴은 130년
[더구루=진유진 기자] 파리바게뜨가 미국 테네시주에서 세 번째 매장을 열며 북미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내슈빌과 머프리스버로에 이어 프랭클린 지역까지 거점을 넓히며, 오는 2030년까지 북미 1000호점 비전을 향한 성장 드라이브를 이어가고 있다. 현지 맟춤형 글로벌 브랜드로 북미 외식 시장에서 입지를 굳히겠다는 전략이다. 28일 파리바게뜨에 따르면 회사는 테네시주 프랭클린 복합문화상업지구 '맥웬 노스사이드(McEwen Northside)' 내 블록 E 구역에 신규 매장을 오픈한다. 맥웬 노스사이드는 고급 리테일러와 레스토랑, 주거·업무 시설이 어우러진 지역 명소로, 파리바게뜨는 이번 입점을 통해 프랭클린 대표 식음료 스폿 중 하나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신규 매장은 프랑스 제빵 전통과 한국적 감성을 결합한 프리미엄 베이커리 카페 콘셉트로 운영된다. 수제 페이스트리와 시그니처 케이크, 스페셜티 커피를 중심으로 구성해 현지 방문객은 물론, 가족 단위 고객부터 직장인 유동층까지 폭넓게 공략할 계획이다. 공식 오픈 일정은 미정이지만, 지역 내에서는 높은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맥웬 노스사이드 시행사 '보일 인베스트먼트 컴퍼니'의 그랜트 키넷(Grant K
[더구루=이꽃들 기자] 한미약품이 항암 분야 바이오신약 '롤론티스'를 비롯해 한미의 독자 기술로 개발한 혁신 제품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을 공략한다. 한미약품의 성장 동력인 차세대 개량, 복합신약 분야에서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히 이뤄질 전망이다. 한미약품은 28일부터 30일까지(현지시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 의약품 전시회 'CPHI(Convention on Pharmaceutical Ingredients) 월드와이드 2025'에 참가한다. CPHI는 매년 유럽 주요 국가를 순회하며 세계 최대 규모로 개최되는 제약바이오 전시회로, 올해는 세계 166개국, 2400곳 이상의 제약바이오 기업들에서 6만2000명 이상의 관계자들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행사에서 단독 부스를 운영하는 한미약품은 의약품 제조 역량과 우수한 제제 기술력이 집약된 로수젯과 아모잘탄, 에소메졸 등 자체 개발 블록버스터 제품을 선보인다. 또 전 세계적인 열풍이 불고 있는 비만대사와 항암, 희귀질환 분야에서 가동 중인 30여개의 혁신신약 파이프라인을 소개하며, 유수의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들과의 발전적인 협력 기회를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자체 개발한
[더구루=이꽃들 기자] GC(녹십자홀딩스)의 자회사인 진스랩이 국내 검사실 자동화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낸다. 국내 최초로 병리 슬라이드 제작 공정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병리 진단의 효율성과 재현성을 크게 높이는 전환점을 마련할 계획이다. 진스랩은 지난 25일 스위스의 세계적인 검사실 자동화 기업 인페코(Inpeco S.A.)와 국내 공식 대리점 계약을 체결했다. 이로써 진스랩은 인페코의 첨단 전자동화 검사 시스템 ProTube, FlexLab(Total Laboratory Automation, TLA) 솔루션의 국내 공급 및 기술 지원 권한을 확보하게 됐다. 인페코는 전 세계 70여 개국의 주요 임상검사기관에 자동화 솔루션을 공급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검사 프로세스의 표준화와 품질관리 자동화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진스랩은 지난 6월 28일부터 이미 녹십자의료재단에 인페코의 아시아 최대 규모 TLA 시스템을 구축해 안정적으로 운영 중이다. 해당 시스템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시간당 가장 많은 검체를 처리할 수 있는 수준으로, 트랙 총 길이와 연결된 분석 장비 규모 면에서도 전 세계 상위 10위권에 해당한다. 이는 국내 진단검사 자동
[더구루=이연춘 기자] KAIST 연구진이 설립한 폴리페놀 팩토리의 기능성 헤어케어 브랜드 그래비티(grabity)가 27일(현지시간) 미국 아마존을 통해 북미 시장에 진출했다. 론칭 라인업은 ‘grabity g0.0 헤어 리프팅 샴푸’를 포함한 4종으로, 연내 틱톡샵(TikTok Shop) 직영 오픈으로 온라인 중심의 고객 접점을 확장한다. 오프라인은 글로벌 유통 플랫폼과 협력해 얼타뷰티(ULTA Beauty) 등 핵심 리테일에 순차 입점을 추진할 계획이다. 그래비티 샴푸는 KAIST 화학과 이해신 석좌교수와 젊은 과학자들이 공동 개발한 기능성 탈모케어 제품으로, 대표 제품 그래비티 헤어 리프팅 샴푸는 KAIST 특허 성분 LiftMax 308™을 고함량으로 담아 모발 표면에 안정적 보호층을 형성하고 외부 자극으로 인한 손상을 줄이도록 설계됐다. 미국 FDA 보고 및 주요 임상을 완료했으며, 해외 표기 기준 임상에서 1회 사용만으로 모발 굵기 6.27% 개선, 헤어 볼륨 140% 증가가 확인됐다. 또한 2주 사용 시 모발 빠짐 약 70% 감소가 관찰되었고, 올해 발표된 SCI급 논문에서는 90%대의 높은 탈모 감소 효과도 보고됐다. 전 성분 EWG 그린 등
[더구루=진유진 기자] 빙그레가 동남아시아 최대 이커머스 플랫폼 '라자다(Lazada)'에 메가 히트작 '바나나맛 우유'를 입점하고 베트남 시장 공략에 고삐를 바짝 죄고 있다. '뚱바'로 불리는 독특한 용기 디자인과 달콤한 맛을 앞세워 현지 소비자와 접점을 넓히고, K푸드 열풍을 동남아 전역으로 확산하겠다는 전략이다. 28일 베트남 라자다에 따르면 빙그레는 라자다 내 공식몰을 통해 바나나맛 우유 등 주요 제품들을 판매 중이다. 200ml 24입 제품은 20% 할인된 38만5000동에 판매되고 있으며, 저당형 '바나나맛 우유 라이트'를 비롯해 딸기·멜론·타로·커피맛 등 다양한 라인업도 함께 선보였다. 현지 소비자 반응은 긍정적이다. 200ml 24입 제품의 경우, 5점 만점(210개 리뷰)을 기록했으며, 리뷰에는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부드러운 바나나 맛", "고품질 한국산이라 안심된다", "달콤하고 만족스러운 맛" 등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 바나나맛 우유는 달항아리를 닮은 반투명한 배불뚝이 용기가 트레이드 마크다. 지난 1974년 국내 출시 이후 '단지우유', '뚱바(뚱뚱한 바나나맛 우유)'로 불리며 한국을 대표하는 국민 음료로 자리 잡았다. 빙그레는 이 독
[더구루=이꽃들 기자] GC녹십자의료재단이 스위스 기업과 손잡고 국내 처음으로 병리 슬라이드 제작 공정 자동화를 추진한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공동 기술 검토, 설계 및 시운전 단계별 협력을 통해 병리 검사 자동화 프로젝트를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28일 GC녹십자의료재단에 따르면 스위스 인페코(Inpeco)사와 '병리 검사실 자동화 설비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병리 분야의 자동화 수준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국제적 수준의 진단 품질과 효율성을 구현하기 위한 전략적 협력이다. 양사는 병리 검사 프로세스 전반에 걸친 자동화 솔루션 도입 및 최적화를 추진한다. 특히, 슬라이드 제작, 염색, 보관에 이르는 전 과정의 자동화 및 추적성(Traceability) 확보를 목표로 하며, 향후 인공지능(AI) 기반 병리영상 판독 시스템과의 연계도 검토할 예정이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병리 검사실에서 조직 검체로 슬라이드를 제작하는 과정은 대부분 수작업으로 수행되며, 유럽 일부 기관만이 제한적으로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한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GC녹십자의료재단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국내에선 처음으로 병리 슬라이드 제작
[더구루=이꽃들 기자] LX하우시스가 미국 조지아 공장을 친환경 제조 시설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업장 내 탄소 감축, 신재생에너지 사용 및 친환경 제품 확대 등에 힘을 쏟을 계획이다. LX하우시스 아메리카(LX Hausys America Inc.)는 27일(현지시간) 새롭게 수립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정책의 비전과 '탄소중립 로드맵', 지난해 주요 성과를 담은 14번째 ESG 보고서(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를 통해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의 지속적인 실행을 강조했다. 이 전략 계획은 온실가스(GHG) 배출량 감축을 핵심 목표로 삼고 있다. 지난해에는 2218톤의 배출량을 감축했으며, 한국의 배출권거래제를 통해 1만3040톤의 잉여 배출권을 판매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올해부터는 각 사업부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핵심 성과 지표(KPI)로 채택해 조직 전체의 책임 의식을 강화했다. LX하우시스는 조지아에 있는 두 제조 시설의 지속가능성 활동을 탄소중립의 핵심으로 삼았다. VIATERA 석영, HIMACS 솔리드 표면재, 자동차용 원단을 생산하는 이들 시설에서는 보일러 교체 및 열 회수 시스템 최적화 등 시설 개선을 통해
[더구루=이연춘 기자] bhc가 지난달 방콕에 오픈한 태국 13호점이 한 달 만에 오픈런 웨이팅 행렬이라는 의미있는 성과를 거두며, 명실공히 K-치킨을 대표하는 브랜드로 태국 시장에 자리매김했다. 28일 bhc에 따르면 지난달방콕 시내 중심가에 위치한 대형 쇼핑몰 ‘센트럴 플라자 핀클라오(Central Plaza Pinklao)’에 태국 13호 매장 ‘센트럴 핀클라오(Central Pinklao)점’을 열고 태국 현지인은 물론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K-푸드의 맛과 매력을 전하고 있다. 13호점은 bhc를 상징하는 옐로우톤 인테리어에 약 25평, 36석 규모로, 가족은 물론 친구나 연인과 함께 편안하게 식사하고 대화를 즐길 수 있는 ‘풀 다이닝(Full Dining)’ 형태로 운영 중이다. 오픈 한 달 간 태국 13호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메뉴는 ‘뿌링클’로, 국내는 물론 태국에서도 독보적인 시즈닝 치킨임을 입증했다. 이어서 태국에서만 만나 볼 수 있는 ‘크리스피 뿌링클’도 상위 판매 메뉴 자리를 차지했다. 크리스피 뿌링클은 현지의 습한 기후에도 바삭한 식감을 즐길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현지 소비자 입맛에 맞춰 닭 연골과 껍질을 활용한 특화
[더구루=이꽃들 기자] HK이노엔(HK inno.N)의 스킨케어 브랜드 '비원츠(bewants)'가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태국, 말레이시아 주요 유통 채널 입점을 확정하며 동남아시아 핵심 거점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28일 HK이노엔에 따르면 다음 달 싱가포르 대표 헬스앤뷰티(H&B) 스토어인 왓슨스(Watsons) 주요 매장에 입점한다. 최근 싱가포르 온라인 채널 중 하나인 '틱톡샵'에 '씨위드 PDRN 글로우 필 오프 젤리 마스크'를 새롭게 출시하고 라이브 커머스를 진행해 현지에서 우수한 제품력을 선보인 바 있다. 앞서 지난 달 태국에서는 현지 주요 H&B 스토어인 '뷰트리움(Beautrium)'에서 오프라인 팝업 행사를 성료했다. K-뷰티에 대한 현지 소비자의 관심 속에서 베스트셀러인 '아이 세럼 스틱'을 중심으로 높은 인기를 얻으며 제품의 우수성과 시장성을 입증했다. 말레이시아 뷰티 시장에도 도전장을 내밀었다. 동남아시아 지역 주요 뷰티 리테일 체인인 '사사(SASA)'의 말레이시아 온, 오프라인 신규 입점을 확정했다. 사사는 말레이시아에 70개 매장을 운영 중으로, 비원츠는 이중 절반이 넘는 4
[더구루=진유진 기자] 아모레퍼시픽 뷰티 브랜드 '헤라(HERA)'가 일본 도쿄 핵심 상권 내 쇼핑몰 두 곳에 동시 출격한다. 최근 두 달 새 주요 백화점 3연속 입점에 이어 유동 인구가 많은 도심형 쇼핑몰로 채널을 확장하면서 프리미엄 K-뷰티 대표주자로서 입지를 굳히겠다는 전략이다. 28일 일본 법인 아모레퍼시픽재팬에 따르면 헤라는 이날 도쿄 시부야구 '이세탄 미러 아토레 에비스점'에 상설 매장을 열고, 오는 30일에는 신주쿠구 '이세탄 미러 루미네 신주쿠점'에 신규 매장을 오픈한다. 이들 매장에서는 △블랙 쿠션 파운데이션 △리플렉션 스킨 글로우 쿠션 파운데이션 △센슈얼 누드 글로스 등 대표 제품군을 선보인다. 특히 '블랙 쿠션'은 한 번의 터치로 세련된 윤기를 연출하는 베이스 제품으로, 일본에서도 '고급 베이스 메이크업의 교과서'로 불리며 인기를 얻고 있다. 오픈 기념으로 제품 구매 고객에게는 오리지널 미니 파우치를 증정하는 이벤트도 진행된다. 헤라는 지난 2023년 일본 진출 이후, 이세탄 미러의 △루미네 이케부쿠로점 △신마루노우치 빌딩점 △루미네 오미야점 등 3곳에서 브랜드를 운영해 왔다. 이번 도쿄 중심가 2개 매장 추가로 이세탄 미러 입점 점포 수
[더구루=이꽃들 기자] 콜마비엔에이치가 건강기능식품(이후 건기식) 브랜드 비오맘과 손잡고 시장 확장에 본격 나선다. 이번 협업을 통해 성장하는 건기식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인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28일 비오맘에 따르면 콜마비엔에이치와 파트너십을 토대로 대표 제품 비오맘 스노우(Biomom Snow)'의 품질과 맛을 리뉴얼한다. 비오맘은 영유아 및 임산부를 위한 맞춤형 건기식 브랜드로, 클린 라벨 원료와 영양 균형을 강조하고 있다. 비오맘 스노우는 멀티비타민, 미네랄 8종과 유산균을 담은 제품으로 생후 12개월 아이부터 성인까지 장 건강을 케어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제품은 '스노우 멜팅' 기술을 적용해 물 없이도 입 안에서 눈처럼 시원하게 녹아 목 넘김이 쉬운 블루베리향 가루 유산균이다.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에서 인증한 19가지 균주를 사용해 스틱당 100억 CFU의 프로바이오틱스를 함유했다. 이외에도 엽산, 비오틴, 셀레늄 등 필수 영양소도 함유돼 종합적인 영양 지원을 제공한다. 유로모니터 조사 결과 국내 건기식 시장은 2020년 6조1822억원에서 지난해 7조3438억원으로 성장했다. 2028년 기준 8조2912억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